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스토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로스토프는 러시아 야로슬라블주에 위치한 도시로, 핀족 메랴족의 수도였던 사르스코예 고로디셰에 앞서 존재했으며, 바이킹 무역 거점이자 볼가 무역로를 지키는 요새로도 여겨진다. 862년에 처음 언급된 로스토프는 10세기에 블라디미르-수즈달의 수도가 되었고, 1474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편입되었다. 정치적 중요성을 잃은 후에도 종교적 중심지로 남아 크렘린을 비롯한 다양한 건축물들이 보존되어 있다. 현재는 에나멜 제조로 유명하며, 주요 명소로는 로스토프 크렘린, 성모 승천 대성당, 아브라함 수도원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야로슬라블주의 도시 - 다닐로프
다닐로프는 러시아 야로슬라블주 다닐로프스키군의 행정 중심지이자 1777년에 도시 지위를 얻은 도시이며, M8 고속도로와 주요 기차역이 위치하고 치즈 생산 등의 산업이 발달했다. - 야로슬라블주의 도시 - 류빔
류빔은 1546년부터 알려진 러시아의 도시로, 1777년에 도시 지위를 받았으며, 류빔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이고, 목재 가공업이 주요 산업이며, 러시아의 피아니스트 레오카디야 카슈페로바가 태어난 곳이다. - 황금고리 - 야로슬라블
야로슬라블은 11세기 초 야로슬라프 1세가 건설한 러시아 야로슬라블 주의 주도로, 볼가 강과 코토로슬 강 합류 지점에 위치하며, 중세 무역 중심지이자 17세기 교회 건축으로 유명하고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역사적 도시이자 현재 러시아 북서부의 산업 및 문화 중심지이다. - 황금고리 - 코스트로마
코스트로마는 러시아 코스트로마 주의 주도로, 볼가 강과 코스트로마 강이 만나는 지점에 위치하며, 역사적 건축물과 신고전주의 건축 양식 도시 계획이 특징이고, 2022년 화재 사고 이후 약 26만 명의 인구가 거주한다. - 세계유산 잠정목록 - 갈리폴리 전역
갈리폴리 전역은 제1차 세계 대전 중 연합군이 다르다넬스 해협을 장악하고 오스만 제국을 붕괴시키려 했으나 오스만 제국의 방어에 막혀 철수하면서 양측에 막대한 피해를 남기고 호주와 뉴질랜드의 국가 정체성 형성에 영향을 준 군사 작전이다. - 세계유산 잠정목록 - 사라예보
사라예보는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의 수도이자 연방 수도로, 터키어에서 유래한 지명을 가지며 오스만 제국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지배를 받았고, 제1차 세계 대전의 발발 원인이 된 사라예보 사건과 보스니아 전쟁의 장기 포위 공격을 겪었으며, 다양한 문화와 종교가 공존하는 다문화 도시이자 1984년 동계 올림픽 개최지이다.
로스토프 - [지명]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일반 정보 | |
![]() | |
러시아어 이름 | Росто́в |
다른 이름 | 로스토프 벨리키 (Ростов Великий) |
위치 | 야로슬라블 주 |
도시 지위 |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 |
행정 중심지 | 로스토프스키 군 |
행정 | |
시장 | 안드레이 로시 (Andrey Los') |
지리 | |
좌표 | 북위 57° 11' 동경 39° 25' |
인구 | |
2021년 인구 조사 | 30,406명 |
2010년 인구 조사 | 31,792명 |
2002년 인구 조사 | 34,141명 |
1989년 인구 조사 | 35,707명 |
역사 | |
건립 | 862년 |
기타 정보 | |
우편 번호 | 152150 |
지역 번호 | +7 48536 |
자동차 번호판 | 76 |
공식 웹사이트 | 로스토프 시 행정부 웹사이트 |
2. 역사
로스토프는 핀족 메랴 부족의 수도로 해석되기도 하고, 바이킹 무역 거점이자 볼가 무역로를 지키는 요새로 여겨지기도 한다. 노르웨이 자료에서는 Rostofanon[3] 또는 Raðstofanon[4]로 알려져 있으며, 스키타이인들도 그곳에 정착했다. 이러한 여러 민족은 오늘날 그 지역 사람들의 조상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862년에 이미 중요한 정착지로 언급된 로스토프는 10세기경 블라디미르-수즈달의 수도가 되었고, 루스에서 가장 유명한 공국 중 하나였다. 1474년에는 모스크바 대공국에 편입되었다.[5]
독립 지위를 잃은 후에도 로스토프는 교회 중심지로 남았다. 988년부터 러시아 최초의 주교구 중 하나인 야로슬라블 교구의 관할 구역이었으며, 14세기에 로스토프 주교는 대주교가 되었고, 16세기 말에는 관구 대주교가 되었다. 1608년 폴란드 침공 중 폴란드인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 그 후 관구 대주교 이오나 (요나) 시소예비치 (c. 1607–1690)는 로스토프 크렘린을 건설했다.[5] 18세기 말에는 관구 대주교 관할 구역이 야로슬라블로 이전되었다.
