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니 무바라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스니 무바라크는 1928년 이집트에서 태어나, 군사 경력을 거쳐 1975년 이집트 부통령이 되었다. 1981년 대통령에 취임하여 30년간 장기 집권하며, 친미 노선을 유지하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중재 역할을 수행했다. 2011년 이집트 혁명으로 사임했으며, 시위대 유혈 진압 및 부정 축재 혐의로 재판을 받았다. 2020년 9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이집트의 범죄인 - 무함마드 무르시
무함마드 무르시는 이집트의 공학자이자 정치인으로, 2012년 이집트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이집트 최초의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이 되었으나, 재임 중 군부에 의해 축출된 후 사망했다. - 이집트의 범죄인 - 아이만 알자와히리
아이만 알자와히리는 이집트 출신의 의사이자 이슬람 극단주의자로, 알카에다 지도자로서 서방 국가들에 대한 테러를 선동하고 알카에다의 이데올로기를 선전하다가 미국의 드론 공격으로 사망했다. - 무누피아주 출신 - 압델 가니 엘가마시
압델 가니 엘가마시는 이집트 군인으로, 여러 중동 전쟁에 참전하여 욤 키푸르 전쟁에서 지상군을 지휘하며 이집트군의 승리에 기여했고, 종전 후에는 이스라엘과의 분리 협상에 참여했으며, 군 복무 중 훈장을 받았고 저서를 출판하기도 했다. - 무누피아주 출신 - 카말 간주리
카말 간주리는 이집트의 정치인이자 경제학자로, 호스니 무바라크 정권에서 부총리를 역임하고 두 차례 총리를 지냈으며, 1996년부터 1999년까지 이집트 경제 개혁을 추진했고, 2011년 이집트 혁명 이후 과도 정부를 이끌었다. - 이집트의 대통령 - 무함마드 무르시
무함마드 무르시는 이집트의 공학자이자 정치인으로, 2012년 이집트 대통령 선거에서 당선되어 이집트 최초의 민주적으로 선출된 대통령이 되었으나, 재임 중 군부에 의해 축출된 후 사망했다. - 이집트의 대통령 - 가말 압델 나세르
가말 압델 나세르는 이집트 혁명을 이끌고 초대 대통령이 된 정치가이자 혁명가로, 범아랍주의와 반제국주의를 내세워 아랍 세계의 지도자로 부상했으며, 수에즈 운하 국유화, 경제 개발, 사회주의 정책 추진 등의 업적과 권위주의적 통치, 6일 전쟁 패배 등의 비판을 동시에 받으며 이집트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호스니 무바라크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무함마드 호스니 엘 사이드 무바라크 |
원어 이름 | محمد حسني مبارك |
로마자 표기 | Muḥammad Ḥusnī as-Sayyid Mubārak |
출생일 | 1928년 5월 4일 |
출생지 | 미누피야 주 카프르 엘 메셀라, 이집트 왕국 |
사망일 | 2020년 2월 25일 |
사망지 | 카이로, 이집트 |
배우자 | 수잔 무바라크 (1959년 결혼) |
자녀 | 알라 무바라크 가말 무바라크 |
서명 | Hosni Mubarak Signature.svg |
직책 | |
군사 계급 | [[파일:Egypt Air Force - OF08.svg|25px]] 공군 원수 |
복무 기간 | 1950년–1975년 |
소속 | 이집트 공군 |
주요 지휘 | 이집트 공군 이집트 공군 사관학교 베니수에프 공군 기지 카이로 서부 공군 기지 |
정치 경력 | |
대통령 임기 시작 | 1981년 10월 14일 |
대통령 임기 종료 | 2011년 2월 11일 |
이전 대통령 | 안와르 사다트 수피 아부 탈레브 (대행) |
다음 대통령 | 무함마드 후세인 탄타위 (임시) 무함마드 무르시 |
총리 임기 시작 | 1981년 10월 7일 |
총리 임기 종료 | 1982년 1월 2일 |
이전 총리 | 안와르 사다트 |
다음 총리 | 아흐마드 푸아드 모히에딘 |
부통령 임기 시작 | 1975년 4월 16일 |
부통령 임기 종료 | 1981년 10월 14일 |
이전 부통령 | 후세인 엘 샤페이 마흐무드 파우지 |
다음 부통령 | 오마르 술레이만 |
총리 | 호스니 무바라크 (1981–1982) 아흐마드 푸아드 모히에딘 (1982–1984) 카말 하산 알리 (1984–1985) 알리 로트피 마흐무드 (1985–1986) 아테프 세드키 (1986–1996) 카말 간주리 (1996–1999) 아테프 에베이드 (1999–2004) 아흐메드 나지프 (2004–2011) 아흐메드 샤피크 (2011) |
부통령 | 없음 (1981–2011) 오마르 술레이만 (2011년 1월–2월) |
비동맹 운동 사무총장 임기 시작 | 2009년 7월 16일 |
비동맹 운동 사무총장 임기 종료 | 2011년 2월 11일 |
이전 사무총장 | 라울 카스트로 |
다음 사무총장 | 무함마드 후세인 탄타위 (대행) |
공군 사령관 임기 시작 | 1972년 4월 23일 |
공군 사령관 임기 종료 | 1975년 4월 16일 |
이전 공군 사령관 | 알리 무스타파 바그다디 |
다음 공군 사령관 | 마흐무드 샤케르 |
사관학교 교장 임기 시작 | 1967년 11월 |
사관학교 교장 임기 종료 | 1969년 6월 |
이전 사관학교 교장 | 야히아 살레 알-아이다로스 |
다음 사관학교 교장 | 마흐무드 샤케르 |
소속 정당 | 국민민주당 (1978년–2011년) 아랍 사회주의 연맹 (1978년 이전) |
학력 | |
학력 | 이집트 육군 사관학교 이집트 공군 사관학교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 |
2. 인물과 경력
호스니 무바라크는 1928년 5월 4일 이집트 무누피아 주 카프르 엘 메셀하(Kafr El-Meselha)에서 태어났다.[21] 고등학교 졸업 후 이집트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49년 군사과학 학사 학위를 취득하고, 이어 이집트 공군사관학교에 들어가 1950년 3월 13일 조종사로 임관했다.[22][23]
이집트 공군 장교로 복무하며 스핏파이어 전투기 중대 등 여러 부대를 거쳤고, 공군사관학교 교관으로도 활동했다.[22] 1956년 제2차 중동전쟁에 참전했으며, 1959년부터 1961년까지 소비에트 연방에서 일류신 Il-28 및 투폴레프 Tu-16 폭격기 조종 훈련을 포함한 추가 군사 교육을 받았다.[24] 1959년 Tu-16 폭격기 비행대장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여단장으로 진급했다. 1962년 북예멘 내전에 파병되어 전투에 참가했으며,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소련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받았다.[22]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 이후에는 빌베이스 공군사관학교(군 대학) 사령관(총장)에 임명되어 조종사 양성 및 훈련 기간 단축에 기여했다.[25] 이 성과로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에게 인정받아 1969년 공군 대장 진급과 함께 이집트 공군 참모장에 임명되었다.[23] 안와르 사다트 정부 출범 후인 1972년에는 공군 사령관(참모총장) 겸 국방부 차관이 되었다.[22]
1973년 욤키푸르 전쟁(제4차 중동 전쟁) 당시 이집트 공군을 이끌고 이스라엘군 방어선에 대한 성공적인 기습 공격을 지휘하여 전쟁 초기 전세를 유리하게 이끌었다. 이 공로로 국민적 영웅으로 부상했으며[26], 전쟁 후 최고 훈장인 "시나이 별"을 받고 1974년 공군 원수로 진급했다.[22][27]
욤키푸르 전쟁에서의 공적을 인정받아 1975년 4월,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에 의해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31] 부통령으로서 이스라엘과의 군 철수 협상 등 정부 협의에 참여했으며[32],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 중국 등 여러 국가를 방문하여 외교 활동을 펼쳤다.[33][34][157][158] 1978년에는 집권당인 국민민주당의 부총재가 되어 사다트의 유력한 후계자로 자리매김했다.
1981년 10월 6일, 사다트 대통령 암살 사건 당시 현장에 함께 있다 부상을 입었으며[38], 사다트 사망 이후 같은 해 10월 14일 이집트의 제4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2. 1. 어린 시절과 교육
1928년 5월 4일 이집트 무누피아 주 카프르 엘 메셀하(Kafr El-Meselha)에서 태어났다.[21] 그의 아버지는 소규모 지주였으며 주 법무국에서 일했고, 아들에게 카이로 대학교 진학을 권유했다.
그러나 1948년 제1차 중동 전쟁 이후 아랍군의 부족한 능력이 문제로 지적되면서, 유능한 인재를 확보하기 위해 중산층 자녀에게도 장교가 될 기회가 열렸다. 이에 무바라크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뒤 이집트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조종사의 길을 걷기로 결정했다.
1949년 2월 2일, 그는 육군사관학교를 우등으로 졸업하며[22] 군사과학 학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이집트 공군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50년 3월 13일 조종사로 임관되었고,[22] 항공 과학 학사 학위를 받았다.[23] 사관학교 졸업 후에는 시나이 반도에서 근무했으며, 공군사관학교 교관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그는 군 복무 중 추가적인 군사 교육을 받았다. 1959년 2월부터 1961년 6월까지 소련에서 훈련을 받으며 여러 종류의 소련제 항공기 조종 기술을 익혔다. 또한 1964년부터 1965년까지 소련의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에서 장교 교육 과정을 이수했다.
