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차 중동 전쟁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제2차 중동 전쟁은 1956년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에 반발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의 군사 개입으로 발발했다. 이집트의 나세르는 범아랍주의와 비동맹 노선을 추구하며 서방과 대립했고, 영국과 프랑스는 수에즈 운하의 이권을, 이스라엘은 티란 해협의 자유 항행을 확보하려 했다. 이스라엘의 선제 공격 이후 영국과 프랑스는 공습과 상륙 작전을 감행했으나, 미국과 소련을 중심으로 한 국제 사회의 압력으로 휴전하고 철수했다. 이 전쟁으로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하며 정치적 승리를 거두었지만, 영국과 프랑스는 중동에서의 영향력을 상실했다. 이스라엘은 티란 해협의 자유 항행을 확보하고 안보를 강화했다. 이 사건은 탈식민화 가속화, 냉전 구도 변화, 미국의 중동 정책 변화 등 국제 정치 질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제2차 중동 전쟁 - [전쟁]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분쟁 명칭 | 수에즈 위기 |
다른 이름 | 수에즈 운하 위기 수에즈 전쟁 1956년 전쟁 수에즈-시나이 전쟁 1956년 아랍-이스라엘 전쟁 수에즈 작전 시나이 작전 카데시 작전 머스킷티어 작전 |
일부 | 냉전 아랍-이스라엘 분쟁 |
기간 | 1956년 10월 29일 ~ 1956년 11월 7일 () |
장소 | 이집트 (가자 지구에서 수에즈 운하까지) |
원인 |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 이스라엘 선박의 수에즈 운하 및 티란 해협 통행 봉쇄 |
결과 | 유엔의 휴전 제의 유엔 긴급군 (UNEF) 시나이반도 점령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 성공 영국-프랑스 연합군 철수 (1956) 이스라엘군 철수 (1957) 이스라엘의 티란 해협 확보 영국이 초강대국 자리에서 물러남 앤서니 이든의 영국 총리직 사임 기 몰레 프랑스 총리의 해임 위기 |
영토 | 이스라엘의 시나이 반도 점령 (및 가자 지구, 1957년 3월까지) |
교전 세력 | |
연합군 | 프랑스 |
이집트군 | 이집트 |
지휘관 | |
연합군 지휘관 | 다비드 벤구리온 모셰 다얀 아사프 시므호니 (전사) 하임 바를레브 아브라함 요페 이스라엘 탈 아리엘 샤론 우리 벤아리 앤서니 이든 제럴드 템플러 찰스 키틀리 휴 스톡웰 데니스 바넷 맨리 파워 르네 코티 기 몰레 피에르 바르조 앙드레 보프르 자크 마쉬 |
이집트군 지휘관 | 가말 압델 나세르 압델 하킴 아메르 사아데덴 무타왈리 사미 야사 자파르 알압드 살라헤딘 모구이 라우프 마흐푸즈 자키 |
병력 규모 | |
연합군 병력 | 175,000명 45,000명 34,000명 |
이집트군 병력 | 90,000명 |
사상자 및 손실 | |
연합군 사상자 | 이스라엘: 172명 사망 817명 부상 1명 포로 영국: 22명 사망 96명 부상 프랑스: 10명 사망 33명 부상 |
이집트군 사상자 | 1,650명 – 3,000명 사망 4,900명 부상 5,000명 이상 포로 |
이집트군 손실 | 215대 이상 항공기 파괴 125대 탱크 파괴 |
민간인 사망자 | 1,000명 이상 |
관련 명칭 | |
아랍어 | أزمة السويس (수에즈 위기) العدوان الثلاثي (삼자 침략) |
프랑스어 | Crise du canal de Suez (수에즈 운하 위기) |
히브리어 | מבצע קדש (카데시 작전) מלחמת סיני (시나이 전쟁) |
2. 배경
1952년 7월 이집트에서 급진파 자유장교단의 쿠데타로 파루크 왕정이 무너지고 나세르가 정권을 잡았다.[314] 나세르는 범아랍주의를 내세우며 민족주의 운동을 전개하고, 비동맹 중립 노선을 표방하며 구소련 및 체코슬로바키아 등 동구권 국가들과 가까워졌다.[314] 그는 아랍·아프리카·회교권 3세력 통합을 추구하며 아프리카 각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여 영국 및 프랑스와 갈등을 빚었고, 미국도 그의 노선에 의구심을 품었다.[314]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은 비밀리에 군사협정을 맺고 이스라엘의 이집트 도발을 사주하며 침공 계획을 세웠다. 미국은 이라크의 실권자 누리 사이드를 포섭하여 1955년 2월 바그다드 조약기구를 창설, 중동 지역 영향력 강화와 아랍권 분열을 시도했다.[314]
1956년 7월, 나세르는 수에즈 운하 회사와 운하 통행료의 국유화를 선언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외교적 교섭과 군사 행동 중 후자를 택했으나, 미국은 평화적 해결을 권고했다.[314]
2. 1. 수에즈 운하의 건설과 전략적 중요성
수에즈 운하는 프랑스와 이집트 정부의 자금 지원을 받아 10년간의 공사 끝에 1869년에 개통되었다.[23] 운하는 지중해와 홍해를 연결하여 인도양으로 이어지는 최단 해상 루트를 제공함으로써 즉시 전략적으로 중요해졌다.
이는 무역 국가들의 상업을 용이하게 하였고, 특히 유럽 열강들이 식민지를 얻고 통치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
1875년, 이집트는 부채와 재정 위기로 인해 운영 회사의 지분을 영국 정부에 매각해야 했다. 영국은 400만파운드에 회사 지분의 44%를 확보했다.[24] 1888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은 수에즈 운하를 영국의 보호하에 중립 지대로 선포했다.[24] 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전시와 평시 모두 국제 선박이 운하를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데 동의했다.[25]
이 조약에도 불구하고, 1904년~1905년 러일 전쟁 기간 중 일본과 영국이 별도의 양자 협정을 체결한 후 운하의 전략적 중요성과 그 통제권이 입증되었다. 영국은 도거뱅크 사건 이후 러시아 발트 함대의 운하 이용을 거부하고 아프리카의 희망봉을 돌아 항해하도록 강제하여 일본 제국군이 전열을 정비할 시간을 벌어주었다.
운하의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중요성은 제1차 세계 대전 중에도 다시 한번 드러났다. 영국과 프랑스는 전쟁 중 연합국이 아닌 선박의 운하 통과를 금지했기 때문이다. 1915년 독일이 이끄는 오스만 제국 제4군이 수에즈 운하 습격을 시도하자 영국은 전쟁이 끝날 때까지 이집트 방어에 10만 명의 병력을 배치했다.[26]
결론적으로 수에즈 운하는 영국에게 인도, 북아프리카, 그리고 중동 전체에 대한 전략적으로 중요한 지점이었으며, 그 중요성은 두 차례의 세계 대전을 통해 입증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당시, 운하는 영국과 프랑스에 의해 연합국 측 선박의 통항이 금지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는 북아프리카 전역에서 끈질기게 방어되었으며, 연합군의 렌드리스를 포함한 물자 수송과 병력 수송에 이용되어 전황에 기여하였다.
