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남제 화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남제 화제(488년 ~ 502년)는 남제의 마지막 황제이다. 소란과 유혜단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494년 수군왕에 봉해지고 499년 남강왕이 되었다. 500년 소연과 소영주의 반란으로 501년 형주 강릉에서 황제로 즉위했지만, 실권은 소연에게 있었다. 502년 소연에게 황위를 선양하고 파릉왕으로 강등된 후 살해당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502년 사망 - 백가 (귀족)
    백가는 백제 시대 웅진 토착 호족 출신 귀족으로, 위사좌평에 임명되어 숙위병을 관장하다 가림성 부임 문제로 동성왕을 시해하고 반란을 일으켰으나 무령왕에 의해 진압 및 처형되었다.
  • 488년 출생 - 시바 2세
    시바 2세는 모갈라나 1세의 서자로, 524년 왕위에 올라 1년 후 사망했으며, 그의 죽음 이후 우파티사 2세가 왕위를 계승했다.
  • 남제 명제의 황자 - 소보권
    소보권은 남제의 제6대 황제로서, 즉위 후 폭정을 일삼고 사치스러운 생활로 민심을 잃어 결국 살해당하고 남제를 멸망하게 한 인물이다.
남제 화제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남제 화제
한자 표기南齊和帝
소보융(蕭寶融)
지소(智昭)
시호화황제(和皇帝)
묘호없음
생년488년
몰년502년 5월 2일
아버지명제
어머니명경황후 유씨
배우자왕황후
능묘공안릉(恭安陵)
재위 정보
왕조남제
즉위501년 4월 14일
퇴위502년 4월 30일
연호중흥(中興)
후임 무제 소연
시대
시대남북조시대

2. 생애

488년, 소란과 유혜단 사이에서 태어났다. 494년, 수군왕에 봉해졌다. 499년, 형 소보권이 즉위하자 남강왕으로 봉해졌다. 같은 해, 형주자사로 임명되었으나, 실제 통치는 참모 소영주가 담당했다.

500년, 소영주는 소보권의 폭정에 불만을 품고 소연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 소영주는 소보융을 명목상 지도자로 추대하고, 형주의 수도 강릉(현대 후베이성 징저우시)을 임시 수도로 삼았다. 501년, 소보융은 강릉에서 황제로 즉위했다.

500년소연이 동혼후 소보권을 죽이는데 성공한 후, 소보융은 501년 강릉에서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러나 실권은 소연에게 있었고, 소보융은 허수아비 황제에 불과했다. 소연은 왕보명 황태후를 섭정으로 삼아 건강을 통치하게 했고, 황태후에게 자신에게 점점 더 높은 작위를 수여하게 했다.

502년 3월, 소영주의 강압과 협박에 의해 소보융은 소연에게 황제의 자리를 선양했다. 이로써 남제는 멸망하고 양나라가 건국되었다. 소보융은 파릉왕(巴陵王)으로 강등되었고 고숙에 감금되었으나, 남제의 정삭을 쓰는 것은 허락받았다.

소연(양 무제)은 처음에는 소보융을 파릉왕으로 봉하고, 소보융을 위해 고숙(姑孰, 현대의 마안산, 안후이성)에 궁전을 지으라는 명령을 내렸다. 원래 소연은 소보융을 죽이지 않으려 했으나, 측근들의 간언에 따라 결국 살해하기로 결정했다. 심약은 "겉으로만 미명을 구하고, 현실의 근심을 초래해서는 안 된다(不可慕虚名而受実禍)"라고 충고했다.

4월, 양 무제는 심복인 정백금(정백금/鄭伯禽중국어)에게 금가루를 넣은 금설주(金屑酒)를 내려 소보융을 죽이게 했다. 정백금이 소보융에게 금설주를 마시라고 강요하자, 소보융은 "나를 죽이려면 금을 쓸 필요가 없다. 죽으면 가져가지도 못하는 금을 뭐하러 쓰는가? 그저 독한 술이면 충분할 것이다."라고 말하며 독한 술을 마시고 깊이 취해 잠들었고, 정백금은 소보융을 접살(摺殺)하였다. 소보융은 1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황제의 예로 공안릉(恭安陵)에 안장되었다.

2. 1. 어린 시절 및 즉위 과정

488년, 소보융은 소란과 유혜단 사이에서 태어났다.[4] 494년, 수군왕으로 봉해졌다.[4] 499년, 형 소보권이 즉위하자 남강왕으로 봉해졌다.[5][6] 같은 해, 형주자사로 임명되었으나,[7] 실제 통치는 참모 소영주가 담당했다.[7]

500년, 소영주는 소보권의 폭정에 불만을 품고 소연과 함께 반란을 일으켰다.[8] 소영주는 소보융을 명목상 지도자로 추대하고, 형주의 수도 강릉(현대 후베이성 징저우시)을 임시 수도로 삼았다. 501년, 소보융은 강릉에서 황제로 즉위했다.[9]

