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방시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방시설은 화재로부터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 및 유지·관리되는 설비로, 소화 설비, 경보 설비, 피난 구조 설비, 소화 용수 설비, 소화 활동 설비 등으로 구분된다. 대한민국에서는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이 관련 법규와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소방시설을 설치하고 유지·관리해야 하며, 다중이용업소는 추가적인 안전시설 설치 의무가 있다. 소방시설의 종류에는 소화기, 옥내소화전, 자동화재탐지설비, 유도등, 비상 조명등, 소화 용수 설비 등이 있으며, 소방관의 안전과 효율적인 임무 수행을 돕기 위한 다양한 소방 장비와 도구들이 사용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방 시설 - 스프링클러
스프링클러는 관개, 먼지 억제, 제설 등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용도에 따라 여러 형태와 다양한 헤드를 사용하며, 최근 스마트 기능이 탑재된 제품도 개발되고 있지만, 건강 위험에 대한 주의가 필요하다. - 소방학 - 화재하중
- 소방 - 화재
화재는 가연물, 산소, 점화원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연소 현상으로, 원인과 연소 물질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인명 및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 소방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소방시설 |
---|
2. 소방 시설 설치 및 유지 관리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소방시설을 중앙소방본부장이 고시하는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설치 및 유지·관리해야 한다.[1] 다중이용업소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추가적인 안전 시설을 설치해야 한다.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화재안전기준에 미달하는 소방시설에 대해 관계인에게 조치를 명할 수 있다.[1] 소방시설의 기능과 성능 유지를 위해 폐쇄·차단 행위는 금지되지만, 점검·정비를 위한 것은 예외이다.[1]
2. 1. 관련 법규
대한민국에서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해당 대상물의 규모, 용도, 수용 인원 등을 고려하여 중앙소방본부장이 고시하는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소방시설을 설치하고 유지·관리해야 한다.[1] 화재 발생 시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다중이용업소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소방시설 및 안전시설 등을 추가로 설치·유지해야 한다.[1]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소방시설이 화재안전기준에 맞게 설치 또는 유지·관리되지 않을 경우, 해당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에게 필요한 조치를 명령할 수 있다.[1]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소방시설을 유지·관리할 때, 소방시설의 기능과 성능에 지장을 주는 폐쇄(잠금 포함)나 차단 등의 행위를 해서는 안 된다.[1] 다만, 소방시설의 점검 및 정비를 위한 폐쇄·차단은 가능하다.[1]
2. 2. 화재안전기준
중앙소방본부장이 고시하는 화재안전기준에 따라 특정소방대상물의 규모, 용도, 수용 인원 등을 고려하여 소방시설을 설치 또는 유지·관리해야 한다.[1] 화재 발생 시 피해 우려가 높은 다중이용업소는 「다중이용업소의 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소방시설, 안전시설 등을 추가로 설치·유지해야 한다.[1] 소방본부장이나 소방서장은 소방시설이 화재안전기준에 맞지 않으면 관계인에게 조치를 명할 수 있다.[1] 특정소방대상물의 관계인은 소방시설의 기능과 성능에 지장을 주는 폐쇄(잠금 포함)·차단 등의 행위를 해서는 안 되며, 점검·정비를 위한 폐쇄·차단은 할 수 있다.[1]3. 소방 시설의 종류
소방 시설은 화재를 예방하고, 화재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며,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설치되는 다양한 설비들을 총칭한다. 소방 시설은 크게 소화 설비, 경보 설비, 피난 구조 설비, 소화 용수 설비, 소화 활동 설비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설비는 특정한 목적과 작동 원리를 가지고 있으며, 화재 상황에 따라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소화 설비는 물이나 소화 약제를 사용하여 직접 불을 끄는 역할을 하며, 경보 설비는 화재 발생 사실을 빠르게 알려 사람들이 대피할 수 있도록 돕는다.