로스토프는 에나멜 제조로 유명하다.
1953년 8월 24일, 이 도시는 F3 토네이도에 의해 강타되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토네이도는 최대 폭 550m로 6km를 이동했다.[6]
2. 1. 고대
로스토프는 일부 학자들이 핀족 메랴 부족의 수도라고 해석하는 사르스코예 고로디셰보다 먼저 존재했으며, 다른 학자들은 이곳이 중요한 바이킹 무역 거점이자 볼가 무역로를 지키는 요새였다고 믿고 있다. 노르웨이 자료에서는 Rostofanon[3] 또는 Raðstofanon[4]로 알려져 있다. 스키타이인들도 그곳에 정착했다. 바이킹, 스키타이, 슬라브, 핀족과 같은 여러 민족은 오늘날 그 지역 사람들의 조상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이미 중요한 정착지였던 로스토프는 862년에 문서에 처음 언급되었고, 10세기경 블라디미르-수즈달의 수도가 되었으며, 이곳은 루스에서 가장 유명한 공국 중 하나였다.로스토프 마을이 생기기 전, 네로 호 주변에는 사르스코예 고로디셰(Сарское городищеru, "사라 강의 요새")라는 요새 도시가 있었다. 학자들 중에는 이를 핀-우그리아어족의 메랴인의 수도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볼가강과 발트해를 잇는 하천 교역로 중간에 있는 바이킹(바랴그)의 중요한 요새·교역 도시로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로스토프는 862년의 기록에서는 이미 중요한 도시였으며, 1949년 발굴에서는 나무 조각으로 포장된 길도 발견되었고, 연륜연대기 조사 결과 963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고 한다. 이 시기에 로스토프는 사르스코예를 대신하여 이 지방의 주요 도시가 되었다.
988년에는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 1세의 아들 야로슬라프 (야로슬라프 현공)가 아버지에 의해 로스토프에 배치되었다. 북동 루스의 도시 로스토프는, 로스토프 공가의 조상인 블라디미르 대공 콘스탄틴(1185년-1218년) 시대에는 강국 "로스토프 공국"의 중심지로서 키예프 루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되었다. 이윽고 로스토프 공국은 "로스토프-수즈달 공국",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이 되었고, 중심은 더 새로운 수즈달이나 블라디미르로 옮겨갔다.
2. 2. 중세
로스토프 마을이 생기기 전, 네로 호 주변에는 사르스코예 고로디시셰(Сарское городище|사라 강의 요새ru)라는 요새 도시가 있었다. 학자들은 이를 핀-우그리아어족의 메랴인의 수도, 또는 볼가강과 발트해를 잇는 하천 교역로 중간에 있는 바이킹(바랴그)의 중요한 요새·교역 도시로 보기도 한다. 862년 기록에 따르면 로스토프는 이미 중요한 도시였으며, 1949년 발굴에서는 나무 조각으로 포장된 길이 발견되었는데, 연륜연대기 조사 결과 963년으로 거슬러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시기에 로스토프는 사르스코예를 대신하여 이 지방의 주요 도시가 되었다.988년,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 1세의 아들 야로슬라프가 로스토프에 배치되었다. 북동 루스의 도시 로스토프는 로스토프 공국의 중심지로서 키예프 루스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으며, 블라디미르 대공 콘스탄틴 시대에는 강국으로 성장했다. 이후 로스토프 공국은 "로스토프-수즈달 공국",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으로 이어졌고, 중심은 수즈달이나 블라디미르로 옮겨갔다. 1238년에는 몽골 제국에 의해 약탈·파괴되었고, 1474년에는 모스크바 대공국에 흡수되었다.
