송도국제도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송도국제도시는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위치한 경제자유구역으로, 1986년 인천국제공항 배후 도시로 처음 구상되었다. 1991년 확정된 계획에 따라 54.25km² 부지에 주거, 상업, 공업, 녹지 공간을 조성하고 49만 명을 수용할 예정이었다. 2003년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으며, 2005년 마스터플랜이 완성되었다. 송도에는 포스코타워-송도, 송도컨벤시아, 센트럴파크, G타워 등 주요 시설이 있으며, 녹색기후기금(GCF) 본부가 유치되어 국제적인 도시로 발전하고 있다. 또한, 뉴욕 주립 대학교, 연세대학교 등 국내외 대학교와 채드윅 국제학교, 칼빈매니토바국제학교 등 국제학교가 위치해 교육 도시로서의 면모도 갖추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인공섬 - 노들섬
노들섬은 한강대교 부근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중지도 등으로 불리다가 현재의 이름으로 개칭되었고, 백로가 놀던 돌이라는 뜻을 지니며, 1917년 한강인도교 건설로 섬의 형태를 갖추고 2019년 복합문화공간으로 재탄생하여 다양한 문화 행사와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 대한민국의 인공섬 - 세빛섬
세빛섬은 한강에 조성된 인공 섬으로, 가빛섬, 채빛섬, 솔빛섬, 예빛섬으로 구성되어 공연, 문화 체험 등 다양한 문화 시설을 갖추고 수익형 민자사업으로 운영되나, 건설 및 운영 방식, 공공성 훼손 등 다양한 논란이 있었다. - 대한민국 내부의 영토 분쟁 - 평택·당진항
평택·당진항은 경기도 평택시와 충청남도 당진시에 걸쳐 있는 복합항으로, 여러 부두시설과 여객터미널을 갖추고 중국 산둥성과의 화물 및 여객 운송을 주로 담당하며, 해외직구 물품의 주요 입항 항구이자 서부두 행정구역 소속 분쟁이 평택시 편입으로 종결된 곳이다. - 대한민국 내부의 영토 분쟁 - 북항 재개발
북항 재개발은 1994년부터 구상되어 2007년 구체화된 부산 북항 일대의 재개발 사업으로, 2015년 부산항여객터미널 이전과 함께 본격화되었으며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 부산항국제전시컨벤션센터 등 주요 시설이 들어섰으나 계획 변경 및 매립지 관할 구역 문제 등으로 난개발 논란과 행정구역 분쟁이 발생하기도 했다. - 인천 연수구의 지리 - 승기천
승기천은 인천광역시를 흐르는 하천으로, 승학산 북쪽 승기리에서 유래한 것으로 추정되며, 과거 수봉산 동쪽에서 발원하여 남쪽으로 흘렀으나 현재는 연수구와 남동공단의 경계를 이루며 황해로 유입된다. - 인천 연수구의 지리 - 송도달빛축제공원
송도달빛축제공원은 2013년 4월에 착공되어 펜타포트 야외공연장, 도그파크 등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송도 바람축제, 펜타포트 락 페스티벌 등 다양한 행사와 공연이 열리는 공원이다.
송도국제도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송도 |
원어 이름 | 송도/松島 |
원어 이름 (언어) | ko |
공식 명칭 | 송도국제도시 |
구분 | 국제 업무 지구 |
![]() | |
면적 | 53.4 km2 |
인구 (2020년) | 167,346명 |
시간대 | 한국 표준시 (UTC+9) |
행정 구역 | |
국가 | 대한민국 |
광역 자치 단체 | 수도권 |
지방 자치 단체 (광역시) | 인천광역시 |
지방 자치 단체 (구) | 연수구 |
행정동 | 송도1동, 송도2동, 송도3동, 송도4동, 송도5동 |
추가 정보 | |
비고 | 인천경제자유구역 (IFEZ)의 일부 |
관련 정보 | 인천 연수구 행정구역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 |
2. 역사
wikitext
송도국제도시는 1986년, 당시 인천직할시 도시계획국장이었던 박연수에 의하여 인천국제공항의 배후지구로 처음 구상되었다.[27] 이 계획은 1988년 4월 이재창 시장이 노태우 대통령의 초도순시 때 보고하였고[28], 비슷한 시기에 시 사업으로 발표하였다.[29] 1991년 5월 확정된 최종 계획은 다음과 같다.[30]
- 총 면적: 54.25km2
- * 주거지역: 14.06km2 (25.9%)
- * 상업지역: 4.24km2 (7.8%)
- * 공업지역: 0.54km2 (1%)
- * 녹지: 35.41km2 (65.3%)
- 사업 기간: 1991년 10월 ~ 2001년 (1단계), 1997년 ~ 2006년 (2단계)
- 수용 인구: 49만 명
1단계 사업의 매립 승인은 1990년 11월 건설부에서 허가하였으나, 착공은 1991년 10월, 1992년 3월 등으로 계속 연기되다가[31], 1994년 9월 10일에 이루어졌다.[32]