2. 2. 공군 경력
1949년 이집트 사관학교를 졸업하고 군사과학 학사를 취득한 뒤 공군 사관학교에 입학하여 1950년 3월 13일 조종사 사관으로 임관했다. 이후 이집트 공군 장교로 복무하며 2년 동안 스핏파이어 전투기 중대에서 근무했다.[22] 1950년대에는 공군사관학교 교관으로 활동하다가 1959년 초에 그만두었다.[22]
1956년 28세의 나이로 제2차 중동전쟁에 참전했다. 1959년 2월부터 1961년 6월까지는 소비에트 연방에서 추가 훈련을 받았다. 모스크바의 조종사 훈련학교와 키르기스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 칸트 공군기지에서 일류신 Il-28과 투폴레프 Tu-16 제트 폭격기 조종 훈련을 받았다.[24] 1959년 31세에 Tu-16 폭격기 비행대장으로 임명되었고, 몇 년 후 여단장이 되었다. 1962년 북예멘 내전이 발발하자 파견 부대에 합류하여 전투에 참가했다. 1964년부터 1965년까지는 소련의 프룬제 군사 아카데미에서 교육을 받았다.[22]
이집트로 돌아온 후 편대장, 기지 사령관 등으로 복무했으며, 1966년 10월에는 카이로 서부 공군기지를 지휘했고, 이후 잠시 베니 수에프 공군기지를 지휘했다.[22] 1967년 제3차 중동 전쟁으로 이집트 공군이 큰 타격을 입자, 같은 해 11월 칼리우비야 주의 빌베이스 (Bilbeis) 공군사관학교(군 대학) 사령관(총장)에 임명되었다. 그는 조종사 수를 두 배로 늘리고 훈련 기간을 4년에서 2년으로 단축하는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했다.[25] 이 성과를 인정받아 당시 대통령 가말 압델 나세르에 의해 1969년 공군 대장으로 승진하고 이집트 공군 참모장에 임명되었다.[23] 안와르 사다트 정부 출범 후인 1972년, 공군 사령관(참모총장) 겸 국방부 차관이 되었다.[22]
1973년 10월 6일 욤키푸르 전쟁(제4차 중동 전쟁)이 발발하자, 무바라크가 이끄는 이집트 공군은 수에즈 운하 동쪽의 이스라엘군 방어 진지에 대한 기습 공격을 감행했다. 이집트 조종사들은 목표물의 90%를 타격하는 성공을 거두었고[26], 이 작전은 전쟁 초기 전세를 이집트에 유리하게 이끌었다. 이 공로로 무바라크는 국민적 영웅으로 떠올랐으며[26], 전쟁 후 최고 훈장인 "시나이 별"을 수여받고 1974년 공군 원수로 진급했다.[22][27]
일부에서는 무바라크가 전쟁 초반 이집트의 선전에 크게 기여했다고 평가하지만[28], 다른 시각도 존재한다. 이집트 분석가 모하메드 하사네인 헤이칼은 당시 공군의 역할이 군사적 필요성보다는 수에즈 운하를 건너는 지상군에게 영감을 주는 심리적인 측면이 강했다고 주장했다.[29] 또한, 당시 이집트군 참모총장이었던 사드 엘샤즐리의 딸 샤단 엘샤즐리는 무바라크가 1973년 전쟁 초기 성공의 공을 자신의 아버지로부터 가로채기 위해 관련 서류와 군 지휘부 회의 사진 등을 조작했다고 주장하며 법적 대응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30]
2. 3. 부통령 시절
욤키푸르 전쟁 당시의 활약으로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에게 주목받은 무바라크는 1975년 4월 이집트 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31][157] 부통령으로서 그는 이스라엘과의 향후 군 철수 협정에 관한 정부 협의에 참여했다.[32]1975년 9월, 무바라크는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와 시리아 다마스쿠스를 방문하여 양국 정부가 이스라엘과 체결한 군 철수 협정(시나이 II 협정)을 받아들이도록 설득하려 했으나, 시리아의 하페즈 알아사드 대통령은 회담을 거부했다.[33][34] 사우디 방문 중에는 사다트가 만나기를 꺼렸던[36] 파흐드 왕세자와 우호적인 관계를 맺었는데, 이는 이집트와 사우디아라비아 관계 개선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36] 또한 오만의 카부스 술탄, 모로코의 하산 2세, 수단의 자파르 니메이리 대통령 등 여러 아랍 지도자들과도 관계를 구축했다.[36] 사다트는 무바라크를 아랍 세계 외의 여러 외국 지도자들과의 회담에도 파견했다.[35] 당시 미국 대사 허먼 아일츠는 파흐미 외무장관으로부터 "무바라크는 모든 민감한 회담에 정기적으로 참석할 가능성이 높다"는 말을 들었으며, 사다트의 개인적인 선택이므로 그를 자극하지 말라는 조언을 받기도 했다.[33]

1976년 3월 사다트 대통령이 소련과의 우호 협력 조약을 파기하면서 소련제 무기 부품 공급이 중단되자, 무바라크는 1977년 4월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마오쩌둥 주석과 회담하고 중국제 전투기(J-6(F-6))와 폭격기(H-6) 등을 확보했다.[157][158] 그 대가로 이집트는 소련제 전투기(MiG-23) 등을 중국에 제공했다.[159]
무바라크는 사다트의 시나이 반도 반환 노력을 지지했지만,[36] 캠프 데이비드 협정에 대해서는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관련된 다른 문제들을 충분히 다루지 못했다는 이유로 여러 아랍 지도자들과 마찬가지로 반대 입장을 보였다.[36] 사다트는 휴가 중에 때때로 의사결정 권한을 무바라크에게 위임하기도 했다.[37]
1978년에는 아랍 사회주의 연합을 대체하여 새로 창설된 국민민주당의 부총재가 되면서 사다트의 유력한 후계자로 자리매김했다.
2. 4. 대통령 시절

1975년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에 의해 부통령으로 임명된 무바라크는 1978년 국민민주당의 부총재가 되며 사다트의 유력한 후계자로 부상했다. 1981년 10월 6일, 사다트 대통령이 이슬람 원리주의자들에 의해 암살당하는 사건이 발생했을 때 무바라크도 부상을 입었다.[38] 사다트의 사망 이후, 무바라크는 같은 해 10월 14일 이집트의 제4대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1982년에는 정식으로 국민민주당 총재가 되었고, 이후 약 30년간 이집트를 통치하며 "현대의 파라오"로 불리게 된다.

대통령에 취임한 무바라크는 사다트의 친미국, 친이스라엘 노선을 기본적으로 계승했다. 그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중동 평화 협상에서 양측의 조정자 역할을 수행하려 노력했다. 이스라엘과의 협상 결과, 1982년 4월 제3차 중동 전쟁 당시 이스라엘에 빼앗겼던 시나이반도를 반환받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러나 이스라엘과의 관계는 관계 정상화에도 불구하고 다소 냉랭한 상태를 유지했으며, 이집트 언론에서는 종종 반유대주의적인 내용이 나타나기도 했다.[46][47] 무바라크는 미국과의 관계 및 원조에 크게 의존하며[48], 이를 바탕으로 팔레스타인 문제 해결을 위한 미국의 압력을 기대했다.[49]

외교적으로는 친서방 노선을 유지하면서도 실리적인 접근을 취했다. 사다트 시절 악화되었던 소비에트 연방과의 관계를 1984년에 복원했으며, 캠프 데이비드 협정 체결로 아랍연맹에서 축출되었던 이집트의 위상을 회복하는 데 주력했다. 1982년 사우디아라비아와의 관계 개선을 시작으로[40], 이란-이라크 전쟁 당시 이라크를 지원하며[41] 아랍 세계 내 영향력을 확대했다. 1983년에는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의 야세르 아라파트를 카이로로 초청하여 관계를 복원했고[42], 1989년에는 아랍연맹에 정식으로 복귀하여 연맹 본부를 다시 카이로로 이전시키는 데 성공했다.[44][45] 1989년에는 이라크, 예멘, 요르단과 함께 아랍 협력 이사회를 결성했으나, 1990년 걸프 전쟁 발발 시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을 비난하며 와해되었다. 무바라크는 1991년 걸프 전쟁에서 미국 주도의 다국적군에 이집트군 파병을 결정했으며, 시리아의 참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161] 2001년 9·11 테러 이후에는 미국의 대테러 정책에 협조하며 이슬람 원리주의 단속을 강화했다. 이러한 친미, 친서방 노선은 서방 국가들의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고, 2000년대 이후 외자 유치를 통해 이집트 경제의 성장을 이끄는 요인이 되기도 했다.


무바라크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을 위한 중재 노력을 지속했다. 2000년 10월 샤름엘셰이크에서 긴급 정상회담을 개최했고[26], 2002년 아랍 평화 구상을 지지했으며[80], 2007년에는 요르단, 팔레스타인, 이스라엘 지도자들과 4자 회담을 가졌다. 2008년에는 이집트 중재로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휴전을 이끌어내기도 했다.[83][84]

국내적으로 무바라크는 사다트 암살을 계기로 취임 초기부터 이집트 전역에 국가비상사태(계엄령)를 선포하고 이를 장기 집권의 기반으로 삼았다. 그는 국가 안보 조사국과 중앙경찰대 등 안보 기관을 대폭 강화했으며[50], 이들 기관은 국제앰네스티 등으로부터 고문과 인권 침해를 자행한다는 비판을 지속적으로 받았다.[52] 장기 집권으로 인해 정부 요직은 측근들로 채워졌고, 인사는 경직되었으며 빈부 격차는 심화되었다.[163] 이러한 독재적 통치와 친미·친이스라엘 외교 노선은 국내 빈곤층과 이슬람주의자들의 반발을 샀고, 무바라크는 최소 6차례의 암살 시도를 겪었다.[53][54][55] 집권 후반기에는 둘째 아들인 가말 무바라크에게 권력을 세습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널리 퍼졌다. 2010년에는 독일에서 담낭 제거 수술을 받는 등 건강 악화설이 돌았으나[165], 정권 유지 의사를 밝혔다.


