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소토성 작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소토성 작전은 1942년 12월 16일 시작된 소련군의 공세 작전으로,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에 갇힌 독일군을 구원하려는 독일군의 시도를 저지하고, 로스토프나도누를 탈환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천왕성 작전 이후 독일군이 스탈린그라드에서 고립되자, 소련군은 이탈리아 제8군을 격멸하고 캅카스산맥의 독일군을 차단하기 위해 토성 작전을 계획했으나, 독일군의 겨울 폭풍 작전 개시로 인해 작전 규모가 축소되었다. 소토성 작전은 북쪽과 남쪽에서 동시 진행되었으며, 이탈리아군을 포위하고 타친스카야 비행장을 공격하여 독일군의 보급로를 차단했다. 작전 결과, 독일군은 스탈린그라드 구원 작전을 포기하고, A 집단군을 쿠반으로 철수시켜 스탈린그라드에 갇힌 독일군의 운명을 결정지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42년 12월 - 스탈린그라드 전투
    스탈린그라드 전투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나치 독일과 추축국이 소련의 스탈린그라드를 점령하기 위해 벌인 역사상 가장 큰 규모의 전투 중 하나로, 소련군의 승리로 끝났으며 제2차 세계 대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 1942년 12월 - 겨울 폭풍 작전
    겨울 폭풍 작전은 1942년 독일 제6군 구출을 위해 시도되었으나 소련군의 저항과 작전 실패로 인해 스탈린그라드 전투의 전세를 소련군에게 넘겨준 군사 작전이다.
  • 스탈린그라드 전투 - 바실리 자이체프
    바실리 자이체프는 제2차 세계 대전 스탈린그라드 전투에서 활약하며 225명 이상의 독일군을 사살하고 독자적인 저격 전술을 개발한 소련군 저격수로, 소련 영웅 칭호를 받았고 그의 활약상은 선전에 활용되었으며 일부 기록에 대한 논쟁이 존재하지만, 그의 이야기는 여러 대중문화 작품에 영감을 주었다.
  • 스탈린그라드 전투 - 프리드리히 파울루스
    프리드리히 파울루스는 제1, 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한 독일 군인으로,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 제6군 사령관으로서 스탈린그라드 전투를 지휘하다 소련군에 항복했으며, 전후 반나치 활동에 참여하고 뉘른베르크 재판에 증인으로 출석하는 등 논란의 대상이 되었다.
소토성 작전 - [전쟁]에 관한 문서
소토성 작전 정보
소토성 작전 당시 칸테미로프카역에서 노획한 독일군 전차
소토성 작전 당시 칸테미로프카역에서 노획한 독일군 전차
분쟁동부 전선 (제2차 세계 대전)
날짜1942년 12월 16일 ~ 1942년 12월 30일
장소돈강 및 치르강 유역
결과소련군 승리
교전 세력
교전국 1


지휘관
지휘관 1아돌프 히틀러
에리히 폰 만슈타인
에르하르트 라우스
에발트 폰 클라이스트
이탈로 가리볼디
구스타브 야니
페트레 두미트레스쿠
지휘관 2이오시프 스탈린
표도르 쿠즈네초프
드미트리 렐류셴코
바실리 게라시멘코
필리프 골리코프

2. 배경

천왕성 작전겨울 폭풍 작전은 소토성 작전의 배경이 되는 중요한 사건들이다. 천왕성 작전에서 소련군은 독일 제6군과 제4기갑군을 스탈린그라드에 포위하는 데 성공했다.[1] 이로 인해 독일군은 심각한 보급 문제에 직면하게 되었고,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돈 집단군을 이끌고 겨울 폭풍 작전을 통해 포위망을 돌파하려 시도했다.[6][7]

한편, 소련 최고 사령부(스타브카)는 캅카스산맥에 주둔한 나머지 독일군을 차단하기 위한 "토성 작전"을 계획하고 있었다.[3][4] 그러나 독일군의 겨울 폭풍 작전이 시작되자, 이오시프 스탈린은 "토성 작전"의 규모를 축소하고 공세 방향을 남쪽에서 남동쪽으로 변경하는 결정을 내렸다.[11][12][13][14]

2. 1. 소련군의 스탈린그라드 포위와 독일군의 반격

1942년 11월 19일부터 4일 동안 진행된 천왕성 작전으로 독일 제6군과 제4기갑군이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되었다.[1]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된 독일군은 천왕성 작전이 끝난 뒤 12월 초반 일일 보급품의 20%만 받을 수 있었다.[2]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스탈린그라드 전투로 인해 분할된 독일군 부대를 재편하여 돈 집단군을 창설하고 지휘를 맡게 되었다.[6]

만슈타인은 스탈린그라드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아돌프 히틀러에게 "겨울 폭풍"이라는 암호명의 돌파 작전을 제안했다.[7] 11월 28일, 만슈타인은 히틀러에게 돈 집단군의 상황, 스탈린그라드 내 독일군 포병 탄약 현황, 제6군의 병력을 담은 보고서를 전달했다.[8] 12월 12일, 겨울 폭풍 작전이 개시되었고, 독일군은 공군의 지원을 받으며 순조롭게 진격했다.[12]

2. 2. 작전 계획의 변화

천왕성 작전으로 독일 제6군과 제4기갑군이 스탈린그라드에 포위되자,[1] 소련 최고 사령부는 캅카스산맥에 주둔한 나머지 독일군 부대를 차단하는 "토성 작전"을 준비했다.[3][4] 그러나 스탈린그라드 전투로 독일군 부대가 분할되었고,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돈 집단군을 맡아 아돌프 히틀러에게 "겨울 폭풍" 작전을 제안했다.[6][7]

