쇼니 노리요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쇼니 노리요리는 무로마치 시대의 무장으로, 쇼니 씨의 일원이다. 1433년 아버지와 형이 사망한 후 형과 함께 쓰시마로 피신하여 소 사다모리의 보호를 받았다. 이후 가독을 상속받았으나 가키쓰의 난에 연루되어 막부의 추토를 받게 되었고, 조선 세종은 그의 동향에 대해 관심을 가졌다. 이후 사면을 받아 비젠국으로 돌아왔으나 오우치 씨와의 다툼에서 패배하여 쓰시마로 도망가기를 반복했다. 1465년 지쿠젠 슈고로 임명되었으나 오닌의 난에서 패하여 자결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할복 - 쇼니 마사스케
쇼니 마사스케는 무로마치 시대 쇼니 씨의 당주로, 오닌의 난에 참전하여 가문 재건을 시도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고 히젠에서 자결한 인물이다. - 1426년 출생 - 금성대군
금성대군은 조선 세종의 여섯째 아들로, 단종 복위를 꾀하다 실패하여 세조에 의해 처형되었으며, 사후 신원되고 관작이 복구되었다. - 1426년 출생 - 크리스티안 1세
크리스티안 1세는 올덴부르크 가문 출신으로 덴마크, 노르웨이, 스웨덴의 국왕을 지냈으며 슐레스비히 공작과 홀슈타인 백작을 겸했고 코펜하겐 대학교 설립에 기여했으나 칼마르 동맹 재건 시도는 실패했다. - 1469년 사망 - 임영대군
세종과 소헌왕후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은 무예에 능했으며, 총통과 화차 제작에 참여했고, 계유정난 때 수양대군을 도와 세조 즉위에 공을 세운 왕실의 수장격 인물이다. - 1469년 사망 - 프라 필리포 리피
프라 필리포 리피는 15세기 이탈리아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로, 마사초의 영향을 받아 종교화를 현실적으로 묘사했으며, 프라토 대성당의 프레스코화를 비롯한 여러 작품을 남겼다.
쇼니 노리요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씨명 | 쇼니 씨(少弐氏) |
이름 | 쇼니 노리요리(少弐教頼) |
아명 | 마쓰보시마루(松法師丸) |
계명 | 국번정진(国藩浄鎮) |
시대 | 무로마치 시대(室町時代) |
출생 | 오에이(応永) 33년(1426년) |
사망 | 오닌(応仁) 2년 12월 6일(1469년 1월 18일) |
관위 | 다자이노쇼니(大宰少弐) |
막부 |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 지쿠젠슈고(筑前守護) |
가계 | |
아버지 | 쇼니 미쓰사다(少弐満貞) |
형제 | 스케쓰구(資嗣) 요시요리(嘉頼) 노리요리 바바 요리쓰네(馬場頼経) 지쿠시 요리카도(筑紫頼門) |
아내 | 정실: 소 사다모리(宗貞盛)의 딸 측실: 나베시마 쓰네타다(鍋島経直) (법명은 도수道樹)의 딸 |
자녀 | 마사스케(政資) 지바 다네스케(千葉胤資) 나베시마 쓰네후사(鍋島経房) |
현손 |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 |
기타 정보 | |
주군 | 아시카가 요시노리(足利義教) 요시카쓰(義勝) 요시마사(義政) |
2. 약력
형 요시요리의 요절 후 가독(家督)을 상속받았다.[24][6] 1441년 가키쓰의 난에 연루되어 막부의 추토 대상이 되었고, 이로 인해 쓰시마로 피신하는 등 어려움을 겪었다.[25][7] 장인 소 사다모리의 도움으로 사면되어 비젠국으로 복귀한 후에도[20][29] 오우치 씨 등과의 항쟁을 계속하며 패배와 피난을 반복했다.[11][13]
간쇼 6년(1465년) 오우치 노리히로가 사망하자 지쿠젠국 슈고로 임명되기도 했다.[33][14] 1467년 오닌의 난이 발발하자 동군(東軍)에 가담하여 세력 회복을 시도했으나, 오우치 마사히로 세력과의 전투에서 패배하여 1469년 지쿠젠국 다카스 성(高祖城)에서 자결하였다.[34][15][35][16] 쇼니 씨 재흥의 과업은 아들 쇼니 마사스케에게 이어졌다.