2011년 1월, 튀니지에서 시작된 민주화 시위의 영향으로 이집트에서도 무바라크의 30년 장기 독재에 반대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했다. 1월 25일 시작된 시위는 수도 카이로를 비롯한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무바라크는 1월 29일 내각 총사퇴를 발표하며[185] 민심 수습에 나섰지만 자신의 퇴진은 거부했다. 시위가 격화되자 2월 1일에는 국영 TV 연설을 통해 같은 해 9월 예정된 대통령 선거 불출마를 선언했다.[90] 그러나 즉각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대의 요구는 계속되었고, 2월 10일에는 대통령 권한을 부통령 우마르 술라이만에게 이양하겠다고 밝혔으나[166] 이 역시 시위대를 만족시키지 못했다. 결국 국내외의 거센 사임 압력에 직면한 무바라크는 2월 11일, 군부에 권력을 이양하고 대통령직에서 물러났다.[6][186] 그의 사임 발표는 타흐리르 광장을 가득 메운 시위대의 환호와 축제로 이어졌다.[94]

무바라크가 퇴진한 직후, 스위스 정부는 무바라크 일가가 부정 축재한 국가 자산의 해외 유출을 막기 위해 스위스 은행 계좌와 부동산에 대한 3년간의 자산 동결 조치를 발표했다.[168] 무바라크 일가의 자산은 최대 700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3. 통치 정책
무바라크 정권의 통치 정책은 신자유주의 경제 노선, 미국 및 이스라엘과의 긴밀한 동맹, 그리고 이를 뒷받침하는 강력한 경찰 국가 체제로 요약할 수 있다.[50][51] 경제적으로는 다국적 기업과 소수 이집트 자본가에게 유리한 정책을 폈으며, 외교적으로는 미국의 중동 정책에 협조하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중재자 역할을 시도했다.[49] 이는 미국의 상당한 원조를 확보하는 배경이 되었으나[48], 이스라엘과의 관계는 "냉전 평화"로 평가될 만큼[46] 복합적인 측면도 있었다.[36]
집권 초기 민생 안정책을 일부 시행하기도 했으나[36], 통치의 본질은 국가 안보 조사국과 중앙경찰대 등 안보 기구를 강화하여[50] 반대 세력을 억압하는 권위주의적 통제에 있었다. 이 과정에서 고문, 불법 구금 등 심각한 인권 침해가 자행되었다는 국제사회의 비판이 꾸준히 제기되었다.[52] 장기 집권은 정치적 부패[63][67]와 사회적 불평등 심화로 이어졌으며, 이는 국내외적으로 심각한 문제로 지적받았다.[67][68] 그의 정책과 통치 방식에 대한 반발로 여러 차례 암살 시도에 직면하기도 했다.[53][54][55] 무바라크는 형식적인 선거[60]와 국민투표를 통해 집권을 연장했으나, 선거 과정의 공정성 시비와 야당 탄압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61][62]
3. 1.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
무바라크 정권은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을 추진했는데, 이는 다국적 기업과 소수 이집트 자본가들에게 이익을 집중시키는 결과를 낳았다.[56] 이러한 정책으로 이집트 경제는 세계 자본주의 체제에 불균등하게 통합되었으며, 국민 대다수는 빈곤에서 벗어나지 못했다.[56]이러한 경제 정책은 미국, 이스라엘과의 전략적 동맹 강화와 맞물려 진행되었다. 중동의 다른 지배계급과 마찬가지로, 이집트 정권은 신자유주의를 수용하고 미국과의 동맹 및 이스라엘 옹호를 통해 세계 시장에 진입하고 주요 다국적 기업의 파트너가 되고자 했다.[56] 동시에 권력과 부를 독점한 체제에 대한 정치적, 사회적 도전을 억누르기 위해 경찰 국가 체제를 유지하고 강화했다.[56]


경제적으로는 1991년 걸프 전쟁 참전이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이집트는 쿠웨이트에서 이라크군을 몰아내기 위한 연합군의 일원으로 참여했으며, 이집트 보병은 사우디아라비아에 가장 먼저 상륙한 부대 중 하나였다.[56] 걸프 전쟁 참전은 아랍 세계에서 이집트의 위상을 높였을 뿐 아니라 상당한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었다.[56] 미국, 페르시아만 아랍 국가들, 유럽 국가들은 이집트의 약 200억달러에 달하는 부채를 탕감해주었다.[56][57] 국제통화기금(IMF)은 이러한 경제 프로그램을 성공 사례로 평가하기도 했으나[57], 이는 사실상 걸프전 참전에 대한 정치적 보상 성격이 짙었다.[57]
3. 2. 외교 정책

1981년 대통령에 취임한 무바라크는 전임자 안와르 사다트의 친미국, 친이스라엘 노선을 기본적으로 계승했다. 그는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간의 중동 평화 협상에서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고자 했으며, 이스라엘과의 협상을 통해 1982년 4월 제3차 중동 전쟁에서 빼앗겼던 시나이반도를 반환받았다.[36] 무바라크는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1978년 미국 중재로 체결된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지지했다.[78]
그러나 무바라크는 이스라엘 방문을 거부하고 관계 정상화에 대해 사다트보다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으며[36], 이스라엘 언론은 양국 관계를 "냉전 평화(cold peace)"라고 평가하기도 했다.[46] 그럼에도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을 위해 여러 차례 회의를 주최했다. 2000년 10월 샤름엘셰이크에서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 야세르 아라파트 PLO 의장, 에후드 바락 이스라엘 총리 등이 참석한 긴급 정상회담을 열었고[26], 2007년 6월에도 같은 장소에서 압둘라 국왕, 마흐무드 압바스 팔레스타인 자치 정부 수반, 에후드 올메르트 이스라엘 총리와 4자 회담을 가졌다. 2008년 6월에는 이집트 중재로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이 발효되기도 했다.[83][84]
캠프 데이비드 협정으로 아랍 국가들로부터 고립되었던 이집트는 무바라크 집권 하에서 점차 관계를 회복했다. 1979년 이란 이슬람 혁명 이후 이란이 주변 아랍 국가들을 위협하자[41],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걸프 국가들은 이란 견제를 위해 이집트와의 관계 개선을 모색했다.[41] 1982년 6월 무바라크는 사우디아라비아의 파드 국왕을 만나 양국 관계 개선의 물꼬를 텄고[40], 같은 해 아랍 연맹 정상회의에서는 사우디가 이집트의 평화 구상을 기반으로 한 아랍 평화 구상 초안을 제시했다.[40] 이집트는 이란-이라크 전쟁(1980-1988) 동안 이라크를 지원했으며[41], 1983년에는 야세르 아라파트 PLO 의장을 카이로로 초청하여 PLO와의 관계를 복원했다.[42] 이러한 노력 끝에 이집트는 1989년 아랍 연맹에 정식 회원국으로 복귀하고 연맹 본부도 카이로로 다시 이전했다.[45]
냉전 시기 무바라크는 기본적으로 친서방 노선을 유지하면서도, 사다트 시대에 악화되었던 소비에트 연방 및 동구권 국가들과의 관계 개선에도 힘썼다. 1984년 소련과 외교 관계를 정상화했고[24], 부통령 시절인 1977년에는 중화인민공화국을 방문하여 마오쩌둥 주석과 회담하고 중국제 전투기를 확보하기도 했다.[157][158]
냉전 종식 후 무바라크 정권의 친미 노선은 더욱 강화되었다. 1989년 걸프 협력 이사회에 맞서 이라크, 예멘, 요르단과 아랍 협력 이사회(Arab Cooperation Council)를 결성했으나, 1990년 이라크의 쿠웨이트 침공으로 시작된 걸프 전쟁에서는 입장을 바꾸었다. 무바라크는 카이로에서 아랍 연맹 긴급 정상회의를 소집하여 이라크 비난 결의를 주도했으며, 1991년에는 미국, 사우디아라비아 등이 주도하는 다국적군에 이집트군의 참여를 결정했다.[56] 또한, 이라크와 대립하던 시리아의 하페즈 알아사드 대통령의 참전을 설득하는 데도 역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161] 걸프 전쟁 참전은 아랍 세계에서 이집트의 중심적 역할을 재확인시켰고, 미국, 걸프 아랍 국가, 유럽 국가들로부터 약 200억달러의 부채를 탕감받는 경제적 이익을 가져다주었다.[56][57]
2001년 9월 11일 미국에서 발생한 9·11 테러 이후에는 미국에 대한 지지를 표명하고 이슬람 원리주의 세력 단속에 적극 협력했다. 이러한 친미, 친이스라엘 노선은 서방 국가들의 높은 평가를 받았고, 2000년대 이후 이집트 경제 성장에 일부 기여한 요인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무바라크의 외교 정책은 미국의 이익과 이스라엘에 봉사하는 종속적인 관계를 구축했으며[48], 신자유주의 경제 정책과 맞물려 이집트 국민 다수의 빈곤을 심화시켰다는 비판을 받았다. 2006년 레바논 전쟁 당시 이스라엘의 군사 공격을 비난하면서도 분쟁을 촉발한 헤즈볼라를 간접 비판하여 아랍권 내에서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82] 그의 친서방, 친이스라엘 노선과 장기 독재는 이슬람주의자들의 반발을 사 여러 차례 암살 시도의 표적이 되었다.[53][54][55]
3. 3. 권위주의 통치
1981년 10월 안와르 사다트 대통령이 암살되자 호스니 무바라크는 후임 대통령으로 취임했다. 1982년에는 국민민주당 총재가 되어 약 30년간 이집트를 통치했다. 그는 취임 초기부터 사다트 암살을 계기로 이집트 전역에 국가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이를 장기 집권의 기반으로 삼아 강력한 통치 체제를 구축했다. 이는 약 30년간 지속된 그의 철권 통치의 시작이었다.
