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방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다. 1765년 런던에서 최초로 기록되었으며, 19세기 중반부터 자체 추진식 증기 소방선이 도입되었다. 소방정은 항만, 하천, 호수 등에서 운용되며, 방수총, 소화제 혼합 설비, 급수구, 자위 분무 장치, 소형 구조정 등을 갖춘다.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소방선을 보유하고 있으며,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방 설비 - 연기 감지기
    연기 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연기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장치로, 광전식, 이온화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현대에는 복합형, 일산화탄소 감지 기능 추가 제품, 스마트 기능 추가 제품 등이 개발되고 있고, 주거용 및 상업용으로 구분되어 각 국가별 설치 기준 및 표준이 존재한다.
  • 소방 설비 - 소화전
    소화전은 화재 시 소방 활동에 필요한 물을 공급하는 시설로, 설치 위치에 따라 지상식, 지하식, 옥내식, 옥외식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소방법 및 상수도법에 따라 수도사업 관리자가 설치, 유지 및 관리하고 급수 능력 기준을 충족해야 하며, 효율적인 소방 활동을 위해 정기적인 검사와 유지보수가 필수적이다.
  • 소방 - 화재
    화재는 가연물, 산소, 점화원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연소 현상으로, 원인과 연소 물질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인명 및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 소방 - 연기 감지기
    연기 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연기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장치로, 광전식, 이온화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현대에는 복합형, 일산화탄소 감지 기능 추가 제품, 스마트 기능 추가 제품 등이 개발되고 있고, 주거용 및 상업용으로 구분되어 각 국가별 설치 기준 및 표준이 존재한다.
  • 선박의 종류 - 프리깃
    프리깃은 대항해시대의 빠른 범선 군함에서 유래하여 현대에는 대잠전, 대공 방어, 정찰 등의 임무를 수행하며, 유도 미사일과 헬리콥터 등을 탑재하여 각국 해군력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 선박의 종류 - 맨오브워
    맨오브워는 전투원을 뜻하는 말에서 유래한 15세기부터 19세기 중반까지 해상 전투의 주력 함선으로, 시대에 따라 캐러크, 갤리온, 전열함 등이 사용되었으며, 특히 전열함은 해상 패권 경쟁 국가들의 주력 함선이었으나 증기선 등장으로 쇠퇴했고, 최대 120문의 대포를 탑재한 강력한 화력을 자랑했다.
소방선
소방선 정보
소방선 듀와미시
소방선 듀와미시
분당 최대 방수량143,893 리터
최대 방수 거리121.9 미터
추가 정보
참고국립공원관리청에 의해 국가 역사 랜드마크로 지정됨
시카고 소방국에서도 소방선을 운영함
기타헬싱키 소방서에서도 소방선을 운영함

2. 역사

최초로 기록된 소방선은 1765년 런던의 선 파이어 보험 회사를 위해 건조되었다. 이것은 작은 배에 수동 펌프를 설치한 것으로, 승무원이 노를 저어 화재 현장으로 이동했다. 1780년대에는 브리스틀에서 제국 화재 보험 사무소를 위해 비슷한 선박이 건조되었다. 1876년 브리스틀 소방대가 경찰의 한 부서로 설립될 때까지 브리스틀의 모든 소방 활동은 민간 보험 회사 또는 도크 회사에서 담당했다. 뉴욕시에서는 1809년 초부터 소형 보트에 수동 펌프를 설치하여 해상 화재를 진압했다.[4] 19세기 중반에는 자체 추진식 증기 소방선이 도입되기 시작했다. 뉴욕 소방국(FDNY)은 1866년 도시 최초의 동력 소방선으로 구난 예인선 존 풀러(John Fuller)를 임대했다.[4] "존 풀러" 이전인 1700년대 후반부터 FDNY는 바지선과 대형 로우보트에 수동 펌프를 장착하여 사용했다. 최초의 특수 제작 증기선은 보스턴 소방국(''William F. Flanders'')과 FDNY(''William F. Havenmeyer'')가 각각 1873년과 1875년에 도입했다. 브리스틀에 나타난 최초의 유럽 소방선은 1884년 런던의 산드 메이슨이 도시 부두에서의 운항을 위해 건조한 ''파이어 퀸(Fire Queen)''이었다. 길이 약 16.15m)의 이 선박에는 2개의 대형 호스 리일을 공급하는 3개의 실린더 증기 펌프가 장착되어 있었으며, 이 중 하나는 1900년에 모니터 또는 물대포로 교체되었다. ''파이어 퀸''은 1922년까지 운항했다.