2. 1. 출생과 쓰시마 피난
에이쿄(永享) 5년(1433년) 아버지 쇼니 미쓰사다와 형 스케쓰구가 오우치 모치요와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전사하자, 노리요리는 형 요시요리와 함께 쓰시마로 피신하여 소 사다모리의 비호를 받게 되었다. 쓰시마에서 원복을 치르고 가독(家督)을 상속받은 형 요시요리는 에이쿄 12년(1440년), 무로마치 막부의 6대 쇼군인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중재로 오우치 모치요와 화친하고 쇼니 씨의 존속을 인정받았다. 그러나 이듬해인 1441년, 형 요시요리는 21세의 젊은 나이로 요절하였다.2. 2. 가독 상속과 가키쓰의 난
형 쇼니 요시요리는 에이코 12년(1440년) 막부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의 중재로 오우치 모치요와 화친하고 가문의 존속을 인정받았으나, 이듬해인 1441년 21세의 나이로 요절하였다.노리요리는 형 요시요리처럼 원복(元服) 때 쇼군 아시카가 요시노리로부터 이름 한 자(偏諱)를 받아 '노리요리(教頼)'라 칭하였고, 형의 죽음으로 가독(家督)을 상속받았다.[24][6] 그러나 같은 해 가키쓰 원년(1441년) 6월 24일에 가키쓰의 난이 발발하자, 난의 주모자였던 아카마쓰 미쓰스케의 동생 아카마쓰 노리시게가 규슈로 도망쳐 오자 그를 숨겨주고 조선으로 탈출하는 것을 도왔다. 이 일로 인해 10월 14일 오우치 노리히로, 오토모 지카쓰나, 시가 지카요시 등은 막부로부터 노리요리 추토 명령을 받게 되었다.[25][7] 쫓기는 신세가 된 노리요리는 다시 쓰시마로 달아났다. 이듬해 가키쓰 2년(1442년) 12월 15일, 막부의 명을 받은 시가 지카요시 등은 오토모 모치타다나 오우치 노리유키와 함께 노리요리의 소재를 수색하였다.[26][8]
한국의 《세종실록》에는 왜인(倭人) 돈사문(頓沙文)을 통해 쇼니 도노(少弐殿, 쇼니 노리요리)가 전쟁에 패해 영토를 잃고 5천 명의 군사를 거느리고 쓰시마에 머무르고 있다는 소식을 접한 세종이, 식량이 떨어져 굶주릴 경우 조선을 침략할 가능성에 대비하고, 실제로 쇼니 노리요리가 쓰시마에 있는지 삼포(三浦)를 오가는 왜인들에게 확인하도록 경상 좌ㆍ우도 병마 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와 수군 도안무처치사(水軍都安撫處置使)에게 지시했다는 기록이 있다.[27]
2. 3. 조선과의 관계
가키쓰의 난 이후, 노리요리는 난의 주모자 아카마쓰 미쓰스케의 동생 아카마쓰 노리시게가 규슈로 도망쳐 오자 그를 숨겨주고 조선으로 탈출하는 것을 도왔다. 이 일로 인해 노리요리는 막부의 추토 대상이 되어 다시 쓰시마로 도망치게 되었다.[25]한편, 조선의 기록인 《세종실록》에는 당시 쓰시마에 머무르던 쇼니 노리요리에 대한 언급이 나온다. 세종은 왜인(倭人) 돈사문(頓沙文)으로부터 쇼니 도노(少弐殿|쇼니도노일본어), 즉 쇼니 노리요리가 전쟁에서 패배하여 영지를 잃고 군사 5천 명을 이끌고 쓰시마에 머물고 있다는 보고를 받았다. 이에 세종은 노리요리 세력이 식량이 떨어져 굶주리게 될 경우 조선을 침략할 가능성에 대비하도록 지시했다. 또한, 실제로 노리요리가 쓰시마에 머무르고 있는지 삼포를 오가는 왜인들을 통해 확인하여 보고하도록 경상 좌·우도 병마 도절제사(兵馬都節制使)와 수군 도안무처치사(水軍都安撫處置使)에게 명하였다.[27] 이는 당시 조선이 일본 내부의 정치적 혼란과 그로 인한 잠재적 위협에 대해 주의 깊게 관찰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2. 4. 사면과 복귀, 그리고 최후