무바라크는 집권 기간 동안 이집트 국가 안보 조사국(Mabahith Amn ad-Dawla)과 중앙경찰대(진압 및 제압 부대)를 크게 확장하며 경찰 국가 체제를 강화했다.[50] 전임자의 암살을 목격한 경험과 긴 군 경력은 그가 국가 안보에 더욱 집중하게 만들었을 수 있다.[51] 그는 주요 정책 결정 과정에서 장관이나 지식인보다는 내무 장관, 군 사령관, 정보기관 책임자 등 안보 책임자들의 조언에 더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다.[51]
이러한 강력한 통제 시스템 하에서 인권 침해는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었다. 국제앰네스티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이집트 안보 기관의 인권 침해가 "체계적"이라고 비판했으며,[52] 2007년 보고서에서 이집트 경찰이 일상적으로 "구타, 감전, 손목과 발목을 오랫동안 비틀린 자세로 매달아 놓기, 사망 위협 및 성적 학대"와 같은 고문을 자행했다고 지적했다.[52] 또한, 무바라크 정권 하에서는 정치적 반대파나 활동가들이 재판 없이 투옥되는 일이 빈번했으며,[63] 불법적인 비밀 구금 시설이 운영되기도 했다.[64][65] 정치적 견해를 이유로 대학, 모스크, 언론사 등에서 배제되는 차별도 존재했다.[66]
장기 집권은 필연적으로 권력 집중과 부패를 심화시켰다. 정부 요직은 무바라크의 측근들로 채워졌고 인사는 경직되었으며, 빈부 격차도 심화되었다.[163] 프리덤 하우스(Freedom House)는 2005년 보고서에서 무바라크 정권이 관료적 규제와 통제를 확대하여 부패를 조장했으며, 부패 척결 약속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평가했다.[67] 국제투명성기구(Transparency International)의 2010년 부패인식지수(CPI) 보고서에서도 이집트는 10점 만점에 3.1점을 받아 조사 대상 178개국 중 98위를 기록하며 심각한 부패 수준임을 보여주었다.[68]
무바라크의 친미, 친이스라엘 외교 노선과 독재 정치는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을 비롯한 국내 반대파의 거센 비판에 직면했다. 이로 인해 그는 여러 차례 암살 위협에 시달렸다. BBC에 따르면 그는 최소 6번의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다.[53] 대표적으로 1995년 6월 에티오피아에서 이집트 이슬람 지하드 소행으로 추정되는 암살 시도가 있었으며,[54] 1999년 9월에는 포트사이드에서 괴한의 칼에 부상을 입기도 했다.[55]
무바라크의 통치가 장기화되고 그가 고령화되면서, 차남이자 국민민주당 정책 위원장인 가말 무바라크에게 대통령직을 세습하려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널리 퍼졌다. 2010년 건강 악화에도 불구하고 그는 "국민 생활 향상이 가장 중요한 일"이라며 계속 통치할 의사를 밝혔으나, 이는 결국 2011년 이집트 혁명의 도화선 중 하나가 되었다.
4. 퇴임 이후
2011년 1월, 튀니지의 재스민 혁명의 영향으로 이집트에서도 호스니 무바라크의 장기 집권에 반대하는 대규모 시위가 발생했다.[94] 시위가 격화되자 무바라크는 2월 1일 국영 TV 연설을 통해 같은 해 9월로 예정된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발표했으나 즉각적인 사퇴는 거부했다.[90][96][166] 그는 또한 헌법 개정을 약속했지만[90], 즉각적인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대를 만족시키지는 못했다.[91] 2월 10일, 무바라크는 대통령 권한을 부통령 오마르 술레이만에게 위임하겠다고 밝혔으나,[166] 시위는 계속되었다. 결국 다음 날인 2월 11일, 술레이만 부통령은 무바라크가 대통령직에서 사임했으며, 권력이 이집트군 최고위원회로 이양되었음을 발표했다.[6][97][167]
퇴임 후 무바라크는 홍해의 휴양지 샤름엘셰이크로 이동했으며, 언론 노출을 피했다. 그의 건강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는 추측이 나왔고, 혼수상태에 빠졌다는 보도도 있었다.[99][100] 2011년 2월 28일, 이집트 검찰총장은 무바라크와 그의 가족에 대해 이집트 출국 금지 명령을 내렸고,[101] 이후 무바라크는 샤름엘셰이크의 대통령궁에 사실상 가택 연금되었다.[102] 퇴임 직후 스위스 정부는 무바라크 일가의 자산을 동결했으며,[72][168] 이집트 검찰 역시 그의 자산을 동결했다.[73]
무바라크는 2011년 혁명 당시 시위대 살해를 지시하거나 방조한 혐의 및 부패 혐의 등으로 기소되어 오랜 기간 재판을 받았다. 재판 과정은 여러 차례 판결이 뒤집히는 등 복잡하게 진행되었으며, 그는 유죄 판결로 수감되기도 하고 건강 악화로 병원에 입원하기도 했다. (자세한 내용은 #재판 및 법적 문제 참고) 2013년 8월 석방되어 군 병원으로 이송되었고 가택 연금 상태에 놓였다.[117][118][177] 이후 재판은 계속되었고, 2017년 3월 2일 이집트 최고 항소 법원인 상고법원은 시위대 살해 공모 혐의에 대해 최종적으로 무죄를 선고했다.[16][180] 별도의 공금 횡령 혐의로 선고받은 징역 3년형은 이미 복역 기간을 채웠기 때문에[181], 그는 2017년 3월 24일 마침내 석방되었다.[17]
석방 후 무바라크는 대중 앞에 거의 모습을 드러내지 않았으나, 2014년 2월 쿠웨이트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당시 국방장관이던 압델 파타 알시시를 차기 대통령으로 지지한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했다.[126][127]
퇴임 이후 무바라크의 건강은 계속해서 좋지 않았으며, 여러 차례 심각한 건강 위기를 겪었다. 그는 오랜 기간 카이로의 군 병원에서 치료를 받으며 지냈다. (자세한 내용은 #건강 문제 참고)
2020년 2월 25일, 호스니 무바라크는 카이로의 군 병원에서 91세를 일기로 사망했다.[145][182] 이집트 정부는 군 주관으로 장례식을 치렀으며, 압델 파타 알시시 대통령이 직접 참석하여 조의를 표했다. 3일간의 국가 애도 기간이 선포되었다.[146][183] 알시시 대통령은 성명을 통해 무바라크가 욤 키푸르 전쟁에서 군인으로서 기여한 점을 언급했으나, 그의 대통령 재임 기간에 대한 평가는 피했다.[146]
4. 1. 재판 및 법적 문제

무바라크 퇴임 2달 후인 2011년 4월 12일, 반정부 시위에서의 폭력 행위와 부정 축재 혐의로 검찰 조사가 시작되었으나, 그는 심장 발작을 일으켜 입원했다.[169] 다음 날인 13일, 무바라크는 두 아들과 함께 이집트 검찰에 구속되었다.[170] 이와 관련하여 무바라크 일가의 자산에 대한 조치도 이루어졌다. 2011년 2월 12일 스위스 정부는 무바라크와 그 가족의 스위스 은행 계좌를 동결한다고 발표했고,[72][168] 2월 20일 이집트 검찰총장도 무바라크 일가의 이집트 내 자산 동결을 명령하고 해외 자산 동결을 위해 외무부에 협조를 요청했다.[73]
8월 3일 카이로에서 첫 재판이 열렸고, 무바라크는 자신의 혐의를 강력히 부인했다. 이후 시위대 유족의 재판관 교체 요구로 재판이 3개월간 중단되었다가 2011년 12월 재개되었고, 이 과정에서 시위자 학살 혐의가 제기되었다.
2011년 5월 28일, 카이로 행정 법원은 시위 기간 중 인터넷 및 전화 서비스 차단으로 국가 경제에 피해를 준 혐의로 무바라크에게 유죄 판결을 내리고, 개인 자산으로 2억이집트 파운드(약 3360만달러)의 벌금을 납부하라고 명령했다. 이는 무바라크에 대한 첫 법원 판결이었다.[105][106]
2012년 5월 31일, 검찰은 최종 심리에서 사형을 구형했으며,[171] 6월 2일 법원은 시위대 살해를 중단시키지 못한 책임을 물어 법정 최고형인 무기징역(25년형)을 선고하고 카이로 근교의 토라 교도소에 수감했다.[187][111][172] 그러나 시위대에 대한 단속 명령 혐의는 무죄 판결을 받았고, 다른 폭력 및 경제 사기 혐의는 기각되었다. 무바라크의 아들들, 전 내무장관 하비브 알아들리(Habib el-Adly), 그리고 6명의 전직 고위 경찰 간부들은 증거 불충분으로 시위대 살해 가담 혐의에 대해 무죄 판결을 받았다.[112] 이 판결에 대해 시위대 유족과 시민들은 크게 반발하며 타흐리르 광장 등지에서 항의 시위를 벌였다.[113][114]
무바라크 측과 검찰 모두 판결에 불복하여 항소했고, 2013년 1월 13일 이집트 최고 항소 법원인 상고법원(Court of Cassation)은 1심 판결의 오류를 인정하고 재심을 명령했다.[188][115][176] 2013년 5월 11일, 시위대 살해 공모 혐의에 대한 재심이 시작되었다.[116]
한편, 2013년 5월 1일에는 별도의 재판에서 공적 자금 1760.0000000000002만달러 상당을 횡령하여 사적인 용도로 사용한 혐의로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다.[190][119] 2013년 8월 21일, 법원은 무바라크의 석방을 명령했고[117], 다음 날인 22일 그는 군 병원으로 이송되었다.[177] 하짐 바블라위 당시 총리 대행은 무바라크 석방 전날 그에 대한 가택 연금을 명령했다.[189][118]
2014년 5월 21일, 횡령 혐의 재판에서 무바라크는 징역 3년, 그의 아들들은 각각 4년형을 선고받았다. 또한 290만달러의 벌금과 횡령액 1760.0000000000002만달러의 반환 명령을 받았다.[119]
2014년 11월 29일, 카이로 형사 법원은 기술적인 이유를 들어 시위대 살해 공모 혐의를 기각했으며, 부패 혐의에 대해서도 무죄를 선고했다.[120][121][178] 이 판결은 군 출신인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 하에서 군정 회귀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했으나, 무바라크는 별도의 횡령 혐의 유죄 판결로 인해 계속 구금 상태를 유지했다.[179]
2015년 1월 13일, 상고법원은 횡령 혐의 유죄 판결(당시 유일하게 남은 유죄 판결)을 파기하고 재심을 명령했다.[122] 2015년 5월, 횡령 혐의 재심에서 무바라크는 다시 징역 3년, 그의 아들들은 4년형을 선고받았다. 이 판결에는 1.25억이집트 파운드(1630만달러)의 벌금과 횡령액 2100만이집트 파운드(270만달러) 반환 명령이 포함되었으나, 이미 복역한 기간이 인정되어 추가 수감은 이루어지지 않을 가능성이 제기되었다.[14][123][124][125]
2017년 3월 2일, 상고법원은 최종적으로 2011년 혁명 당시 시위대 살해 공모 혐의에 대해 무바라크에게 무죄를 선고했다.[16][180] 이 시점에서 공금 횡령죄로 선고받은 징역 3년형의 형기도 만료된 상태였다.[181] 무바라크는 2017년 3월 24일 마침내 석방되었다.[17]
4. 2. 암살 시도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에 대한 입장과 이스라엘과의 외교 관계 때문에 호스니 무바라크는 재임 기간 동안 반복적인 암살 시도의 표적이 되었다. 영국 BBC 방송에 따르면, 그는 총 6번의 암살 시도에서 살아남았다.[53]주요 암살 시도 사례는 다음과 같다.