치르강 유역에 남아있는 독일군을 소탕하기 위해 스타브카는 토성 작전의 개시일을 12월 16일로 미뤘다.[9] 소련군은 독일군의 작전을 알게 되었고,[10] 12월 12일 겨울 폭풍 작전이 개시되자 이오시프 스탈린은 토성 작전에 배정된 돈 전선군의 제2근위군을 스탈린그라드 전선군으로 재배치하고,[11] 토성 작전의 규모를 축소하기로 결정했다.[12][13] 공세 방향 역시 남쪽에서 남동쪽으로 전환되었다.[14]

원래 스탈린은 로스토프나도누를 최종 목표로 하는 "토성 작전"을 계획했지만, 포위된 독일군 병력에 대한 소련 정보기관의 잘못된 계산(실제 병력 25만 명 이상이었지만 8만 명으로 과소평가)과 소련군의 물류 부족으로 인해 이 계획은 비현실적인 것으로 판명되었다.[15][16][17]

3. 소토성 작전의 전개

축소된 "소토성" 작전은 소련군이 돈강과 치르 강의 추축군을 공격하는 것을 목표로 했다. 적군을 격멸한 후 기계화 부대는 서쪽의 밀레로보 통신 중심지와 남쪽의 타친스카야 비행장, 두 방향으로 진격해야 했다. 타친스카야 비행장은 루프트바페의 항공기가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에 보급을 지원하기 위해 출발하던 곳이었다. 또한, 남서전선군은 제1근위군, 제3근위군, 제5전차군이 타친스카야 근처의 모로조프스크를 목표로 공격하여 해당 구역의 적군 집단을 파괴하는 임무를 부여받았으며, 보로네시 전선군의 제6군의 지원을 받았다.[18] 이로 인해 로스토프를 향한 추가적인 공세 계획은 포기되었다.[19]

3. 1. 작전 개시

Малый Сатурн|말르이 사투른ru 작전은 1942년 12월 16일에 시작되었다. 표도르 이시도로비치 쿠즈네초프 장군의 제1근위군과 드미트리 다닐로비치 레류셴코 장군의 제3근위군이 북쪽에서 공격하여 돈강의 이탈리아 제8군 병력 13만 명을 포위하고 밀레로보로 진격했다. 이탈리아군은 일부 구역에서 9대 1로 숫적 열세임에도 소련군의 공격에 저항했지만,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만슈타인은 이탈리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제6기갑사단을 파견했으며, 포위된 병력 13만 명 중 4만 5천 명만이 격렬한 전투 끝에 체르트코보에서 기갑부대와 합류하는 데 성공했다.[18]

3. 2. 독일군 구원 시도 저지

소련군은 타친스카야 비행장을 급습하여 독일군의 보급을 차단하고, 겨울 폭풍 작전을 저지했다.[18] 12월 24일, 소련군 제24전차군단은 타친스카야 비행장에 기습을 감행하여 독일군 수송기를 파괴하고 며칠 만에 작전을 완료했다.[18]

남쪽에서는 게라시멘코 장군의 제28군이 제1기갑군을 포위할 위협을 가했으며, 트루파노프 장군의 제51군은 구원 부대를 직접 공격했다.[18]

3. 3. 독일군의 후퇴

소토성 작전은 12월 16일에 시작되었다. 표도르 이시도로비치 쿠즈네초프 장군의 제1근위군과 드미트리 다닐로비치 레류셴코 장군의 제3근위군이 북쪽에서 공격하여 돈강의 이탈리아 제8군 병력 13만 명을 포위하고 밀레로보로 진격했다. 이탈리아군은 일부 구역에서 9대 1로 숫적 열세임에도 소련군의 공격에 저항했지만, 막대한 손실을 입었다. 에리히 폰 만슈타인은 이탈리아군을 지원하기 위해 제6기갑사단을 파견했으며, 포위된 병력 13만 명 중 4만 5천 명만이 격렬한 전투 끝에 체르트코보에서 기갑부대와 합류하는 데 성공했다.

남쪽에서는 게라시멘코 장군의 제28군이 제1기갑군을 포위할 위협을 가했으며, 트루파노프 장군의 제51군이 구원 부대를 직접 공격했다. 12월 24일, 제24전차군단의 전차가 타친스카야 비행장에 도달하여 급습을 감행, 독일군 수송기를 파괴하고 며칠 만에 작전을 완료했다.

소토성 작전은 돈강 남쪽에서의 또 다른 반격과 동시에 진행되어 스탈린그라드에 갇힌 병력을 구원하려는 독일군의 추가 진격을 저지했다. 구원 부대가 포위될 위협에 처하자, 만슈타인은 12월 29일 코텔니코보로 철수할 수밖에 없었고, 스탈린그라드 포위망에 갇힌 독일군은 운명에 맡겨졌다. 포위된 25만 명 중 9만 명이 포로로 생존했으며, 그중 5천 명만이 독일로 돌아가는 데 성공했다.[18] 소련군의 제한된 공세 범위 덕분에 클라이스트는 제1기갑군을 제외한 A 집단군쿠반 방향으로 철수시킬 시간을 벌었으며, 제1기갑군은 로스토프나도누를 거쳐 돈집단군에 합류했다.[19]

참조

[1] 인용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인용
[6] 서적 Der Globale Krieg: Die Ausweitung zum Weltkrieg und der Wechsel der Initiative Deutsche Verlags-Anstalt
[7] 인용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서적 From the Don to the Dnepr F. Cass
[16] 인용
[17] 인용
[18] 서적 Marshal of Victory, Volume II Pen and Sword Books Ltd.
[19] 인용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