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리바다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리바다는 2000년에 서비스를 시작한 대한민국의 음악 서비스로, MP3 파일 공유를 통해 인기를 얻었으나 저작권 침해 문제로 여러 차례 법적 분쟁을 겪었다. 2000년 서비스를 시작하여, 자체 MP3 플레이어 '파도'를 통해 MP3 파일 공유 서비스를 제공했으나, 저작권 침해로 폐쇄와 재출시를 반복했다. 2006년 완전 유료화로 전환되었으며, 2016년 중국 자본에 인수되었다. 현재는 소리바다6 및 소리바다웹 서비스를 통해 스트리밍 및 유료 다운로드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7년부터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 시상식을 개최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 - 지니 (웹사이트)
    지니는 지니뮤직에서 출시한 온라인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고음질 음원과 3D 입체음향을 제공하며 음악 나누기, 선물하기, 미리 듣기 등의 편의 기능과 사용자 맞춤형 음색 설정으로 차별화된 음악 감상 경험을 제공한다.
  • 대한민국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 - 멜론 (온라인 음악 서비스)
    멜론은 2004년 SK텔레콤에서 시작되어 카카오를 거쳐 현재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이다.
  • 파일 공유 프로그램 - 냅스터
    냅스터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운영된 P2P 파일 공유 서비스로, MP3 파일 공유를 용이하게 하여 음악 산업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서비스가 중단되었으나 현재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운영되고 있다.
  • 파일 공유 프로그램 - WinMX
    WinMX는 한때 인기를 얻었던 P2P 파일 공유 프로그램으로, 독자적인 WinMX 피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했으나 저작권 문제로 서비스가 종료된 후 사용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부활 노력이 이어졌다.
  • 파일 공유 네트워크 - 냅스터
    냅스터는 1999년부터 2001년까지 운영된 P2P 파일 공유 서비스로, MP3 파일 공유를 용이하게 하여 음악 산업에 큰 영향을 주었으며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서비스가 중단되었으나 현재는 음악 스트리밍 서비스로 운영되고 있다.
  • 파일 공유 네트워크 - WinMX
    WinMX는 한때 인기를 얻었던 P2P 파일 공유 프로그램으로, 독자적인 WinMX 피어 네트워크 프로토콜을 사용했으나 저작권 문제로 서비스가 종료된 후 사용자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부활 노력이 이어졌다.
소리바다 - [회사]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로고
국문 명칭주식회사 소리바다
로마자 표기Jusikhoesa Soribada
영문 명칭Soribada, Inc.
설립일2001년 10월 5일
설립자양정환 (Sean Yang)
소재지서울특별시
서비스 지역대한민국
최고 경영자손지현 (대표이사)
산업P2P 시스템
장르K-pop
웹사이트소리바다 공식 웹사이트
소유 및 재정 정보
소유주ISPC International Limited (10.25%)
양정환 및 양일환 (7.94%)
자본금148억 9천만원 (2012년)
매출액262억 7천 3백만원 (2011년)
영업이익31억 9천 8백만원 (2011년)
순이익42억 9천 1백만원 (2011년)
자산 총액270억 3천 6백만원 (2011년)
자회사
직원 수
직원 수77명 (2012년)

2. 서비스


  • 소리바다 (2000년 ~)
  • 파일바다 (2004년 ~)
  • 오르골 (2005년 ~)

3. 역사

2000년 5월 소리바다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3], MP3 파일 공유로 인한 저작권 침해 문제가 지속적으로 발생했다. 2002년 7월 31일 법정 공방[4] 끝에 서비스가 폐쇄되기도 했으나,[5] 개발자는 소리바다2[6], 소리바다3 등을 출시하며 서비스를 이어갔다. 소리바다3에서는 다운로드 횟수를 제한하는 MP 포인트 개념을 도입하기도 했다. 2005년 서비스가 다시 중단되지만, 2006년 소리바다5 출시와 함께 그해 7월 완전 유료화로 전환되었으며, 2009년에는 소리바다6가 서비스되었다.

