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캅카스산맥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캅카스산맥은 유라시아판과 아라비아판의 충돌로 형성된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의 일부로, 지질학적으로 대캅카스 산맥과 소캅카스 산맥으로 구분된다. 이 지역은 지진 활동이 활발하며, 엘브루스 산(5,642m)을 포함한 여러 높은 봉우리들이 위치해 있다. 캅카스산맥의 기후는 고도와 위도에 따라 다양하며, 식생 또한 아열대 습지부터 고산 초원까지 다채로운 생물 군계를 보인다. 캅카스산맥 주변 지역은 다양한 언어와 민족으로 구성된 캅카스 지역으로, 역사적으로 실크로드의 일부였으며, 러시아 제국과 소련의 지배를 거쳐 현재는 여러 독립 국가와 분쟁 지역을 포함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카라차예보체르케스카야 공화국의 지형 - 옐브루스산
    옐브루스산은 러시아의 카바르디노-발카르 공화국과 카라차예보-체르케스 공화국 경계에 있는 유럽 최고봉의 휴화산으로, 다양한 이름으로 불리며 두 개의 봉우리와 빙하, 화산 활동 흔적을 지니고 있고 등반과 관광, 마라톤 대회 장소로 활용된다.
  • 캅카스의 지형 - 볼쇼이캅카스산맥
    흑해와 카스피해 사이 유럽과 아시아 경계에 위치한 볼쇼이캅카스산맥은 서캅카스, 중앙 캅카스, 동캅카스로 나뉘며, 엘브루스산을 비롯한 5,000m 이상의 봉우리들이 솟아있는 코카서스 지역의 분수계로서 러시아, 조지아, 아제르바이잔의 국경과 접한다.
  • 캅카스의 지형 - 말리캅카스산맥
    말리캅카스산맥은 조지아, 튀르키예,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의 국경에 걸쳐 있는 산맥으로, 과거에는 안티카우카수스로 불렸으나 현재는 소(小) 코카서스라는 명칭으로 널리 사용되며, 최고봉은 아르메니아의 아라가츠 산(4,090m)이다.
  • 아르메니아의 산맥 - 말리캅카스산맥
    말리캅카스산맥은 조지아, 튀르키예,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이란의 국경에 걸쳐 있는 산맥으로, 과거에는 안티카우카수스로 불렸으나 현재는 소(小) 코카서스라는 명칭으로 널리 사용되며, 최고봉은 아르메니아의 아라가츠 산(4,090m)이다.
  • 아르메니아의 산맥 - 아르메니아고원
    아르메니아고원은 유라시아 산맥의 일부로서 튀르키예 동부,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일부, 이란 북서부에 걸쳐있는 고원 지대로, 화산 활동과 구조 운동으로 형성되었으며 주요 호수와 풍부한 수자원을 보유하고, 역사적으로 철기 시대 중심지이자 다양한 민족의 거주지였으나 현재는 여러 국가의 영토로 나뉘어 있다.
캅카스산맥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지형도
지형도
코카서스 산맥의 공중 사진
코카서스 산맥의 공중 사진
기본 정보
이름코카서스 산맥
원어 이름조지아어: კავკასიონი (카프카시오니)
아르메니아어: Կովկասյան լեռներ (코브카샨 레르네르)
아제르바이잔어: Гафгаз дағлары/Qafqaz dağları (가프가즈 다을라르/카프카즈 다을라르)
러시아어: Кавка́зские го́ры (카프카스키예 고리)
아바르어: Кавказалъул мугӀрул (카프카자울 무흐룰)
레즈기어: Кавказдин дагъ (카프카즈딘 다그)
쿠미크어: Кавказны тёбе (카프카즈느 툐베)
체첸어: Кавказан лаьмнаш (카프카잔 램나시)
잉구시어: Кавказа лоамаш (카프카자 로아마시)
카라차이바르카르어: Кавказ таула (카프카즈 타울라)
압하스어: Акавказтә ашьха (아카프카즈트° 아쉬하)
오세트어: Кавказы хӕхтӕ (카프카지 하에흐태)
튀르키예어: Kafkas Dağları (카프카스 다을라르)
페르시아어: كوه‌هاى قفقاز (쿠흐하이 카프카즈)
위치유라시아 대륙의 경계 지역
최고봉엘브루스 산
최고봉 높이5,642m
길이1,200km
160km
국가러시아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
이란
지질학
지질조산운동
특징
분류세븐 서밋
기타
관련 항목코카서스 산맥 (달)

2. 지질

캅카스산맥은 알프스-히말라야 조산대의 일부로, 유라시아판아라비아판의 충돌로 형성되었다. 대캅카스산맥은 주로 백악기쥐라기 암석으로 구성된 습곡산지이며, 소캅카스산맥은 주로 팔레오세 암석으로 구성된 화산 지형이다.

