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욤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욤보는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상징과 패턴으로 이루어진 몽골의 국가적 상징이다. 불, 태양, 초승달, 삼각형, 직사각형, 태극, 세로 직사각형 등 열 개의 요소로 구성되며, 각 요소는 영원, 번영, 적의 패배, 정직함, 상호 보완, 단결과 힘 등을 상징한다. 소욤보는 몽골 국기, 문장, 군 차량 등에 사용되었으며, 부랴티야, 아긴부랴트, 내몽골 인민당 등에서도 유사한 형태로 활용된다. 또한 유니코드에 등재되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태양 신화 - 이카로스
이카로스는 그리스 신화에서 다이달로스와 함께 밀랍 날개로 크레타 섬을 탈출하려다 태양에 너무 가까이 다가가 추락사하는 인물로, 인간의 오만함과 과욕에 대한 경고의 상징이며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주었고, 그의 이름을 딴 이카리아 해가 존재한다. - 내몽골의 문화 - 에벤크어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와 중국에서는 각각 키릴 문자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 내몽골의 문화 - 함니간 몽골어
함니간 몽골어는 몽골, 러시아, 중국에 걸쳐 캄니간족이 사용하는 몽골어의 한 종류로, 캄니간족의 이중 언어 사용에서 비롯되었으며, 몽골에서는 할하 몽골어에 동화되어 방언과 유사한 형태를 보인다. - 부랴트 공화국의 문화 - 에벤크어
에벤크어는 퉁구스어족에 속하는 언어로, 러시아, 중국, 몽골 일부 지역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방언이 존재하고 음운론적 특징에 따라 세 그룹으로 나뉘며 교착어적 특징을 가지며 러시아와 중국에서는 각각 키릴 문자와 몽골 문자를 사용하여 표기한다. - 부랴트 공화국의 문화 - 부랴티야 공화국의 국가
부랴티야 공화국의 국가는 러시아어, 부랴트어, 몽골어 가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부랴티야의 자연과 고향에 대한 사랑, 번영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는 국가이다.
소욤보 | |
---|---|
소욤보 | |
![]() | |
개요 | |
종류 | 표의 문자, 알파벳 |
사용 언어 | 몽골어 산스크리트어 티베트어 |
창제 시기 | 1686년 |
창제자 | 자나바자르 |
구성 | |
문자 수 | 90+ |
상징 | |
국장 | 몽골의 국장 |
유니코드 | |
이름 | Soyombo |
블록 | 몽골 문자 |
범위 | U+11A00–U+11A4F |
2. 상징성
소욤보는 추상적이고 기하학적인 상징과 패턴으로 이루어진 열 개의 요소가 세로 형태로 배열되어 있다. 이 요소들은 불, 태양, 초승달, 두 개의 삼각형, 두 개의 가로 직사각형, 태극(음양), 두 개의 세로 직사각형을 포함한다.[1]
2. 1. 불
불은 영원한 성장, 부, 성공을 상징한다. 불꽃의 세 갈래 혀는 과거, 현재, 미래를 나타낸다.[1]2. 2. 태양과 초승달
소욤보에서 태양(●)과 초승달은 영원한 푸른 하늘처럼 몽골 민족이 영원히 존재한다는 것을 상징한다. 몽골의 태양, 초승달, 불 상징은 흉노에서 유래되었다.[1]2. 3. 삼각형
두 개의 삼각형(▼)은 화살이나 창의 끝을 상징한다. 이들은 안팎의 적이 패배함을 나타내기 위해 아래를 향하고 있다.[1]2. 4. 가로 직사각형
소욤보를 구성하는 요소 중 두 개의 가로 직사각형(▬)은 둥근 모양에 안정성을 부여한다. 직사각형 모양은 사회의 상류층에 있든, 하류층에 있든 몽골 사람들의 정직함과 정의를 나타낸다.[1]2. 5. 태극 (음양)
태극(음양) 기호(☯)는 서로 반대되는 것들의 상호 보완을 보여준다. 이는 두 마리의 물고기로 해석되는데, 물고기는 눈을 감지 않으므로 경계를 상징한다.[1]2. 6. 세로 직사각형
두 개의 세로 직사각형(▮)은 요새의 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것은 "두 사람의 우정은 돌담보다 강하다"는 몽골 속담과 관련하여 단결과 힘을 나타낸다.[1]3. 사용
소욤보 기호는 1911년 독립 이후 몽골 국기에 등장했으며(1940년에서 1945년 사이 제외), 1911년부터 1940년까지 몽골의 문장으로 사용되었고 1960년에 다시 디자인에 포함되었다. 몽골군 차량에는 표식으로 이 기호가 새겨져 있다.[1] 이 기호는 전국, 특히 울란바토르 외곽의 언덕에서 볼 수 있다.[1]
3. 1. 소욤보를 활용한 깃발
소욤보 기호는 1911년 독립 이후 몽골 국기에 등장했다(1940년에서 1945년 사이 제외). 1911년부터 1940년까지 몽골의 문장으로 사용되었으며, 1960년에 다시 디자인에 포함되었다. 몽골군 차량에는 표식으로 이 기호가 새겨져 있다.
이 기호는 전국, 특히 울란바토르 외곽의 언덕에서 볼 수 있다.
부랴티야의 국기와 문장, 러시아의 아긴부랴트 오크루크 기와 내몽골 인민당의 깃발은 상단 요소(불꽃, 해, 달)를 표시한다.
4. 유니코드
유니코드 버전 10.0에서 소욤보 기호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7년 6월에 소욤보 기호는 소욤보 블록에 스크립트별 구두점으로 추가되었다.[1]
소욤보 머리 표식은 다음 세 가지 종류가 있다.
- U+11A9E 소욤보 머리 표식 (달, 해, 삼중 화염)[1]
- U+11A9F 소욤보 머리 표식 (달, 해, 화염) (상단 화염의 오른쪽 혀만 유지)[1]
- U+11AA0 소욤보 머리 표식 (달과 해) (상단 화염 제거)[1]
이 세 개의 머리 표식은 다음 두 개의 관련 터미널 표식과 함께 사용할 수 있다. (두 개의 측면 수직 사각형만 유지하고 중앙 기호를 대체)[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