2. 2. 이집트 혁명과 민족주의 고조
1952년 이집트 혁명으로 파루크 왕정이 무너지고 나세르가 권력을 잡았다.[314] 나세르는 범아랍주의를 내세우며 민족주의 운동을 펼쳤고, 비동맹 중립 노선을 표방하며 구소련 및 체코슬로바키아 등 동구권 국가들과 가까워졌다.[314]나세르는 아랍, 아프리카, 회교권 3세력 통합을 추구하며 아프리카 각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여 영국 및 프랑스와 갈등을 빚었고, 미국 역시 그의 노선에 의구심을 품었다.[314]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은 비밀리에 군사협정을 맺고 이스라엘의 이집트 도발을 사주하며 침공 계획을 세웠다. 미국은 이라크의 실권자 누리 사이드를 포섭하여 1955년 2월 바그다드 조약기구를 창설, 중동 지역 영향력 강화와 아랍권 분열을 시도했다.[314]
1950년대 중동은 다음과 같은 네 가지 상호 연관된 갈등으로 지배받았다.
- 냉전: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 사이의 지정학적 영향력 다툼
- 아랍 냉전: 아랍 세계의 지도권을 놓고 서로 다른 아랍 국가들 간의 경쟁[34]
- 아랍 민족주의자들의 반식민지 투쟁: 특히 알제리 전쟁에서 영국과 프랑스와 같은 남은 두 제국주의 세력에 대한 아랍 민족주의자들의 반식민지 투쟁[35]
- 아랍-이스라엘 분쟁: 아랍 국가들과 이스라엘 사이의 정치적, 군사적 갈등
1952년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자유장교단은 무함마드 나기브 장군을 대통령으로 추대하고, 이듬해 국왕 파루크 1세를 퇴위시켜 공화제로 이행하였다. 또한, 수에즈 운하 지대에 주둔하고 있던 영국군을 철수시키는 협정을 맺는 한편, 냉전 구조 속에서 미와 소 양대 강국 어느 쪽에도 가담하지 않는 비동맹주의를 취하는 등 아랍 세계의 결속에 힘썼다. 그러나 미국이 이스라엘을 배려하여 이집트에 대한 무기 공급에 소극적이었던 탓에, 1955년 9월 27일 동구권 국가 체코슬로바키아와 무기 협정을 체결하여 신형 무기를 구입하자, 중동 지역의 군사 물자 공급 독점이 깨진 서구권과의 대리 전쟁 양상을 띠게 되었다. 프랑스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최신 전투기를 이스라엘에 판매하였고, 미국과 영국 등은 아스완 하이 댐 건설 자금에 대한 세계은행의 융자를 철회하는 보복을 가했다.[278]
2. 3. 냉전과 중동 지역의 긴장
1952년 군사 쿠데타로 자유장교단이 정권을 장악한 후, 무함마드 나기브 장군이 대통령에 취임하고 파루크 1세를 퇴위시켜 공화제를 수립했다.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 주둔 영국군 철수 협정을 맺고, 냉전 속에서 미·소 양 강대국에 가담하지 않는 비동맹주의를 택하며 아랍 세계 결속을 추구했다. 그러나 미국이 이스라엘을 고려해 이집트에 대한 무기 공급에 소극적이자, 1955년 9월 27일 체코슬로바키아와 무기 협정(Egyptian–Czechoslovak arms deal|이집트-체코슬로바키아 무기 거래영어)을 체결, 신형 무기를 구입했다.[278] 이는 중동 군사 물자 공급 독점을 깨뜨려 서구권과의 대리 전쟁 양상을 띠게 되었다. 프랑스는 최신 전투기를 이스라엘에 판매했고, 미국과 영국은 아스완 하이 댐 건설 자금에 대한 세계은행 융자를 철회했다.[278] 이러한 상황에서 1956년 대통령이 된 나세르는 7월 26일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단행했다.[279]1952년 7월 이집트에서 자유장교단 쿠데타로 파루크 왕정이 무너지고 나세르가 집권했다. 그는 범아랍주의를 내세워 민족주의 운동을 펼치고, 비동맹 중립 노선과 구소련, 체코슬로바키아 등 동구권과의 접근을 추진했다. 아랍·아프리카·회교권 통합을 추구한 나세르는 아프리카 독립운동을 지원하여 영국, 프랑스와 충돌했고, 미국도 그의 노선에 의혹을 가졌다.
이 과정에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은 비밀 군사협정을 맺고 이스라엘의 도발을 사주하며 침공 계획을 세웠다. 미국은 이라크의 누리 사이드를 포섭, 1955년 2월 바그다드 조약기구를 창설해 중동 영향력 강화와 아랍권 분열을 시도했다.
1956년 5월 16일, 나세르는 중국을 공식 승인하여 미국의 덜레스 장관을 분노케 했다.[87] 미국은 아스완 댐 건설 지원을 철회했고, 나세르는 1955년 9월 체코슬로바키아를 통한 소련 군사 장비 구매를 발표했다.[97]
1956년 1월, 아이젠하워는 중동 군비 경쟁을 막고 이집트와 이스라엘 간 평화를 위해 로버트 B. 앤더슨을 특사로 파견했다.[98] 앤더슨은 나세르에게 평화 조약 대가로 대규모 원조를 제안했지만, 나세르는 팔레스타인 난민 귀환, 이스라엘 남부 합병, 직접 회담 거부 등[99]의 요구를 했다. 다비드 벤구리온 이스라엘 총리는 나세르가 타협에 관심 없고 미국 무기를 원한다고 의심했다.[100] 1956년 2월 앤더슨의 두 번째 외교도 실패했다.[101]
1950년대 중동은 냉전, 아랍 냉전, 아랍 민족주의자들의 반식민지 투쟁, 아랍-이스라엘 분쟁 등 네 가지 갈등으로 지배되었다.
2. 4. 아스완 댐 건설과 서방의 지원 철회
1952년 군사 쿠데타 이후, 자유장교단은 무함마드 나기브 장군을 대통령으로 추대하고 파루크 1세를 퇴위시켜 공화제를 수립했다. 이들은 영국군을 수에즈 운하 지대에서 철수시키는 협정을 맺고, 냉전 속에서 미와 소 양 진영에 가담하지 않는 비동맹주의를 추구하며 아랍 세계의 결속을 도모했다.그러나 미국은 이스라엘을 고려하여 이집트에 대한 무기 공급에 소극적이었고, 이에 이집트는 1955년 9월 27일 동구권 국가인 체코슬로바키아와 Egyptian–Czechoslovak arms deal|이집트-체코슬로바키아 무기 거래영어를 체결하여 신형 무기를 구입했다.[278] 이는 중동 지역 군사 물자 공급 독점을 깨뜨려 서구권과의 대리 전쟁 양상을 띠게 되었다.