2. 2. 양나라로의 선양과 죽음

500년소연이 동혼후 소보권을 죽이는데 성공한 후, 소보융은 501년 강릉에서 황제로 즉위하였다.[24] 그러나 실권은 소연에게 있었고, 소보융은 허수아비 황제에 불과했다.[24] 소연은 왕보명 황태후를 섭정으로 삼아 건강을 통치하게 했고, 황태후에게 자신에게 점점 더 높은 작위를 수여하게 했다.[10][11]

502년 3월, 소영주의 강압과 협박에 의해 소보융은 소연에게 황제의 자리를 선양했다.[24] 이로써 남제는 멸망하고 양나라가 건국되었다. 소보융은 파릉왕(巴陵王)으로 강등되었고 고숙에 감금되었으나, 남제의 정삭을 쓰는 것은 허락받았다.[24]

소 연(양 무제)은 처음에는 소 보융을 발령왕으로 봉하고, 소 보융을 위해 고숙(姑孰, 현대의 마안산, 안후이)에 궁전을 지으라는 명령을 내렸다. 원래 소연은 소보융을 죽이지 않으려 했으나, 측근들의 간언에 따라 결국 살해하기로 결정했다.[12] 심약은 "겉으로만 미명을 구하고, 현실의 근심을 초래해서는 안 된다(不可慕虚名而受実禍)"라고 충고했다.[22]

4월, 양 무제는 심복인 정백금(鄭伯禽중국어)에게 금가루를 넣은 금설주(金屑酒)를 내려 소보융을 죽이게 했다.[13] 정백금이 소보융에게 금설주를 마시라고 강요하자, 소보융은 "나를 죽이려면 금을 쓸 필요가 없다. 죽으면 가져가지도 못하는 금을 뭐하러 쓰는가? 그저 독한 술이면 충분할 것이다."라고 말하며 독한 술을 마시고 깊이 취해 잠들었고, 정백금은 소보융을 접살(摺殺)하였다.[23] 소보융은 15세의 나이로 사망했으며, 황제의 예로 공안릉(恭安陵)에 안장되었다.[24]

3. 가족 관계 및 가계도

황후는 낭야 왕씨(皇后 琊瑯王氏중국어)로, 이름은 순화(蕣華중국어)이다.

==== 가계도 ====

화제 (488–502)
명제 (452–498)
명경황후 (사망 489)
소도생 (427–482)
의황후
유경유
왕씨 부인
소승지 (384–447)
공태후
강준
유도홍


3. 1. 가족 관계

황후는 낭야 왕씨(皇后 琊瑯王氏중국어)로, 이름은 순화(蕣華중국어)이다.

3. 2. 가계도

wikitable

화제 (488–502)
명제 (452–498)
명경황후 (사망 489)
소도생 (427–482)
의황후
유경유
왕씨 부인
소승지 (384–447)
공태후
강준
유도홍


4. 평가

5. 연호

wikitable

화제원년2년
서력
(西曆)
501년502년
간지
(干支)
신사(申巳)임오(壬午)
연호
(年號)
중흥(中興)
원년
2년


6. 기타

6. 1. 안견원과의 관계

안견원(안견원/顏見遠중국어)은 임기, 낭야군(현재 산둥성) 출신으로, 소보융의 참모였다.[14] 소보융이 살해당한 후, 안견원은 며칠 뒤 단식 투쟁과 분노로 인해 사망했다.[15][16][17] 안견원은 낭야군(琅琊顏氏) 안씨 가문의 일원으로, 아들 안협(颜协; 498 - 539)[18][19] 손자 안지이(颜之仪)와 안지추(颜之推)를 두었다.[20][21]

참조

[1] 서적 Nan Qi Shu Nan Qi Shu
[2] 서적 Nan Qi Shu Nan Qi Shu
[3] 서적 Nan Qi Shu Nan Qi Shu
[4] 서적 南齊書·明帝紀
[5] 서적 南齊書·東昏侯本紀
[6] 서적 南齊書·東昏侯本紀
[7] 서적 南齊書·卷三十八 列傳第十九
[8] 서적 南齊書·卷三十八 列傳第十九
[9] 서적 南齊書·東昏侯本紀
[10] 서적 梁書·武帝本紀
[11] 서적 南齊書·和帝本紀
[12] 서적 Zizhi Tongjian Zizhi Tongjian
[13] 서적 Zizhi Tongjian Zizhi Tongjian
[14] 서적 Liang Shu Liang Shu
[15] 웹사이트 颜见远 https://www.70thvict[...]
[16] 서적 Ancient and Early Medieval Chinese Literature: A Reference Guide. Parts 3 & 4 Brill
[17] 서적 Berkshire Dictionary of Chinese Biography Berkshire Publishing Group
[18] 서적 Liang Shu Liang Shu
[19] 서적 Book of Liang
[20] 서적 Book of Zhou
[21] 서적 Book of Northern Qi
[22] 서적 資治通鑑 司馬光
[23] 서적 資治通鑑 司馬光
[24] 문서 요가 순에게, 순이 우에게, 후한 헌제가 조비에게, 조환이 사마염에게 선양한 일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