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나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나기는 갑자기 쏟아지는 짧은 시간의 비를 의미하며, 어원은 여러 설이 있으나 '매우 심하게 내리는 것'을 뜻하는 '쇠나기'에서 유래된 것으로 추정된다. 대류 현상에 의해 형성되며, 구름의 종류와 온도에 따라 비, 눈, 우박 등의 형태로 나타난다. 소나기는 개별 구름 또는 구름 무리에서 발생하며, 한랭 전선, 조건부 대칭 불안정, 중규모 대류계 등과 관련될 수 있다. 기상 관측에서는 다양한 기호를 사용하여 소나기를 표현하며, 일기 예보에서도 중요한 요소로 다루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나기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정의 | 갑작스럽게 내리는 짧은 비 또는 눈 | 
| 영어 | rain shower | 
| 일본어 | 驟雨 (しゅうう), 俄雨 (にわかあめ) | 
| 특징 | |
| 강수 형태 | 갑작스럽고 짧은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내림 | 
| 지속 시간 | 짧은 시간 | 
| 강도 | 강도가 변화하며 내림 | 
| 날씨 변화 | 종종 다른 날씨와 번갈아 나타남 | 
| 원인 | 대류 운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경우가 많음 | 
| METAR 코드 | SH (강수 형태 표시 코드) | 
| 관련 용어 | |
| 유사 용어 | 소낙비 여우비 통과성 강수  | 
| 동의어 | 驟雨 俄雨 通り雨  | 
2. 어원
'소나기'의 어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소를 내기하다: 가뭄 때 농부 두 명이 비가 올지 내기를 걸었고, 내기에 진 사람이 소를 주기로 했는데, 갑자기 억수같이 쏟아진 비를 '소내기'라고 불렀다는 설이다. 그러나 이는 꾸며낸 이야기에 불과하다.
 - 소다 + 나리: 그릇을 거꾸로 기울여 쏟는 것을 '소다', 흐르는 냇물을 '나리'라고 하는데, 이 두 말이 합쳐져 '소나기'가 되었다는 설이다. 그러나 '비'를 '내'로 해석하는 것은 이상하다.
 - 소낙(천둥)에서 유래: 함경도 방언 '소낙'에서 왔다는 설.
 - 손(귀신) + 악(기운) 결합: '손'과 '악'이 결합된 단어라는 설.
 