- 1995년 6월, 에티오피아에서 열린 아프리카 통일 기구 회의에 참석했을 당시, 이집트 이슬람 지하드가 연루된 것으로 추정되는 유독 가스를 이용한 암살 시도가 있었다.[54]
- 1999년 9월에는 포트사이드에서 칼을 든 괴한에게 공격받아 부상을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55]
- 퇴임 후인 2012년 1월 3일, 카이로 외곽 국제의료센터에 입원 중이던 무바라크의 병실에 한 군의관이 침입하여 목을 졸라 살해하려다 경호원에게 제지당하고 체포되었다는 보도가 있었다. 군의관의 신원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이집트 당국은 무바라크가 군 병원에서 경찰의 보호 아래 있다며 해당 보도 내용을 부인했다.
4. 3. 건강 문제
2010년 독일에서 수술을 받았으며, 불규칙적인 심장 박동을 동반한 순환기 장애를 겪고 있었다.[135] 같은 해 7월, 대선을 앞두고 무바라크가 식도암[128], 위암 또는 췌장암에 걸렸다는 소문이 정보 당국을 통해 나왔으나, 이집트 당국은 이를 부인했다.[129][130]2011년 혁명으로 퇴임한 이후 그의 건강 악화에 대한 추측은 더욱 증폭되었다.[131] 이집트 언론에 따르면, 무바라크는 샤름엘셰이크로 거처를 옮긴 후 상태가 악화되었으며, 우울증을 겪고 약 복용을 거부하며 의식을 자주 잃었다고 한다.[132] 이집트 주미 대사 사메흐 슈크리는 개인적인 정보원을 인용하여 무바라크가 "건강이 상당히 좋지 않다"고 보고했으며[133], "샤름 엘셰이크에서 죽고 싶어했다"는 소식통의 전언도 있었다.[99][100] 거의 의식이 없는 상태라는 정보 당국 관계자의 언급도 있었다.[132]
2011년 4월 12일, 부정부패 혐의로 검찰 조사를 받던 중 심장 발작(심장마비)을 일으켜 병원에 입원했다.[134] 그는 샤름엘셰이크의 한 병원에서 경찰의 감시 하에 놓였다.[8] 같은 해 6월, 변호사 파리드 엘-디브는 무바라크가 위암에 걸렸으며 암이 악화되고 있다고 주장했다.[135] 7월에는 무바라크가 혼수상태에 빠졌다는 보도가 나왔고, 변호사가 이를 확인했다.[136] 또한 심장 질환 치료 중 우울증을 겪으며 고형 음식을 거부하고 있다는 소식도 전해졌다.[137] 8월 첫 재판 이후에는 카이로 인근 병원에 머물렀다.
2012년 6월 2일, 시위대 살해 공모 혐의로 무기형을 선고받고 카이로 근교의 토라 교도소 병원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건강 위기를 겪었으며, 심장마비 가능성이 보도되었다.[138][139] 이후 건강 상태는 계속 악화되어 제세동기 치료를 받았다는 보도도 나왔다.[140][141] 6월 12일 혼수상태에 빠졌다가 다음날 의식을 회복했으나, 일주일 후 다시 혼수상태에 빠졌다. 6월 20일에는 국영 언론이 그가 "임상적으로 사망"했다고 잘못 보도했으나, 이후 위독한 상태라고 정정했다.[142] 무바라크 사망설이 제기되었지만 이집트 측은 이를 부인했다. 7월, 중태였던 무바라크는 약 한 달간의 약물 치료를 통해 안정을 되찾고 의식을 회복하였다.[192]
2012년 12월 27일, 토라 교도소에서 넘어져 갈비뼈가 부러진 후 카이로 군 병원으로 이송되었다.[143] 2013년 8월 22일 법원의 석방 명령으로 군 병원으로 옮겨졌으며[189], 이후 지속적인 건강 문제로 군 병원에 계속 머물렀다.[144] 2014년 6월 19일, 군 병원 욕실에서 미끄러져 왼쪽 다리 대퇴골이 골절되어 수술을 받았다.[144] 2015년에는 생일 때 군 병원 창문을 통해 모습을 보인 적이 있었다.[193]
2020년 2월 25일, 카이로의 한 군 병원에서 지병으로 인해 향년 91세로 사망했다.[145][182] 이집트 국영 방송이 사망 소식을 보도했으며, 압델 파타 알시시 대통령 등 정부 고위 관료와 친족이 참석한 가운데 이집트군 주최로 장례식이 거행되었고, 3일간의 국가 애도 기간이 선포되었다.[146][183]
5. 개인사
호스니 무바라크는 수잔 무바라크와 결혼하여 두 아들 알라 무바라크와 가말 무바라크를 두었다. 알라를 통해 손자 무함마드와 오마르를, 가말을 통해 손녀 파리다를 두었다. 손자 무함마드는 2009년 뇌출혈로 사망했다.[147][148]
두 아들 알라와 가말은 이집트에서 부패 혐의로 4년간 수감 생활을 했으며, 2015년에 석방되었다.[144] 2016년 4월에는 알라 무바라크가 파나마 문서에 이름이 오르기도 했는데, 이는 해당 스캔들에 연루된 법률회사 모색 폰세카와 관련된 재정적 이해관계 때문이었다.[149]
6. 무바라크에 대한 평가와 비판
무바라크의 30년 통치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집권 초기에는 저렴한 주택, 의류, 가구, 의약품 생산을 늘리는 등 일부 긍정적인 정책을 시행했다.[36] 외교적으로는 전임자 안와르 사다트와 달리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에 신중한 태도를 보였으며,[36] 이스라엘 언론은 양국 관계를 "냉전적 평화"라고 묘사하기도 했다.[46] 또한 소련과의 관계를 조용히 개선하는 모습을 보였다.[24] 1991년 걸프 전쟁 당시에는 미국 주도의 연합군에 참여하여 쿠웨이트 해방 작전에 기여했으며,[56] 이를 계기로 서방 및 걸프 국가들로부터 약 200억달러에 달하는 채무를 탕감받는 실리를 얻었다.[56][57] 2003년 이라크 침공에 대해서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문제 우선 해결을 주장하며 반대했고, 이 전쟁이 "100명의 오사마 빈 라덴을 만들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58]
그러나 그의 통치는 권위주의적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했다. 이슬람 근본주의 세력과의 갈등 속에서 여러 차례 암살 시도를 겪기도 했다.[53][54][55] 이스라엘과의 관계는 표면적인 평화에도 불구하고 이집트 내 반유대주의 정서 확산을 방치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으며, 일부에서는 무바라크 개인의 성향과 연관 짓기도 했다.[46][47] 미국의 원조에 대한 높은 의존도는 이집트 외교 정책의 자율성을 제약한다는 지적도 꾸준히 제기되었다.[48][49]
국내적으로는 국가 안보 조사국과 중앙경찰대 등 안보 기구를 강화하여 정권을 유지했으며,[50] 이 과정에서 국제앰네스티를 비롯한 인권 단체들은 구타, 고문, 자의적 구금 등 "체계적인" 인권 침해가 발생하고 있다고 비판했다.[52] 1987년, 1993년, 1999년 선거는 사실상 경쟁 없이 국민투표 형식으로 치러졌고,[60] 2005년 처음으로 복수 후보가 경쟁하는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으나 부정 선거 논란이 끊이지 않았다.[61] 정권 말기에는 정치 부패가 심화되어 프리덤 하우스나 국제투명성기구 등으로부터 부패 문제 해결 의지가 부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67][68]
결국 2011년 아랍의 봄의 영향으로 발생한 대규모 반정부 시위로 인해 권좌에서 물러났다. 퇴진 후에는 시위대 유혈 진압 및 부패 혐의 등으로 재판을 받았으며, 여러 차례 판결이 번복된 끝에 최종적으로 무죄 판결을 받고 석방되었다. 2013년 한 인터뷰에서 그는 "역사가 판단할 것이고, 미래 세대가 나를 공정하게 평가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언급했다.
2020년 2월 25일 사망했으며,[145] 압델 파타 알시시 현 대통령은 그의 욤 키푸르 전쟁 당시 공적을 기렸으나 대통령으로서의 통치 기간에 대해서는 별다른 평가를 내놓지 않았다.[146] 무바라크의 30년 집권이 남긴 유산은 이집트 현대사에서 여전히 복합적이고 논쟁적인 평가를 받고 있다.
6. 1. 긍정적 평가
무바라크는 대통령 재임 기간 동안 중동 지역의 안정을 위해 노력했으며, 특히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고자 했다. 그는 1978년 미국이 중재한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의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지지하며 평화 유지의 기틀을 다졌다. 무바라크는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과 관련된 회의를 여러 차례 주최하고, 양측 간의 중재자 역할을 수행하려 노력했다.[78]2000년 10월에는 샤름엘셰이크에서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 해결을 위한 긴급 정상회담을 개최했다. 이 회담에는 미국 대통령 빌 클린턴, 팔레스타인 해방기구 의장 야세르 아라파트, 이스라엘 총리 에후드 바락, 요르단의 압둘라 국왕, 나토 사무총장 하비에르 솔라나, UN 사무총장 코피 아난 등 주요 국제 지도자들이 참석하여 평화 정착 방안을 논의했다.[26]
무바라크는 아랍연맹 활동에도 적극 참여하여 지역 평화를 위한 아랍 국가들의 공동 노력을 지지했다. 특히 2002년 3월 베이루트 정상회담에서 사우디아라비아가 주도한 아랍 평화 구상 채택을 지지하며 아랍-이스라엘 분쟁의 포괄적인 해결을 모색했다.[80][81]
2007년 6월에는 샤름엘셰이크에서 요르단의 압둘라 국왕, 팔레스타인의 마흐무드 압바스 대통령, 이스라엘의 에후드 올메르트 총리와 정상회담을 가지며 중재 노력을 이어갔다. 2008년 6월 19일에는 이집트의 중재로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의 적대 행위 중단(휴전)이 발효되는 성과를 거두었다.[83][84] 이는 가자 지구의 긴장 완화에 기여한 중요한 조치로 평가받는다.
