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소화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소화전은 화재 진압에 사용되는 시설로, 설치 위치와 형태에 따라 지상식, 지하식, 옥내 소화전 등으로 구분된다. 지상식은 도로변에 설치되어 눈에 잘 띄며, 지하식은 도시 미관을 고려하여 지면 아래에 설치된다. 옥내 소화전은 건물 내 화재 시 초기 진압에 사용되며, 건물 외부 화재 진압을 위한 옥외 소화전도 있다. 소화전은 소방호스 연결을 통해 물을 공급하며, 한국에서는 소방법 및 상수도법에 따라 설치 및 관리된다. 소화전은 화재 진압 외에도 도로 청소, 수압 모니터링 등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역사적으로는 상수도관 보급과 함께 발전해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소방 설비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 소방 설비 - 연기 감지기
    연기 감지기는 화재 발생 시 연기를 감지하여 경보를 울리는 장치로, 광전식, 이온화식 등 다양한 방식이 있으며, 현대에는 복합형, 일산화탄소 감지 기능 추가 제품, 스마트 기능 추가 제품 등이 개발되고 있고, 주거용 및 상업용으로 구분되어 각 국가별 설치 기준 및 표준이 존재한다.
  • 도로 구조물 - 볼라드
    볼라드는 본래 선박 계류용 말뚝이었으나, 현대에는 보행자 및 차량 안전 확보와 교통 흐름 제어를 위한 차량 방지턱으로 널리 사용되며, 다양한 재질과 형태로 제작되어 기능과 디자인을 고려하고, 충격 흡수 기능이 추가된 제품도 개발되고 있으며, 건물 보호, 주차 공간 확보, 교통 유도, 예술 작품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 도로 구조물 - 버스 정류장
    버스 정류장은 승객의 승하차를 위해 지정된 장소로, 노선 정보 표지판이나 쉘터 형태로 존재하며, 주요 정류장에는 버스 도착 정보 전광판이 설치되고, 최근에는 스마트 쉘터가 등장하는 추세이며, 길가, 환승센터, 휴게소 등 다양한 위치에 설치되어 안전, 정보 제공, 편의 증진 기능을 수행하는 대중교통 시스템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다.
  • 소방 - 화재
    화재는 가연물, 산소, 점화원의 조합으로 인해 발생하는 통제되지 않은 연소 현상으로, 원인과 연소 물질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며 인명 및 재산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한다.
  • 소방 - 소방선
    소방선은 해상 화재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위해 설계된 선박이며, 방수총, 소화 설비 등을 갖추고 항만, 하천 등에서 운용되며, 대한민국에서는 해양경비와 소방안전본부 소속 소방정대가 24시간 선박 및 연안 화재, 수난구조 등에 출동한다.
소화전
위치 정보
기본 정보
유형소방 시설
다른 이름소방전
급수전
방화전
소화전
파이어 플러그
파이어 펌프
파이어콕
구조
주요 구성 요소지하 배관망
밸브
윗부분 노즐
기능
역할소방관이 소방 호스를 연결하여 소화에 필요한 물을 얻는 데 사용
설치 및 유지보수
설치 위치도로변이나 건물 근처와 같이 소방차 접근이 용이한 곳
관리소방 당국 또는 수도 관련 기관에서 관리
정기적인 점검 및 유지보수 필요
디자인 및 형태
모양지상에 노출된 형태로 된 것과 지하에 매설된 형태
연결구 형태국가, 지역에 따라 다양
역사
기원초기에는 나무로 만든 급수관에 구멍을 뚫어 사용
이후 주철, 강철 등 금속 재질로 발전
기타
중요성초기 화재 진압에 필수적인 소방 시설
효과적인 소방 활동에 매우 중요한 역할
관련 법규소방 관련 법규에 따라 설치 및 관리

2. 종류

소화전은 설치 위치와 형태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한국에서는 주로 다음과 같은 소화전이 사용된다.


  • 지상식 소화전: 도로 또는 인도에 설치된 소화전이다.[5]
  • 지하식 소화전: 도로 또는 인도 밑에 매설된 소화전이다.
  • 옥내 소화전: 건물 내에 설치된 소화전으로, 호스가 연결되어 있다.[1]


캐나다 온타리오주의 소화전 설치


건설 현장에 물을 공급할 때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 감압대를 사용한다.