하지만 이들 설은 모두 신빙성이 떨어진다. '소나기'가 이른 시기의 문헌에 '쇠나기'로 나오기 때문이다. '쇠나기'는 '소낙', '소내기', '소나리'와 거리가 멀다.
'쇠나기'는 '쇠'와 '나기'로 분석할 수 있다. '쇠'는 '매우, 심히'라는 뜻의 부사이고, '나기'는 '出(출)'의 의미를 갖는 동사 '나-'에 접미사 '-기'가 결합된 형태이다. 즉, '쇠나기'는 '심히 내리는 것'이라는 의미를 갖는다. '쇠나기'의 '쇠'와 부사 '쇠(몹시)'의 성조(聲調)가 평성(平聲)으로 같다는 점, 그리고 '소나기'가 '급하고 세게 내리는 비'라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중세국어의 '쇠나기'는 18세기까지 유지되다가 19세기에 제1음절에서 'ㅣ'가 탈락하여 '소나기'로 변한다. 그리고 '소나기'는 'ㅣ' 모음 역행 동화에 의해 '소내기'로 변하기도 하지만, 표준어는 '소나기'이다.
19세기부터는 '소낙비'라는 단어도 쓰이는데, 이는 '소낙'과 '비'가 결합된 형태이다. '소나기'를 '소낙이'로 잘못 분석한 뒤, '소낙'에 '비'를 결합하여 만든 단어이다. 어떤 사람들은 '소나기'를 '쏘나기'로, '소내기'를 '쏘내기'로 되게 발음하기도 하는데, 이는 '소나기'가 거세게 오는 비라는 점을 염두에 두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3. 형성
대류는 지표면, 특히 조건부 불안정 또는 습윤 대기 내에서 주변보다 더 많이 가열될 때 발생하며, 이는 상당한 증발로 이어진다. 고도의 더 차가운 환경에서 상승한 공기 덩어리는 단열 온도 기울기에 따라 냉각되지만, 들어올림 응결 고도(LCL) 위에서 구름을 형성하고 나중에 강수를 발생시킨다. 대류 가능 위치 에너지(CAPE)에 따라 구름은 적운, 중적운, 그리고 탑상적운이 되며, 마지막 구름은 강도가 변하는, 즉 소나기 형태의 단기간 강수(비, 눈 또는 우박)를 발생시킨다.[1]
이러한 구름의 수명 주기는 빠른데, 이는 구름을 형성하는 상승 기류가 강수의 하강에 의해 대부분 차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구름은 대기 순환과 함께 이동하며 지상의 한 지점 위에 오래 머물지 않는다. 이것은 강도의 변화와 소나기의 짧은 지속 시간을 설명한다. 강수의 종류는 구름 내부 및 구름 아래의 온도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 겨울에는 구름 속 온도가 영하(0 °C)일 때 눈송이가 생성된다.
 - * 구름과 지면 사이의 깊은 층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눈송이가 녹아 빗방울이 된다. 층이 충분히 깊지 않으면 눈알갱이 소나기가 내릴 수 있다.[4]
 - * 온도가 영하로 유지되면 눈 소나기 또는 눈보라로 남는다.[5]
 - 반면에, 강한 상승 기류가 있는 대류성 구름에서는 구름 속 온도가 영하일지라도 (과냉각) 빗방울이 형성되어 나중에 얼어 우박 소나기가 될 수 있다.[6]
 - 마지막으로, 다른 계절에는 영상의 층에서 빗방울이 형성되어 떨어져 비 소나기가 될 수 있다.
 
3. 1. 형성 과정
대류는 지표면, 특히 조건부 불안정 또는 습윤 대기 내에서 주변보다 더 많이 가열될 때 발생하며, 이는 상당한 증발로 이어진다. 고도의 더 차가운 환경에서 상승한 공기 덩어리는 단열 온도 기울기에 따라 냉각되지만, 들어올림 응결 고도(LCL) 위에서 구름을 형성하고 나중에 강수를 발생시킨다. 대류 가능 위치 에너지(CAPE)에 따라 구름은 적운, 중적운, 그리고 탑상적운이 되며, 마지막 구름은 강도가 변하는, 즉 소나기 형태의 단기간 강수(비, 눈 또는 우박)를 발생시킨다.[1]
이러한 구름의 수명 주기는 빠른데, 이는 구름을 형성하는 상승 기류가 강수의 하강에 의해 대부분 차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구름은 대기 순환과 함께 이동하며 지상의 한 지점 위에 오래 머물지 않는다. 이것은 강도의 변화와 소나기의 짧은 지속 시간을 설명한다. 강수의 종류는 구름 내부 및 구름 아래의 온도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 겨울에는 구름 속 온도가 영하(0 °C)일 때 눈송이가 생성된다.
 - * 구름과 지면 사이의 깊은 층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눈송이가 녹아 빗방울이 된다. 층이 충분히 깊지 않으면 눈알갱이 소나기가 내릴 수 있다.[4]
 - * 온도가 영하로 유지되면 눈 소나기 또는 눈보라로 남는다.[5]
 - 반면에, 강한 상승 기류가 있는 대류성 구름에서는 구름 속 온도가 영하일지라도 (과냉각) 빗방울이 형성되어 나중에 얼어 우박 소나기가 될 수 있다.[6]
 - 마지막으로, 다른 계절에는 영상의 층에서 빗방울이 형성되어 떨어져 비 소나기가 될 수 있다.
 
