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셜 댓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셜 댓글은 웹사이트에서 커뮤니케이션 및 마케팅 도구로 활용되는 서비스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악성 댓글 감소 연구에서 시작되었으며, 라이브리, 코스모스팜 소셜댓글, 티토크, 스닉, 서브스토리 등이 있다. 미국에서는 디스커스가 소셜 댓글 전문 기업으로 성장했으며, 페이스북이 댓글 플러그인을 발표하기도 했다. 대한민국에서는 제한적 본인 확인제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었으며, 소셜 댓글에 대한 규제 적용 문제가 제기되었다.
정치인, NGO 단체, 언론사, 기업 등 다양한 분야의 웹사이트에서 소셜 댓글을 도입하여 커뮤니케이션 및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였다.
대한민국의 소셜 댓글 서비스 발생의 특이점은 악성 댓글의 피해를 감소시키고자 하는 연구에서 시작되었다는 점이다. 2009년 11월 20일 연세대학교 언론홍보영상학부 내 연구기관인 YCCL(Yonsei Cyber Communication Lab)의 제 1회 정기 콘퍼런스에서 악성댓글에 관한 연구논문과 함께 소셜 벤처인 시지온의 소셜 댓글 플랫폼 라이브리가 소개되면서 시작되었다.
2. 활용
3. 유례
3. 1. 대한민국
대한민국의 소셜댓글 서비스로는 라이브리, [http://www.cosmosfarm.com/plugin/comments 코스모스팜 소셜댓글], 티토크, 스닉, 서브스토리 등이 있다. 라이브리는 경향신문과 블로터닷넷 등에도 도입되었다. 블로터닷넷은 대한민국 미디어 서비스 중 최초로 소셜 댓글을 도입했다.
3. 2. 미국
3. 2. 1. 소셜댓글 전문 기업
디스커스는 다니엘 하/Daniel Ha영어와 제이슨 야/Jason Ya영어가 설립하였으며, Y 콤비네이터로부터 초기 투자를 받았다.[4]
3. 2. 2. 소셜 플랫폼 기업
2011년 3월 1일 페이스북은 일반 이용자들이 사용할 수 있는 페이스북 댓글 플러그인을 발표했다. 이에 따라 디스커스의 주요 고객인 테크크런치(TechCrunch)를 비롯해서 기가옴(GigaOm), 더 데일리 비스트(The Daily Beast) 같은 사이트들이 페이스북으로 댓글 서비스를 변경했다.[5] 그러나 소셜댓글 전문 기업 중에서 해당 시장에서 선두를 지키고 있는 디스커스는 페이스북의 댓글 플러그인 발표에도 불구하고 더욱 성장했다. 2011년 3월 11일 페이스북 댓글 플러그인 출시 당시 디스커스의 페이지뷰(PV)는 110,205,336이었으며, 그로부터 1년 3개월이 지난 2012년 6월 11일의 디스커스 페이지뷰는 196,587,168이다.[5]
4. 논란
4. 1. 대한민국의 제한적 본인 확인제
2010년 7월 19일 블로터닷넷에서 대한민국 언론사 중 최초로 소셜 댓글 서비스를 도입한 것을 시작[6]으로 매일경제, 중앙일보 등 주요 언론사에서도 소셜 댓글을 도입하였는데, 이는 2006년 7월 28일 제정된 대한민국의 제한적 본인 확인제와 부딪히는 면이 있었다. 외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계정을 이용하여 국내 웹사이트에 댓글을 달 경우, 제한적 본인 확인제에 따른 본인 실명 확인 과정을 거치지 않아도 되기 때문이다.[7] 방송통신위원회는 이에 대해 법률적 검토에 들어갔다.[8] 2012년 3월 방송통신위원회는 본인확인제 적용 대상 사이트를 공시하면서 "SNS에 대해서는 제한적 본인확인제를 적용할 수 있는 기술적 수단이 없고, 한 차례 실명확인 절차를 거치는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에 소셜댓글은 제한적 본인확인제 적용을 유예한다"라고 입장을 밝혔다. 그러나 이후 2012년 4.11 총선 기간 동안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소셜댓글에 제한적 본인 확인제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관련 부처간 소셜 댓글에 대한 공동 입장 정리 문제가 사회적으로 부각된 바 있다.[9]
참조
[1]
뉴스
언론사 소셜댓글 ‘대세’
http://www.journalis[...]
한국기자협회
2011-08-31
[2]
뉴스
시지온, NGO에 소셜 댓글 솔루션 무료 제공
http://www.etnews.co[...]
전자신문
2011-09-27
[3]
뉴스
시지온, 국내 최초 소셜 댓글 '라이브리' 개발
http://www.mt.co.kr/[...]
머니투데이
2012-01-27
[4]
웹인용
댓글로 세상보기(3) - 해외 소셜 댓글 시장 분석, 댓글 전쟁 제2라운드의 시작
http://blog.cizion.c[...]
시지온
2012-06-22
[5]
웹인용
Disqus network.
http://www.quantcast[...]
Quantcast
2012-06-27
[6]
웹인용
'블로터닷넷' 소셜댓글 서비스 시작합니다.
http://www.bloter.ne[...]
블로터닷넷
2012-01-25
[7]
뉴스
오늘의 모바일 용어 소셜 댓글
http://news.mk.co.kr[...]
매일경제
[8]
뉴스
인터넷실명제 웃음거리 만든 '소셜댓글'
http://www.hani.co.k[...]
한겨레
2010-07-26
[9]
뉴스
'소셜댓글' 실명인증제관련 각 부처 입장 엇갈려...정책 조율 시급
http://www.wikipress[...]
위키프레스
2012-06-2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