2. 1. 대한민국의 소방정 역사

여수소방서 소방정


서울특구단 소방정


대한민국에서 소방선은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보유하고 있다.

3. 주요 특징

대부분의 소방정은 항만 내부나 하천, 호수와 같은 수역(평수)을 담당 구역으로 하기 때문에 대형은 적고, 전장은 10m에서 수십m 정도이다. 배의 높이는 활동 구역에 따라 다양하며, 낮은 다리 아래를 항행할 수 있도록 높이를 낮춘 것도 있고, 대형 선박의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높은 탑(櫓)을 갖춘 것도 있다. 기동력을 높이기 위해 사이드스러스터나 슈나이더 프로펠러를 장착하기도 한다.

물대포를 발사하는 일본 해상보안청 순시선


대부분 화재 진압을 위해 방수총을 장비하고 있으며, 방수총은 전용 또는 항해용 겸용 엔진으로 구동되는 펌프에서 소화용수를 공급받는다. 소화용수는 해수를 퍼 올려 사용하지만, 유조선 화재 등의 경우에는 해수에 소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 외에도, 배에 따라 육상의 소방차에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 화염으로부터 자선을 보호하기 위한 자위 분무 장치, 소형 구조정을 갖추고 있다.

전용 소방정은 대부분 분당 6500~10,000리터급의 방수 능력을 가진 방수총을 4~6문 갖추고 있으며, 큰 방수총의 경우 분당 15,000리터의 능력을 가진 것도 있다.[19]

3. 1. 한국 소방정의 특징



대한민국에서 소방선은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보유하고 있다. 대부분의 소방정은 항만 내부나 하천·호소와 같은 수역(평수)을 담당 구역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대형은 적고, 전장은 10m에서 수십m 정도이다. 정(艇)의 높이는 활동 구역에 따라 다양하며, 낮은 다리 아래를 항행할 수 있도록 높이를 낮춘 것도 있고, 대형 선박의 화재에 대응할 수 있도록 높은 탑(櫓)을 갖춘 것도 있다. 기동력을 높이기 위해 사이드스러스터나 슈나이더 프로펠러를 장착한 것도 있다.

대부분 화재 진압을 위해 방수총을 장비하고 있으며, 방수총은 전용 또는 항해용 겸용 엔진으로 구동되는 펌프에서 소화용수를 공급받는다. 소화용수는 해수를 퍼 올려 사용하지만, 유조선 화재 등의 경우에는 해수에 소화제를 혼합하여 사용한다. 이 외에도, 정(艇)에 따라 육상의 소방차에 소화용수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구, 화염으로부터 자선을 보호하기 위한 자위 분무 장치, 소형 구조정을 장비하고 있다.

전용 소방정은 대부분 분당 6500~10,000리터급의 방수 능력을 가진 방수총을 4~6문 갖추고 있으며, 큰 방수총의 경우 분당 15,000리터의 능력을 가진 것도 있다.[19]

4. 운용

소방정은 주로 소방기관이나 해양경찰청에 소속되어 24시간 체제로 선박이나 연안 지역에서 발생하는 화재 및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일본의 경우 지방자치단체의 소방조직과 해상보안청에 소방정이 소속되어 있다. 2022년 4월 1일 현재 소방조직에는 49척(소방본부 38척, 소방단 11척), 해상보안청에는 16척의 소방정이 있다.[19][20] 해상보안청 순시선 중에는 경비구난 업무를 담당하면서 펌프와 방수총을 갖춘 경우가 많아 화재 발생 시 소방정 역할을 할 수 있다. 여기서 16척은 소방 기능을 특히 강화한 소방순시선 및 소방선을 의미한다. 이들은 주로 선박 통행량이 많은 항만이나 해협 근처, 또는 연안에 석유콤비나트가 있는 소방서 및 해상보안부에 배치된다. 해상재해예방센터나 자위방재조직도 소방정을 보유하고 있다.[21]

해상자위대의 지원선 일부, 민간 예선이나 경계선 중에도 소방 설비를 갖추고 화재 시 소방정으로 활용 가능한 경우가 있다.