6. 2. 부정적 평가
무바라크는 1981년 집권 이후 30년간 장기 집권하며 권위주의적인 통치를 이어갔다. 그는 집권 초기부터 이집트 국가 안보 조사국(Mabahith Amn ad-Dawla)과 중앙경찰대를 확장했으며,[50] 전임자 안와르 사다트의 암살을 목격한 경험과 긴 군 경력으로 인해 국가 안보에 지나치게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는 주요 장관이나 지식인보다는 내무 장관, 육군 사령관, 정보 기관 책임자 등 안보 책임자들의 조언에 의존했다.[51]국제 인권 단체들은 무바라크 정권 하에서 자행된 인권 침해를 지속적으로 비판했다. 국제앰네스티는 198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이집트 안보 기관의 인권 침해가 "체계적"이라고 지적했으며,[52] 2007년 보고서에서는 이집트 경찰이 일상적으로 구타, 감전, 고문(손목과 발목을 비틀린 자세로 매달아 놓기), 사망 위협, 성적 학대 등을 자행한다고 밝혔다.[52] 또한, 무바라크 정권은 정치적 반대파를 억압하기 위해 재판 없이 활동가들을 투옥하고,[63] 불법적인 비밀 구금 시설을 운영했으며,[64][65] 정치적 견해를 이유로 대학, 모스크, 언론사 등에서 직원을 채용하지 않는 등의 차별을 가했다.[66]
무바라크는 1987년, 1993년, 1999년에 반대 후보 없이 치러진 국민투표를 통해 연임에 성공하며 사실상 종신 집권의 길을 열었다.[60] 2005년에는 처음으로 복수 후보가 경쟁하는 대통령 선거가 실시되었으나, 선거 과정에서 정부의 개입과 부정이 만연했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61] 당시 유력한 반체제 후보였던 아이만 누르는 선거 직후 정치적 탄압으로 여겨지는 위조 혐의로 유죄 판결을 받고 징역형을 선고받았다.[62]
무바라크 정권 하에서의 부패 문제 또한 심각했다. 2005년 프리덤 하우스는 이집트 정부가 관료적 규제와 통제를 확대하여 부패를 조장하고 있으며, 무바라크가 부패 척결을 약속했지만 실질적인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고 비판했다.[67] 2010년 국제투명성기구의 부패인식지수 보고서에서 이집트는 10점 만점에 3.1점을 받아 조사 대상 178개국 중 98위를 기록하며 부패가 심각한 수준임을 보여주었다.[68] 무바라크 일가는 집권 기간 동안 유럽과 미국 등지에 막대한 규모의 부동산과 은행 계좌를 보유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 자산 총액이 약 700억달러에 달한다는 추정도 제기되었다. 2011년 혁명 이후 스위스 정부는 무바라크 일가의 자산을 동결하는 조치를 취했다.[168]
외교적으로 무바라크는 미국과의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캠프 데이비드 협정을 지지했고,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에서 중재자 역할을 시도하기도 했다.[78] 그러나 이스라엘과의 관계는 '냉전적 평화'라는 평가를 받을 정도로 냉랭했으며,[46] 이집트 내에서는 반유대주의적 정서가 확산되기도 했다.[47] 이집트는 미국의 막대한 원조에 크게 의존했으며,[48] 1991년 걸프 전쟁 당시에는 미국 주도의 연합군에 참여하여 이라크 공격에 동참했다.[56] 이 참전의 대가로 이집트는 미국, 걸프 국가, 유럽으로부터 약 200억달러에 달하는 채무를 탕감받았다.[57] 무바라크는 2003년 이라크 침공에는 반대 입장을 표명하며 이 전쟁이 "100명의 오사마 빈 라덴"을 만들 것이라고 경고했지만,[58] 혼란을 우려하여 이라크 주둔 미군 철수를 즉각적으로 지지하지는 않았다.[59] 2006년 레바논 전쟁 당시에는 이스라엘의 군사 공격을 비난하면서도, 헤즈볼라가 아랍의 이익을 해쳤다고 간접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82]
이러한 장기 독재와 인권 탄압, 만연한 부패, 민주주의 후퇴에 대한 국민적 불만은 2011년 튀니지의 자스민 혁명을 계기로 폭발했다. 2011년 1월 25일부터 카이로의 타흐리르 광장을 중심으로 무바라크의 퇴진을 요구하는 대규모 반정부 시위가 발생했다. 무바라크는 아흐마드 나지프 내각을 총사퇴시키고,[166] 9월 대선 불출마를 선언하며[90] 민심을 수습하려 했으나, 즉각적인 퇴진을 요구하는 시위대의 저항은 계속되었다. 2월 2일에는 무바라크 지지자들과 반대자들 사이에 격렬한 충돌이 발생하기도 했다.[92] 결국 무바라크는 2월 10일 대통령 권한을 부통령 오마르 술레이만에게 이양하겠다고 밝혔으나,[166] 시위대의 압박이 거세지자 다음 날인 2월 11일, 술레이만 부통령은 무바라크의 대통령직 사임을 공식 발표했다.[6][167]
사임 후 무바라크는 2011년 혁명 당시 시위대 유혈 진압에 개입한 혐의와 부정 축재 혐의 등으로 검찰 조사를 받던 중 심장마비로 입원하기도 했으나,[169] 곧 두 아들과 함께 체포되었다.[170] 2012년 6월, 시위대 살해 지시 혐의로 무기징역을 선고받았으나,[172] 2013년 1월 이집트 대법원은 이 판결을 파기하고 재심을 명령했다.[176] 이후 무바라크는 건강 악화를 이유로 교도소에서 군 병원으로 이송되었고,[177] 2014년 11월 재심에서 무죄 취지의 공소 기각 판결을 받았다.[178] 이는 당시 군 출신인 압델 파타 엘시시 대통령 하에서 군부의 영향력이 강화된 현실을 반영한다는 비판이 제기되었다.[179] 무바라크는 별도의 공금 횡령 혐의로 선고받은 금고 3년형의 형기를 채운 뒤,[179] 2017년 3월 시위대 살해 혐의에 대한 최종 재심에서 무죄가 확정되어 완전히 석방되었다.[180][181]
7. 역대 선거 결과
wikitext
선거명 | 직책명 | 대수 | 정당 | 득표율 | 득표수 | 결과 | 당락 |
---|---|---|---|---|---|---|---|
1981년 선거 | 이집트의 대통령 | 4대 | 국민민주당 | 98.5% | 9,567,904표 | 1위 | |
1987년 선거 | 이집트의 대통령 | 4대 | 국민민주당 | 97.1% | 12,086,627표 | 1위 | |
1993년 선거 | 이집트의 대통령 | 4대 | 국민민주당 | 96.3% | 15,095,025표 | 1위 | |
1999년 선거 | 이집트의 대통령 | 4대 | 국민민주당 | 93.79% | 17,554,856표 | 1위 | |
2005년 선거 | 이집트의 대통령 | 4대 | 국민민주당 | 88.6% | 6,316,714표 | 1위 |
참조
[1]
서적
Hosni Mubarak
https://books.google[...]
Infobase
[2]
뉴스
Hosni Mubarak
http://topics.nytime[...]
2011-01-25
[3]
뉴스
Profile: Hosni Mubarak
https://www.bbc.com/[...]
BBC News
2017-03-24
[4]
웹사이트
Egypt profile – Overview
https://www.bbc.com/[...]
BBC News
2022-01-15
[5]
뉴스
Egypt Calls in Army as Protesters Rage
https://www.nytimes.[...]
2011-01-28
[6]
뉴스
Mubarak Steps Down, Ceding Power to Military
https://www.nytimes.[...]
2011-02-11
[7]
뉴스
Egypt crisis: President Hosni Mubarak resigns as leader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2-11
[8]
뉴스
Prosecutors Order Mubarak and Sons Held
https://www.nytimes.[...]
2011-04-13
[9]
뉴스
Mubarak to be tried for murder of protesters
https://www.reuters.[...]
Reuters
2011-05-24
[10]
뉴스
Trial of Egypt's Hosni Mubarak starts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8-03
[11]
웹사이트
Hosni Mubarak sentenced to life in prison
http://www.theguardi[...]
2012-06-02
[12]
웹사이트
Egypt: Q&A on the Trial of Hosni Mubarak
https://www.hrw.org/[...]
2012-05-28
[13]
웹사이트
Egypt's Mubarak to get retrial
https://web.archive.[...]
3 News
2014-01-16
[14]
뉴스
Egypt's Hosni Mubarak jailed in corruption retrial
https://www.bbc.com/[...]
BBC News
2015-05-09
[15]
뉴스
Jailed sons of Egypt's deposed leader Hosni Mubarak freed
https://www.bostongl[...]
2015-10-13
[16]
뉴스
Egypt's Hosni Mubarak acquitted over 2011 protester deaths
https://www.bbc.co.u[...]
BBC News
2017-03-03
[17]
뉴스
Egypt's Hosni Mubarak freed after six years in detention
https://www.bbc.com/[...]
BBC News
2017-03-24
[18]
웹사이트
Egypt's former president Hosni Mubarak dies at 91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0-02-25
[19]
뉴스
Former Egyptian president Hosni Mubarak dies
https://www.bbc.com/[...]
BBC News
2020-02-25
[20]
웹사이트
Hosni Mubarak buried with full military honours
https://www.theguard[...]
2020-02-26
[21]
웹사이트
Profile: Egyptian President Hosni Mubarak
https://web.archive.[...]
2010-02-10
[22]
웹사이트
Air Marshal Mohammed Hosni Mubarak
https://web.archive.[...]
Egyptian Armed Forces
[23]
뉴스
Timeline: Hosni Mubarak, Egypt's President for Three Decades, Resigns
https://www.pbs.org/[...]
2020-02-26
[24]
뉴스
Timeline: Hosni Mubarak, Egypt's President for Three Decades, Resigns
https://www.pbs.org/[...]
2020-02-26
[25]
웹사이트
Staff Group Captain Mohammed Hosni Mubarak
https://web.archive.[...]
Egyptian Armed Forces
[26]
웹사이트
Hosni Mubarak Fast Facts
http://www.cnn.com/2[...]
CNN Library
2014-05-31
[27]
뉴스
The Mubarak legend – Longtime strongman can't withstand media barrage
https://web.archive.[...]
2011-02-03
[28]
뉴스
Middle East factfile: Key figures
https://ghostarchive[...]