3. 2. 소나기 구름의 특징
소나기 구름은 대기가 불안정할 때 상승 기류에 의해 수직으로 발달하는 적운이나 적란운을 말한다. 이러한 구름은 수평 방향으로 퍼지는 정도가 작다. 따라서 소나기는 평균 10분, 길어도 수십 분 정도 내리다가 금방 그치는 것이 보통이다.[8][10][11] 여러 개의 구름이 연속해서 지나가면, 비가 내렸다가 그치는 것이 반복되면서 강도가 변하는 것이 관측된다.
소나기 구름은 수명이 짧은데, 이는 구름을 형성하는 상승 기류가 강수의 하강에 의해 대부분 차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구름은 대기 순환과 함께 이동하며 지상의 한 지점 위에 오래 머물지 않는다.

만약 대류가 더욱 강력하다면, 매우 큰 수직적 범위를 가진 적란운이 형성된다. 이는 하층에서 상층으로 전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번개와 천둥을 생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구름과 관련된 소나기를 따라서 "뇌우" 또는 "뇌우"라고 부른다. 우박과 다른 격렬한 현상들이 이러한 유형의 대류와 관련되어 있다.
특히 적란운에 의한 소나기는 번개나 돌풍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12]
일본에서는 여름 오후, 저녁 무렵에 적란운이 발생하여 소나기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소나기(夕立)라고 부른다.[8][13]
4. 종류
소나기는 강수의 한 종류로, 대류 현상에 의해 발생한다. 대류는 지표면이 주변보다 더 많이 가열될 때 발생하며, 이는 습윤한 대기에서 상당한 증발을 일으킨다. 상승한 공기 덩어리는 냉각되면서 구름을 형성하고, 이는 강수로 이어진다.
강수의 종류는 구름 내부와 구름 아래의 온도에 따라 달라진다.
- 겨울철: 구름 속 온도가 0°C 이하이면 눈송이가 생성된다. 지면까지 오는 동안 따뜻한 공기층을 만나면 눈송이가 녹아 비가 된다. 따뜻한 공기층이 충분히 깊지 않으면 눈알갱이 소나기가 내린다.[4] 계속 0°C 이하로 유지되면 눈 소나기나 눈보라가 된다.[5]
 - 강한 상승 기류: 구름 속 온도가 영하라도 빗방울이 형성된 후 얼어서 우박 소나기가 될 수 있다.[6]
 - 다른 계절: 영상의 온도에서 빗방울이 형성되어 비 소나기가 된다.
 
대류가 더욱 강력하면, 적란운이 형성된다. 적란운은 전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번개와 천둥을 생성하며, 이러한 소나기를 "뇌우"라고 부른다. 우박과 같은 격렬한 현상들이 이러한 유형의 대류와 관련되어 있다.
일본에서는 여름철 오후나 저녁 무렵에 적란운이 발생하여 내리는 소나기를 소나기(夕立)라고 부른다.[8][13]
일기 예보에서는 "소나기(驟雨)" 대신 "갑자기 내리는 비(にわか雨)"라는 표현을 사용한다.
4. 1. 비 소나기
대류는 지표면, 특히 조건부 불안정 또는 습윤 대기 내에서 주변보다 더 많이 가열될 때 발생하며, 이는 상당한 증발로 이어진다. 고도의 더 차가운 환경에서 상승한 공기 덩어리는 단열 온도 기울기에 따라 냉각되지만, 들어올림 응결 고도(LCL) 위에서 구름을 형성하고 나중에 강수를 발생시킨다. 대류 가능 위치 에너지(CAPE)에 따라 구름은 적운, 중적운, 그리고 탑상적운이 되며, 마지막 구름은 강도가 변하는, 즉 소나기 형태의 단기간 강수(비, 눈 또는 우박)를 발생시킨다.[1]
이러한 구름의 수명 주기는 빠른데, 이는 구름을 형성하는 상승 기류가 강수의 하강에 의해 대부분 차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구름은 대기 순환과 함께 이동하며 지상의 한 지점 위에 오래 머물지 않는다. 이것은 강도의 변화와 소나기의 짧은 지속 시간을 설명한다. 강수의 종류는 구름 내부 및 구름 아래의 온도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 겨울에는 구름 속 온도가 0°C일 때 눈송이가 생성된다.
 - * 구름과 지면 사이의 깊은 층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눈송이가 녹아 빗방울이 된다. 층이 충분히 깊지 않으면 눈알갱이 소나기가 내릴 수 있다.[4]
 - * 온도가 영하로 유지되면 눈 소나기 또는 눈보라로 남는다.[5]
 - 반면에, 강한 상승 기류가 있는 대류성 구름에서는 구름 속 온도가 영하일지라도(과냉각) 빗방울이 형성되어 나중에 얼어 우박 소나기가 될 수 있다.[6]
 - 마지막으로, 다른 계절에는 영상의 층에서 빗방울이 형성되어 떨어져 비 소나기가 될 수 있다.
 