2001년 미국의 부동산 업체 게일 인터내셔널의 회장이 송도를 방문하였으며[33], 2002년 3월에 게일 인터내셔널과 포스코건설이 합작 투자한 기업인 송도신도시개발(NSC)이 설립되었다.[34] 2003년 8월 5일, 송도신도시는 청라지구 및 영종지구와 함께 대한민국의 첫 경제자유구역인 인천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고[35], 2005년에 송도국제도시 마스터플랜이 완성되었다.[34][36] 2005년 3월 7일, 송도 컨벤션센터의 착공과 함께 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시작되었다.[37] 2007년 4월 27일, NSC는 송도국제도시개발(NSIC)로 사명을 바꾸었다.[38]
2009년 송도 컨벤시아, 센트럴파크 등 1단계 업무 및 주거 시설과 인천대교가 완공되었다. 2010년 미국 명문 채드윅 국제학교가 개교하고 잭 니클라우스 골프클럽 코리아가 완공되었으며, 2011년 초고층 아파트와 오피스 빌딩들의 입주가 시작되었다. 2012년 녹색기후기금(GCF)과 세계은행 한국사무소가 유치되었고, 2013년 G타워(150m, 33층)가 완공되어 개장하였으며, 2014년에 14,000세대의 주거 시설 분양이 완료되고 동북아무역센터가 완공되었다. 2015년에는 국제 골프 대회인 2015 프레지던츠컵을 개최하였다. 송도국제도시 내 LEED 인증을 받은 건물은 2015년 9월 기준으로 14곳에 이른다.[39] 2019년 5월 현재 주민등록 인구는 약 15만 명이다.
2. 1. 개발 배경 및 초기 계획
송도국제도시는 1986년, 당시 인천직할시 도시계획국장이었던 박연수에 의해 인천국제공항의 배후지구로 처음 구상되었다.[27] 1988년 4월 이재창 시장이 노태우 대통령에게 이 계획을 보고했고,[28] 1991년 5월 최종 계획이 확정되었다.[30] 초기 계획은 총 면적 54.25km2에 주거지역(14.06km2), 상업지역(4.24km2), 공업지역(0.54km2), 녹지(35.41km2)를 포함하여 49만 명을 수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1단계 매립 승인은 1990년 11월 건설부에서 허가되었으나, 착공은 계속 연기되다가 1994년 9월 10일에 이루어졌다.[32] 2001년 게일 인터내셔널 회장의 송도 방문 이후,[33] 2002년 3월 게일 인터내셔널과 포스코건설의 합작 투자 기업인 송도신도시개발(NSC)이 설립되었다.[34] 2003년 8월, 송도신도시는 청라지구, 영종지구와 함께 대한민국의 첫 경제자유구역인 인천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고,[35] 2005년 송도국제도시 마스터플랜이 완성되었다.[34][36]
2005년 3월 7일, 송도 컨벤션센터 착공과 함께 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시작되었고,[37] 2007년 4월 27일, NSC는 송도국제도시개발(NSIC)로 사명을 변경했다.[38]


송도 지구는 인천 앞바다를 매립하여 조성되었으며, 서울에서 약 56km 떨어져 있다. 2015년 완공을 목표로 아파트 8만 가구, 4,645,161m2의 사무 공간, 929,032m2의 상업 공간을 계획했었다.[6]
송도국제도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의 녹색 저탄소 성장 추진 노력의 일환으로, 2009년 1월 대한민국 정부는 380억 달러 규모의 경기 부양책을 발표하고 이 중 80% 이상을 녹색 투자에 배정했다. 이후 2010년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을 통해 5년간 836억 달러로 투자 규모를 증액했다. 이에 따라 송도국제도시는 녹지 공간을 40% 이상 확보하고, 25.7km의 자전거 도로, 전기차 충전소, 쓰레기 트럭이 필요 없는 쓰레기 수거 시스템 등을 갖춘 지속 가능한 도시로 개발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에서 주요 건물 전체가 LEED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거나 그 이상을 달성한 최초의 지구이다.[8]
2014년에는 스토니브룩 대학교를 포함한 세 개의 외국 대학 캠퍼스가 추가로 개교했다.[9] 조지 메이슨 대학교(George Mason University)와 유타 대학교(University of Utah)도 2014년에 송도에 한국 캠퍼스를 개교했다.[10]
2. 2. 개발 과정
송도국제도시는 1986년, 당시 인천직할시 도시계획국장이었던 박연수에 의해 인천국제공항의 배후지구로 처음 구상되었다.[27] 이 계획은 1988년 4월 이재창 시장이 노태우 대통령에게 보고하였고,[28], 비슷한 시기에 시 사업으로 발표되었다.[29] 1991년 5월 확정된 최종 계획에 따르면 총 면적 54.25km2에 주거, 상업, 공업, 녹지 지역을 포함하고 49만 명을 수용할 예정이었다.1단계 사업의 매립 승인은 1990년 11월 건설부에서 허가하였으나, 착공은 계속 연기되다가[31] 1994년 9월 10일에 이루어졌다.[32]
2001년 미국의 부동산 업체 게일 인터내셔널 회장이 송도를 방문하였고,[33] 2002년 3월, 게일 인터내셔널과 포스코건설의 합작 투자 기업인 송도신도시개발(NSC)이 설립되었다.[34] 2003년 8월 5일, 송도신도시는 청라지구 및 영종지구와 함께 인천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고,[35] 2005년에 송도국제도시 마스터플랜이 완성되었다.[34][36] 같은 해 3월 7일, 송도 컨벤션센터 착공과 함께 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시작되었다.[37] 2007년 4월 27일, NSC는 송도국제도시개발(NSIC)로 사명을 변경했다.[38]
