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에즈 운하 대교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수에즈 운하 대교는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건설된 다리로, 이집트 수에즈 운하를 가로지른다. 2001년 10월에 개통되었으며, 총 길이 3.9km로, 400m의 사장교 주 경간과 양쪽에 1.8km의 접근 경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 아래 공간은 70m이며, 주탑은 오벨리스크 모양으로 설계되었다. 건설 비용의 60%는 일본이, 40%는 이집트가 부담했으며, 수에즈 운하 주변 지역 개발의 일환으로 건설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완공된 교량 - 청담대교
청담대교는 서울 강남구 청담동과 광진구 능동을 잇는 한강의 다리로서, 서울 지하철 7호선과 동부간선도로가 복층 구조로 통과하는 병행교량이며, 서울 동부 지역 교통난 해소에 기여하고 뚝섬 한강공원과 인접해 있다. - 2001년 완공된 교량 - 게이츠헤드 밀레니엄 브리지
게이츠헤드 밀레니엄 브리지는 영국 게이츠헤드와 뉴캐슬어폰타인을 잇는 세계 최초의 경사교로, 선박 통행 시 다리 전체가 회전하는 "깜빡이는 눈 다리"라는 별칭을 가진 지역 랜드마크이자 관광 명소이다. - 수에즈 운하 - 제2차 중동 전쟁
제2차 중동 전쟁은 1956년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에 반발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 군사 개입하면서 발발했으며,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휴전하고 철수하면서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 통제권을 유지하고, 영국과 프랑스는 영향력을 상실했으며, 이스라엘은 안보를 강화한 사건이다. - 수에즈 운하 - 욤키푸르 전쟁
욤키푸르 전쟁은 1973년 이집트와 시리아가 이스라엘을 기습 공격하며 시작된 제4차 중동 전쟁으로, 이스라엘은 초반 고전했으나 미국의 지원으로 반격에 성공하여 수에즈 운하 서쪽과 골란 고원을 확보했으며, 이집트-이스라엘 평화 협상으로 이어지는 계기가 되었다.
| 수에즈 운하 대교 - [지명]에 관한 문서 | |
|---|---|
| 지도 정보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수에즈 운하 대교 |
| 다른 이름 | 무바라크 평화교 이집트-일본 우정의 다리 |
| 공식 이름 | Suez Canal Bridge |
| 위치 | 엘칸타라, 이집트 |
| 소유자 | 도로, 교량 및 운송 일반 당국 교통 통신부 |
| 관리 | 도로, 교량 및 운송 일반 당국, 교통 통신부 |
| 용도 | 4차선 차량 통행 |
| 디자인 | |
| 설계자 | 카지마 |
| 건설사 | 카지마 JFE 홀딩스 일본제철 |
| 디자인 | 케이블 지지교, 세미 팬 배열, H형 주탑, 속이 빈 박스형 |
| 재료 | 강철 및 철근 콘크리트 |
| 치수 | |
| 주 경간 | 404 m |
| 길이 | 3.9 km |
| 폭 | 22.8 m |
| 높이 (주탑) | 154 m |
| 하단 간격 | 70 m |
| 연혁 | |
| 시작 | 1995년 |
| 개통 | 2001년 10월 9일 |
2. 설계와 건설
수에즈 운하 대교는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건설되었다. 1995년 3월 호스니 무바라크 당시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 건설 비용의 60%를 일본이 지원하기로 합의했고, 이집트는 나머지 40%를 부담했다. 다리는 2001년 10월에 개통되었다.
운하 위로 70m 높이, 총 길이 3.9km로, 400m 길이의 사장교 주 경간과 양쪽에 1.8km 길이의 접속 경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경간을 지지하는 두 개의 주탑은 각각 154m 높이로, 파라오 시대 오벨리스크 모양으로 설계되었다. 다리 아래 통과 높이는 70m이며, 수에즈 운하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의 최대 높이는 수면 위 68m로 제한된다.[10]
2. 1. 일본의 지원과 건설 참여
이 다리는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건설되었으며, 주계약자는 가시마 건설이었다.[9] 가지마 건설 주식회사[2] 외에 고가부 시공은 JFE 엔지니어링, 신일본제철의 컨소시엄이 맡았다.[6][7]건설 비용의 60%(1350억엔)는 시나이반도 개발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995년 3월 호스니 무바라크 당시 대통령이 일본을 방문했을 때 일본의 지원금으로 합의되었다. 이집트는 나머지 40%(900억엔)를 부담했다. 다리는 2001년 10월에 개통되었다.
2. 2. 구조 및 기술적 특징

다리는 일본 정부의 지원으로 건설되었으며, 주계약자는 가시마 건설이었다.[9] 고가부 시공은 가시마 건설, JFE 엔지니어링, 신일본제철의 컨소시엄이 맡았다.[6][7]
건설 비용의 60%(1350억엔)는 시나이반도 개발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1995년 3월 당시 호스니 무바라크 대통령이 방일하는 동안 일본의 지원으로 합의되었다. 이집트는 나머지 40%(900억엔)를 부담했다. 다리는 2001년 10월에 개통되었다.
운하 위로 70m 간격이 있고, 길이가 3.9km인 다리는 400m 사장교와 2개의 1.8km 긴 접근 경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주 경간을 지지하는 두 개의 주탑 높이는 각각 154m이다. 탑은 파라오의 오벨리스크 모양으로 설계되었다.
다리 아래의 간격은 70m이다. 따라서 수에즈 운하(수에즈막스)를 통과할 수 있는 선박의 최대 높이는 수면 위로 68m이다.[10]
3. 지역 개발에 미치는 영향
수에즈 운하 대교는 수에즈 운하 주변 지역 개발을 위한 주요 사업의 일환이었다. 아흐메드 함디 터널(1981년 완공), 엘 페르단 철교, 수에즈 운하 송전선 횡단 등이 이 사업에 포함된다.
3. 1. 주요 개발 프로젝트
수에즈 운하 대교는 수에즈 운하 주변 지역 개발의 주요 사업 중 하나로, 아흐메드 함디 터널(1981년 완공), 엘 페르단 철교, 수에즈 운하 송전선 횡단 등의 다른 프로젝트들도 포함한다.3. 2. 개발 효과
수에즈 운하 대교는 수에즈 운하 주변 지역 개발을 위한 주요 사업의 일환으로, 아흐메드 함디 터널(1981년 완공), 엘 페르단 철교, 수에즈 운하 송전선 횡단(Suez Canal overhead powerline crossing)과 같은 다른 프로젝트들을 포함한다.참조
[1]
Structurae
Suez Canal Bridge
[2]
웹사이트
Kajima's Spectacular Suez Canal Bridge Project
http://www.kajima.co[...]
가시마
2014-03-16
[3]
간행물
On Orthotropic Steel Deck Pavement of Suez Canal Bridge
https://www.jstage.j[...]
2020-07-25
[4]
웹사이트
SCA – Rules of Navigation
https://www.suezcana[...]
2022-10-29
[5]
Structurae
Suez Canal Bridge
2009-05-28
[6]
웹사이트
鹿島がつくる海外インフラ
http://www.kajima.co[...]
[7]
웹사이트
世界二大運河通航記 スエズ運河編(4) 阿部 賢一
http://eritokyo.jp/i[...]
[8]
웹사이트
スエズ運河庁の通航規定第52条
http://www.suezcanal[...]
[9]
웹인용
Kajima's Spectacular Suez Canal Bridge Project
http://www.kajima.co[...]
가시마
2014-03-16
[10]
웹사이트
Art. 52 Rules of Navigation
http://www.suezcanal[...]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