대류성 구름은 적운이나 적란운을 말한다. 이러한 구름은 대기가 불안정할 때 상승 기류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뭉게뭉게 발달하는 반면, 수평 방향으로의 퍼짐은 작다. 따라서 하나의 구름이 통과할 때 내리는 비는 평균 10분 정도, 길어도 수십 분이며, 금방 그치는 것이 보통이다. 여러 개의 구름이 연속해서 통과하면, 내렸다가 금방 그치는 것이 반복되어 강도 변화가 심한 비가 계속되는 것으로 관측된다.[8][10][11]
참고로, 이러한 비 중에서 강우량이 수십 분 만에 수십 mm에 달하는 강한 것을 "국지적 폭우", 수 시간에 100mm를 넘는 격렬한 것을 "집중호우"라고 부른다.[7]
특히 적란운에 의한 소나기는 번개나 돌풍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12]
일본에서는 여름 오후, 저녁 무렵에 적란운이 발생하여 소나기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소나기(夕立)라고 부른다.[8][13]
일기 예보에서 특히 음성으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소나기(驟雨)"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갑자기 내리는 비(にわか雨)"로 바꿔 말한다. 또한 "곳에 따라 갑자기 내리는 비(所によりにわか雨)"는 소나기를 의미하지만, "곳에 따라 한때 비(所により一時雨)"는 소나기 이외의 비 또는 소나기가 될지 여부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7]
4. 2. 눈 소나기
대류는 지표면, 특히 조건부 불안정 또는 습윤 대기 내에서 주변보다 더 많이 가열될 때 발생하며, 이는 상당한 증발로 이어진다. 고도의 더 차가운 환경에서 상승한 공기 덩어리는 단열 온도 기울기에 따라 냉각되지만, 들어올림 응결 고도(LCL) 위에서 구름을 형성하고 나중에 강수를 발생시킨다. 대류 가능 위치 에너지(CAPE)에 따라 구름은 적운, 중적운, 그리고 탑상적운이 되며, 마지막 구름은 강도가 변하는, 즉 소나기 형태의 단기간 강수(비, 눈 또는 우박)를 발생시킨다.[1]
이러한 구름의 수명 주기는 빠른데, 이는 구름을 형성하는 상승 기류가 강수의 하강에 의해 대부분 차단되기 때문이다. 또한 이러한 구름은 대기 순환과 함께 이동하며 지상의 한 지점 위에 오래 머물지 않는다. 이것은 강도의 변화와 소나기의 짧은 지속 시간을 설명한다. 강수의 종류는 구름 내부 및 구름 아래의 온도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겨울에는 구름 속 온도가 영하(0 °C)일 때 눈송이가 생성된다. 구름과 지면 사이의 깊은 층에서 온도가 상승하면 눈송이가 녹아 빗방울이 된다. 층이 충분히 깊지 않으면 눈알갱이 소나기가 내릴 수 있다.[4] 온도가 영하로 유지되면 눈 소나기 또는 눈보라로 남는다.[5]
4. 3. 우박 소나기
강한 상승 기류가 있는 대류성 구름에서는 구름 속 온도가 영하(과냉각)일지라도 빗방울이 형성되어 나중에 얼어 우박 소나기가 될 수 있다.[6]
5. 뇌우
대류가 더욱 강력하다면, 매우 큰 수직적 범위를 가진 적란운이 형성된다. 이는 하층에서 상층으로 전하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여 번개와 천둥을 생성한다. 이러한 종류의 구름과 관련된 소나기를 "뇌우" 또는 "뇌우"라고 부른다.[8][10][11] 우박과 다른 격렬한 현상들이 이러한 유형의 대류와 관련되어 있다.
6. 소나기 시스템
소나기는 개별 구름이나 구름 무리에서 발생한다. 중위도 지역에서는 한랭전선의 앞이나 뒤에서 자주 나타나며, 한랭전선과 관련이 있다. 안정적인 기단 내에 조건부 대칭 불안정대가 존재할 경우, 지속적인 강우 현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중규모 대류계와 같이 대규모 대류 지역의 일부, 예를 들어 스콜선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1]
6. 1. 한랭 전선
중위도 지역에서 소나기는 종종 한랭 전선과 관련이 있으며, 전선의 앞이나 뒤에서 자주 나타난다. 그러나 안정적인 기단 내에 조건부 대칭 불안정대가 존재할 경우, 지속적인 강우 현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중규모 대류계와 같이 대규모 대류 지역의 일부, 예를 들어 스콜선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6. 2. 조건부 대칭 불안정