프랑스는 이에 대응하여 최신 전투기를 이스라엘에 판매했고, 미국과 영국은 아스완 하이 댐 건설 자금에 대한 세계은행 융자를 철회하는 보복 조치를 취했다.[278] 1956년 5월 16일, 나세르는 중국을 공식적으로 승인했는데, 이는 미국과 중화민국의 지지자인 덜레스 장관을 분노케 했다.[87] 이러한 움직임과 아스완 댐 프로젝트가 이집트의 경제적 능력을 넘어선다는 인상이 더해지면서, 아이젠하워는 7월 19일 아스완 댐 프로젝트에 대한 모든 미국의 재정 지원을 철회했다.[87]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나세르가 미국과 소련을 서로 이용하려는 것에 불만을 가졌고, 아스완 댐 건설 자금 지원을 거부했다. 1955년 9월, 나세르가 체코슬로바키아를 통해 소련 군사 장비를 구매한다고 발표하자, 덜레스는 나세르의 호의를 얻기 위한 경쟁은 "비용이 많이 드는 과정"이 될 것이라 판단했다.[97] 이러한 상황에서 1956년 대통령에 취임한 가말 압델 나세르는 7월 26일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단행했다.[279]
2. 5. 아랍-이스라엘 분쟁과 세브르 협정
제1차 중동전쟁 휴전 이후, 이스라엘과 아랍 국가들 간의 분쟁은 계속되었다. 특히 1952년 이집트에서 나세르가 정권을 잡으면서 긴장은 더욱 고조되었다. 나세르는 범아랍주의를 내세우며 민족주의 운동을 펼쳤고, 이는 영국과 프랑스와의 충돌을 야기했다.1956년 7월, 나세르는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선언했다. 이는 수에즈 운하의 주요 주주였던 영국과 프랑스에 큰 타격을 주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수에즈 운하 회사 지분을 가지고 있었고, 운하를 통해 막대한 이익을 얻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3국은 비밀리에 세브르 협정을 체결했다. 이 협정의 내용은 다음과 같았다.[282]
- 이스라엘이 시나이반도를 침공한다.
- 영국과 프랑스는 이스라엘과 이집트 양측에 군대 철수를 요구한다.
- 이집트가 이를 거부하면, 영국과 프랑스는 수에즈 운하의 안전 확보를 명목으로 군사 개입을 한다.
- 이스라엘은 시나이 반도를 점령하고, 영국과 프랑스는 수에즈 운하 지대에 주둔한다.
이스라엘은 이 협정을 통해 티란 해협 봉쇄를 풀고, 시나이 반도에서 이집트군을 몰아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수에즈 운하에 대한 통제권을 회복하고, 나세르 정권을 약화시키려 했다.
이 협정에 따라 1956년 10월 29일, 이스라엘은 시나이 반도를 침공했고, 영국과 프랑스는 계획대로 군사 개입을 시작했다. 이스라엘은 이 협정으로 프랑스로 부터 AMX-13 전차 250대와 M50 슈퍼셔먼 50대[283]등의 군사적 지원을 받았다.
3. 수에즈 운하 국유화와 서방의 반응
1952년 7월 이집트에서 급진파 자유장교단의 쿠데타로 파루크 왕정이 무너지고 나세르가 정권을 장악했다. 그는 범아랍주의를 내세워 민족주의 운동을 펼치는 한편, 비동맹 중립 노선을 표방하고 구소련 및 체코슬로바키아 등 동구권과의 관계를 강화했다.[314]
나세르는 아랍, 아프리카, 회교권 3세력 통합을 추구하며 당시 아프리카 각국의 독립운동을 지원하여 영국, 프랑스와 충돌했다. 미국 또한 그의 노선에 의혹을 가졌다.[314]
이러한 상황에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3국은 비밀리에 군사협정을 맺고 이스라엘의 이집트 도발을 부추기는 한편 침공 계획을 세웠다. 미국은 이라크의 실권자 누리 사이드를 포섭, 1955년 2월 바그다드 조약기구를 창설하여 중동 지역 영향력 강화와 아랍권 분열을 시도했다.[314]
1956년 7월, 나세르는 수에즈 운하 회사와 운하 통행료의 국유화를 선언했다. 영국과 프랑스는 외교적 교섭과 군사 행동 중 후자를 택했으나, 미국은 평화적 해결을 권고했다.[314]
3. 1. 이집트의 국유화 선언

1952년 군사 쿠데타로 정권을 잡은 자유장교단은 무함마드 나기브 장군을 대통령으로 추대하고, 이듬해 국왕 파루크 1세를 퇴위시켜 공화제로 이행하였다. 또한, 수에즈 운하 지대에 주둔하고 있던 영국군을 철수시키는 협정을 맺는 한편, 냉전 구조 속에서 미와 소 양대 강국 어느 쪽에도 가담하지 않는 비동맹주의를 취하는 등 아랍 세계의 결속에 힘썼다. 그러나 미국이 이스라엘을 배려하여 이집트에 대한 무기 공급에 소극적이었던 탓에, 1955년 9월 27일 동구권 국가 체코슬로바키아와 무기 협정을 체결하여 신형 무기를 구입하였다(Egyptian–Czechoslovak arms deal영어). 이는 중동 지역의 군사 물자 공급 독점이 깨진 서구권과의 대리 전쟁 양상을 띠게 되었다. 프랑스는 이에 대한 대응으로 최신 전투기를 이스라엘에 판매하였고, 미국과 영국 등은 아스완 하이 댐 건설 자금에 대한 세계은행의 융자를 철회하는 보복을 가했다.[278] 이러한 상황 속에서 1956년 대통령에 취임한 가말 압델 나세르는 7월 26일 수에즈 운하의 국유화를 단행하였다.[279]
나세르는 1956년 7월 26일 알렉산드리아에서 연설을 통해 덜레스에게 반박했다. 연설 중 그는 운하 건설자인 페르디낭 드 레셉스의 이름을 의도적으로 언급했는데, 이는 이집트군에게 운하 장악 및 국유화를 실행하라는 암호였다.[107] 그는 국유화 법이 공포되었고, 수에즈 운하 회사의 모든 자산이 동결되었으며, 주주들에게는 파리 증권거래소의 당일 종가에 따라 주식 가격이 지불될 것이라고 발표했다.[108] 같은 날, 이집트는 이스라엘 선박의 운하 통행을 금지했다.[109] 이집트는 또한 티란 해협을 이스라엘 선박에 봉쇄하고 아카바 만을 봉쇄했는데, 이는 1888년 콘스탄티노플 조약을 위반하는 것이었다.[110][111]
3. 2. 영국과 프랑스의 군사 개입 결정
1956년 7월,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이 수에즈 운하를 국유화하자, 영국의 앤서니 이든 총리는 분개했다. 그는 수개월 동안 이집트와 협상을 이어갔지만, 결국 수에즈 운하의 국제적 관리를 회복하기 위한 군사 개입을 결정했다. 이를 위해 프랑스와 협력하여 이집트에 대한 군사 행동을 계획했다.[280]당시 프랑스는 알제리 전쟁에서 이집트가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을 지원하고 있다고 오해하여, 나세르 정권의 타도가 알제리 분쟁을 해결할 것이라고 믿었다.