2009년 송도 컨벤시아, 센트럴파크 등 1단계 업무 및 주거 시설과 인천대교가 완공되었다. 2010년 채드윅 국제학교와 잭 니클라우스 골프클럽 코리아가 완공되었고, 2011년 초고층 아파트와 오피스 빌딩들의 입주가 시작되었다. 2012년 녹색기후기금(GCF)과 세계은행 한국사무소가 유치되었고, 2013년 G타워가 완공되어 개장하였으며, 2014년에 14,000세대의 주거 시설 분양이 완료되고 동북아무역센터가 완공되었다. 2015년에는 프레지던츠컵을 개최하였다. 2015년 9월 기준으로 송도국제도시 내 LEED 인증을 받은 건물은 14곳에 이른다.[39]


송도 지구는 인천 앞바다를 매립하여 조성한 약 607 헥타르(ha) 부지에 건설되었으며, 서울에서 약 56 km 떨어져 있다. 2015년 완공 예정 당시, 아파트 8만 가구, 4,645,152 m2의 사무 공간, 929,030 m2의 상업 공간이 계획되어 있었다.[6] 65층 규모의 동북아무역타워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건물이 되었다.
송도국제도시는 이명박 전 대통령이 녹색 저탄소 성장을 추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었다. 2009년 1월, 대한민국은 380억 달러 규모의 경기 부양책을 발표했으며, 이 중 80% 이상이 녹색 투자에 배정되었다. 2010년 대한민국 국회에서 통과된 저탄소 녹색성장 기본법은 이를 5년간 836억 달러로 증액했다. 이 계획에 따라 송도국제도시는 녹지 공간을 40% 이상 확보하여 지속 가능한 도시로 개발되고 있으며, 40.46 ha 규모의 공원, 25.74 km의 자전거 도로, 전기차 충전소, 쓰레기 트럭이 필요 없는 쓰레기 수거 시스템 등이 포함된다. 또한, 대한민국에서 주요 건물 전체가 LEED의 요구 사항을 충족하거나 그 이상을 달성한 최초의 지구이다.[8]
2014년에는 세 개의 외국 대학 캠퍼스가 추가로 개교하여, 서울에서 약 64 km 떨어진 국제업무지구 내에 총 4개의 대학이 운영되었다. 여기에는 한국 최초의 해외 대학인 스토니브룩 뉴욕 주립 대학교(State University of New York, Stony Brook)가 포함되었다.[9] 2014년 봄, 조지 메이슨 대학교는 송도에 한국 캠퍼스를 개교하여 학부생들과 지역 기업의 전문성 개발 프로그램을 지원했다. 또한, 유타 대학교는 2014년 3월에 사회 과학 분야의 여러 미국 학사 학위와 응용 언어학 석사 학위를 제공하는 분교 개교를 예상했다.[10]
2. 3. 주요 연혁
송도국제도시는 1986년, 당시 인천직할시 도시계획국장이었던 박연수에 의하여 인천국제공항의 배후지구로 처음 구상되었다.[27] 이 계획은 1988년 4월 이재창 시장이 노태우 대통령의 초도순시 때 보고하였고[28], 비슷한 시기에 시 사업으로 발표하였다.[29] 1991년 5월 확정된 최종 계획은 다음과 같다.[30]
- 총 면적: 54.25km2
- * 주거지역: 14.06km2 (25.9%)
- * 상업지역: 4.24km2 (7.8%)
- * 공업지역: 0.54km2 (1%)
- * 녹지: 35.41km2 (65.3%)
- 사업 기간: 1991년 10월 ~ 2001년 (1단계), 1997년 ~ 2006년 (2단계)
- 수용 인구: 49만 명
1단계 사업의 매립 승인은 1990년 11월 건설부에서 허가하였으나, 착공은 1991년 10월, 1992년 3월 등으로 계속 연기되다가[31], 1994년 9월 10일에 이루어졌다.[32]
2001년 미국의 부동산 업체 게일 인터내셔널의 회장이 송도를 방문하였으며[33], 2002년 3월에 게일 인터내셔널과 포스코건설이 합작 투자한 기업인 송도신도시개발(NSC)이 설립되었다.[34] 2003년 8월 5일, 송도신도시는 청라지구 및 영종지구와 함께 대한민국의 첫 경제자유구역인 인천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었고[35], 2005년에 송도국제도시 마스터플랜이 완성되었다.[34][36] 2005년 3월 7일, 송도 컨벤션센터의 착공과 함께 국제업무지구 개발이 시작되었다.[37] 2007년 4월 27일, NSC는 송도국제도시개발(NSIC)로 사명을 바꾸었다.[38]
2009년 송도 컨벤시아, 센트럴파크 등 1단계 업무 및 주거 시설과 인천대교가 완공되었다. 2010년 미국 명문 채드윅 국제학교가 개교하고 잭 니클라우스 골프클럽 코리아가 완공되었으며, 2011년 초고층 아파트와 오피스 빌딩들의 입주가 시작되었다. 2012년 녹색기후기금(GCF)과 세계은행 한국사무소가 유치되었고, 2013년 G타워(150m, 33층)가 완공되어 개장하였으며, 2014년에 14,000세대의 주거 시설 분양이 완료되고 동북아무역센터가 완공되었다. 2015년에는 국제 골프 대회인 2015 프레지던츠컵을 개최하였다. 송도국제도시 내 친환경 건물 인증을 받은 건물은 2015년 9월 기준으로 14곳에 이른다.[39] 2019년 5월 현재 주민등록 인구는 약 15만 명이다.