정치적 중요성을 잃은 후에도 로스토프는 종교적 중요성을 유지했다. 988년 러시아 초기의 주교좌가 설치되었고, 14세기에는 로스토프 주교가 대주교로, 16세기에는 관구 대주교로 승격되었다. 17세기 대주교 이오나 시소예비치가 세운 크렘린(성채)은 현재 로스토프의 랜드마크이며, 모스크바 외 크렘린 중에서도 아름다운 것으로 손꼽힌다.
로스토프는 13세기 후반 몽골 제국의 약탈 이후, 노가이 오르다의 창시자 예디게의 1408년 습격, 대동란 시대 1608년 폴란드 왕국 군의 약탈 등 여러 차례 피해를 입었다. 18세기 대주교가 야로슬라블로 이전하면서 로스토프는 조용한 시골 마을이 되었고, 현재는 크렘린(성채)과 많은 수도원을 둔 관광지가 되었다.
2. 3. 모스크바 대공국 시대
988년 키예프 대공국의 블라디미르 1세는 아들 야로슬라프를 로스토프에 배치했다. 로스토프는 블라디미르 대공 콘스탄틴 시대에 로스토프 공국의 중심지로서 키예프 루스에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였다. 이후 로스토프 공국은 "로스토프-수즈달 공국", "블라디미르-수즈달 대공국"으로 이어졌고, 중심은 수즈달, 블라디미르로 옮겨갔다. 1238년 몽골 제국에 의해 약탈·파괴되었고,[5] 1474년 모스크바 대공국에 흡수되었다.[5]2. 4. 근현대
862년의 기록에서 이미 중요한 도시로 언급된 로스토프는, 핀족 메랴 부족의 수도로 해석되기도 하고, 바이킹 무역의 중요한 거점이자 볼가 무역로를 지키는 요새로 여겨지기도 한다. 노르웨이 자료에서는 Rostofanon[3] 또는 Raðstofanon[4]로 알려져 있다. 스키타이인들도 이곳에 정착했으며, 바이킹, 스키타이, 슬라브, 핀족 등 여러 민족은 오늘날 이 지역 사람들의 조상이었을 가능성이 높다.988년 키예프 대공 블라디미르 1세의 아들 야로슬라프가 로스토프에 배치되었다. 10세기경 로스토프는 블라디미르-수즈달의 수도가 되었으며, 루스에서 가장 유명한 공국 중 하나였다. 1238년에는 몽골 제국에 의해 약탈·파괴되었고, 1474년에는 모스크바 대공국에 편입되었다.[5]
독립적인 지위를 잃은 후에도 로스토프는 여전히 교회 중심지였다. 988년부터 러시아 최초의 주교구 중 하나인 야로슬라블 교구의 관할 구역이었으며, 14세기에 로스토프 주교는 대주교가 되었고, 16세기 말에는 관구 대주교가 되었다.
로스토프는 13세기 후반 몽골 제국에 의한 약탈 이후, 노가이 오르다의 창시자 예디게에 의한 1408년의 습격까지 다양한 군단에게 약탈을 당했고, 대동란 시대인 1608년 폴란드 침공 중 폴란드인에 의해 완전히 파괴되었다. 그 후 관구 대주교 이오나 (요나) 시소예비치 (c. 1607–1690)는 도시의 주요 랜드마크인 로스토프 크렘린을 건설했는데, 이는 일부에서는 모스크바 외곽에서 가장 훌륭한 것으로 여겨진다.[5] 18세기에 대주교 관할 구역이 야로슬라블로 이전되면서, 로스토프는 조용한 시골 마을이 되었고, 현재는 크렘린(성채)과 많은 수도원을 둔 관광지가 되었다.