아라비아판유라시아판 쪽으로 북상하면서 이란판과 충돌했고, 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던 유라시아판이 이란판에 압력을 가하면서 대캅카스산맥이 형성되었다. 이 충돌은 소캅카스산맥의 융기와 신생대 화산 활동을 야기했다.[5]

캅카스 지역은 지진 활동이 활발하며, 특히 1988년 아르메니아 스피타크 지진은 규무리-바나드조르 지역에 큰 피해를 입혔다.[6] 조지아의 자바케티 고원과 중앙 아르메니아 일대는 이 지역에서 가장 최근에 형성된 지형 중 일부이다. 카프카스는 최근까지 화산 활동이 활발했다. 엘브루스 산과 카즈베크 산은 플라이오세-플라이스토세 화산으로 형성되었다. 카즈베크 산은 더 이상 활동하지 않지만, 엘브루스 산은 빙하기 이후 분출했고, 정상 근처에서 분기공 활동이 기록되었다.

2. 1. 주요 봉우리

캅카스산맥의 주요 봉우리
봉우리 이름높이 (m)돌출부 (m)국가비고
엘브루스 산56424741러시아유럽 최고봉
디흐타우 산52052002러시아
슈하라 산52011365조지아/러시아
Koshtan-Tau|코슈탄타우영어5152822러시아
Janga (mountain)|잔가 산|잔기타우영어5059300조지아/러시아
카즈베크 산50472353조지아
푸슈킨 봉5033110조지아/러시아
Katyn-Tau|카틴타우영어4979240조지아/러시아
쿠쿠르틀루 돔497818러시아
기스톨라 산4860320조지아
쇼타 루스타벨리 봉4860약 50조지아/러시아
테트눌디 산4858672조지아
지마라 산4780840조지아/러시아
우슈바 산47101143조지아
두말라타우 산4682332러시아
고라 우일파타 산46491300러시아
티흐텐겐 산4618768조지아/러시아
아이라마 산45471067조지아
티우티운타우 산4540380러시아
자일리크 산4533926러시아
샐리난 산4508621러시아
테불로스므타 산44992145조지아/러시아
바자르뒤쥐 산44662454아제르바이잔아제르바이잔 최고봉
고라 샨 산44511775러시아/조지아
테플리 산44311144러시아
디클로 산4285843조지아
샤흐다그 산42431102아제르바이잔
고라 아달라 슈켈메즈르 산41521792러시아
고라 듈티다그 산41271834러시아
아라가츠 산40902143아르메니아성층화산
츠쿠크-카르카르3000--화산 (마지막 분화는 기원전 3000년)
포락2800--화산 (마지막 분화는 기원전 778년)
뵈위크 이쉬클리3552--화산


3. 기후

캅카스산맥의 기후는 고도와 위치에 따라 다양하다. 일반적으로 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온은 낮아진다. 압하지야 수후미의 연평균 기온은 15°C인 반면, 3700m 고도의 카즈벡 산 사면에서는 연평균 기온이 -6.1°C까지 떨어진다. 대캅카스 산맥의 북쪽 사면은 남쪽 사면보다 3°C 더 춥다.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 조지아의 소캅카스 산맥 고지대는 대륙성 기후의 영향으로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가 크다.

강수량은 대부분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산악 지역은 저지대보다 강수량이 많다. 북동부 지역(다게스탄)과 소캅카스 산맥의 남부 지역이 가장 건조하며, 북동부 카스피 저지의 연 강수량 최소값은 250mm이다. 대캅카스 산맥의 남쪽 사면은 북쪽 사면보다 강수량이 많다. 서부 캅카스의 연 강수량은 1000mm에서 4000mm 사이이며, 동부 및 북부 캅카스(체첸 공화국, 잉구셰티야 공화국, 카바르디노-발카리아 공화국, 오세티야, 카헤티, 카르틀리 등)의 강수량은 600mm에서 1800mm 사이이다. 연 강수량 최대값은 메스케티 산맥의 아자리아에 있는 Mtirala 산 지역으로 4100mm이다. 메스케티 산맥을 제외한 소캅카스 산맥(남부 조지아, 아르메니아, 서부 아제르바이잔)의 연 강수량은 300mm에서 800mm 사이이다.

캅카스 산맥은 많은 눈이 내리는 것으로 유명하지만, 바람받이 사면에 위치하지 않은 지역은 눈이 적게 내린다. 특히 소캅카스 산맥은 흑해의 습한 공기로부터 고립되어 있어 대캅카스 산맥보다 눈 형태의 강수량이 적다. 소캅카스 산맥의 평균 겨울 적설량은 10cm에서 30cm 사이이다. 대캅카스 산맥, 특히 남서쪽 사면은 폭설로 유명하며, 11월부터 4월까지 눈사태가 자주 발생한다.

몇몇 지역(스바네티와 북부 압하지야)의 적설량은 5m에 달할 수 있다. 캅카스에서 가장 눈이 많이 내리는 곳인 아치쉬호 산 지역은 종종 7m의 적설량을 기록한다.