2. 4. 명칭 논란
송도국제도시가 조성된 간척지 근방의 원래 지명은 옥련(玉蓮)이었으나 일제 강점기인 1936년 10월 인천부가 부천군 문학면 일부를 편입하면서 송도(松島)로 바뀌었다가 1946년에 환원되었다.[40] 이 송도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일본 군함인 마쓰시마함에서 따 왔다는 설과, 미야기현의 마쓰시마섬에서 따 왔다는 설 두 가지가 중론이다.[40] 즉 그 일대에 '송도'라고 불리는 섬도 존재하지 않았다.[41] ‘송도신도시’는 ‘송도 앞바다에 조성되는 신도시’라는 뜻에서 임시로 붙인 가칭에 불과하였는데, 지명의 연원에 대한 고찰 없이 인천시가 “인근을 ‘송도’라 불렀다”라는 진술에 의존하여 공식 명칭으로 정하면서 굳어졌다.[41]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새로운 명칭에 대한 의견으로 '자유시(구)', '미추홀시(구)' 등이 있었으나 인천광역시 남구가 미추홀구로 변경되며 이름을 선점하였다.
2. 5. 관할권 분쟁
1단계로 매립된 지역은 연수구 관할로 확정됐으나, 나머지 부지는 관할 지자체가 미확정이었다. 남동구는 아직 소속 지자체가 미확정인 10공구(인천신항)와 11공구 지역이 남동구 앞바다였음을 들어 관할권을 주장하였고, 연수구는 송도국제도시의 관할을 일원화하여야 관리에 유리함을 들어 관할권을 주장하였다.[42] 2015년 10월 26일 열린 지방자치단체중앙분쟁조정위원회 회의에서 결론을 내지 못했다. 결국 2015년 12월 21일, 행정자치부 지방자치단체중앙분쟁조정위원회에서 10공구 매립지가 연수구 관할임을 의결하였다.[43]3. 지리적 특징
3. 1. 위치 및 면적
3. 2. 환경
송도국제도시는 2023년 5월 기준으로 12개 프로젝트에 해당하는 106개의 LEED 인증 건물이 있으며, 이는 220만 평방 피트의 LEED 인증 공간을 차지한다.[11] 여기에는 대한민국 최초의 LEED 인증 호텔인 쉐라톤 인천, 대한민국 최초의 LEED 인증 주거 타워(센트럴파크 1), 아시아 최초의 LEED 인증 컨벤션 홀(컨벤시아)이 포함된다.[11] 2015년 프레지던츠컵을 개최한 잭 니클라우스 골프 클럽 코리아의 클럽하우스 또한 LEED 인증을 받았다.[11] 송도국제도시는 대한민국 전체 LEED 인증 공간의 40%를 차지한다.[12]송도국제도시는 진공 폐기물 처리 시스템을 사용한다.[13] 쓰레기는 파이프를 통해 지하로 빨려 들어가 처리 및 재활용된다.[14]
도시 전체에는 25km의 자전거 도로와 전기차 충전소가 설치되어 있다.[13]
4. 주요 시설
송도 전체 면적의 15%가량을 차지하고 있는 송도국제업무단지(IBD)에는 송도컨벤시아, 채드윅 국제학교, 박물관, 생태관, 문화센터, 잭 니클라우스 골프 클럽, 포스코타워-송도, 더샵 퍼스트 월드 주상복합, 송도 센트럴파크 등이 들어서 있다. 2009년 6월 1일에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노선이 연장 개통되어 캠퍼스타운역, 테크노파크역, 지식정보단지역, 인천대입구역, 센트럴파크역, 국제업무지구역의 6개역이 신설되었다. 2020년 12월 12일에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연장되어 송도달빛축제공원역이 신설되었다.
송도컨벤시아는 태백산맥을 본따 만든 다채로운 외관의 복합 컨벤션 센터이다. 송도국제도시에 진출한 20여개의 국제 기구를 바탕으로 국제 회의, 대형 컨벤션, 부동산 박람회 등이 진행되고 있다.