국가나 지역에 따라 소화전은 지상 또는 지하에 설치될 수 있다. 일본, 영국, 우크라이나, 러시아, 스페인 등에서는 금속 덮개 아래에 소화전이 설치되어 있다. 미국중국의 많은 지역에서는 소화전의 일부가 지상에 노출되어 있으며, 건물 외벽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동결 온도에 노출되는 지역에서는 대부분 소화전의 일부만 지상에 노출된다. 밸브는 동결선 아래에 위치하며, 상부 지상 부분에는 라이저를 통해 연결된다. 이러한 설계는 "건식 배럴(dry barrel)" 소화전으로 알려져 있으며, 물 밸브가 완전히 닫히면 지하 배수 밸브가 열려 소화전 본체의 모든 물을 배출하여 동결을 방지한다. 온난한 지역에서는 지상 부분에 하나 이상의 밸브를 사용하는 "습식 배럴(wet barrel)" 소화전을 사용한다. 습식 및 건식 배럴 소화전에는 일반적으로 여러 개의 출구가 있다. 미국식 건식 배럴 소화전에는 두 개의 작은 출구와 하나의 큰 출구("스티머(steamer)" 연결부)가 있다.

버몬트주 시골 지역 패섬식 강 근처의 건식 소화전


상수도 시스템이 없는 시골 지역에서는 건식 소화전을 사용하여 화재 진압용 물을 공급한다. 건식 소화전은 일반적으로 무가압식으로 영구 설치된 파이프로, 한쪽 끝은 호수나 연못의 수면 아래에, 다른 한쪽 끝은 지상에 연결되어 있다. 필요할 경우 펌프 소방차가 취수를 통해 물을 퍼 올린다.

충분한 수량과 압력의 물을 공급할 수 있다면 우물도 소화전으로 분류될 수 있다.

소화전은 크게 소방대가 사용하는 소방용수시설로 설치된 것과, 소방법 등에 의해 건축물 등에 소방시설로서 설치를 의무화되어 주로 일반인이나 자위소방대가 사용하는 것의 두 종류로 나뉜다.

2. 1. 지상식 소화전

지상식 소화전은 도로변이나 인도에 설치되어 눈에 잘 띄며, 신속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강철로 만들어지며, 최근에는 내식성을 위해 스테인리스 재질도 사용된다. 보통 적색으로 도색되지만, 지역에 따라 다른 색상이 사용되기도 한다. 예를 들어, 홋카이도 삿포로시에서는 황색 소화전을 사용한다.[5]

폭설 지역에서는 눈에 묻히지 않도록 소화전의 입관 부분을 길게 만들거나, 입관 상하에 호스 연결부를 2곳 설치하여 평상시와 적설 시에 구분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2. 2. 지하식 소화전

지하식 소화전은 지면 아래 맨홀 내에 설치되어 도시 미관을 해치지 않는다. 맨홀 뚜껑은 노란색으로 칠하거나, 소화전 주변 도로면에 노란색으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다.

2. 3. 옥내 소화전

옥내 소화전은 건물 안에 설치되어 있어, 건물 내부에서 화재가 발생했을 때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1] 한국에서는 1호와 2호 두 가지 규격이 있다.[2]

1호 소화전은 노즐에서 분당 130리터의 물을 0.17 - 0.7MPa의 압력으로 방수하며, 반경 25미터의 범위를 कवर할 수 있다.[2] 대부분 구경 40mm, 길이 15m의 호스 2개로 구성되며, 노즐 구경은 13mm (1/2in)이다.[2] 1호 소화전의 노즐은 개폐 기능이 없는 경우가 많고, 호스는 꺾임이나 꼬임에 약하므로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2] 특히, 화재 지점 근처에서도 호스를 전부 펼쳐야 방수가 가능하고, 노즐에서 물을 잠글 수 없어 2명이 함께 작업해야 하는 경우가 많다.[2]

2호 소화전은 노즐에서 분당 60리터의 물을 0.25MPa의 압력으로 방수하며, 반경 15미터의 범위를 कवर할 수 있다.[2] 2호 소화전의 호스는 수도 호스와 유사한 보형 호스(구경 25mm)를 사용하며, 소화전 개방이나 노즐 분리 등의 동작으로 펌프가 자동으로 작동한다.[2] 병원과 같이 수면 시설이 있는 곳에서 혼자서도 화재 진압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다.[2]