로스토프는 에나멜 제조로 유명하다.
1953년 8월 24일, 이 도시는 F3 토네이도에 의해 강타되어 심각한 피해를 입었다. 토네이도는 최대 폭 550m로 6km를 이동했다.[6]
3. 행정 및 지방 자치
행정 구역 틀 내에서 로스토프는 로스토프스키 구의 행정 중심지 역할을 하지만, 로스토프스키 구에 속하지는 않는다.[7] 행정 구역으로서 로스토프는 야로슬라블주의 행정 구역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 로스토프로 통합되어 있다.[7] 지방 자치체로서 오블라스트 중요 도시 로스토프는 로스토프스키 시립 구에 로스토프 도시 정착지로 통합되어 있다.[8]
4. 주요 명소
로스토프는 초기 러시아 정교 건축의 많은 사례를 보여주는 도시이다. 시내 중심부에 있는 가장 오래된 교회는 1565년에 성 이시도르 축복자에게 봉헌되었다.
크렘린은 네로 호를 마주보고 양쪽에 두 개의 수도원을 두고 있다. 크렘린 오른쪽에 아브라함 수도원이 있고, 왼쪽에 스파소-야코블레프스키 수도원이 있다.
로스토프 주변에는 오래된 건축물이 많다. 예를 들어 이쉬냐에는 1687-1689년에 지어진 오래된 목조 교회가 있다. 러시아에서 가장 잘 보존된 수도원 중 하나인 보리스와 글레브 성인들의 이름을 딴 수도원은 도시에서 서쪽으로 약 20km 떨어진 보리소글레브스키에 있다. 이 수도원은 이반 뇌제의 총애를 받았으며, 그는 더 오래된 대성당 주변에 탑을 세운 벽과 종탑 건설을 직접 감독했다. 이반의 죽음 이후 수도원에 추가된 유일한 건물은 대주교 이오나 시소예비치가 의뢰한 바비칸 교회였다.
4. 1. 로스토프 크렘린
도시 중심부에 있는 성모 승천 대성당은 16세기 중반에 지어진 것으로 추정되지만, 벽 하단은 12세기에 만들어진 것이다. 17세기에 건설된 웅장한 종탑에는 러시아에서 가장 크고 유명한 종들이 있으며, 각각 고유한 이름을 가지고 있다. 가장 큰 종은 1688년에 주조되었으며 무게는 32000kg이다. 이 종은 도시 창시자를 기리기 위해 시소이라고 불린다. 이 교회에는 성 레온티우스 로스토프의 썩지 않는 시신이 안치되어 있다.[9]대성당 광장과 호수 사이에는 이오나 시소예비치가 동화 같은 저택을 지은 곳이 있다. 1667년에서 1694년 사이에 모든 건설 작업이 완료되었다. 주요 건물로는 구세주 교회-나-세냐크 (1675), 성 그레고리 교회 (1670), 바비칸 성 요한 사도 교회 (1683), 그리스도 부활 교회 (1670) 등이 있다. 흔히 크렘린이라고 잘못 불리는 이 저택에는 11개의 화려한 탑 종, 수많은 궁전, 여러 개의 작은 종루, 그리고 작은 바로크 양식의 스몰렌스크 성모 교회 (1693)가 있다. 모든 교회는 정교하게 칠해지고 장식되어 있다.
대성당과 은색 "맹목적인" 돔을 가진 4개의 높은 크렘린 교회는 도시 전체에서 모방되었다. 특히 구세주-온-더-마켓 교회와 성모 탄생 수녀원의 대성당 교회에서 두드러지며, 두 건물 모두 17세기 건물로 크렘린 벽 근처에 있다.