선박 화재 신고는 화재 선박 자체나 주변 선박의 신고, 각종 구난 신호 등을 통해 수상 소방서에 전달되어 소방정이 출동한다. 일본의 전용 소방정은 모두 화학소화제를 섞어 분사하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 탱커 사고 시에는 기름 유출을 최소화하기 위해 오일펜스를 설치하기도 한다.[22]

4. 1. 한국의 소방정 운용



대한민국에서 소방선은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보유하고 있다. 소방정은 주로 소방기관이나 해양경찰청에 소속되어 24시간 체제로 선박이나 연안 지역에서 발생하는 화재 및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5. 유명 소방정 목록


  • 아브람 S. 휴잇 - 뉴욕시 소방국(뉴욕시) (1903년–1958년) (스태튼 아일랜드 로스빌의 휘테 해양 해체장에서 퇴역 및 폐기).[5]
  • 델류지 - 소방선/예인선 (뉴올리언스) (퇴역)
  • 두와미시 - (시애틀) 1909년 (퇴역)
  • 에드워드 M. 코터 - 소방선/쇄빙선 (뉴욕주 버펄로) (현역) 가장 오래된 현역 소방선.
  • 타코마 소방선 1호 - (워싱턴주 타코마) (퇴역)
  • 소방선 85 - 콘트라 코스타 군 소방구조대(캘리포니아주). 8대대, 피츠버그 마리나에 위치.
  • 파이어 파이터 - (뉴욕시) 1938년
  • 파이어 파이터 II - 뉴욕시 소방국(뉴욕시) (2010년) 미국 최대 소방선 (현역)
  • 거버너 어윈 - 소방선/예인선 (샌프란시스코) (1878년–1909년)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과 화재에 참여.[6][7]
  • 거버너 마크햄 - 소방선/예인선 (샌프란시스코)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과 화재에 참여. (퇴역 및 해체됨)[8]
  • 호가영어 - 미국 해군 – 소방선/예인선 (진주만 공습) 및 오클랜드시 1940년–1996년 (퇴역 및 박물관 선박 복원 중)
  • 존 풀러 - 증기 예인선 (뉴욕시) – 1866년 건조, 분당 2000갤런의 펌프와 호스를 갖춤. 최초의 현대식 소방선.[4]
  • 존 켄달 - (디트로이트) – 디트로이트 강에서 운항한 증기 소방선 1930년–1976년. (퇴역, 해체됨)
  • 존 J. 하비 - (뉴욕시) (1931년–1959년) (2001년 9월 11일 일시 복귀) (퇴역)(박물관 선박)
  • 매시 쇼 - (런던, 잉글랜드) 런던 소방대에서 운항. 덩케르크 작은 배로 다이나모 작전 중 군인들을 구출함 (퇴역)
  • 피닉스 - (샌프란시스코) (현역)
  • 파이로넛 - 브리스톨 항구 철도 및 산업 박물관(브리스톨, 잉글랜드)에 정박 (퇴역)
  • 랄프 J. 스콧 - (로스앤젤레스) (퇴역)
  • 알렉산더 경 그랜섬 - (홍콩) (퇴역)
  • 세인트 멍고 - 글래스고/스트래스클라이드 (퇴역)
  • 쓰리 포티 쓰리 - 뉴욕시 소방국(뉴욕시) (2009년) 미국의 최대 소방선, 파이어 파이터 II의 자매선. (현역)
  • 토마스 D. 알레산드로 - 볼티모어 (1956-2016) (퇴역)
  • 워너 로렌스 - 로스앤젤레스 (현역)
  • 윌리엄 F. 플랜더스 - (보스턴) 1873년
  • 윌리엄 F. 헤븐마이어 - (뉴욕시) 1875년–1901년 (퇴역)
  • 윌리엄 라이언 매켄지 - (온타리오주 토론토, 캐나다) (현역)
  • 윌리엄 O. 버드 II - 샌더스키 소방서 (오하이오주 샌더스키) (현역)
  • 미 해군 ''액티브''/미 해군 ''라이블리'' - 미국 해군 – 소방선/예인선 (1888년–1945년)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과 화재에 참여. (퇴역 및 해체됨)[9]
  • 포춘영어 - 미국 육군/미 해군 – 소방선/예인선 (1865년–1922년)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과 화재에 참여. (퇴역 및 해체됨)[10]
  • 레슬리영어 - 미국 육군/미 해군 – 소방선/예인선 (1861년) 1906년 샌프란시스코 대지진과 화재에 참여. (퇴역 및 해체됨)[9]

