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몽골 인민당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내몽골 인민당은 1997년 미국 뉴저지주에서 창립된 단체로, 내몽골 자치구의 독립을 목표로 한다. 중국 정부의 탄압에 대한 문제 제기를 배경으로 하며, 의장, 부의장, 사무총장을 선출하는 조직 구조를 갖는다. 주요 인물로는 초대 의장 시하이밍, 부의장 바체, 사무총장 오윤빌릭, 현 당수 케레이드 후비스갈드가 있다. 4년마다 대의원 대회를 개최하며, 내몽골 독립을 상징하는 깃발을 사용한다. 일본에도 지부를 두고 있으며, 몽골 자유 연맹당 등과 공동 활동을 진행한 바 있다. 당의 강령은 내몽골의 독립을 목표로 하며, 당원 자격은 헌장 수용 및 적극적인 참여 의지를 가진 개인에게 주어진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금지된 정당 - 몽골 자유연맹당
몽골 자유연맹당은 중국 지배 지역의 완전한 독립을 추구하며 몽골 민족의 연대와 자결권을 옹호하는 단체로, 중국 정부의 탄압에 항의하고 국제적인 연대 활동을 펼쳤으나, 내몽골 쿠릴타이 결성 이후 활동이 축소되었다. - 분리주의 단체 - 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
카빈다 월경지 해방전선(FLEC)은 1963년 카빈다 지역 독립을 목표로 설립된 무장단체로, 포르투갈 식민 지배 시대부터 활동하며 앙골라 내전에 개입, 테러 활동을 자행하여 국제사회의 비난을 받았고, 카빈다의 지위 문제는 현재까지 미해결 과제로 남아있다. - 분리주의 단체 - 푸에르토리코 독립당
푸에르토리코 독립당은 1946년 창당되어 푸에르토리코 독립 운동을 지향하는 가장 큰 규모의 독립 정당으로, 사회자유주의와 사회민주주의를 표방하며 사회주의 인터내셔널의 일원이다. - 내몽골 독립운동 - 복드 칸국
1911년 몽골 혁명 후 제브츠운담바 호토크트 8세가 보그드 칸으로 추대되어 건국된 복드 칸국은 티베트 불교를 국교로 하는 신정 체제 국가였으나, 러시아와 중국의 외교적 압력, 중국의 침공, 몽골 인민당의 몽골 인민 정부 수립 등으로 혼란을 겪으며 1924년 멸망하였다. - 내몽골 독립운동 - 몽강연합자치정부
몽강연합자치정부는 1939년 일본군의 주도 하에 몽골 연합, 차난, 진베이의 3개 자치 정부가 통합되어 수립된 괴뢰 정권으로, 데므치그돈로브가 주석을 맡았으며 일본 제국의 통제하에 자원 수탈과 군사적 목적에 이용되다 1945년 붕괴되어 현재의 내몽골 자치구 형성에 영향을 미쳤다.
내몽골 인민당 - [정당]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몽골어) | Өвөр Монголын Ардын Нам (Övör Mongolyn Aradyn Nam) |
공식 명칭 (중국어) | 內蒙古人民黨 (Nèiměnggǔ Rénmín Dǎng) |
약칭 (중국어) | 內人黨 (Nèiréndǎng) |
창립일 | 1997년 3월 23일 |
본부 | 프린스턴, 뉴저지 주, 미국 |
웹사이트 | 내몽골 인민당 웹사이트 |
지도부 | |
의장 | 템칠투 숍트소드 |
부의장 | 바체 |
사무총장 | 오윤빌리그 |
정치 성향 | |
이념 | 남몽골 독립 |
2. 창립 배경
1997년 3월 23일,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내몽골 자치구의 독립 국가 건설을 목표로 창당되었다.[2]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 자행된 내몽골 인민 혁명당 숙청 사건 등, 내몽골인들이 겪은 탄압에 대한 문제 제기가 주요 창당 배경 중 하나이다.[3] 창당 주도 세력은 중국 정부가 과거사에 대한 책임을 지지 않고 잘못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비판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3]
내몽골 인민당(IMPP)은 의장과 부의장을 직접 선출한다. 사무총장은 의장이 제안하고 상임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선출되며, 상임위원회는 의회 대표에 의해 선출된다. 의장, 부의장, 사무총장은 자동적으로 상임위원회 위원이 된다.