'''포스코타워-송도'''(한자: 東北亞貿易塔)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마천루이다.[45] 2017년 롯데월드타워 완공 전까지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다. 높이는 68층, 305m이다.
G타워는 송도국제도시의 랜드마크 중 하나로, 센트럴파크 내부에 위치한 33층 높이의 공공 청사 건물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총괄하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녹색기후기금(GCF) 본부를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가 입주해 있다. 29층에는 하늘정원 테라스가 조성되어 송도 센트럴파크와 주변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33층에는 무료 전망대와 인천경제자유구역 홍보관이 있어 송도의 개발 배경과 성과 등을 알아보고 야경을 감상할 수 있다.
'''센트럴공원'''으로도 불리는 송도 센트럴파크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센트럴파크역 인근에 자리잡고 있으며 송도국제도시의 일부분인 송도 국제업무지구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44] 규모는 411,324m²로, 축구장 면적 56배, 여의도 공원의 2배 크기이다.[44] 송도 국제업무단지 개발을 총괄하는 게일 인터내셔널 사의 스탠 게일 회장이 뉴욕의 센트럴파크처럼 도심 속 대형 녹지를 조성하자는 취지로 시작되었으며, 설계는 동북아트레이드타워를 비롯해 뉴욕 프리덤타워, 상하이의 상하이타워 등 세계 유수 랜드마크를 설계했던 KPF사에서 맡았다.[44] 대한민국 최초의 해수 공원이다.[44] 공원 내에는 바닷물을 실시간 정화하여 1급수 상태의 해수를 끌어들이며, 이 해수는 공원 중앙 폭 30m~100m, 길이 1.8km 규모의 수로에 흐른다.[44] 4km 거리의 해수처리장에서 바닷물을 취수해 3단계의 정화 과정을 거쳐 공원 수로에 공급하며, 숭어와 우럭, 꽃게, 망둥어 등 여러 바다 생물들이 살고 있다.[44] 공원 설계에는 한국의 동고서저 지형 특징과 다도해를 표현한 수로 위의 섬들이 반영되었다.[44] 공원 동북부에는 높은 구릉과 수풀이 우거진 언덕 산책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수로 중앙부에는 다양한 섬들이 있다.[44] 공원 동쪽 동북아트레이드타워 방향에 위치한 이스트보트하우스에서는 카누와 카약, 전기 보트, 파티 보트, SUP보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공원 서쪽 인천 아트센터 방향에 위치한 웨스트보트하우스에서는 수상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44] 녹색기후기금(GCF) 본사가 위치한 G타워 역시 센트럴파크 내부에 있으며,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센트럴파크역 4번 출구에서 가깝다.[44]
송도의 워터프론트는 천혜의 해양 자원을 이용하여 관광, 레저, 도시 인프라 기능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송도국제도시 개발의 주된 자금 경로인 송도 내 토지 매각을 통해 재원을 조달한다. 워터프론트는 송도 내부를 'ㅁ' 자로 휘감는 수로를 만들어 항시 1~2급수 수질의 바닷물이 흐르게 만들어 해양 자원을 적극 이용한다는 청사진을 바탕으로 개발되며 1단계로 2019년까지 6, 8공구 인공 호수에 도심형 인공 해수욕장과 마리나 시설 등을 개발한다. 개발은 총 3단계로 나뉘는데 2022년 이후면 송도 내부에 4개의 대규모 해수로가 생겨나게 된다.
4. 1. 송도 센트럴파크
'''센트럴공원'''으로도 불리는 송도 센트럴파크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센트럴파크역 인근에 자리잡고 있으며 송도국제도시의 일부분인 송도 국제업무지구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44] 규모는 411,324m²로, 축구장 면적 56배, 여의도 공원의 2배 크기이다.[44]송도 국제업무단지 개발을 총괄하는 게일 인터내셔널 사의 스탠 게일 회장이 뉴욕의 센트럴파크처럼 도심 속 대형 녹지를 조성하자는 취지로 시작되었으며, 설계는 동북아트레이드타워를 비롯해 뉴욕 프리덤타워, 상하이의 상하이타워 등 세계 유수 랜드마크를 설계했던 KPF사에서 맡았다.[44]
대한민국 최초의 해수 공원이다.[44] 공원 내에는 바닷물을 실시간 정화하여 1급수 상태의 해수를 끌어들이며, 이 해수는 공원 중앙 폭 30m~100m, 길이 1.8km 규모의 수로에 흐른다.[44] 4km 거리의 해수처리장에서 바닷물을 취수해 3단계의 정화 과정을 거쳐 공원 수로에 공급하며, 숭어와 우럭, 꽃게, 망둥어 등 여러 바다 생물들이 살고 있다.[44]
공원 설계에는 한국의 동고서저 지형 특징과 다도해를 표현한 수로 위의 섬들이 반영되었다.[44] 공원 동북부에는 높은 구릉과 수풀이 우거진 언덕 산책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수로 중앙부에는 다양한 섬들이 있다.[44]
공원 동쪽 동북아트레이드타워 방향에 위치한 이스트보트하우스에서는 카누와 카약, 전기 보트, 파티 보트, SUP보트를 이용할 수 있으며, 공원 서쪽 인천 아트센터 방향에 위치한 웨스트보트하우스에서는 수상택시를 이용할 수 있다.[44]
녹색기후기금(GCF) 본사가 위치한 G타워 역시 센트럴파크 내부에 있으며,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센트럴파크역 4번 출구에서 가깝다.[44]
4. 2. 송도 워터프론트
송도의 워터프론트는 천혜의 해양 자원을 이용하여 관광, 레저, 도시 인프라 기능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송도국제도시 개발의 주된 자금 경로인 송도 내 토지 매각을 통해 재원을 조달한다.워터프론트는 송도 내부를 'ㅁ' 자로 휘감는 수로를 만들어 항시 1~2급수 수질의 바닷물이 흐르게 만들어 해양 자원을 적극 이용한다는 청사진을 바탕으로 개발되며 1단계로 2019년까지 6, 8공구 인공 호수에 도심형 인공 해수욕장과 마리나 시설 등을 개발한다. 개발은 총 3단계로 나뉘는데 2022년 이후면 송도 내부에 4개의 대규모 해수로가 생겨나게 된다.