2호 소화전의 노즐은 코크 모양의 개폐 밸브가 있는 스트레이트 노즐과, 끝부분을 돌려 방수, 분무, 정지 기능을 조절하는 분무 노즐 두 가지가 있다.[2] 1호 소화전과 달리 호스를 전부 펼치지 않아도 방수가 가능하고, 노즐에서 개폐 조작이 가능하여 사용이 편리하다.[2]

최근에는 1호 소화전의 방수 성능을 유지하면서도 2호 소화전처럼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도 개발되고 있다.[2]

스프링클러 설비가 설치된 건물에서는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가 면제되는 욕실, 화장실 등에 초기 화재 진압을 위한 보조 옥내 소화전이 설치되기도 한다.[3] 보조 옥내 소화전은 2호 소화전과 구조가 같으며, 스프링클러 배관에 직접 연결되어 밸브 조작 없이 살수 시 스프링클러 펌프가 자동으로 작동한다.[3]

2. 4. 기타 소화전

옥외 소화전은 분당 350리터, 0.25MPa의 방수 성능을 가진다.[1] 건물 외부에 설치되어 건물 외부 화재 진압에 사용된다. 실내 소화전과 달리, 소화전에서 떨어진 위치에 호스 수납함이 설치되어 호스와 흡수구가 별도로 설치되어 있는 경우가 있으며, 실내 소화전과 마찬가지로 언제든지 호스를 밸브에 부착한 상태인 것도 있다.[1] 취급은 실내 소화전보다 숙련이 필요하다.[1] 호스와 흡수구의 규격은 소방대가 사용하는 것과 매우 유사하다.[1] 노즐의 구경은 19mm(3/4in)이다.[1]

보조 살수전은 소화용 보조 옥내 소화전이라고도 불린다.[1] 스프링클러 설비가 설치된 경우, 스프링클러 헤드 설치가 면제되는 욕실, 화장실 등에서도 초기 소화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보조 옥내 소화전이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1] 구조는 2호 소화전과 같다.[1] 보조 옥내 소화전은 스프링클러 배관에 직결되며, 밸브 조작에 의한 펌프 기동 등의 장치는 없고, 살수에 의한 압력 저하 또는 물의 흐름 시작에 따라 스프링클러 헤드의 살수 개시 시와 마찬가지로 스프링클러 펌프가 자동으로 기동하는 방식이다.[1]

건식 소화전은 상수도 시스템이 없는 시골 지역에서 화재 진압을 위한 물 공급에 사용된다.[2] 소화전과 유사하며, 일반적으로 무가압식으로 영구 설치된 파이프로, 한쪽 끝은 호수나 연못의 수면 아래에 위치한다.[2] 이 끝에는 보통 잔해나 물고기와 같은 야생 동물이 파이프로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여과 장치가 있다.[2] 다른 한쪽 끝은 지상에 있으며 하드 슬리브 커넥터가 있다.[2]

필요할 경우, 펌프 소방차가 취수를 통해 호수나 연못에서 물을 퍼 올린다.[2] 이는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건식 소화전, 하드 슬리브 및 소방차 펌프의 공기를 흡입하여 이루어진다.[2] 펌프 흡입구에 낮은 압력이 존재하기 때문에 대기압과 물의 무게가 물을 건식 소화전의 수상 부분, 하드 슬리브, 그리고 마지막으로 펌프로 밀어 넣는다.[2] 그런 다음 이 물을 엔진의 원심 펌프로 퍼 올릴 수 있다.[2]

3. 작동 원리 및 사용

소방대원은 소화전에 소방호스를 연결한 후 밸브를 열어 물을 공급받는다. 이때의 압력은 지역에 따라 다르며, 연결된 관로의 크기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진다.[3] 소화전을 너무 빨리 열거나 닫으면 워터 해머 현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소방관은 소화전을 사용할 때 장갑, 얼굴 보호대가 장착된 헬멧 등 개인 보호 장비를 착용해야 한다. 고압의 물이 흐르는 노후화되거나 부식된 소화전이 고장 나면 소방관이나 주변 사람들이 다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소화전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내에 차를 주차하는 것을 법으로 금지하고 있다. 이는 비상시 소화전이 잘 보이고 접근 가능해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 도로교통법은 소화전 본체 및 호스 수납함 측면으로부터 5m 이내 주차를 금지하고 있다. 만약 소방대원이 소화전에 접근해야 할 때 불법 주차된 차량이 있다면, 소방대원은 호스를 통과시키기 위해 차량의 창문을 부술 수 있는 법적 권한이 있으며, 차량 소유자는 주차 위반 딱지를 받게 된다.