3. 조직
IMPP는 일본을 포함한 여러 국가에 지부를 두고 있으며, 당원이 아닌 사람들로 구성된 자문 위원회도 존재한다. 당의 본부는 중화인민공화국과의 관계 때문에 미국에 있다. 당원 및 구성원의 신원 정보는 민감한 문제와 회원 보호를 위해 대중에게 제한적으로 공개된다.
1997년 3월, 몽골, 독일, 일본, 캐나다, 미국 등에서 온 50명 이상의 IMPP 회원들이 4년에 한 번 열리는 의사 결정 기구인 제1차 대의원 대회에 참석했다. 이 회의에서 당 헌법과 회원 자격 기준이 통과 및 합의되었고, 깃발 디자인이 확정되었으며, "내몽골 인민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이 발표 및 배포되었다.[2]
3. 1. 주요 인물
내몽골 인민당(IMPP)은 의장과 부의장을 직접 선출하며, 사무총장은 의장의 제안과 상임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선출된다. 1997년 제1차 대의원 대회에서 시하이밍이 의장, 바체가 부의장, 오윤빌릭이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2] 케레이드 후비스갈드는 2021년부터 현재까지 내몽골 인민당의 제3대 당수를 맡고 있으며 일본에 거주하고 있다.
3. 1. 1. 시하이밍 (쇼브초드 템치르트), 초대 의장
쇼브초드 템치르트(몽골어: 템칠투 숌초드, Temtsiltu Shobtsood)는 1957년 내몽골에서 태어났다.[2] 1970년대 중반, 문화 대혁명 기간 동안의 "정화 운동"에 연루된 사람들을 처벌하도록 중국 정부에 책임을 묻기 위한 내몽골의 노력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1981년, 중국 정부가 수백만 명의 중국인을 내몽골로 이주시키는 정책을 시행하자, 내몽골 대학교 학생이었던 시하이밍은 이 정책을 철회하도록 싸우는 영향력 있는 학생 지도자가 되었고, 내몽골 인권 옹호 연맹을 창설했다.[2]
그의 활동으로 인해 중국 당국은 그를 감시했다. 1991년, 그의 많은 친구들이 체포되자 그는 몽골로 도망쳤다. 1993년, 그는 독일에서 정치적 망명을 허가받았고 현재 아내와 딸과 함께 그곳에 거주하고 있다.[2]
1997년 미국 뉴저지주 프린스턴에서 내몽골 인민당이 창설되었을 때 초대 주석으로 선출되었다. 문화 대혁명에서 일어난 내몽골 인민 혁명당 숙청 사건을 논거로, 내몽골(남몽골)에 몽골인의 독립 국가를 창설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015년 당 임원회에서 당 주석에서 해임되었으나, 이듬해 2016년 남몽골 쿠릴타이(세계 남몽골 회의)를 결성하고 회장에 취임하여 활동의 축을 옮겼다. 쇼브초드 템치르트는 당 주석에서 해임된 후에도 해임을 인정하지 않고, 혼자 내몽골 인민당을 칭하고 있다.
3. 1. 2. 바체, 부의장
바체는 1955년 신장에서 태어났으며, 과거 중국 공산당 당원이었다. 1990년 공무로 해외에 나간 후 귀국하지 않았다. 현재는 컬럼비아 대학교 동아시아연구소 객원 연구원이다.[4]
3. 1. 3. 오윤빌릭, 사무총장
오윤빌리게는 1968년 내몽골 자치구에서 태어났다.[2] 1990년 베이징 대학교를 졸업하고 중국 항공우주부에서 근무했으며 몽골 사업 대표로 활동했다.[2] 1989년 베이징 톈안먼 사건에 적극 참여했다.[2] 1995년 미국에서 정치적 망명을 허가받았으며 현재 메릴랜드에 거주하고 있다.[2]
3. 1. 4. 케레이드 후비스갈드, 현 당수(제3대)
케레이드 후비스갈드는 현재 내몽골 인민당의 제3대 당수(2021년 ~ 현재)이며 일본에 거주하고 있다.