4. 3. 포스코타워 송도
'''포스코타워-송도'''(한자: 東北亞貿易塔)는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국제도시에 있는 마천루이다.[45] 2017년 롯데월드타워 완공 전까지 대한민국에서 가장 높은 빌딩이었다. 높이는 68층, 305m이다.4. 4. 송도컨벤시아
송도컨벤시아는 태백산맥을 본따 만든 다채로운 외관의 복합 컨벤션 센터이다. 송도국제도시에 진출한 20여개의 국제 기구를 바탕으로 국제 회의, 대형 컨벤션, 부동산 박람회 등이 진행되고 있다.
4. 5. G타워
G타워는 송도국제도시의 랜드마크 중 하나로, 센트럴파크 내부에 위치한 33층 높이의 공공 청사 건물이다. 인천경제자유구역을 총괄하는 인천경제자유구역청과 녹색기후기금(GCF) 본부를 비롯한 여러 국제기구가 입주해 있다.29층에는 하늘정원 테라스가 조성되어 송도 센트럴파크와 주변 경관을 한눈에 조망할 수 있다. 33층에는 무료 전망대와 인천경제자유구역 홍보관이 있어 송도의 개발 배경과 성과 등을 알아보고 야경을 감상할 수 있다.
5. 교육
- 뉴욕 주립 대학교(SUNY) – 한국 (SBU, FIT)
- 조지 메이슨 대학교 한국 캠퍼스
- 겐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 유타 대학교 아시아 캠퍼스
-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
- 글로벌 정보 복합 단지[20] 인하대학교
- 채드윅 국제학교
'''대학교'''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여러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인천대학교는 국립대학법인으로, 2009년 미추홀구 도화동 제물포캠퍼스에서 송도동 송도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010년에는 인천전문대학과 통합하였다.
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는 2006년 인천광역시와 연세대학교 간의 협정으로 설립되어, 1단계(2010년), 2A단계(2013년 1월), 2B단계(2014년)를 거쳐 개교했다. 레지덴셜 칼리지(Residential College:RC)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전인교육, 국제화교육, 창의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뉴욕주립대학교(SUNY Korea)는 뉴욕 주립 대학교 스토니브룩 캠퍼스의 최초 글로벌캠퍼스로, 미국의 스토니브룩 대학교에서 직접 입학 및 졸업 사정을 담당한다.
인하대학교는 11개 단과대학, 65개 학과, 9개 대학원 등을 갖춘 사립 종합대학이다. 한진그룹 비영리법인부문 '''정석인하학원'''이 운영하며, 한국항공대학교 및 인하공업전문대학도 같은 재단 소속이다. 연세대 맞은편 11공구 지역에 캠퍼스가 들어설 예정이다.
그 외에도 조지 메이슨 대학교 한국 캠퍼스, 겐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유타 대학교 아시아 캠퍼스 등이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해 있다.
'''국제학교'''
2010년에 개교한 채드윅송도국제학교는 유아원,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이 편성되어 있는 외국교육기관이다.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교육과정에 대입해보면 초등학교 과정부터 고등학교 과정까지 총 12년제의 내국인 재학이 가능하다.
2023년에는 채드윅송도국제학교에 이어 칼빈매니토바국제학교가 대한민국의 3번째 초중등 외국교육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칼빈매니토바국제학교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구)인천가톨릭대학교 조형예술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치원 과정부터 고등학교 과정까지 운영된다. 경자청 외국인 주재원들뿐만 아니라 내국인이 외국 거주 조건 없이 일정 비율까지 입학 가능한 캐나다 주교육부 소속의 학력인증 사립국제학교이다.