1956년 7월부터 8월까지, 이스라엘 국방장관 시몬 페레스는 파리와 런던을 방문하여 영국과 프랑스가 이집트에 대한 군사 행동을 고려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9월 중순, 그는 다시 파리로 가서 전쟁 대비 무기 조달에 힘썼다. 프랑스는 이스라엘에 대한 무기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했고, 페레스는 프랑스의 이스라엘 지지 입장을 확인했다.[281]
영국과 프랑스는 이집트를 침공하여 수에즈 운하 지대를 확보하고자 했다. 그러나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침략 목적의 전쟁은 비난받는 상황이었기에, 제1차 중동 전쟁에서 이집트와 적대 관계였던 이스라엘에 주목했다. 당시 이집트 혁명으로 이스라엘은 이집트를 공격했고, 이에 분노한 나세르는 이스라엘의 인도양 출구인 아카바 만과 홍해를 잇는 티란 해협을 군함으로 봉쇄하여 이스라엘 경제에 타격을 입혔다. 수에즈 운하 이권 확보를 위한 군사 행동 명분을 찾던 영국과 프랑스, 그리고 티란 해협에서 자국 선박의 자유 항행권을 확보하기 위해 이집트군을 시나이 반도에서 몰아내고 싶었던 이스라엘은 이해관계가 일치했다.
나세르 정권 타도에 뜻을 같이 한 삼국 공동 군사 작전은 프랑스가 기획했다.
1956년 10월, 프랑스는 자국 군용기를 파견하여 이스라엘 대표단을 프랑스로 초청했다. 삼국 대표는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파리 교외 세브르에서 비밀 회담을 가졌다. 영국에서는 외무장관 로이드, 프랑스에서는 총리 몰레와 외무장관 피케, 이스라엘에서는 총리 벤구리온, 외무장관 페레스, 참모총장 다얀이 참석했다. 삼국은 다음과 같은 공동 군사 작전을 수행하기로 결정했다.
- 영국과 프랑스 해군 함대가 지중해 이집트 연안에서 대기하며 이스라엘의 침공을 기다린다.
- 10월 29일 19시(이스라엘 시간), 이스라엘이 시나이 반도에 침공하면, 영국과 프랑스는 이스라엘과 이집트 양국에 군대를 시나이 반도에서 철수하도록 통고한다.
- 침공받은 이집트는 통고를 거부할 것이므로, 통고 후 12시간이 지난 시점에 수에즈 운하의 안전 항행 확보를 명목으로 영국과 프랑스 군대가 개입하여 이집트군을 수에즈 운하 서쪽으로 몰아낸다.
- 수에즈 운하 지대를 병력 분리를 위한 완충 지대로 설정하고 평화 유지를 명목으로 영국과 프랑스 군대가 운하 지대에 주둔하며, 이스라엘은 시나이 반도를 점령한다.[282]
이러한 협력의 결과, 이스라엘은 프랑스로부터 AMX-13 전차 250대와 75mm 대전차포를 장착한 M50 슈퍼셔먼 50대 등 상당한 군사 원조를 받았다.[283]
그러나 영국 내에서는 전쟁에 대한 반대 여론이 높았다. 1956년 10월 31일, 인기 토크쇼 ''자유 발언(Free Speech)''에서는 좌파 역사학자 A. J. P. Taylor와 노동당 언론인 Michael Foot이 보수당 의원 Robert Boothby를 "범죄자"라고 칭하며 격렬한 논쟁을 벌였다.[151]
영국 정부는 BBC에 전쟁 지지를 압박하고 네트워크 장악까지 고려했지만,[151] 대중의 분노는 쉽게 가라앉지 않았다. 1956년 가을, 많은 영국인들은 이집트의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기정사실로 받아들였고, 전쟁의 명분을 찾지 못했다.[152]
3. 3. 이스라엘의 입장
이스라엘은 1950년 이후 이집트에 의해 폐쇄되었던 티란 해협[12]의 재개방을 주요 목표 중 하나로 삼았다. 티란 해협이 봉쇄되면서 이스라엘 선박은 홍해를 통해 아프리카와 아시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없게 되었고, 이는 이스라엘 경제에 큰 타격을 주었다.제1차 중동 전쟁 당시 이집트와 적대 관계였던 이스라엘은 이집트 혁명 이후 이집트를 공격했고, 이에 분노한 나세르는 아카바 만과 홍해를 잇는 티란 해협을 군함으로 봉쇄했다.[282] 이스라엘은 티란 해협에서 자국 선박의 자유 항행권을 확보하고, 이집트군을 시나이 반도에서 몰아내고자 했다.[282]
이집트는 가자 지구뿐만 아니라 요르단과 레바논에도 페다인(Palestinian fedayeen) 기지를 설립하여 이스라엘에 대한 침투를 지원했다.[77] 이러한 침투는 이스라엘의 보복 작전을 야기했고, 결국 수에즈 위기로 이어졌다.[78][75] 이스라엘은 이집트의 군사적 위협을 제거하고, 국경 지역의 안정을 확보하고자 했다.
이스라엘은 영국, 프랑스와의 협력을 통해 이러한 전략적 목표를 달성하고자 했다. 1956년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파리 교외 세브르에서 열린 비밀 회담에서 이스라엘은 영국, 프랑스와 함께 이집트 침공 계획을 수립했다.[282] 이 회담을 통해 이스라엘은 프랑스로부터 AMX-13 전차 250대, 75mm 대전차포를 장착한 M50 슈퍼셔먼 50대 등 많은 군사 원조를 받았다.[283]
4. 군사 작전 전개
1956년 10월, 이스라엘은 시나이 반도를 침공했고, 영국과 프랑스는 수에즈 운하의 안전 확보를 명분으로 군사 개입을 시작했다. 이는 수에즈 운하를 둘러싼 복잡한 이해관계와 냉전 시기 중동 지역의 긴장을 보여주는 사건이었다.
프랑스 총리 기몰레는 알제리 전쟁에서 이집트가 알제리 민족 해방 전선을 지원하고 있다고 판단,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을 아돌프 히틀러에 비유하며 군사 행동을 강력히 주장했다.[72] 영국의 앤서니 이든 총리 역시 나세르를 제거하려는 의지를 가지고 있었다.[90]
10월 22일부터 24일까지 파리 교외 세브르에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3국의 비밀 회담이 열렸다. 이 회담에서 이스라엘의 시나이 반도 침공 후 영국과 프랑스가 개입하는 공동 군사 작전 계획이 수립되었다.[282] 이스라엘은 프랑스로부터 AMX-13 전차 250대, M50 슈퍼셔먼 50대 등 상당한 군사 지원을 받았다.[283]
10월 29일, 이스라엘군이 시나이 반도를 침공하면서 군사 작전이 시작되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이스라엘과 이집트 양측에 수에즈 운하에서 약 16.09km 이내 지역으로 철수하라는 최후통첩을 보냈지만, 이는 이집트에게만 불리한 요구였다.[284] 나세르는 이를 거부하고 항전 의지를 밝혔고, 이집트군은 수에즈 운하에 선박을 침몰시켜 운하 통행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10월 31일, 영국과 프랑스는 이집트에 대한 공습(머스킷티어 작전)을 시작했고,[72] 11월 5일에는 포트사이드에 상륙했다.