5. 1. 한국의 유명 소방정



대한민국에서 소방선은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보유하고 있다.

6. 소방정을 보유한 기관

소방서소방정 총계세부 정보
애빙던(메릴랜드주) 소방대1
올버니(뉴욕주) 소방국1
알렉산드리아(버지니아주) 소방국1
애나폴리스(메릴랜드주) 소방국1
앤 아룬델 군(메릴랜드주) 소방국3
애틀랜틱 시티(뉴저지주) 소방국2
오듀본(뉴저지주) 소방국1
볼티모어 시 소방국3
베이온(뉴저지주) 소방국2
벨링험(워싱턴주) 소방국1
보니타 스프링스(플로리다주) 소방국1
보스턴 소방국2
바워스(델라웨어주) 소방대1
보울리스 쿼터스(메릴랜드주) 자원봉사 소방대4
브레바드 군(플로리다주) 소방국1
브리지포트(코네티컷주) 소방국1
브로워드 군(플로리다주) 보안관 사무소 소방 구조대1
버펄로 소방국1
캠든(뉴저지주) 소방국1
케이프 코럴(플로리다주) 소방국3
카터레트(뉴저지주) 소방국1
샬럿 소방국1
샬럿 군(플로리다주) 소방국3
시카고 소방국2
신시내티 소방국3
클리어워터(플로리다주) 소방 구조대1
클리블랜드 소방국1
콘트라 코스타 군(캘리포니아주) 소방 보호 구역1
크랜스턴(로드아일랜드주) 소방국1
데이토나 비치(플로리다주) 소방국1
디트로이트 소방국2
들루스(미네소타주) 소방국1
더니딘(플로리다주) 소방 구조대1
이스트 프로비던스(로드아일랜드주) 소방국1
엘리자베스(뉴저지주) 소방국1
에지워터(뉴저지주) 소방국1
에스테로(플로리다주) 소방국1
페어팩스 군 소방 구조대21대는 현장 배치, 1대는 예비
페어필드(코네티컷주) 소방국1
폴 리버(매사추세츠주) 소방국1
포트 로더데일(플로리다주) 소방 구조대3
포트 마이어스(플로리다주) 소방국1
그레이터 네이플스(플로리다주) 소방국2
광동성 소방대1
조지나 소방 구조대1요크 지역 경찰 순찰정에 장착된 물 분사기를 사용
헤일타운(테네시주) 소방국1미 육군 공병대 조사선, 순양함 1호 "더 블랜셋" 개조
해리스버그(펜실베이니아주) 소방국1
하트퍼드(코네티컷주) 소방국1
헨더슨빌(테네시주) 소방국1
힐스버러 군(플로리다주) 소방국2
호보켄(뉴저지주) 소방국1
홍콩 소방서/홍콩 국제공항128척과 4척의 지원선(지휘선, 잠수부 2개 부대, 고속정)
호놀룰루 소방국1
아이오나-맥그리거(플로리다주) 소방국1
잭슨빌 소방 구조대3
저지시티(뉴저지주) 소방국2
키어니(뉴저지주) 소방국1
키웨스트(플로리다주) 소방국1
레이크 오자크(미주리주) 소방 보호 구역2
린든(뉴저지주) 소방국1
런던 소방대2
롱보트 키(플로리다주) 소방국1
로스앤젤레스 소방국5
마카오 국제공항 소방대1
말레이시아 소방 구조대1
마버리(메릴랜드주) 소방국1
마르코 아일랜드(플로리다주) 소방국1
마르세유 해군 소방대2
매사추세츠 항만청3세 번째는 2011년 9월에 인도됨.
맷라차(플로리다주) 소방 구조대1
마이애미(플로리다주) 소방국4
마이애미 비치(플로리다주) 소방 구조대1
http://www.miamidade.gov/mdfr/emergency_special_marine_operations.asp 마이애미-데이드 소방 구조대2