3. 1. 소화 설비
소화 설비는 물 또는 그 밖의 소화 약제를 사용하여 소화하는 기계·기구 또는 설비를 말한다. 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된다.- 소화기구
- 자동소화장치
- 옥내소화전설비 (호스릴옥내소화전설비 포함): 수원 저수량 = 2.6m3 * n
- 스프링클러설비 등
- 물분무등소화설비
- 옥외소화전설비
3. 2. 경보 설비
경보 설비는 화재 발생 사실을 신속하게 통보하여 인명 피해를 최소화하는 설비이다. 경보 설비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단독경보형 감지기
- 비상경보설비 (비상벨, 자동식사이렌설비, 단독경보형 감지기)
- 통합감시시설
- 가스누설감지기
- 누전감지기
- 자동화재탐지설비
- 자동화재속보설비
- 비상방송설비

3. 3. 피난 구조 설비
화재 발생 시 사람들의 안전하고 신속한 대피를 돕는 다양한 설비들이 있다. 주요 피난 구조 설비는 다음과 같다:- 피난기구: 화재 발생 시 대피를 위해 사용하는 기구이다.
- 인명구조기구: 화재 발생 시 인명을 구조하기 위한 기구이다.
- 유도등: 화재 시 피난 경로를 안내하는 등이다.
- 비상조명등 및 휴대용비상조명등: 정전 시 자동으로 켜져 대피를 돕는 조명등이다.
3. 4. 소화 용수 설비
소화 용수 설비는 화재를 진압하는 데 필요한 물을 공급하거나 저장하는 설비를 말한다. 여기에는 상수도 소화 용수 설비, 소화 수조, 저수조, 그리고 그 밖의 소화 용수 설비가 포함된다.[1]3. 5. 소화 활동 설비
제연설비, 연결송수관설비, 연결살수설비, 비상콘센트설비, 무선통신보조설비, 연소방지설비는 소방관이 화재를 진압하고 인명을 구조하는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사용하는 설비이다.4. 소방 장비 및 도구 (영어 문서 참고)
- 소화기: 화재를 진압하는 데 사용되는 기구이다. 압축된 소화 약제를 포함하고 있으며, 작동 장치를 통해 소화 약제를 분사하여 불을 끈다. 화재 종류(일반 화재, 유류 화재, 전기 화재 등)에 따라 적합한 소화기를 선택해야 한다.[1] 휴대용 외에도, 레저용 차량, 보트, 항공기 엔진, 식당 배기 후드, 컴퓨터실 등 특정 장소에는 자동 소화 장치가 설치되기도 한다.
- 수성 필름 형성 폼 (AFFF): 일반적인 가연물(나무, 종이 등)에 사용되어 표면을 덮고 침투하여 연소를 막는 계면활성제 역할을 하는 소화 약제이다. 유류 화재에도 사용되어 연료 표면에 불연성 막을 형성한다. 에듀케이터나 압축 공기 폼 시스템(CAFS)을 통해 폼 노즐(또는 포그 노즐)로 분사된다.[1]
- 자동 구조 신호 장치 (ADSU): 소방관의 위급 상황을 알리는 경보 장치이다. 소방관이 직접 작동시키거나, 일정 시간 움직임이 없으면 자동으로 작동한다. PASS 장치(개인 경보 안전 시스템) 또는 개인 구조 경보(PDA)라고도 불린다. SCBA에 통합되거나 별도로 사용된다.[1]
- 소방 호스: 압력을 받아 액체를 운반하는 유연한 관이다. 면, 고무, PVC 등 다양한 재질로 만들어지며, 직조, 편조, 권취, 압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작된다. 여러 층(라이너 및 재킷)으로 구성될 수 있다. 용도(경질 흡입, 공격용, 산림용, 부스터용 등)에 따라 구조와 크기가 다르며, 표준 길이로 생산되어 표준 피팅으로 연결된다.[1]
- 소화전: 소방차에 물을 공급하는 가압 급수 장치이다. 정수원에서 물을 끌어올리는 "드라이 하이드런트"도 있다.[1]
- 포그 노즐: 물을 작은 물방울 형태로 분사하는 노즐이다. 직선, 좁은 포그, 넓은 포그 등 다양한 분사 패턴으로 조절 가능하다. 선택된 패턴에 따라 압력을 자동으로 조절하는 기능이 있는 경우도 있다.[1]
- 핼리건 도구: 한쪽 끝에는 갈고리, 다른 쪽 끝에는 쐐기 모양에 직각으로 뾰족한 부분이 있는 지렛대 도구이다. 자물쇠, 문, 창문 등을 강제로 열 때 망치나 플랫헤드 도끼와 함께 사용된다.[4]
- 허스트 도구: 유압 실린더를 이용한 기계식 레버 장치이다. 강제 진입이나 차량 또는 구조물 부품을 벌려 인명을 구조하는 데 사용된다. 절단기 및 램/재킹 기능이 포함된 유형도 있다.