4. 활동
내몽골 인민당(IMPP)은 4년마다 대의원 대회를 개최하여 주요 의사 결정을 진행한다. 1997년 3월에 열린 제1차 대의원 대회에서는 시하이밍이 의장으로, 바체가 부의장으로, 오윤빌릭이 사무총장으로 선출되었다. 또한, 당 헌법과 회원 자격 기준이 합의되었고, 당기 디자인이 확정되었으며, "내몽골 인민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이 발표 및 배포되었다.
내몽골 인민당은 내몽골 독립을 상징하는 깃발로 당기를 사용한다.[2]
일본에도 지부가 있으며,[5] 과거 몽골 자유 연맹당, 일본 위구르 협회, 티베트 문제를 생각하는 모임, 대만 연구 포럼과 공동 항의 활동을 진행한 바 있다.[6] 2023년 6월 8일에는 일본 참의원 의원 회관에서 남몽골 인권 정보 센터가 개최한 간담회에 내몽골 인민당의 일본 거주 당원들이 참석했다.
5. 강령
당의 헌장은 "중국 공산당의 내몽골 식민 통치를 종식시키기 위한 투쟁에서 민주주의와 평화의 원칙을 옹호"하고 "궁극적인 목표는 내몽골의 독립을 달성하는 것"이라고 명시하고 있다.[5][4] 당원 자격은 당의 헌장을 수용하고 모든 행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의지가 있는 개인에게 주어진다. 회원은 탈퇴를 원할 경우 자유롭게 회원 자격을 포기할 수 있다.[5]
6. 비판 및 논란
제공된 원본 소스 자료에는 내몽골 인민당의 비판 및 논란에 대한 내용이 직접적으로 나타나 있지 않다. 따라서 이 섹션에는 관련 내용을 작성할 수 없다.
6. 1. 쇼브초드 템치르트(시하이밍)의 당 주석 해임 논란
초대 주석이었던 쇼브초드 템치르트(시하이밍)는 2015년에 당 임원회에서 당 주석에서 해임되었으나, 이를 인정하지 않고 '내몽골 인민당' 명칭을 계속 사용하며 독자적인 활동을 하고 있다.[2] 이로 인해 현재 본체의 내몽골 인민당과 쇼브초드 템치르트의 내몽골 인민당, 두 단체가 병존하는 상황이 발생했다. 쇼브초드 템치르트는 2016년에 남몽골 쿠릴타이(세계 남몽골 회의)를 결성하고 회장에 취임하여 활동의 축을 옮겼다.[2] 남몽골 쿠릴타이(세계 남몽골 회의)의 구성 단체에 내몽골 인민당의 이름이 들어가 있지만, 쇼브초드 템치르트 측은 내몽골 인민당으로서의 활동을 하고 있는 흔적은 보이지 않는다.[2]6. 2. 몽골 자유 연맹당과의 관계 단절
몽골 자유 연맹당(올호노드 다이친)이 내몽골 인민당 당수에서 해임된 쇼브초드 템치르트와 손을 잡고 남몽골 쿠릴타이를 결성함으로써 관계가 단절되었다.[4]참조
[1]
웹사이트
Inner Mongolian People's Party
http://www.innermong[...]
[2]
웹사이트
Inner Mongolian People's Party (English)
https://web.archive.[...]
2010-11-02
[3]
논문
The Cultural Revolution in Inner Mongolia 1967–1969: The Purge of the "Heirs of Genghis Khan"
2007-07
[4]
웹사이트
Overview of Inner Mongolian Separatist Organizations Abroad
http://www.smhric.or[...]
2018-06-18
[5]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Inner Mongolian People's Party
https://web.archive.[...]
2011-11-29
[6]
뉴스
Business Media 誠:ニッポンの紛争地帯をゆく・新連載スタート:なぜ中国大使館前の抗議は「定員5名」なのか (4-5)
https://www.itmedia.[...]
[7]
뉴스
Business Media 誠:ニッポンの紛争地帯をゆく・新連載スタート:なぜ中国大使館前の抗議は「定員5名」なのか (2-5)
https://www.itmedia.[...]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