2011-02-07
[29]
웹사이트
كتابات مصراوي – هيكل يفجر قنبلة مدوية حول لغز بقاء مبارك بشرم الشيخ
https://web.archive.[...]
Masrawy
2011-02-21
[30]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2011-02-26
[31]
뉴스
Egypt's Hosni Mubarak, 'pharaoh' president ousted during Arab Spring, dies at 91
https://fortune.com/[...]
2020-02-25
[32]
웹사이트
Eilts to Kissinger, July 22, 1975
https://aad.archives[...]
2011-01-29
[33]
웹사이트
Eilts to Kissinger, September 3, 1975
https://aad.archives[...]
2011-01-29
[34]
웹사이트
Hermann Eilts (US Ambassador to Egypt) to Henry Kissinger, September 5, 1975
https://aad.archives[...]
2011-01-29
[35]
웹사이트
Hermann Eilts to Henry Kissinger, December 31, 1975
https://aad.archives[...]
2011-01-29
[36]
뉴스
Egypt's Hosni Mubarak picks up Sadat's reins: profile
http://www.csmonitor[...]
2013-01-23
[37]
웹사이트
Hermann Eilts (US Ambassador to Egypt) to Cyrus Vance, 12 October 1978
https://aad.archives[...]
[38]
뉴스
The Cop on the Banks of the Nile
https://www.wsj.com/[...]
2010-07-26
[39]
서적
American Foreign Policy Basic Documents 1977–1980 (Communiqué by Arab League Council, 31 March 1979)
https://books.google[...]
Department of State
2020-02-26
[40]
서적
Islamic imperialism: A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06
[41]
서적
Islamic Imperialism: A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06
[42]
서적
Islamic Imperialism: A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06
[43]
뉴스
Hijacking Causes Chilling of U.S.-Egypt Relationship
http://articles.sun-[...]
2018-06-05
[44]
서적
Islamic Imperialism: A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06
[45]
뉴스
Middle East – Country profiles – Country profile: Egypt
http://news.bbc.co.u[...]
BBC News
2007-06-19
[46]
서적
Islamic Imperialism: A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06
[47]
서적
Islamic Imperialism: A History
Yale University Press
2006
[48]
서적
Egypt in the Era of Hosni Mubarak
https://books.google[...]
American University in Cairo Press
2011-04-01
[49]
뉴스
Lebanon War's Impact on Egypt: 'back to Square One'; News Analysis
https://www.nytimes.[...]
2020-02-26
[50]
서적
Egypt on the Brink
Yale University Press
2010
[51]
서적
Egypt on the Brink
Yale University Press
2010
[52]
뉴스
No paradise
https://www.economis[...]
2016-11-30
[53]
뉴스
Profile: Hosni Mubarak
https://www.bbc.com/[...]
BBC News
2013-08-22
[54]
서적
The Looming Tower: Al Qaeda and the Road to 9/11
https://archive.org/[...]
Vintage Books
[55]
뉴스
Man Killed After Injuring Mubarak
https://www.latimes.[...]
2011-02-01
[56]
뉴스
Top 21 faces of the Gulf War
http://english.alara[...]
Al-Arabiya News
2015-08-14
[57]
뉴스
The IMF's model pupil
http://www.economist[...]
2007-06-19
[58]
뉴스
Mubarak warns of '100 bin Ladens'
http://edition.cnn.c[...]
CNN
2011-01-29
[59]
뉴스
Mubarak: "U.S withdrawal would hurt Iraq"
https://www.usatoday[...]
2011-01-29
[60]
서적
Inside Egypt: The Land of the Pharaohs on the Brink of a Revolution
https://books.google[...]
Macmillan
2009-08-18
[61]
웹사이트
Mubarak opponents take to streets, allege rigging
http://www.livepunja[...]
LivePunjab
2005-09-12
[62]
뉴스
Testing Egypt, Mubarak Rival Is Sent to Jail
https://www.nytimes.[...]
2009-06-06
[63]
웹사이트
Egyptian bloggers brave police intimidation
http://www.nbcnews.c[...]
NBC News
2011-01-28
[64]
간행물
The C.I.A.'s Travel Agent
http://www.newyorker[...]
2011-01-28
[65]
웹사이트
Striptease brevpapperl Agent
http://www.trojkan.s[...]
trojkan.se
2004-05-18
[66]
뉴스
Egyptian elections: independents fight for hearts and minds in 'fixed ballot'
https://www.theguard[...]
2011-01-28
[67]
웹사이트
Country Report – Egypt
http://www.freedomho[...]
freedomhouse.org
2011-04-15
[68]
웹사이트
CPI 2010 table
http://www.transpare[...]
2010-10-26
[69]
뉴스
Egypt's Mubarak likely to retain vast wealth
https://abcnews.go.c[...]
ABC News
2011-02-03
[70]
뉴스
Mubarak family fortune could reach $70bn, say experts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71]
뉴스
The Tragedy of Mubarak
2011-02-21
[72]
저널
Switzerland freezes assets of Mubarak.
http://www.deccanher[...]
2011-02-12
[73]
웹사이트
ط§ظ"ط£ظˆظ"ظ‰ – ط§ظ"ظ†ط§ط¦ط¨ ط§ظ"ط¹ط§ظ... ظٹط·ظ"ط¨ طھط¬ظ...ظٹط¯ ط£ط±طµط¯ط ظ...ط¨ط§ط±ظƒ ظˆط¹ط§ط¦ظ"طھظ‡
https://web.archive.[...]
[74]
웹사이트
بوابة الوفد الالكترونية
http://www.alwafd.ne[...]
[75]
웹사이트
تجميد أرصدة مبارك إجراء لإجباره على الخروج من مصر بعد رفضه مطالبات مسبقة, الدستور
https://web.archive.[...]
Dostor
2011-02-22
[76]
웹사이트
Egypt Issues Travel Ban, Asset Freeze on Mubarak
http://www.voanews.c[...]
2011-04-15
[77]
웹사이트
حمدى السيد: جمال مبارك كان يدبر لانقلاب على أبيه بدعم العادلى – بوابة الشروق
http://www.shoroukne[...]
2011-04-15
[78]
서적
Egypt: Background and U. S. Relations
https://books.google[...]
CRS
2009
[79]
서적
Rebbe: The Life and Teachings of Menachem M. Schneerson, the Most Influential Rabbi in Modern History
HarperCollins
2014
[80]
웹사이트
The Arab Peace Initiative, 2002
https://web.archive.[...]
2005-10-01
[81]
웹사이트
Arab summit adopts Saudi peace initiative
https://www.cnn.com/[...]
CNN
2020-02-26
[82]
뉴스
World divided over Mideast conflict
http://english.aljaz[...]
2006-07-15
[83]
뉴스
Rockets hit Israel, breaking Hamas truce
https://web.archive.[...]
2008-06-25
[84]
뉴스
Hamas offering Israel truce, not peace
https://www.usatoday[...]
USA Today
2008-03-12
[85]
뉴스
Gaza Truce May Be Revived by Necessity
https://www.nytimes.[...]
2008-12-19
[86]
문서
Press Conference on Gaza humanitarian situation
https://www.un.org/N[...]
UN
2009
[87]
뉴스
Truce barely eases Gaza embargo
http://news.bbc.co.u[...]
BBC News
2008-08-19
[88]
뉴스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08-11-05
[89]
뉴스
Mubarak blocks resistance Cairo conference
https://web.archive.[...]
2009-05-12
[90]
뉴스
Egypt unrest: Hosni Mubarak vows to quit after polls
https://www.bbc.co.u[...]
BBC
2009-05-16
[91]
뉴스
Factbox{{mdash}}World reaction to Egypt's Mubarak quitting in September
https://web.archive.[...]
Reuters
2011-02-03
[92]
뉴스
Egypt unrest: PM apologises for Tahrir Square violence
https://www.bbc.co.u[...]
BBC News
2011-02-03
[93]
뉴스
Egypt protests: Hosni Mubarak to make TV address
https://www.bbc.co.u[...]
BBC
2011-02-10
[94]
웹사이트
Egyptians celebrate a moment in history
https://www.theglobe[...]
[95]
웹사이트
BBC on Mubarak
https://www.bbc.co.u[...]
[96]
웹사이트
Defiant Mubarak vows to finish term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11-02-01
[97]
뉴스
Hosni Mubarak resigns – and Egypt celebrates a new dawn
https://www.theguard[...]
2011-02-11
[98]
웹사이트
President Obama hails Mubarak's Resignation, Cites 'Moral Force of Non-Violence: Uncensored News
http://freeinternetp[...]
[99]
뉴스
Workers at Mubarak's palace plan 'Friday of Apology' Mubarak given up, wants to die in Sharm
http://www.alarabiya[...]
Al Arabiya News
2011-02-15
[100]
뉴스
Ex-Egyptian President Hosni Mubarak near death
http://www.nydailyne[...]
Daily News (New York)
2011-02-15
[101]
뉴스
General Prosecution: Mubarak and his family are not out of Egypt
http://www.sis.gov.e[...]
Egyptian State Information Service
2011-03-04
[102]
웹사이트
Egypt army reconsiders cases of jailed protesters
https://news.yahoo.c[...]
[103]
뉴스
Ailing Mubarak wheeled into courtroom cage for trial
https://web.archive.[...]
CNN
2011-08-03
[104]
웹사이트
Egypt paper publishes 'Mubarak interview'
http://www.aljazeera[...]
Al Jazeera
[105]
뉴스
Mubarak, other former Egypt officials fined $91 million for blocking cellphones, Internet
http://www.latimes.c[...]
2011-05-29
[106]
뉴스
Mubarak fined for mobile, Internet cut
http://213.158.162.4[...]
2011-05-29
[107]
뉴스
Mubarak and sons to stand trial in August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6-01
[108]
뉴스
Judge Says TV Will Show Mubarak on Trial
https://www.nytimes.[...]
2011-07-31
[109]
뉴스
Mubarak trial reined in at second hearing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1-08-15
[110]
웹사이트
Egypt's Hosni Mubarak Trial: Defense Concludes, Argues Ousted Leader Still President
http://www.huffingto[...]
2012-01-21
[111]
뉴스
Mubarak jailed for protest deaths
https://www.bbc.co.u[...]