미드-카운티(미주리주) 소방 보호 구역2
밀워키(위스콘신주) 소방국1
나가사키(일본) 소방국1
나라간셋(로드아일랜드주) 소방국1
내슈빌(테네시주) 소방국1
뉴어크(뉴저지주) 소방국2
뉴 헤이븐(코네티컷주) 소방국1
뉴올리언스(루이지애나주) 소방국1
뉴욕시 소방국103척과 2척의 예비, 2척의 예비, 여름철에 활성화되는 3척의 소형 보트
뉴포트 뉴스(버지니아주) 소방국1
나이스빌(플로리다주) 소방국1
노퍽(버지니아주) 소방국1
노스 찰스턴(사우스캐롤라이나주) 소방국1
노스 콜리어 군(플로리다주) 소방국1
노스 허드슨(뉴저지주) 지역 소방 구조대2
노스 포인트 에지미어(메릴랜드주) 자원봉사 소방대1
노워크(코네티컷주) 소방국1
오세이지 비치(미주리주) 소방 보호 구역1
팜 비치 군(플로리다주) 소방 구조대1
팜 하버(플로리다주) 소방국1
파나마 시티(플로리다주) 소방국1
펜사콜라(플로리다주) 소방국1
퍼스 앰보이(뉴저지주) 소방국1
필라델피아 소방국2
피츠버그 소방국1
포트 알버니 소방국(브리티시컬럼비아주)1
포트 캐너버럴(플로리다주) 소방국1
휴스턴 항만청 해상 소방국3
포틀랜드(메인주) 소방국1
포틀랜드(오리건주) 소방 구조대2
포츠머스(버지니아주) 소방국1
폴스보 소방국(워싱턴주)/ 키츠앱 군 소방구역 #181
프린스 조지스 군(메릴랜드주) 소방/응급의료국1
프린스 조지스 군(메릴랜드주) 자원봉사 소방대2
프로비던스(로드아일랜드주) 소방국1
레드 뱅크(뉴저지주) 소방국1
로체스터(뉴욕주) 소방국1
샌 버나디노 군(캘리포니아주) 소방국4
샌프란시스코 소방국3
세이프티 하버(플로리다주) 소방국1
샌디에이고 소방 구조대6
샌더스키(오하이오주) 소방국1
샌포드(플로리다주) 소방국1
사니벨 아일랜드(플로리다주) 소방국1
상파울루(브라질) 소방대2
스캡푸스(오리건주) 소방구역1
시 아일 시티(뉴저지주) 소방국1
시애틀 소방국31척은 예비
시코커스(뉴저지주) 소방국1
수어드(알래스카주) 소방국1
서울특별시 소방재난본부01척 주문[17]
싱가포르 창이 공항 공항 응급 서비스 해상2해상 구조 및 소방에 사용되는 2척의 호버크래프트
세인트루이스 소방국4
남호주 대도시 소방 서비스1
스템퍼드(코네티컷주) 소방국1
서스쿼해나 호스 컴퍼니 오브 헤이브르 드 그레이스(메릴랜드주)1
시러큐스(뉴욕주) 소방국1
타코마(워싱턴주) 소방국2
탬파(플로리다주) 소방/구조대4
태리타운(뉴욕주) 소방국1
토론토 소방국3두 번째 보트는 경량 유틸리티 보트이고, 세 번째는 기존 유틸리티 보트를 대체하기 위해 건조됨. 토론토 소방정 참조.
티니컴(펜실베이니아주) 소방국1
도쿄 소방청10
트렌턴(뉴저지주) 소방국1
밴쿠버 소방 구조 서비스5
버지니아 비치 소방국1
워릭(로드아일랜드주) 소방국1
워싱턴 D.C. 소방국3
웨스트빌(뉴저지주) 소방국1
윌밍턴(델라웨어주) 소방국1
워터 위치(메릴랜드주) 소방대1
윌밍턴(노스캐롤라이나주) 소방국1
우드브리지(뉴저지주) 소방국1
용커스(뉴욕주) 소방국1