3. 1. 소리바다 프로그램의 역사 (2000년 ~ 현재)

2000년 5월에 소리바다 서비스를 시작하였다.[3] 당시 소리바다는 자체에서 개발한 MP3 플레이어 '파도'를 같이 서비스했다. 소리바다는 부수 프로그램인 파도를 연동하여, 대중이 MP3 파일을 손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사용자는 소리바다 서버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MP3 파일을 검색하거나, 자신이 보유한 MP3 파일을 소리바다를 통해 불특정 다수에게 쉽게 공유할 수 있었다. 음원 협회는 불법으로 음원을 이용하는 사람이 늘어나자 소리바다에 저작권 침해 책임을 물었고, 2002년 7월 31일 법정 공방[4] 끝에 소리바다가 폐쇄되었다.[5] 그러나 개발자는 2002년 8월에 소리바다2를 내놓는다.[6] 소리바다2를 둘러싼 법정 공방이 지속된 가운데 2004년 소리바다3이 나왔다. 이 버전에서는 MP 포인트란 개념을 도입해 하루에 내려받을 수 있는 MP3 파일 수를 제한했다. 2005년에 소리바다 서비스를 다시 중단하지만, 2006년에 소리바다5를 다시 출시한다. 그해 7월에 소리바다는 완전 유료화로 전환한다. 2009년 소리바다6을 서비스하고 있다.

소리바다 2.0은 중앙 서버를 갖지 않는 퓨어 P2P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파일 교환 기능을 제공했기 때문에 소리바다 개발자를 기소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이 때문에 KAPP(한국음반제작자협회)는 개발자 대신 개별 사용자를 고소했다. 이에 대해 개발자 양정환은 "100MB가 넘는 용량을 가진 이메일 서비스가 여러 개 존재하는 상황에서 네티즌들은 소리바다와 같은 음악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시장 밖에서 찾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3. 2. 법적 분쟁과 유료화 과정

2000년 5월 소리바다 서비스 시작 이후, 음원 협회와의 저작권 침해 분쟁이 지속되었다.[3] 2002년 7월 31일 법원 판결로 서비스가 폐쇄되었으나,[4][5] 개발자는 소리바다2, 소리바다3 등을 출시하며 서비스를 이어갔다.[6] 소리바다3에서는 다운로드 횟수를 제한하는 MP 포인트 개념을 도입하기도 했다.

2004년 12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소리바다는 서버를 통해 약 500만 곡을 판매했으며, 검색 결과에 유료 트랙과 무료 다운로드를 함께 제공했다. 그러나 2005년 다시 소송으로 서비스가 중단되고, 개발자들은 형사 책임을 지게 되었다. 서울고등법원은 소리바다가 사용자들의 저작권 침해를 조장했다고 판결하며 완전 폐쇄를 명령했다.

2006년 소리바다5 출시와 함께 그해 7월 완전 유료화로 전환되었으며, 2009년에는 소리바다6이 서비스되었다.

3. 2. 1. 2002년 저작권 침해 소송

2000년 5월 소리바다 서비스를 시작했다.[3] 당시 소리바다는 자체 개발한 MP3 플레이어 '파도'를 함께 서비스하며, 사용자들에게 MP3 파일을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사용자들은 소리바다 서버에 접속해 실시간으로 MP3 파일을 검색하거나, 자신이 보유한 MP3 파일을 불특정 다수와 공유할 수 있었다. 음원 협회는 늘어나는 불법 음원 이용에 대해 소리바다에 저작권 침해 책임을 물었고, 2002년 7월 31일 법정 공방[4] 끝에 소리바다가 폐쇄되었다.[5]

3. 2. 2. Soribada 2.0과 사용자 대상 소송

2002년 7월 31일 법정 공방[4] 끝에 소리바다가 폐쇄되었지만,[5] 개발자는 2002년 8월에 소리바다2를 내놓는다.[6] 소리바다 2.0은 중앙 서버 없이 사용자 간 파일 교환이 가능한 퓨어 P2P 방식이었다. 그러나 한국음악저작권협회(KAPP)는 개발자 대신 소리바다 2.0 사용자들을 고소했다.

이에 대해 개발자 양정환은 "100MB가 넘는 용량을 가진 이메일 서비스가 여러 개 존재하는 상황에서 네티즌들은 음악 파일을 공유할 수 있는 다른 방법을 시장 밖에서 찾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3. 2. 3. 2005년 서비스 중단과 재개

2005년에 소리바다는 다시 소송을 당하여 서비스가 중단되었다.[1] 소리바다 제작자인 양정환과 그의 형제 양일환은 2005년 1월에 형사 기소되었다.[1] 2007년 10월 서울고등법원은 1심 판결을 뒤집고 소리바다의 완전한 폐쇄를 명령했다. 고등법원은 문화체육관광부가 제출한 실질적인 증거와 조사 결과를 근거로 삼았는데, 이는 소리바다가 사용자들의 저작권 침해 행위를 조장했다는 것을 시사했다.[1]