소나기는 개별 구름이나 구름 무리에서 발생한다. 중위도 지역에서 소나기는 종종 한랭전선의 앞이나 뒤에서 나타나며, 한랭전선과 관련이 있다. 그러나 안정적인 기단 내에 조건부 대칭 불안정대가 존재할 경우, 지속적인 강우 현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6. 3. 중규모 대류계
소나기는 개별 구름이나 구름 무리에서 발생하기도 한다. 중위도 지역에서는 소나기가 종종 한랭전선과 관련이 있으며, 전선의 앞이나 뒤에서 자주 나타난다. 그러나 안정적인 기단 내에 조건부 대칭 불안정대가 존재할 경우, 지속적인 강우 현상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중규모 대류계와 같이 대규모 대류 지역의 일부, 예를 들어 스콜선의 일부가 될 수도 있다.7. 관측 및 기록
소나기는 국제기상통보식, 일본식 천기도, 항공기상 등 다양한 방식으로 관측 및 기록된다.
하위 섹션에서 각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있으므로, 여기서는 중복을 피하기 위해 간략하게 언급만 한다.
7. 1. 국제기상통보식
국제기상통보식에서는 관측할 때 비가 내리고 있는지, 그치고 있는지, 눈, 진눈깨비, 우박을 동반하는지, 천둥·번개를 동반하는지, 비의 4단계 강도나 천둥·번개의 3단계 강도 등의 조합으로 구분되는 날씨를 선택하여 보고한다.[14] 소나기(驟雨)를 나타내는 기본 기호는 비와 소나기성 기호를 조합한라디오 기상통보 등의 일본식 천기도에서는 관측 시 소나기가 내리고 있으면 날씨를 "소나기"로 한다. 날씨 기호는 (--ニ)이다. 단, 진눈깨비나 우박, 천둥·번개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우선하여 보고한다.[17]
항공기상의 통보식[18]에서는 "특성" 란의 SH가 소나기성, "강수현상" 란의 RA가 비를 나타낸다.[19]
7. 2. 일본식 천기도
라디오 기상통보 등의 일본식 천기도에서는 관측 시 소나기가 내리고 있는 경우 날씨를 "소나기"로 한다. 날씨 기호는 --이다. 단, 진눈깨비나 우박, 천둥, 번개를 동반하는 경우에는 그것을 우선하여 보고한다.[17]7. 3. 항공 기상
국제기상통보식에서는 소나기를 나타내는 기본 기호로 비와 소나기성 기호를 조합한 를 사용한다.[14][15][16] 항공기상 통보식에서 "특성" 란의 SH는 소나기성, "강수현상" 란의 RA는 비를 나타낸다.[18][19]8. 한국에서의 소나기
대기가 불안정할 때 상승 기류에 의해 수직으로 발달하는 적운이나 적란운과 같은 대류성 구름에서 내리는 비를 소나기라고 한다. 소나기는 보통 10분, 길어도 수십 분 정도 내리다가 금방 그친다. 여러 구름이 연속해서 지나가면, 비가 내렸다 그쳤다를 반복하며 강도가 변하는 비가 계속 내리는 것처럼 보인다.[8][10][11]
수십 분 만에 수십 mm의 비가 내리는 강한 소나기는 "국지적 폭우", 몇 시간 동안 100mm가 넘는 매우 강한 소나기는 "집중호우"라고 한다.[7] 특히 적란운에서 내리는 소나기는 번개나 돌풍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다.[12]
8. 1. 일기 예보
대기가 불안정할 때 상승 기류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뭉게뭉게 발달하는 적운이나 적란운과 같은 대류성 구름에서 평균 10분, 길어도 수십 분 정도 내리는 비를 소나기라고 하며, 금방 그치는 것이 보통이다. 여러 개의 구름이 연속해서 통과하면, 내렸다가 금방 그치는 것이 반복되어 강도 변화가 심한 비가 계속되는 것으로 관측된다.[8][10][11]강우량이 수십 분 만에 수십 mm에 달하는 강한 소나기를 "국지적 폭우", 수 시간에 100mm를 넘는 격렬한 소나기를 "집중호우"라고 부른다.[7]
특히 적란운에 의한 소나기는 번개나 돌풍을 수반하는 경우가 많다.[12]
일본에서는 여름 오후, 저녁 무렵에 적란운이 발생하여 소나기가 되는 경우가 많으며, 소나기(夕立)라고 부른다.[8][13]
일기 예보에서 특히 음성으로 전달하는 경우에는 "소나기(驟雨)"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고 "갑자기 내리는 비(にわか雨)"로 바꿔 말한다. 또한 "곳에 따라 갑자기 내리는 비(所によりにわか雨)"는 소나기를 의미하지만, "곳에 따라 한때 비(所により一時雨)"는 소나기 이외의 비 또는 소나기가 될지 여부를 특정할 수 없는 경우를 의미한다.[7]
참조
[1] 
웹사이트
 