- 자체 호흡 장치 (SCBA): 유독 가스, 연기, 산소 부족 환경에서 소방관을 보호하는 장비이다. 압축 공기를 사용하는 개방 회로 방식과, 필터링 및 재산소화를 통해 호흡한 공기를 재사용하는 폐쇄 회로 방식이 있다.
- 소방차: 소방 활동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차량이다. 물을 펌핑하는 장치가 장착된 경우가 많으며, 시골 지역에서는 자체적으로 물을 저장하고, 드래프팅 및 급수차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물 공급을 받기도 한다.
- 고가 사다리: 소방차에 장착된 회전식, 전동식(주로 유압식) 사다리이다.[1]
- 에어백: 들어 올리거나 펼치는 데 사용되는 팽창식 장치이다. 또는, 차량 구조 시 폭발 위험이 있는 차량 안전 장치를 의미하기도 한다.
- 소방 펌프: 스프링클러 및 스탠드 파이프 급수 시스템을 위해 건물에 설치되는 펌프이다.
- 소방 자전거/소방 오토바이: 화재 진압 또는 지원을 위해 장비를 갖춘 오토바이이다. 주로 일본에서 사용된다.
- 소방 열차: 화재 진압을 위해 설계된 열차로, 대량의 물 저장 시설과 물 대포를 갖추고 있다.
- 지상 사다리: 땅에 설치하도록 설계된 휴대용 사다리이다.
- 구출 장갑: 차량 구조 및 기타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장갑이다. 정비공 장갑과 유사하지만, 케블라와 같은 더 강한 재료로 만들어져 유리나 금속 파편으로부터 소방관의 손을 보호한다.
- 호스 커플링: 소방 호스 끝에 부착되는 단단한 연결 장치이다. 소화전, 소방차 펌프, 기타 호스 기기(노즐, 와이, 매니폴드, 스트레이너 등)에 호스를 연결하는 데 사용된다. 표준화된 크기와 나사산, 또는 기타 압력 유지 인터록(예: 스토르츠 커넥터) 방식이 있다. 호스 렌치를 사용하여 조이거나 풀 수 있다.[1]
- 호스 렌치: 호스 커플링을 조이거나 풀 때 사용하는 도구이다. 커플링의 형태(둥근형, 평면형, 오목형 등)에 따라 다양한 디자인이 있으며, 여러 기능을 함께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1]
- 유압 스프레더 (생명의 턱): 펌프로 작동하는 유압 실린더가 있는 기계식 레버 장치이다. 강제 진입 또는 차량/구조 부품을 벌려 인명을 구조하는 데 사용된다.
- 녹스 박스: 건물 외부에 부착된 상자로, 소방관이 사용하는 보안 키로 열 수 있으며, 건물 출입 등에 필요한 마스터 키를 보관한다.
- 파이크 폴: 다양한 길이의 절연된 막대 끝에 강철 갈고리가 달린 도구이다. 벽이나 천장의 건축 자재를 뚫고 당기는 데 사용된다.
- 휴대용 물 탱크: 화재 현장에서 급수차가 운반한 물을 저장하는 데 사용되는 접이식 저수지이다. 팽창식이거나 프레임으로 지지될 수 있다.
- 급수차: 물 또는 기타 소화 약제를 담는 대형 탱크가 장착된 대형 트럭 또는 항공기이다. 소화전이 없는 산림 화재 진압이나 농촌 지역에서 사용된다.