4. 설치 및 관리

한국에서는 소방법 제20조 및 상수도법 제24조에 따라 소화전 설치 및 관리가 규정되어 있다.[10] 소화전 설치 기준은 소방법 제20조 제1항에 따른 소방청 고시인 「소방용수시설의 기준」에 명시되어 있으며, 급수 능력은 분당 1세제곱미터 이상, 연속 40분 이상 급수 가능한 것으로 규정되어 있다.[10]

소화전 구조에 대해서는 한국상하수도협회가 기준을 정하고 있다. 지하식 소화전은 "JWWA B 103 수도용 지하식 소화전"으로 규정되어 있으며, 지상식 소화전은 "JWWA B 102 수도용 지상식 소화전"으로 규정되었으나 1969년에 폐지되었다. 하지만 적설량이 많은 지역 등에서는 여전히 지상식 소화전이 설치되고 있다.[10] 지방자치단체에 따라 조례 등으로 추가 기준을 정하는 경우도 있다.[10]

소화전 설치 등에 드는 비용은 상수도법 제24조 제2항에 규정되어 있으며, 시장·군수·구청장은 소화전을 설치한 수도사업자에게 설치 및 관리 비용 등을 협의하여 보상해야 한다.[10] 소화전 사용 시 수도 요금은 상수도법 제24조 제3항에 따라 징수되지 않지만, 일부 소방본부에서는 소화 활동 및 훈련에 사용한 수도 요금을 지불하기도 한다. 서울소방청의 경우 지방공기업법 규정에 따라 소화에 사용한 수도 요금을 서울시 상수도사업본부에 지불하고 있다.[10]

대부분 지역에서는 소화전에 대해 연례 검사 및 유지보수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1년 보증만 제공되지만, 일부는 5년 또는 10년 보증이 제공되기도 한다. 하지만 더 긴 보증 기간이라고 해서 정기적인 검사나 유지보수가 필요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검사는 일반적으로 지방 자치 단체 또는 소방서에서 수행하지만, 사유 소화전은 검사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11]

5. 소화전 표지

소화전의 위치를 알리는 표지 설치는 법적으로 의무는 아니지만, 사설 소화전 등의 경우 설치가 의무화될 수 있다.

한국에서는 지하식 소화전의 경우, 맨홀 뚜껑을 노란색으로 칠하거나 도로면에 노란색 표시를 하는 경우가 있다.[5] 지상식 소화전은 눈에 잘 띄는 색상으로 도색한다. 소방수리표지는 소화전 위치를 시각적으로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일본에서는 노란색 "H" 표지판을 사용하며, 핀란드에서는 파란색 표지판을 사용한다. 이 표지판에는 수도관 직경과 표지판으로부터의 거리가 표시된다.[6][7]

다른 국가에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소화전 위치를 표시한다.


  • 미국: 눈이 적게 오는 지역에서는 파란색 반사형 도로 표지판을 도로에 매립한다.[8] 눈이 많이 오는 지역에서는 높은 표지판이나 깃발을 사용한다.
  • 호주: 도로에 흰색 또는 노란색 삼각형이나 화살표를 그리거나, 전신주 등에 소화전 표지판을 설치한다. 도로 중앙선에 파란색 도로 표지판이나 캣츠 아이를 설치하기도 한다.
  • 독일: 지하 소화전 표지판은 빨간색 테두리가 있으며, T자 모양에 파이프 내경과 위치 정보가 표시된다.