6. 1. 대한민국의 소방정 보유 기관



대한민국에서 소방선은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보유하고 있다. 소방정은 주로 소방기관이나 해양경찰청에 소속되어 24시간 체제로 선박이나 연안 지역에서 발생하는 화재 및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참조

[1] 뉴스 Duwamish Fireboat: National Historic Landmark Study http://www.nps.gov/h[...] National Park Service
[2] 뉴스 The Schlaeger https://www.chicagof[...] Chicago Fire Department 2009-11-24
[3] 웹사이트 Pelastuslaitos http://www.hel.fi/pe[...]
[4] 웹사이트 Fireboats: Then and Now https://www.fireboat[...] 2023-06-27
[5] 웹사이트 Boatyard Ruins – Photographs by Shaun O'Boyle http://www.oboylepho[...] Oboylephoto.com 2012-03-08
[6] 웹사이트 San Francisco Fire Department Museum ~ Fireboats ~ Governor Irwin http://guardiansofth[...] Guardiansofthecity.org 2012-03-08
[7] 웹사이트 San Francisco Fire Department 1906 Earthquake and Fire Operations http://www.sfmuseum.[...] Sfmuseum.org 2012-03-08
[8] 웹사이트 :::: Bay Crossings :::: http://www.baycrossi[...]
[9] 웹사이트 Navy Firefighting Operations http://www.sfmuseum.[...] Sfmuseum.org 1906-04-30
[10] 웹사이트 USFS Chicago 1906 Fire Operations http://www.sfmuseum.[...] Sfmuseum.org 2012-03-08
[11] 웹사이트 Massport Boston Boat http://www.capecodfd[...] Capecodfd.com 2011-11-23
[12] 웹사이트 Meteghan company building fireboat – Fisheries – The Vanguard http://www.thevangua[...] Thevanguard.ca 2012-03-08
[13] 웹사이트 5.3 Million Dollar Massport Airport Fireboat Ready to Launch – CNN iReport http://ireport.cnn.c[...] Ireport.cnn.com 2011-09-06
[14] 웹사이트 Archived copy http://www.ral.ca/ne[...] 2011-09-12
[15] 웹사이트 A.F.Theriault http://www.aftheriau[...] A.F.Theriault 2012-03-08
[16] 웹사이트 Shipyard builds fireboat for Portland – Manufacturing http://www.novanewsn[...] Nova News Now 2012-03-08
[17] 웹사이트 Firefighters to get uncapsizable boat http://www.koreahera[...] Koreaherald.com 2011-01-05
[18] 웹사이트 消防装備 https://www.tfd.metr[...]
[19] 웹사이트 令和4年版 消防白書 資料 https://www.fdma.go.[...] 総務省消防庁 2024-01-11
[20] 웹사이트 はまぐも型巡視艇 4隻、よど型巡視艇 11隻、ひりゆう (2代) 1隻
[21] 웹사이트 一般財団法人 海上災害防止センター https://mdpc.or.jp/v[...] 2024-01-10
[22] 서적 船のしくみ 新星出版社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