4. 1. 이스라엘의 시나이반도 침공 (카데시 작전)
1956년 10월 29일 오후 5시, 라파엘 에이탄 중령이 지휘하는 이스라엘 국방군 공수부대 395명이 시나이 반도의 미틀라 고개에 강하하며 공격을 개시했다. 이 고개는 수에즈 운하에서 72km 떨어진 전략적 요충지였다.[284] 이스라엘 육군은 10개 여단 병력으로 시나이 반도 3곳에 공격을 가했다.[285] 아리엘 샤론 대령의 제202 공수여단도 육로로 시나이 반도에 진입하여 보급로 확보에 나섰다.제1차 중동 전쟁과 달리, 이스라엘군은 영국과 프랑스의 무기를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었다. 반면 이집트군은 시나이 반도 동부와 가자 지구에 보병 2개 사단, 기갑 1개 여단 등을 배치했지만,[285] 수세에 몰려 후퇴를 거듭했다.
10월 30일 오후, 영국 정부는 이스라엘과 이집트 양국에 수에즈 운하에서 10마일(16km) 이내 지역까지 병력을 철수하라는 최후통첩을 전달했다. 그러나 당시 이집트는 운하를 완전히 장악하고 있었고, 이스라엘군은 운하에서 약 50km 떨어진 곳에 있었기 때문에, 이 통첩은 사실상 이집트에 대한 운하 철수 명령이었다. 이는 영국과 프랑스의 계략에 따른 것이었다.[284]
가말 압델 나세르는 곤경에 처했지만 통첩을 거부하고 항전 의지를 표명했다. 이집트군은 수에즈 운하에 선박을 침몰시켜 운하를 물리적으로 통행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10월 31일 새벽, 이집트 해군 프리깃함 이브라힘 알 아우왈(구 영국 해군 헌트급 구축함)이 하이파를 포격했지만, 프랑스 해군과 이스라엘군의 공격으로 피격되어 항복하고 하이파 항으로 예인되었다. 같은 날 영국과 프랑스군의 이집트 영내 공습(폭격)도 시작되었다.
이스라엘군은 단독으로 이집트군과 지상전을 계속했다. 모셰 다얀 참모총장은 아리엘 샤론에게 미틀라 고개를 공격하지 말라고 명령했지만, 샤론은 “정찰대” 명목으로 부대를 파견했다. 이 부대는 이집트군의 매복에 걸려 큰 피해를 입었지만 고개를 점령했다. 이 작전으로 다얀과 샤론은 심하게 비판을 받았고, 두 사람의 불화가 깊어졌다.[286][287]
11월 2일까지 이스라엘군은 수에즈 운하 동쪽 15km 지점까지 도달했고, 가자 지구도 공격하여 이집트 군정관의 항복을 받아냈다.[285]
4. 2. 영국과 프랑스의 공습과 상륙 작전 (머스킷티어 작전)
1956년 10월 31일, 영국과 프랑스군은 이집트에 대한 공습을 시작했다. 이 작전은 '머스킷티어 작전(Operation Musketeer)'으로 명명되었다.[72] 이 공습은 프랑스의 기몰레 총리가 제안하고, 영국의 앤서니 이든 총리가 지지했다. 몰레 총리는 이든 총리에게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이 이슬람 정복을 재현하려는 야망을 가진 인물이며, 그의 정책이 히틀러의 『나의 투쟁』에 적혀 있는 것과 같다고 주장하며 나세르에 대한 공격을 강하게 주장했다.[72]공습 이후, 11월 5일에는 영국군과 프랑스군이 포트사이드에 상륙했다.
4. 3. 전투 경과와 이집트군의 저항

1956년 10월 29일 오후 5시, 이스라엘 국방군 공수부대 395명이 시나이 반도의 미트라 고개에 강하하며 공격을 개시했다(시나이 작전).[284] 이스라엘 육군은 10개 여단 병력으로 시나이 반도 3곳을 공격했고,[285] 아리엘 샤론 대령의 제202 공수여단도 육로로 시나이에 진입했다. 이집트군은 시나이 반도 동부와 가자 지구에 보병 2개 사단, 기갑 1개 여단 등을 배치했지만,[285] 여러 곳에서 격파되었다.
제1차 중동 전쟁과 달리, 이집트군은 영국과 프랑스의 무기를 대량으로 보유한 이스라엘군에 맞서 수세에 몰려 후퇴했다. 10월 30일, 영국 정부는 이스라엘과 이집트 양국에 수에즈 운하에서 16km 이내 병력 철수를 요구하는 최후통첩을 전달했다. 당시 이집트는 운하를 완전히 장악하고 있었고, 이스라엘군은 운하에서 약 50km 떨어진 곳에 있었으므로, 이 통첩은 사실상 이집트에 대한 운하 철수 명령이었고 영국과 프랑스의 계략에 따른 것이었다.[284]
가말 압델 나세르는 곤경에 처했지만, 통첩을 거부하고 항전 의지를 표명했다. 이집트군은 수에즈 운하를 물리적으로 통항 불가능하게 만드는 실력 행사에 나섰다. 즉, 선박을 운하에 침몰시켜 바리케이드를 구축한 것이다.
10월 31일 새벽, 이집트 해군 프리깃함 이브라힘 알 아우왈(구 영국 해군 헌트급 구축함)이 하이파를 포격했지만, 프랑스 해군 구축함과 이스라엘 전투기, 구축함의 공격으로 피격되어 항복하고 하이파 항으로 예인되었다. 같은 날 영국과 프랑스군의 이집트 영내 공습도 시작되었다.
이스라엘군은 단독으로 이집트군과 지상전을 계속했다. 샤론은 미트라 고개를 공략하지 말라는 명령을 받았지만, “정찰대” 명목으로 부대를 파견했고, 이 부대는 이집트군의 매복에 걸렸다. 38명의 사망자를 냈지만 고개를 점령했고, 이집트군 사망자는 200명을 넘었다. 이 작전은 모셰 다얀과 샤론의 불화를 낳았다.[286][287]
11월 2일까지 이스라엘은 수에즈 운하 동쪽 15km 지점까지 도달했다. 같은 날, 1만 명 이상의 이집트 군인이 주둔하는 가자 지구에도 공격을 가했고, 유엔의 중재로 가자 지구의 이집트 군정관이 항복했다.[285]
11월 1일부터 영국과 프랑스의 기동부대가 이집트 영내에 대한 공습을 개시하여 제공권을 확보했다.[288] 영국과 프랑스군은 11월 5일 시나이 반도 공격을 명령했다. 또한 영국군은 공수부대를 이용하여 포트사이드의 이집트군을 기습했다. 11월 6일부터 전함과 순양함의 함포 사격 지원 하에 상륙 작전을 개시했다.
5. 국제사회의 개입과 휴전
1956년 10월 30일, 미국은 이스라엘 군대가 정전협정선으로 즉각 철수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했으나, 영국과 프랑스의 거부권 행사로 채택되지 못했다. 소련이 제안한 유사한 결의안도 부결되었다.[197] 같은 날, 프랑스와 영국은 이집트의 목표물에 대한 공습을 시작했고, 이어 수에즈 운하 북쪽 끝에 군대를 상륙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119호 결의에 따라 유엔총회의 최초 긴급 특별회의가 소집되었다.[197]
1956년 11월 2일 새벽, 총회는 미국의 997호 결의(ES-I) 제안을 채택했다. 투표 결과 찬성 64표, 반대 5표(호주, 뉴질랜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기권 6표였다.[199] 이 결의는 즉각적인 휴전, 모든 군대의 정전협정선으로의 철수, 무기 금수 조치 및 봉쇄된 수에즈 운하의 재개를 촉구했다.[197]
이후 며칠 동안 긴급 특별회의는 11월 7일 결의 1001호에 따라 최초의 유엔긴급군(UNEF)을 설립하는 일련의 결의를 채택했다.[200] 이 긴급군 제안과 그에 따른 휴전은 캐나다 외무장관 레스터 B. 피어슨과 유엔 사무총장 다그 함마르셸드의 노력이 컸다.