소화전 상단에는 분당 유량(갤런)을 나타내는 색상이 표시되어, 소방관이 적절한 소화전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준다.[8]

소화전 유량별 색상 구분[8]
색상분당 유량 (USgal/min)설명
파란색1500USgal/min 이상매우 양호한 유량
녹색 에서 주거 지역에 적합
주황색500USgal/min 에서 간신히 적합
빨간색 미만부적합



소화전 본체도 색상으로 구분된다.[8]

소화전 본체 색상 구분[8]
색상설명
크롬색 노란색시립 시스템
빨간색민간 시스템
보라색비음용수 공급


6. 한국의 특수한 상황

한국에서는 소방대가 사용하는 소방용수시설과 일반인이나 자위소방대가 사용하는 소방시설의 두 종류 소화전이 있다. 일부 지자체에서는 가정용 수돗물 수준에서도 사용 가능한 '소형 소화 장비' 설치를 추진하고 있으며, 동대문구가 그 예시이다.[1]

7. 기타 용도

소화전은 화재 진압 외에도 다음과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 거리 청소: 도로 청소차에 물을 공급하여 거리를 깨끗하게 청소한다.
  • 하수도 관리: 하수관을 씻어내는 데 물을 공급하여 하수도 관리를 돕는다.
  • 진압 차량: 진압 차량에 물을 공급하여 물대포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수압 모니터링: 상수도 시스템의 수압을 모니터링한다. 압력계 또는 로거를 부착하여 수압을 측정한다.
  • 자동 세척: 사용량이 적은 지역에서는 염소 처리 수준 유지를 위해 자동 세척 장치를 소화전에 부착하기도 한다.
  • 누수 탐지: 누수 탐지 장치를 연결하여 누수 지점을 찾는다.
  • 여름철 더위 식히기: 일부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더위를 식힐 수 있도록 저유량 스프링클러 헤드를 제공하기도 한다. 1896년 뉴욕시에서는 폭염 발생 시 주민들에게 더위를 식힐 수 있도록 소화전을 개방하도록 명령하기도 했다.[4]

8. 역사

상수도관이 보급되기 전에는 소방용 물을 양동이와 가마솥에 담아두고 물통 사슬을 이용하거나 말이 끄는 소방펌프로 운반해야 했다. 16세기부터 목재 상수도관이 설치되면서 소방관들은 파이프에 구멍을 뚫고 양동이 또는 펌프로 물을 채울 "습식 우물"을 만들었다. 이후에는 구멍을 메워야 했기에 미국의 일반적인 소화전 명칭이 'fireplug'(소화전 마개)가 된 것이다. 소방관들이 이미 뚫린 구멍을 찾을 수 있도록 '마개'가 뚫린 위치를 표시했다. 후대의 목재 시스템에는 미리 구멍을 뚫고 마개를 설치했다.[12]

주철 파이프가 목재 파이프를 대체하면서 소방관을 위한 지하 접근 지점이 영구적으로 설치되었다. 최초의 주철 소화전은 1801년 필라델피아 상수도국의 최고 기술자인 프레데릭 그래프(Frederick Graff)에 의해 특허를 받았다. 그 이후의 발명은 훼손, 동결, 연결, 신뢰성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 초점을 맞추었다.[13]

1904년 주철 소화전

참조

[1] 웹사이트 Firecock {{!}} Definition of Firecock by Oxford Dictionary on Lexico.com https://www.lexico.c[...]
[2] 웹사이트 Brooklyn Johnny Pumps https://theglorified[...] 2024-09-17
[3] 뉴스 How do fire hydrants work? https://www.abc27.co[...] 2024-02-25
[4] 뉴스 « Street pooling » : d'où vient cette idée d'ouvrir des bouches à incendie en période de canicule ? https://www.lemonde.[...] Le Monde 2017-06-26
[5] 간행물 National Fire Protection Association Report (p. 18) http://www.nfpa.org/[...] 2013-08-15
[6] 문서 Specification for underground fire hydrants and surface box frames and covers BS 2012
[7] 간행물 Good Stewardship for Schools Premises p. 18 http://www.cambridge[...] Cambridgeshire County Council 2009
[8] 웹사이트 Hydrant color codes and markings http://www.firehydra[...] Water supply office 2015-03-31
[9] 웹사이트 The Proper Painting of Fire Hydrants for Maintenance and Color Classification https://www.muellerc[...] 2022-08-14
[10] 웹사이트 Hydrant Flushing FAQ, United States of America http://www.asheville[...] 2012-03-12
[11] 뉴스 Is Coding the New Literacy? https://www.motherjo[...] 2014
[12] 웹사이트 The History of Sanitary Sewers http://www.sewerhist[...] 2019-08
[13] 웹사이트 Firehydrant.org http://www.firehydra[...] 2019-08
[14] 웹사이트 初期消火器具等のユニバーサルデザイン化に関する調査研究会報告書 http://www.fdma.go.j[...] 消防庁 2017-09-25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