Shower
 
http://glossary.amet[...]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20-01-01
 
[2] 
웹사이트
 
METAR Study Guide
 
http://meteocentre.c[...] 
2020-01-01
 
[3] 
서적
 
MANOBS
 
http://ec.gc.ca/mano[...] 
Environment and Climate Change Canada
 
[4] 
웹사이트
 
Snow pellets
 
http://glossary.amet[...]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20-01-01
 
[5] 
웹사이트
 
Snow shower
 
http://glossary.amet[...]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20-01-01
 
[6] 
웹사이트
 
Ice Pellets
 
http://glossary.amet[...]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2020-01-01
 
[7] 
웹사이트
 
予報用語 降水
 
https://www.jma.go.j[...] 
気象庁
 
2023-01-24
 
[8] 
Kotobank
 
2023-01-25
 
[9] 
Kotobank
 
2023-01-25
 
[10] 
웹사이트
 
shower
 
https://glossary.ame[...] 
미국기상학회
 
2023-01-25
 
[11] 
웹사이트
 
convective cloud
 
https://glossary.ame[...] 
미국기상학회
 
2023-01-25
 
[12] 
간행물
 
気象観測の手引き
 
https://www.jma.go.j[...] 
気象庁
 
2007-12
 
[13] 
Kotobank
 
2023-01-25
 
[14] 
웹사이트
 
지상 실황 기상 통보식, 해상 실황 기상 통보식, 지상 일기 도표
 
(정보 부족으로 URL 제공 불가) 
[15] 
웹사이트
 
国際式の天気記号と記入方式
 
https://www.jma.go.j[...] 
気象庁
 
2023-01-21
 
[16] 
웹사이트
 
天気欄と記事欄の記号の説明
 
https://www.data.jma[...] 
気象庁
 
2023-01-21
 
[17] 
웹사이트
 
天気の種類はいくつあるのですか。その記号も教えてください。
 
https://official.rik[...] 
理科年表オフィシャルサイト(国立天文台、丸善出版)
 
2022-01-21
 
[18] 
웹사이트
 
METAR, TAF
 
(정보 부족으로 URL 제공 불가) 
[19] 
웹사이트
 
METAR報とTAF報の解説
 
https://www.jma-net.[...] 
那覇航空測候所
 
2023-01-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