3. 3. 소리바다 5, 6와 합법화

2000년 5월 소리바다 서비스가 시작된 이후, 사용자들은 소리바다 서버에 접속하여 MP3 파일을 공유하며 쉽게 이용했다.[3] 그러나 이는 저작권 침해 문제를 야기했고, 2002년 7월 31일 법정 공방[4] 끝에 소리바다는 폐쇄되었다.[5]

이후 개발자는 2002년 8월에 소리바다2를 출시했고,[6] 법정 공방이 계속되는 가운데 2004년에는 MP3 파일 다운로드 수를 제한하는 소리바다3을 출시했다. 2005년 서비스가 다시 중단되었지만, 2006년 소리바다5가 출시되며 그해 7월 완전 유료화로 전환되었다. 2009년에는 소리바다6가 서비스되었다.

소리바다6는 이전 버전과 달리 무료 다운로드 방법을 없애 저작권 침해 소지를 없앴으며, P2P 음악업체 최초로 클린사이트로 선정되었다. 소리바다웹은 스트리밍과 유료 다운로드를 제공하고, 소리바다6는 P2P 방식으로 음원을 받아 암호화하여 재생하며 유료 결제를 통해 복호화하는 방식을 채택했다.

소리바다(Soribada Inc.)는 2008년 초 음반사 및 저작권 소유주들과 합의를 보았고,[2] 같은 해 7월 상업적인 음악 다운로드 서비스로 전환되었다. 소리바다 5.0과 현재의 소리바다 6.0은 세계에서 세 번째로 상업화된 P2P 서비스로, 월 7000KRW의 요금으로 DRM 없는 MP3 파일을 다운로드할 수 있다. 소리바다는 구매자 식별을 위해 오디오 지문 기술을 사용하며, 한국에서 출시된 트랙의 약 90%를 커버한다고 주장한다. 2008년 1월, 소리바다는 70만 명 이상의 유료 가입자를 보유한 한국에서 두 번째로 큰 음악 서비스 제공업체였다.

3. 4. 중국 자본 투자

2016년 2월, 양정환과 양일환 형제는 소리바다의 지분을 상하이에 본사를 둔 투자, 무역 및 전자 상거래 회사인 ISPC International Limited에 매각했다.[1] ISPC는 상하이시 정부가 설립하고 소유한 회사이다.[1] 이로 인해 양정환은 소리바다의 CEO 자리에서 사임했다.[1]

양 형제는 2016년 4월에 소액 투자자로 복귀했다.[1]

4. 소리바다6와 소리바다웹

소리바다6의 가장 큰 특징은 이전 버전과 달리 음원을 무료로 다운받을 수 있는 방법을 없애 저작권 침해 소지를 완전히 없앴다는 점이다. 이로 인해 P2P 음악 업체로는 최초로 클린사이트로 선정되었다.[1] 소리바다웹은 다른 음원 판매 사이트처럼 스트리밍(스트리밍 이용권 미결제 회원은 1분만 청취 가능)과 유료 다운로드를 제공하고 있다.[1] 소리바다6는 P2P 형식으로 음원을 받아 암호화하여 재생하고(이 경우에도 1분 무료 듣기 등 소리바다웹 스트리밍 정책과 동일) 유료로 결제해야만 해당 파일을 복호화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1] 트래픽을 부담하는 네티즌들을 위하여 소리바다6에서는 매일 공유자 200명에게 이용권을 나누어 주었지만 2011년 7월 4일부로 종료되었다.[1]

5. 아이폰 소리바다

아이폰 소리바다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아이폰으로 스트리밍을 제공하여 1달 다운로드 무제한 이용권과 유사하게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다만 오프라인 이용은 불가능하다.[1]

6. 시상식 개최

2017년부터 소리바다 베스트 케이뮤직 어워즈라는 이름의 시상식을 개최한다.

참조

[1] 웹사이트 '소리바다5' 서비스 가처분결정 파장 https://www.jjan.kr/[...] 2007-10-12
[2] 웹사이트 소리바다, 로엔(구 서울음반)과 저작권 분쟁 타결 https://m.edaily.co.[...] 2008-06-16
[3] 웹사이트 회사연혁 http://corp.soribada[...] ㈜소리바다 2016-03-04
[4] 판결문 대법원 2007.1.25. 선고 2005다11626 판결 ':s:2005다11626'
[5] 뉴스 "소리바다 폐쇄" MP3플레이어 업계 파문 http://mdman.net/ct/[...] MD코리아 2004-11-26
[6] 뉴스 소리바다의 화려한 부활 http://www.vop.co.kr[...] 민중의소리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