BBC
2012-06-02
[112]
뉴스
New Turmoil in Egypt Greets Mixed Verdict for Mubarak
https://www.nytimes.[...]
2012-06-02
[113]
뉴스
Hosni Mubarak's sentence greeted with initial euphoria, then anger
https://www.theguard[...]
2012-06-02
[114]
뉴스
Live updates: Thousands take to Egypt street protesting 'political' ruling in Mubarak case
http://english.ahram[...]
2012-06-02
[115]
뉴스
Egypt's Mubarak to get retrial
http://www.3news.co.[...]
2013-01-14
[116]
뉴스
Ousted Egyptian President Hosni Mubarak's retrial starts
https://www.bbc.co.u[...]
BBC News
2013-05-11
[117]
뉴스
Egyptian Court Orders Mubarak's Release
https://abcnews.go.c[...]
ABC News
[118]
뉴스
Egypt to place Mubarak under house arrest
http://www.timesofis[...]
2013-08-22
[119]
뉴스
Egypt's Mubarak gets three years in a graft case
http://www.middleeas[...]
[120]
뉴스
Hosni Mubarak: Egypt court drops murder charges over 2011 killings
https://www.bbc.com/[...]
BBC News
2014-11-29
[121]
뉴스
Egypt: Ex-ruler Hosni Mubarak, accused in deaths of hundreds, cleared of charges
http://edition.cnn.c[...]
CNN
2014-11-29
[122]
뉴스
Egypt's high court overturns last conviction against Mubarak
https://www.reuters.[...]
Reuters
2015-01-13
[123]
뉴스
Hosni Mubarak and Sons Sentenced to 3 Years in Prison, Likely to Go Free
https://www.nbcnews.[...]
NBC News
2015-05-09
[124]
뉴스
Egyptian court sentences former president Hosni Mubarak and sons to three years in prison for corruption
http://news.national[...]
2015-05-09
[125]
뉴스
Egypt: Hosni Mubarak sentenced to three years in prison
https://www.theguard[...]
2015-05-09
[126]
웹사이트
In rare interview, Mubarak says Egyptians want Sisi
http://english.alara[...]
Al Arabiya
2014-02-06
[127]
웹사이트
Mubarak supports Sisi, slams Sabbahi in phone interview
http://thecairopost.[...]
[128]
뉴스
Report: Mubarak has fallen ill
http://www.jpost.com[...]
2010-07-07
[129]
뉴스
The Muslim Brotherhood in flux – In Depth
http://english.aljaz[...]
Al Jazeera
2010-11-21
[130]
뉴스
Report: Egypt's Mubarak dying of cancer
http://www.upi.com/T[...]
2010-07-19
[131]
뉴스
Mubarak Mystery: In Egypt, in Germany, in Coma?
https://www.cbsnews.[...]
CBS
2011-02-13
[132]
뉴스
Mubarak ailing, wants to die in Egypt
http://www.ynetnews.[...]
2011-02-15
[133]
뉴스
Ex-Egyptian President Hosni Mubarak near death: reports; protests flare up in Bahrain, Yemen
http://www.nydailyne[...]
2011-02-15
[134]
뉴스
Former Egyptian President Mubarak hospitalized
http://www.cnn.com/2[...]
CNN
2011-04-13
[135]
뉴스
Hosni Mubarak Has Cancer
https://www.telegrap[...]
2011-06-21
[136]
뉴스
Mubarak falls into coma after final speech: report
http://www.alarabiya[...]
Al Arabiya
2011-07-13
[137]
뉴스
Egypt's ousted president Hosni Mubarak is reportedly depressed and refusing solid food
http://www.globalpos[...]
2011-07-26
[138]
웹사이트
Hosni Mubarak 'has a heart attack' while taken to prison
https://www.telegrap[...]
2012-06-02
[139]
웹사이트
Mubarak has heart attack on way to jail
http://www.news24.co[...]
AP via News24
2012-06-02
[140]
웹사이트
Doctors twice use defibrillator on Egypt's Mubarak
http://montreal.ctv.[...]
CTV Montreal
2012-06-11
[141]
웹사이트
Hosni Mubarak 'defibrillated after heart stops'
https://www.telegrap[...]
2012-06-11
[142]
웹사이트
Conflicting reports about whether Mubarak has died
http://edition.cnn.c[...]
CNN
2012-06-19
[143]
웹사이트
Hosni Mubarak asks to vote in Egypt's constitutional referendum
https://www.theguard[...]
2014-01-16
[144]
웹사이트
Hosni Mubarak breaks leg in jail
https://www.theguard[...]
2014-06-19
[145]
뉴스
Former Egyptian president Hosni Mubarak dies
https://www.bbc.com/[...]
BBC News
2020-02-25
[146]
웹사이트
In Pictures: Egypt holds funeral for Hosni Mubarak
https://www.aljazeer[...]
Al Jazeera
2020-02-26
[147]
뉴스
Hosni Mubarak's grandson, 12, dies suddenly
https://www.latimes.[...]
2009-05-20
[148]
뉴스
The Tragedy of Hosni Mubarak
http://www.newsweek.[...]
2011-02-13
[149]
웹사이트
Africa loses more money to illicit financial flows than it receives in foreign aid
http://qz.com/653937[...]
2016-04-04
[150]
웹사이트
Personality Spotlight;NEWLN:Hosni Mubarak: Egyptian president
https://www.upi.com/[...]
[151]
웹사이트
Egyptian Air Force – Air Marshal Mohammed Hosni Mubarak
http://www.mmc.gov.e[...]
[152]
웹사이트
Indian Council for Cultural Relations, Universe of Culture, Promoting Indian Culture, Showcasing World Cultures
http://www.iccrindia[...]
Iccrindia
[153]
웹사이트
BOE, Spanish Official Journal A-1985-19855 (In Spanish)
https://boe.es/busca[...]
[154]
서적
Kungliga Serafimerorden 1748 – 1998
Kungl. Maj:ts orden
[155]
웹사이트
Dostluk İlişkilerine Katkının Altın Sembolü: Devlet ve Cumhuriyet Nişanları (Turkish) – The Gold Symbol Contribution of Friendly Relations : State and Republic Orders
http://www.haberler.[...]
Haberler.com
2013-02
[156]
간행물
Špiljak - Mubarak u srdačnoj atmosferi
https://arhiv.slobod[...]
1984-02-27
[157]
웹사이트
EGYPT AND CHINA SIGN ARMS PACT, HAIL CLOSER TIES
https://www.nytimes.[...]
뉴욕 타임즈
1976-04-22
[158]
뉴스
China Will Sell Arms to Egypt, Sadat Announces
https://www.washingt[...]
1979-06-06
[159]
웹사이트
长城拥抱苏伊士:中埃军事合作的那些事儿
http://www.360doc.co[...]
2015-09-08
[160]
서적
Political Leaders of the Contemporary Middle East and North Africa: A Biographical Dictionary
Greenwood Publishing Group
[161]
웹사이트
http://www.foreignaf[...]
[162]
웹사이트
No news -- good news?
http://weekly.ahram.[...]
2005-06-08
[163]
뉴스
산케이 신문
2011-02-13
[164]
서적
サッカーと独裁者 アフリカ13か国の「紛争地帯」を行く
白水社
[165]
뉴스
エジプト大統領、ドイツで胆のう摘出手術
https://web.archive.[...]
讀賣新聞社
2010-03-06
[166]
뉴스
ムバラク大統領、辞任を拒否 11日のデモ混乱は避けられず
http://sankei.jp.msn[...]
産經新聞
2011-02-11
[167]
뉴스
ムバラク氏が辞任、軍が全権掌握
http://sankei.jp.msn[...]
産經新聞
2011-02-12
[168]
뉴스
ムバラク一家、資産総額は5兆8400億円?
https://web.archive.[...]
讀賣新聞
2011-02-13
[169]
뉴스
エジプトのムバラク前大統領、事情聴取中に心臓発作
https://www.afpbb.co[...]
프랑스 통신사
2011-04-12
[170]
뉴스
ムバラク氏を15日間拘束 事情聴取でエジプト検察
https://web.archive.[...]
2011-04-13
[171]
뉴스
エジプト・ムバラク前大統領に死刑求刑
https://web.archive.[...]
2012-01-06
[172]
뉴스
ムバラク前大統領に終身刑
http://sankei.jp.msn[...]
2012-06-02
[173]
뉴스
エジプト:ムバラク前大統領、2回心停止で治療
http://mainichi.jp/s[...]
[174]
뉴스
ムバラク前大統領、意識不明の重体に
http://www.asahi.com[...]
[175]
뉴스
ムバラク前大統領、健康改善で再び収監
http://sankei.jp.msn[...]
2012-07-16
[176]
뉴스
エジプト最高裁、ムバラク前大統領らの裁判やり直し命令
http://jp.wsj.com/ar[...]
2013-01-14
[177]
웹사이트
https://www.nikkei.c[...]
[178]
뉴스
デモ隊殺害指示の罪、ムバラク氏に「無罪」判決
https://web.archive.[...]
2014-11-29
[179]
뉴스
ムバラク氏「無罪」 エジプトで判決 若者ら反発必至
http://www.tokyo-np.[...]
2014-11-30
[180]
뉴스
ムバラク元大統領に無罪 エジプトの最高裁 終身刑から一転 軍出身シシ政権誕生後に司法判断変化
https://web.archive.[...]
産経ニュース
2017-03-03
[181]
뉴스
ムバラク元大統領の無罪確定=11年のデモ隊殺害-エジプト
http://www.jiji.com/[...]
2017-03-03
[182]
뉴스
「現代のファラオ」エジプトのムバラク元大統領が死去…91歳
https://www.yomiuri.[...]
2020-02-25
[183]
웹사이트
https://web.archive.[...]
[184]
웹사이트
http://www.yonhapnew[...]
[185]
뉴스
무바라크, 내각 해산..최소 26명 사망(종합3보)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2011-01-29
[186]
웹사이트
http://www.bbc.co.uk[...]
[187]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188]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189]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190]
웹사이트
https://news.naver.c[...]
[191]
뉴스
이집트 독재자 무바라크 6년 만에 무죄 석방
http://m.news.naver.[...]
한국경제
[192]
웹사이트
http://m.zum.com/new[...]
[193]
웹사이트
http://www.anewsa.c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