5. 1. 대학교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여러 대학교가 위치해 있다. 인천대학교는 국립대학법인으로, 2009년 미추홀구 도화동 제물포캠퍼스에서 송도동 송도캠퍼스로 이전하였다. 2010년에는 인천전문대학과 통합하였다.연세대학교 국제캠퍼스는 2006년 인천광역시와 연세대학교 간의 협정으로 설립되어, 1단계(2010년), 2A단계(2013년 1월), 2B단계(2014년)를 거쳐 개교했다. 레지덴셜 칼리지(Residential College:RC)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전인교육, 국제화교육, 창의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한국뉴욕주립대학교(SUNY Korea)는 뉴욕 주립 대학교 스토니브룩 캠퍼스의 최초 글로벌캠퍼스로, 미국의 스토니브룩 대학교에서 직접 입학 및 졸업 사정을 담당한다.
인하대학교는 11개 단과대학, 65개 학과, 9개 대학원 등을 갖춘 사립 종합대학이다. 한진그룹 비영리법인부문 '''정석인하학원'''이 운영하며, 한국항공대학교 및 인하공업전문대학도 같은 재단 소속이다. 연세대 맞은편 11공구 지역에 캠퍼스가 들어설 예정이다.
그 외에도 조지 메이슨 대학교 한국 캠퍼스, 겐트 대학교 글로벌 캠퍼스, 유타 대학교 아시아 캠퍼스 등이 송도국제도시에 위치해 있다.
5. 2. 국제학교
2010년에 개교한 채드윅송도국제학교는 유아원,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과정이 편성되어 있는 외국교육기관이다. 인천광역시 연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대한민국의 교육과정에 대입해보면 초등학교 과정부터 고등학교 과정까지 총 12년제의 내국인 재학이 가능하다.2023년에는 채드윅송도국제학교에 이어 칼빈매니토바국제학교가 대한민국의 3번째 초중등 외국교육기관으로 지정되었다. 칼빈매니토바국제학교는 인천광역시 연수구 (구)인천가톨릭대학교 조형예술대에 위치하고 있으며, 유치원 과정부터 고등학교 과정까지 운영된다. 경자청 외국인 주재원들뿐만 아니라 내국인이 외국 거주 조건 없이 일정 비율까지 입학 가능한 캐나다 주교육부 소속의 학력인증 사립국제학교이다.
6. 교통
송도국제도시는 넓은 도로와 많은 자전거 도로 및 보행로를 갖추고 있다. 이 지역은 버스와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이 운행하며, 6개의 역(2021년에 1개 추가 예정)이 있고, 일부 역은 세련된 내부 디자인과 채광이 되는 전망을 갖추고 있다. 인천국제공항까지는 12.3km의 인천대교를 통해 빠르게 이동할 수 있지만, 서울특별시로의 지하철 교통은 여러 번 환승해야 하므로 덜 직접적이다. 하지만 2개의 광역급행버스 노선이 서울로 가는 직행 노선을 제공한다.
7. 환경 문제
2003년, 버즈 코리아(Birds Korea)는 중요한 갯벌의 잠재적인 손실에 대한 우려로 매립 공사의 중단을 촉구했다.[19] 매립 전 송도 갯벌은 여러 위협종 물새 종을 지원했으며, 북반구와 남반구 사이를 이동하는 철새 도요새의 중간 기착지를 제공했다.[19]
8. 국제 협력
8. 1. 녹색기후기금 (GCF) 유치
2012년 10월, 송도국제도시는 녹색기후기금(GCF)의 본부가 될 곳으로 선정되었다. 선정 이유 중 하나는 도시 기반 시설에 친환경적인 실천을 도입했기 때문이다.[15] GCF 유치는 아시아에서 대규모 글로벌 환경 기구가 처음으로 유치되는 것을 의미했다.[16]GCF는 개발도상국의 기후 변화 완화 노력을 지원한다는 점에서 세계은행과 유사한 점이 있다. 대한민국은 이 기회를 얻기 위해 독일, 스위스, 멕시코, 나미비아, 폴란드 5개 경쟁국을 제쳤으며, 이는 전 대한민국 대통령 이명박의 한국 녹색 성장 구상의 일환이었다.[17] 김상협 비서실장에 따르면, 선정은 결정 10일 전에 이루어졌으며, 주로 미국이 한국에 대한 지지를 결정했기 때문이라고 한다.[16]
8. 2. 국제기구 유치
참조
[1]
웹사이트
IFEZ 인구통계 현황(2020년 6월말 기준)
https://www.ifez.go.[...]
인천경제자유구역청
2020-08-07
[2]
논문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ranslation, Education and Innovation in Japanese and Korean Societies
[3]
웹사이트
Songdo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 / KPF
http://www.archdaily[...]
Arch Daily
2011-03-14
[4]
웹사이트
The Ubiquitous City – Songdo (송도)
https://www.mcgill.c[...]
McGill University
[5]
웹사이트
Songdo International City
https://www.ifez.go.[...]
[6]
웹사이트
Asia Times Online :: Korea News and Korean Business and Economy, Pyongyang News
http://www.atimes.co[...]
[7]
뉴스
New Songdo City: Atlantis of the Far East
https://www.independ[...]
2009-06-22
[8]
웹사이트
South Korea's hi-tech city: Songdo
https://www.business[...]
2013-12-09
[9]
뉴스
SUNY Stony Brook brings math and science expertise to Songdo campus
http://koreajoongang[...]