- 턴테이블: 고가 사다리의 회전 기반으로, 고정된 위치에서 모든 방향으로 사다리를 높이고 연장할 수 있게 해준다.
5. 소방 시설의 최신 기술 동향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발맞추어 소방 시설에도 첨단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6. 한국 소방의 과제와 미래
MDT영어는 "Mobile Data Terminal"의 약자로, 일반적으로 소방 장비 운전실에 설치된 특수 랩톱형 개인용 컴퓨터를 의미한다. 통신 센터와 장비 승무원 간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무선 네트워크를 사용하며, 컴퓨터 지원 파견 시스템에 연결되는 경우가 많다. GPS 수신기와 함께 사용하여 장비 위치를 파악하고 호출 위치로 가는 경로를 매핑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IFSTA
2008
[2]
웹사이트
NAFECO Firefighting, Law Enforcement, Industrial Safety, EMS Equipment | NAFECO
https://nafeco.com/
[3]
웹사이트
www.arasafety.com
http://www.arasafety[...]
2009-04-13
[4]
서적
IFSTA
2008
[5]
서적
IFSTA
2008
[6]
서적
IFSTA
2008
[7]
서적
IFSTA
2008
[8]
서적
IFSTA
2008
[9]
서적
IFSTA
2008
[10]
보고서
CHARACTERISTICS OF NON-MILITARY EXPLOSIVES
http://www.dtic.mil/[...]
National Technical Information Service
1974-02
[11]
웹사이트
Popular Mechanics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35-10-28
[12]
웹사이트
Popular Mechanics
https://books.google[...]
Hearst Magazines
1942-05-28
[13]
웹사이트
Red Head Brass LLC - Manufacturer of high quality firefighting Couplings, Adapters, Nozzles and Mass Decontamination Systems. All Red Head Brass products are completely manufactured in the U.S.A. from US made materials.
https://www.redheadb[...]
[14]
서적
IFSTA
2008
[15]
서적
IFSTA
2008
[16]
서적
IFSTA
2008
[17]
서적
IFSTA
2008
[18]
서적
IFSTA
2008
[19]
웹사이트
http://darwin.nap.ed[...]
[20]
Youtube
- YouTube
https://www.youtube.[...]
[21]
웹사이트
Search and Rescue: Performing a Webbing Sling Drag
http://firefighter.j[...]
2012-02-09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3명 사망’ 광명 아파트 화재 합동감식 종료…경찰 “지상 주차장 스프링클러 없었다”
'3명 사망·64명 부상'…광명 아파트 화재 현장 '합동 감식'
소방청, 전국 타이어공장 10곳 대상 ‘긴급 화재안전조사’
부산 반얀트리 시행사 임원·소방감리원 구속…인허가 비리 혐의
경찰, 반얀트리 참사 관련 소방관 2명 수사…소방시설 인허가 의혹
경찰 "반얀트리, 배관절단·용접불티가 보온재에 붙어 발화"
‘6명 사망’ 부산 반얀트리 화재 “명백한 인재”…원청 대표 등 6명 구속
[꼬꼬무 찐리뷰] 초등생 9명 죽은 축구부 합숙소 화재 사건…목숨 살릴 3번의 기회, 어른들이 놓쳤다
2003년 천안 초등학교 축구부 합숙소 화재 사건의 전말을 다룬 기사로, 9명의 초등학생이 사망한 안타까운 사고와 생존자들의 이야기, 그리고 안전 불감증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운다.
반얀트리 부산 화재 경찰조사 받던 소방관 숨진 채 발견
[단독] "전부터 그랬다" 예견된 참사?…영상 속 아찔 상황
김영환표 ‘오송역 랜드마크’ 완공은 언제쯤…준공지연에 이용객 불편 가중
반얀트리 부산 화재, 배관 보온재에서 발화…화재 감시자도 없어
"부산 복합 리조트 화재, 작업 불똥이 보온재에 붙어 발화"
카카오 먹통에 고개 숙인 SK C&C “미흡함 사과...적극적으로 보상 협의할 것” – 바이라인네트워크
지하주차장 소화·경보 설비 의무화…전기차 화재 피해 최소화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