인도의 자와할랄 네루 총리는 비동맹 운동 지도자로서 이집트의 주권과 가말 압델 나세르의 명예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했다. 그는 앤서니 이든 영국 총리와 침략 공모자들을 비난했으며, 드와이트 D.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과 협력하여 IMF에서 미국의 영향력을 행사하는 등 영국의 행동을 저지했다.[201]
영국 정부는 정치적, 경제적 압박에 직면하여, 앤서니 이든 총리는 1956년 11월 6일 휴전을 선언했다. 영불 합동군은 1956년 12월 22일까지 철수를 완료해야 했고, 유엔 평화유지군(UNEF)의 덴마크와 콜롬비아 부대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222] 이스라엘은 1957년 3월 시나이반도와 가자 지구에서 철수했다.
UN 평화유지군은 주요 동맹인 NATO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속하지 않은 국가들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캐나다는 중립군의 아이디어를 주도했기 때문에 캐나다군 부대가 참여했다. 1957년 4월 24일까지 운하는 선박 통항에 완전히 재개되었다.[226][227]
레스터 B. 피어슨은 유엔 평화유지군 창설에 기여한 공로로 195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현대적 의미의 평화유지 개념의 아버지로 여겨진다.[273]
한편, 소련은 이집트 편에 서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에 로켓 공격을 가할 것이라고 위협했다.[206][208] 그러나 이는 헝가리 혁명 진압 이후 서방 국가들의 비판을 의식한 행동으로 풀이된다. 니키타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은 자신의 회고록에서 당시 실제로 전쟁을 생각하지 않았다고 인정했다.[215]
5. 1. 미국의 입장과 경제적 압력
미국은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의 수에즈 운하 침공에 대해 강하게 반대했다. 이러한 미국의 입장은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였다.- 헝가리 혁명: 헝가리 혁명이 거의 동시에 발생하면서, 미국은 소련의 헝가리 개입을 비난하면서 동시에 영국과 프랑스의 이집트 침공을 묵인할 수 없었다.[191]
- 아랍 국가들과의 관계: 미국은 이집트 공격을 묵인할 경우 아랍 세계의 반발을 우려했다. 이러한 반발은 아랍 국가들을 소련 쪽으로 기울게 할 수 있다고 판단했다.[192]
이러한 배경 속에서 미국은 영국에 대해 강력한 경제적 압력을 행사했다.
- 파운드화 채권 매각 준비: 미국은 영국 정부의 파운드화 채권 보유분 일부를 매각할 준비를 했다.[216]
- 국제통화기금(IMF) 지원 거부: 영국은 IMF에 긴급 지원을 요청했으나, 미국은 이를 거부했다.[216]
- 석유 금수 조치: 사우디아라비아는 영국과 프랑스에 대한 석유 금수 조치를 시작했고, 미국은 영국과 프랑스가 신속히 철수할 때까지 이 공백을 메우는 것을 거부했다. 다른 나토 회원국들도 아랍 국가들로부터 받은 석유를 영국이나 프랑스에 판매하는 것을 거부했다.[218]
영국의 해럴드 맥밀런 재무장관은 앤서니 이든 수상에게 미국의 이러한 위협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또한 영국의 외환보유고로는 파운드화 평가절하를 감당할 수 없으며, 이로 인해 영국이 식량과 에너지 공급을 수입할 수 없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217]
결국 이러한 복합적인 압력으로 인해 영국은 이집트에서 군대를 철수할 수밖에 없었다.
5. 2. 소련의 핵 위협과 그 영향
소련은 이집트 편에 서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에 로켓 공격을 가할 것이라고 위협했다.[206][208] 불가닌 소련 총리는 벤구리온 이스라엘 총리를 유럽 식민주의를 지지한 자로, 몰레 프랑스 총리를 우익 외교 정책을 추구하면서 사회주의 정부를 이끄는 위선자로 비난했다.소련이 연합군과 싸우기 위해 이집트에 군대를 파병할 것이라는 위협에 아이젠하워 미국 대통령은 제3차 세계 대전이 시작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에 사로잡혔다.[209] 아이젠하워는 소련이 어떤 무모한 모험이라도 감행할 준비가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고 우려했다.[209]
소련이 NATO 동맹국인 영국과 프랑스와 전쟁을 한다면, 미국은 NATO 의무에 따라 영국과 프랑스를 방어하기 위해 소련과 전쟁을 벌여야 하므로 중립을 유지할 수 없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소련이 이스라엘을 공격한다면, 비록 미국이 이스라엘을 방어할 공식적인 약속을 하지 않았더라도, 아이젠하워 행정부는 개입하라는 국내적 압력을 크게 받았을 것이다. 아이젠하워는 흐루쇼프 소련 공산당 서기장이 이집트를 방어하기 위해 전쟁을 벌일 의향이 있다면, 제3차 세계 대전으로 확대될 위험을 감수하는 것보다는 이집트에 대한 전쟁을 끝내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했다.
아이젠하워는 즉시 시리아와 이스라엘 상공에 록히드 U-2 정찰기 비행을 명령하여 시리아 기지에 소련 공군이 있는지 확인하도록 했고, 영국과 프랑스가 이들을 파괴할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U-2 정찰 결과, 시리아에는 소련 항공기가 없다는 것이 밝혀졌다.[211]
흐루쇼프는 대량의 핵탄두를 장착한 ICBM을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했고, 전쟁을 시작할 의도는 없다고 부인하면서도, 만약 전쟁이 일어난다면 기존 전쟁을 핵전쟁으로 바꾸는 것을 매우 기꺼이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212] 그러나 1959년 2월, 소련 상공의 U-2 비행을 통해 흐루쇼프가 핵무기 능력을 크게 과장했다는 것이 확실하게 밝혀졌다.[213]
흐루쇼프는 자신의 회고록에서 1956년 11월 당시 주장했던 것처럼 진지하게 "전쟁을 생각하지 않았다"고 인정했는데, 그 이유는 그의 위협을 실행할 수 있는 ICBM이 부족했기 때문이다.[215]
소련은 한때 서구의 영향권 밖에 있었지만, 수에즈 전쟁 이후 아랍 국가들의 친구가 되었다. 소련이 수에즈 운하를 재개방한 직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소련 해군 군함들이 운하를 통과했다. 소련의 중동 지역 영향력은 오래가지는 않았지만, 지중해 기지 확보, 다목적 프로젝트 도입, 팔레스타인 해방 운동 지원, 아랍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 확대 등을 포함했다.[275]
11월 5일, 소련은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에 "핵무기에 의한 위협"을 가했다.[293] 그러나 미국, 유엔, 소련에 의한 압력을 받아 이집트와 이스라엘이 휴전에 응했고, 상륙 당일인 11월 6일에 영국과 프랑스는 휴전 수용으로 몰렸다. 11월 7일 오전 2시(카이로 시간) 휴전이 발효되었다.[294]
5. 3. 유엔의 개입과 평화유지군 파견
1956년 10월 30일, 미국은 이스라엘 군대가 정전협정선으로 즉각 철수할 것을 촉구하는 결의안을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제출했으나, 영국과 프랑스의 거부권 행사로 채택되지 못했다. 소련이 제안한 유사한 결의안도 부결되었다.[197] 같은 날, 프랑스와 영국은 이집트의 목표물에 대한 공습을 시작했고, 이어 수에즈 운하 북쪽 끝에 군대를 상륙시켰다. 이러한 상황에서 119호 결의에 따라 유엔총회의 최초 긴급 특별회의가 소집되었다.[197]1956년 11월 2일 새벽, 총회는 미국의 997호 결의(ES-I) 제안을 채택했다. 투표 결과 찬성 64표, 반대 5표(호주, 뉴질랜드,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기권 6표였다.[199] 이 결의는 즉각적인 휴전, 모든 군대의 정전협정선으로의 철수, 무기 금수 조치 및 봉쇄된 수에즈 운하의 재개를 촉구했다.[197]
이후 며칠 동안 긴급 특별회의는 11월 7일 결의 1001호에 따라 최초의 유엔긴급군(UNEF)을 설립하는 일련의 결의를 채택했다.[200] 이 긴급군 제안과 그에 따른 휴전은 캐나다 외무장관 레스터 B. 피어슨과 유엔 사무총장 다그 함마르셸드의 노력이 컸다. 영국과 프랑스는 일주일 안에 이집트에서 철수하기로 동의했지만, 이스라엘은 동의하지 않았다.