4. 2. 성모 승천 대성당
로스토프 중심 광장에는 성모 승천 대성당이 있다. 현재 건물이 언제 세워졌는지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16세기 중반이 가장 유력한 시기로 여겨진다. 대성당 벽의 하단 부분은 12세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9] 웅장한 종탑은 대부분 17세기에 건설되었다. 종탑의 종들은 러시아에서 가장 크고 유명한 종들 중 하나로, 각각 고유한 이름이 있다. 1688년에 주조된 가장 큰 종은 32000kg의 무게를 가지며, 도시의 창시자를 기리기 위해 시소이라고 명명되었다.[9] 이 교회는 성 레온티우스 로스토프의 썩지 않는 시신이 안치된 곳이다.[9]4. 3. 아브라함 수도원
아브라함 수도원은 11세기에 세워진 러시아에서 가장 오래된 수도원 중 하나이다. 이반 뇌제는 1553년 카잔 정복을 기념하기 위해 이 수도원의 대성당을 의뢰했으며, 이 대성당은 야로슬라블을 비롯한 이 지역의 수많은 교회에 영감을 주었다.[9]4. 4. 스파소-야코블레프스키 수도원
스파소-야코블레프스키 수도원은 성 드미트리 로스토프의 성지로 존경받아 왔다. 수도원 구조물의 대부분은 18세기 말과 19세기 초에 훌륭한 신고전주의 양식으로 건설되었다. 17세기 교회로는 성 안나 수태 교회와 구세주 변모 교회, 2곳이 있다. 도시의 다른 대부분의 교회와 달리, 이 수도원은 러시아 정교회 소속이며 신학 신학교가 있다.[9]4. 5. 이쉬냐 교회
이쉬냐에는 1687-1689년에 지어진 오래된 나무 교회가 있다.5. 자매 도시
6. 영화 속 로스토프
- Пётр Первый|표트르 페르비|표트르 1세ru (1937), 블라디미르 페토프 감독
- Иван Васильевич меняет профессию|이반 바실리예비치 메냐예트 프로페시유|이반 바실리예비치: 미래로ru (1973), 레오니트 가이다이 감독
7. 유명 인물
- 드미트리 보리소비치 (1253–1294), 러시아 귀족
- 로스토프의 콘스탄틴 (1186–1218), 대 둥지공작 세볼로트와 마리아 슈바르노브나의 장남
- 바실코 콘스탄티노비치 (1209–1238), 초대 로스토프 공작
- 로스토프의 드미트리 (1651-1709), 대주교
- 올레나 크리비츠카 (1987년 출생), 우크라이나 펜싱 선수
- 레프 나우모프 (1925–2005), 러시아의 클래식 피아니스트, 작곡가, 교육자
- 유리 알렉산드로비치 빌리빈 (1901–1952), 지질학자
- 베라 드미트리예브나 티토바 (1888–?), 러시아 과학자이자 교육자[12]
- 알렉산드르 사포시킨 (1976년 출생-), 러시아 체조 선수
참조
[1]
웹사이트
Биография
http://grad-rostov.r[...]
2020-02-24
[2]
간행물
ru-pop-ref
2010
[3]
논문
The Image of Old Rus in Old Norse Literature
https://www.academia[...]
2003
[4]
서적
Drevne-skandinavskie geograficheskiye sochineniya: teksty, perevod, kommentariy
https://books.google[...]
Nauka
1986
[5]
웹사이트
The Cathedral of Rostov the Great: Reclaiming Russia's past
https://www.rbth.com[...]
Russia Beyond the Headlines
2019-09-06
[6]
웹사이트
European Severe Weather Database
https://eswd.eu/cgi-[...]
[7]
문서
Law #12-z
[8]
문서
Law #65-z
[9]
웹사이트
Internetowa Liturgia Godzin
https://www.brewiarz[...]
[10]
웹사이트
Ystävyyskaupungit
http://www.svkk.fi/t[...]
Suomalais-venäläinen kauppakamari
2012-05-07
[11]
웹사이트
Interactive City Directory
http://www.sister-ci[...]
2015-07-10
[12]
웹사이트
Interview: A 19th-century Woman of Science
https://veronikaspin[...]
2022-10-11
[13]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citypopulati[...]
2023-05-2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