분안 3년(1446년), 장인이었던 쓰시마 도주 소 사다모리가 교토로 상경하여 간레이 호소카와 가쓰모토에게 노리요리가 처한 어려운 상황을 호소하며[28] 그의 사면을 요청하였다.[20] 이듬해인 분안 4년(1447년), 소 사다모리로부터 사면 소식을 전해 들은 노리요리는 비젠국으로 돌아올 수 있었다.[29]복귀 후에도 노리요리의 시련은 계속되었다. 분안 5년(1448년) 1월, 일본으로 귀국한 아카마쓰 노리시게와 함께 비젠에서 오우치 노리히로와 싸웠으나 패배하였다. 교토쿠 3년(1454년) 3월에는 히젠국 고세노(巨勢野)에서 규슈 단다이 시부카와 노리타다와 싸웠고,[30] 고쇼 원년(1455년)에는 마쓰라(松浦)로 피신해야 했다.[31] 조토쿠 3년(1459년)에는 지쿠젠국에서 다시 오우치 노리히로에게 패배하여 쓰시마로 달아났다.[32]
간쇼 6년(1465년) 9월 3일, 호소카와 씨와 대립하던 지쿠젠 슈고 오우치 노리히로가 사망하자, 같은 해 9월 10일 노리요리가 지쿠젠 슈고로 임명되었다.[33]
오닌 원년(1467년) 오닌의 난이 발발하자, 서군(西軍)에 속해 교토로 상경한 오우치 마사히로의 부재를 틈타 세력 회복을 시도하였다. 노리요리는 동군(東軍)과 내통하고, 소 사다모리의 아들 소 시게모토(成職)의 가신 소 모리타다(宗盛直)와 함께 쇼니 가문의 옛 영지였던 다자이후를 공격했으나 실패하였다.[34] 이듬해인 오닌 2년(1469년), 지바 노리타네와 기쿠치 다케쿠니 등과 다시 군사를 일으켜 다자이후를 점거하고 있던 오우치 씨의 슈고다이 닌보 모리야스(仁保盛安)를 공격했다. 그러나 오우치 마사히로의 명을 받은 동생 지쿠시 요리카도(筑紫頼門)와 시부카와 요시타네(渋川義種)의 군대에 패배하였고, 결국 지쿠젠국 시마 군의 다카스 성(高祖城)에서 자결하였다.[35] 쇼니 가문의 재흥이라는 목표는 아들 쇼니 마사스케에게 이어졌다.
3. 쇼니 씨 재흥
쇼니 씨 재흥은 아들 마사스케(요리타다)에게 계승되었다.
4. 출전
참조
[1]
인용
[2]
서적
歴代鎮西志
[3]
서적
歴代鎮西要略
[4]
서적
北肥戦誌
[5]
서적
別本少弐系図
[6]
사료
史料綜覧 第7編之907
[7]
사료
史料綜覧 第7編之907
[8]
사료
史料綜覧 第7編之907
[9]
사료
史料綜覧 第7編之907
[10]
사료
史料綜覧 第7編之907
[11]
사료
史料綜覧 第7編之908
[12]
사료
史料綜覧 第7編之908
[13]
사료
史料綜覧 第7編之908
[14]
사료
史料綜覧 第7編之908
[15]
서적
宗氏家譜
[16]
사료
大日本史料 第8編之1
[17]
인용
[18]
서적
역대진서지
[19]
서적
역대진서요략
[20]
서적
북비전지
[21]
서적
별본 쇼니 계도
[22]
기록
세종실록
1447-10-26
[23]
기록
단종실록
1453-04-13
[24]
사료
사료종람 제7편지907
[25]
사료
사료종람 제7편지907
[26]
사료
사료종람 제7편지907
[27]
기록
세종실록
1442-06-15
[28]
사료
사료종람 제7편지907
[29]
사료
사료종람 제7편지907
[30]
사료
사료종람 제7편지908
[31]
사료
사료종람 제7편지908
[32]
사료
사료종람 제7편지908
[33]
사료
사료종람 제7편지908
[34]
서적
소 씨 가보
[35]
사료
대일본사료 제8편지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