영국 정부가 정치적, 경제적 압박에 직면하자, 앤서니 이든 총리는 1956년 11월 6일 휴전을 선언했다. 영불 합동군은 1956년 12월 22일까지 철수를 완료해야 했고, 유엔 평화유지군(UNEF)의 덴마크와 콜롬비아 부대가 그 자리를 대신했다.[222] 이스라엘은 1957년 3월 시나이 반도와 가자 지구에서 철수했다.
UN 평화유지군은 주요 동맹인 NATO와 바르샤바 조약 기구에 속하지 않은 국가들의 병력으로 구성되었다. 캐나다는 중립군의 아이디어를 주도했기 때문에 캐나다군 부대가 참여했다. 1957년 4월 24일까지 운하는 선박 통항에 완전히 재개되었다.[226][227]
레스터 B. 피어슨은 유엔 평화유지군 창설에 기여한 공로로 195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현대적 의미의 평화유지 개념의 아버지로 여겨진다.[273]
5. 4. 휴전 협상과 이스라엘의 철수
1956년 11월 6일, 영국과 프랑스는 압력에 굴복하여 휴전을 받아들였다. 이스라엘은 처음에는 철수를 거부했으나, 미국과 유엔의 압력이 거세지자 결국 1957년 3월 시나이반도와 가자 지구에서 철수했다. 이스라엘은 철수 전 시나이 반도의 도로, 철도, 전화선 등 기반 시설을 파괴하고, 아부 아게일라와 엘 쿠세이마 마을의 모든 주택을 파괴했다.[223] 또한 이집트 국립 철도의 장비를 압수하여 이스라엘 철도에 사용했다.[224][225]이스라엘의 철수 조건에는 티란 해협에서의 자유 항행 보장이 포함되었다. 이는 이스라엘에게 중요한 성과였다. 철수 후, 휴전선 이집트 측에는 제1차 유엔 긴급군(UNEF)이 배치되었다.[295] 이는 당시 캐나다의 레스터 B. 피어슨 외무장관의 제안이었고, 피어슨은 이 공로로 이듬해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다. 1957년 4월 24일, 수에즈 운하는 선박 통항에 완전히 재개되었다.[226][227]
6. 결과 및 영향
제2차 중동 전쟁은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연합군의 군사적 승리였지만,[230][228][229] 이집트의 정치적 승리로 귀결되었다.[230]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231] 반면, 영국과 프랑스는 수에즈 운하를 잃었고, 영국의 앤서니 이든 총리는 패전의 책임을 지고 사퇴했다. 미국은 유럽에 대해 압도적인 우위에 있음을 과시할 수 있었다.
니키타 흐루쇼프는 니콜라이 불가닌 명의의 편지를 통해 이집트에서 철군하지 않으면 11월 5일에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에 로켓 공격을 하겠다고 위협했고, 이는 휴전을 강요한 요인으로 널리 알려졌다.[236][238] 나세르는 비공개적으로 자신을 구한 것은 미국의 경제적 압력이었다고 인정했지만, 공개적으로는 아이젠하워가 아니라 흐루쇼프를 이집트의 구원자이자 특별한 친구로 칭송했다.
6. 1. 이집트의 승리와 나세르의 위상 강화
제2차 중동 전쟁은 연합군의 군사적 승리에도 불구하고,[230][228][229] 이집트의 정치적 승리로 끝났다.[230]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에 대한 통제권을 계속 가질 수 있었다.[231]전쟁이 끝난 후, 이집트 육군참모총장 압델 하킴 아메르는 나세르가 불필요하게 전쟁을 일으키고 그 결과에 대해 군에 책임을 돌렸다고 비난했다.[246] 영국의 역사가 D. R. 소프는 이 결과가 나세르에게 "자신의 힘에 대한 과장된 견해"를 심어주었다고 말했다.[247] 그는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 연합군을 이겼다고 생각했지만, 강대국의 압력으로 인해 그들이 철수했다는 사실은 무시했다.[247][248]
나세르는 아랍 세계의 영웅으로 떠올랐다. 미국의 역사가 데렉 바블은 "이집트군은 전투에서 평범하게 싸웠지만, 많은 아랍인들은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이 시나이 반도와 수에즈 운하 북부 지역에서 떠났기 때문에 나세르를 유럽 식민주의와 시온주의의 정복자로 여겼다"라고 말했다.[248] 역사가 앤드류 맥그리거는 시나이 반도에서의 후퇴가 완전한 패배는 아니었으며, 더 큰 적(영국과 프랑스)과 싸우기 위해 정규군 대부분을 보존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256] 역사가 P. J. 바티키오티스는 1956년 이후 나세르의 연설을 "어떤 특별한 전략에 기반한 이집트의 시나이 반도에서의 군사적 붕괴에 대한 피상적인 설명"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묘사했으며, "1956년 이집트 공군의 능력에 대한 단순한 어린이 이야기는 시나이 반도에서의 질서정연한 철수 신화와 연결되었다. 이 모든 것은 또 다른 신화, 즉 포트사이드의 신화를 만들기 위해 필요했다. 드물고 산발적인 저항을 과장하고 확대하여 스타링라드 전투와 같은 끈질긴 방어로 만들어 포트사이드는 이집트의 독립과 존엄성의 정신이 되었다."라고 평가했다.[249]
나세르 시대에 포트사이드에서의 전투는 이집트 승리의 상징이 되어 전 세계의 반식민 투쟁과 연결되었다.[250] 소프는 나세르의 수에즈 이후 오만에 대해 "1967년 이스라엘과의 6일 전쟁은 현실이 시작된 때였다. 수에즈 위기가 다른 결말을 맞았다면 결코 일어나지 않았을 전쟁이었다."라고 썼다.[247] 바티키오티스는 1956년과 1967년 전쟁에 대한 타우피크 알 하킴의 글을 요약하며, "허세와 과장 연기는 나세르의 본성이었는가? 1967년 이집트의 압도적인 패배로 이어진 것은 허세였는데, 이는 1956년 '존재하지 않는 스타링라드였던 포트사이드' 이후로 지도자와 추종자 모두가 행사한 대규모 자기 기만 때문이었다."라고 평가했다.[251]

6. 2. 영국과 프랑스의 영향력 약화
제2차 중동 전쟁의 결과, 영국과 프랑스는 중동 지역에서 그들의 영향력이 크게 줄어드는 것을 경험했다. 이 전쟁은 두 강대국에게 정치적 재앙이었으며, 국제적인 비난과 외교적 압력을 초래했다.[190] 특히, 영국의 앤서니 이든 총리는 의회를 기만했다는 비난을 받고 1957년 1월 9일에 사임했다.[255] 그의 후임인 해럴드 맥밀런은 식민지 해체 과정을 가속화하고 미국과의 관계를 회복하려 노력했다.[256]영국은 전쟁 비용으로 5억 파운드에 가까운 비용을 지출했지만, 아무런 성과를 얻지 못했다. 오히려 파운드화 가치가 크게 하락하여 스털링 지역이 붕괴 직전에 이르렀다. 이로 인해 영국은 경제적으로 미국에 더욱 의존하게 되었고, 이후로는 미국의 정책을 따를 수밖에 없게 되었다.[297]