4. 식생

캅카스산맥은 고도와 큰 수계와의 거리에 따라 다양한 식생 분포를 보인다.

조지아 주타 계곡, 대캅카스산맥 남쪽 사면


조지아의 폭포, 다리아리 협곡의 일부

대캅카스산맥 북쪽 사면의 저지대는 참나무, 너도밤나무, 단풍나무, 물푸레나무 숲이, 고지대는 자작나무소나무 숲이 덮고 있다. 일부 저지대는 스텝과 초원이다. 북서부 대캅카스(카바르디노발카리아, 체르케시아 등) 사면에는 가문비나무전나무 숲도 있다. 해발 2000m 이상에서는 고산 지대가 숲을 대체한다. 영구 동토층/빙하선은 보통 해발 2800m에서 3000m 부근에서 시작된다. 대캅카스산맥 남동쪽 사면은 너도밤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서어나무, 물푸레나무 숲으로 덮여 있고, 고지대는 너도밤나무 숲이 우세하다. 남서쪽 사면 저지대는 콜키스 숲(참나무, 황양목, 너도밤나무, 밤나무, 느릅나무)이, 고지대는 침엽수와 혼합림(가문비나무, 전나무, 너도밤나무)이 우세하다. 남쪽 사면의 고산 지대는 해발 2800m까지이며, 빙하/눈선은 3000m에서 3500m에서 시작된다.

소캅카스산맥 북쪽과 서쪽 사면 저지대는 콜키스 숲과 활엽수림이, 고지대는 혼합림과 침엽수림(주로 가문비나무전나무)이 우세하다. 고지대에는 너도밤나무 숲도 흔하다. 소캅카스산맥 남쪽 사면은 해발 2500m까지 대부분 초원과 스텝으로 덮여 있고, 가장 높은 지역에는 고산 초원이 있다.

5. 인문 환경

캅카스산맥 주변 지역은 캅카스라고 부른다. 캅카스는 언어와 민족 구성이 매우 다양하다. 크게 캅카스 토착 민족 (조지아인, 압하스인, 아디게인, 체첸인, 인구시인, 레즈긴인, 아바르인, 라크인, 체르케스인, 카바르딘인 등), 인도유럽계 민족 (아르메니아인, 러시아인, 오세트인, 쿠르드족 등), 튀르크계 민족 (아제르바이잔인, 카라차이인, 발카르인, 쿠미크인, 노가이인)으로 나눌 수 있다.

19세기 러시아 제국 정복 이후 러시아의 지배를 받았으며, 20세기 동안 소련의 일부였다. 오늘날 북캅카스는 러시아의 일부로 남아 있으며, 남캅카스에는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가 독립국으로 존재한다. 한편 일부 지역은 이란, 터키의 영토에 속한다.

6. 역사

캅카스산맥은 실크로드 북쪽 루트의 중요한 구간이었다. 조지아의 투셰티 목동들은 1만 년 이상 계절별 방목지로 가축을 이동시키는 전이방목[9]을 해왔다. 데르벤트(카스피 해의 관문 또는 알렉산더의 관문으로 알려짐)에는 남동쪽 끝에 한 개의 고개가 있었고, 산맥 전체에는 즈바리 고개(2379m), 조지아 군사 도로 상의 다리알 협곡, 오세티아 군사 도로 상의 마미손 고개(2911m), 로키 터널(2310m) 등 여러 고개가 있었다.

19세기 러시아 제국의 정복 이후 캅카스산맥은 러시아의 지배 하에 있었으며 20세기 동안 소련의 일부였다. 오늘날 북캅카스는 러시아의 일부로 남아 있으며, 남캅카스에는 조지아, 아제르바이잔, 아르메니아가 독립국으로 존재하는 한편 일부 지역은 이란, 터키의 영토로 있다.

참조

[1] opentopomap Mount Elbrus 2023-04-14
[2] 서적 Encyclopedia of Snow, Ice and Glaciers https://books.google[...] Spring Science & Business Media 2011
[3] 학술지 The Caucasian-Arabian segment of the Alpine-Himalayan collisional belt: Geology, volcanism and neotectonics 2015-07-01
[4] 서적 Atlas of the world https://www.worldcat[...] National Geographic Society 2021-01-09
[5] 학술지 Geology of the Caucasus: A Review https://instruct.uwo[...] 2011-01
[6] 학술지 Global Positioning System measurements of present-day crustal movements in the Arabia–Africa–Eurasia plate collision zone 1997-01
[7] 학술지 The Caucasus 1989-04-01
[8] 웹사이트 Mt. Elbrus https://earthobserva[...] NASA 2003-07-07
[9] 웹사이트 The Stark Beauty of Tushetian Shepherds' Journey Across Georgia's Caucasus Mountains http://www.atlasobsc[...] 2023-03-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