[10]
뉴스
송도 글로벌캠퍼스에 내년 외국대 분교 3곳 문 열어
http://www.news-y.co[...]
[11]
웹사이트
Korea's Songdo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 - U.S. Green Building Council
http://www.usgbc.org[...]
[12]
웹사이트
Championship golf course secures Songdo IBD's sustainable status - U.S. Green Building Council
http://www.usgbc.org[...]
[13]
웹사이트
South Korea Conceptualizes the Ultimate Smart City - NewCities
http://www.newcities[...]
2014-12-28
[14]
웹사이트
Songdo, South Korea: City of the Future?
https://www.theatlan[...]
2014-09-27
[15]
웹사이트
Built-from-scratch Songdo starts coming to life
http://koreajoongang[...]
[16]
웹사이트
Korea.net
http://www.korea.net[...]
[17]
웹사이트
Songdo to host UN climate fund
https://www.koreatim[...]
2012-10-21
[18]
웹사이트
IFEZ Global Center > Daily Living > Transportation > Bus
http://www.ifez.go.k[...]
[19]
웹사이트
Last call for Songdo
http://www.birdskore[...]
Birds Korea
[20]
웹사이트
Inha Global Knowledge Complex @ Songdo International Business District
https://web.archive.[...]
Inha University
[21]
웹사이트
Songdo Tidal Flat {{!}} Ramsar Sites Information Service
https://rsis.ramsar.[...]
2015-04-15
[22]
웹사이트
IFEZ 인구통계 현황(2020년 6월말 기준)
https://www.ifez.go.[...]
인천경제자유구역청
2020-08-07
[23]
뉴스인용
송도국제도시 매립 마무리 단계…여의도 면적 17배
http://mbn.mk.co.kr/[...]
MBN
2017-04-17
[24]
뉴스인용
[글로벌 허브도시 인천] '여의도 두 배' 송도 국제업무단지, 세계 각국서 벤치마킹
http://www.hankyung.[...]
한국경제
2017-03-06
[25]
뉴스인용
센트럴파크·트라이볼·G타워… 주말엔 송도 투어 가볼까
http://www.seoul.co.[...]
서울신문
2017-03-06
[26]
뉴스인용
<길따라 멋따라> '세계가 숨쉰다' 송도국제도시…곳곳 최고·최장·최신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09-15
[27]
뉴스인용
[인터뷰] 24년 前 인천공항 최초 계획한 朴演守 소방방재청장
http://monthly.chosu[...]
2019-09-15
[28]
뉴스인용
일제의 관광지 개발 야심에 탄생한 ‘섬 아닌 섬’ 지명
http://www.kihoilbo.[...]
기호일보
2019-09-15
[29]
뉴스인용
인천 송도 앞바다, 대규모 해상 도시 건설 계획
http://imnews.imbc.c[...]
MBC
2019-09-15
[30]
뉴스인용
松島해상신도시건설 10월 착공,2천6년 완공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9-09-15
[31]
뉴스인용
<서해안개발>7.송도 해상신도시 개발-정보.교역.금융중심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9-09-15
[32]
뉴스인용
인천 송도해상 신도시 건설공사 착공..1조7천억투자 대역사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19-09-15
[33]
웹인용
[송도IBD 10주년 기획②] 상상은 현실이 된다!
https://songdoibd.ti[...]
2019-09-15
[34]
뉴스인용
"송도의 신화"가 열린다
http://www.segye.com[...]
세계일보
2019-09-15
[35]
뉴스인용
인천 6천만평 경제특구 지정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9-09-15
[36]
웹인용
History
http://www.galeintl.[...]
2019-09-15
[37]
뉴스
[수도권] '송도 컨벤션센터' 오늘 착공
https://news.sbs.co.[...]
SBS
2005-03-07
[38]
뉴스
송도신도시개발유한회사, '송도국제도시개발유한회사'로 개명
http://www.polinews.[...]
폴리뉴스
2007-05-04
[39]
뉴스
송도 ‘잭 니클라우스 클럽하우스' 친환경 건물 인증 획득
https://www.hankyung[...]
한국경제
2015-09-15
[40]
뉴스
[없었던 섬 송도] 송도, 이름을 가져오다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9-07-29
[41]
뉴스
[인천문화읽기] '지명 쇠말뚝' 마쓰시마, 40년 만에 송도로 돌아오다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9-03-11
[42]
뉴스
인천 송도 매립지 관할권 결정 두 달 뒤로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5-10-27
[43]
뉴스
정부 '인천 송도 10공구 매립지, 연수구 관할' 의결
https://www.yna.co.k[...]
연합뉴스
2015-12-21
[44]
뉴스
신화창조의 비밀은 도전과 인내였다
http://www.incheonil[...]
인천일보
2013-10-15
[45]
뉴스
[인천 인사이드·4]송도 동북아무역센터
http://www.kyeongin.[...]
경인일보
2014-09-25
[46]
간행물
국토교통부 정책자료 - 신도시 개념 및 건설현황
http://www.molit.go.[...]
국토교통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