프랑스 역시 전쟁에서 얻은 것이 없었다. 그러나 이 위기를 통해 프랑스는 미국과 소련 외의 새로운 세력으로서 드골주의를 근간으로 하는 독자적인 외교 정책을 추구하게 되었다.[297] 샤를 드골 대통령의 관점에서 볼 때, 수에즈 사태는 프랑스가 동맹국을 신뢰할 수 없음을 보여주었다. 영국은 프랑스와 상의 없이 전투 중에 휴전을 선언했고, 미국은 프랑스를 정치적으로 반대했다. 이러한 프랑스와 미국의 관계 악화는 1966년 드골 대통령이 NATO의 군사 통합에서 탈퇴하는 결정으로 이어졌다.[267]
또한, 수에즈 전쟁은 프랑스 국내 정치에 큰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군 장교단의 상당수는 승리 직전에 무기력한 정치인들에게 "배신당했다"고 느꼈고, 이는 1958년 제4공화국의 붕괴를 초래하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268]
이집트의 경우,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은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성공적으로 이끌었고, 이스라엘, 영국, 프랑스에 맞서 싸운 것으로 아랍 국가들로부터 칭송을 받으며 중동에서의 발언권을 확고히 했다.[297]
6. 3. 이스라엘의 안보 강화
이스라엘은 이 전쟁을 통해 실질적인 이익을 얻었다. 1950년 이후 이집트가 폐쇄했던 티란 해협[12]이 재개방되어, 이스라엘 선박은 이제 티란 해협을 통해 아프리카와 아시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시나이 반도에 UN 평화유지군의 주둔을 확보했다. 카데시 작전은 이스라엘에게 이집트와의 남부 국경에서 11년간의 휴전을 가져다주었다.[271]이스라엘은 신속하고 강제적인 철군 이후 영국과 프랑스가 당한 정치적 굴욕을 피할 수 있었다. 미국과 유엔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보장 없이는 철군을 거부하는 완고한 태도는, 이스라엘의 안보 필요성을 고려하지 않고 중동에 정치적 해결책을 강요하려는 서방, 특히 미국과 영국의 모든 노력을 종식시켰다.[272]
1965년 10월, 아이젠하워는 유대인 자선가이자 공화당 지지자인 맥스 M. 피셔(Max M. Fisher)에게 시나이 반도에서 이스라엘의 철군을 강요한 것을 매우 후회한다고 말했다. 닉슨 부통령은 아이젠하워가 여러 차례 그에게 같은 견해를 표명했다고 회상했다.[272]
벤구리온은 우파 정당의 비판을 억누르면서 철수를 완료했다.[296] 11월 24일, 침략을 감행한 3개국에 "즉각적이고 무조건적인 철수"를 요구하는 유엔 총회 결의안이 채택되었다. 영국과 프랑스는 이를 받아들여 12월 21일 무조건적인 철수를 완료했다. 이스라엘은 철수와 교환으로 티란 해협의 자유 항행 보장 등을 노리고 무조건적인 철수에 응하지 않았다. 이러한 이스라엘의 비타협적인 태도는 국제 사회로부터 격렬한 비판을 받았다. 유엔과 미국과의 엄격한 협상 끝에 티란 해협의 자유 항행을 사실상 확보한 이스라엘은 1957년 3월 7일 시나이 반도에서의 철수를 완료했다.[297][298]
6. 4. 냉전 구도 변화와 제3세계의 부상
냉전 시기 미국과 소비에트 연방은 중동 지역에서 각자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경쟁했다.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은 이러한 강대국 간의 경쟁을 이용하여 자신의 이익을 추구했다.[40] 미국은 중동 지역에 친미 국가 연합을 구축하려 했으나, 많은 아랍 국가들은 소련보다 이스라엘을 더 큰 위협으로 간주했다.[45]나세르는 중동에서 영국의 영향력을 종식시키고자 했으며, 미국은 영국과 이집트 사이의 갈등에서 이집트를 지지하는 입장을 취하기도 했다.[40],[54] 그러나 1955년 이라크가 바그다드 조약에 가입하고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를 공격하면서, 나세르는 미국과의 관계를 단절하기 시작했다.[58]
한편, 소련은 중동 지역에서 서방의 영향력을 약화시키고 새로운 동맹국을 확보하고자 했다. 수에즈 위기 이후, 소련은 아랍 국가들과의 관계를 강화하며 이 지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275]
수에즈 전쟁은 제3세계 국가들이 국제 정치 무대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인도의 자와할랄 네루 총리는 비동맹 운동의 지도자로서 이집트의 주권을 옹호하고 영국의 침략을 비난했다.[201] 이러한 제3세계 국가들의 부상은 냉전 시대의 국제 질서에 새로운 변수로 작용했다.
6. 5. 한국에 미친 영향
제2차 중동 전쟁은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 사건은 한국 사회에 다음과 같은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제3세계 국가들의 독립과 주권 강화 지지 여론 확산: 수에즈 위기는 이집트와 같은 신생 독립국들이 강대국의 압력에 맞서 자국의 이익을 지키려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는 한국 내에서 제3세계 국가들의 독립과 주권 강화 움직임을 지지하는 여론을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 외교 정책 및 중동 지역과의 관계 설정에 영향: 수에즈 위기는 한국의 외교 정책, 특히 중동 지역과의 관계 설정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한국은 이 사건을 통해 국제 정세의 복잡성을 인식하고, 강대국 중심의 외교에서 벗어나 다변화된 외교 관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처럼 제2차 중동 전쟁은 한국에 직접적인 영향보다는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한국 사회의 인식 변화와 외교 정책 방향 설정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7. 평가 및 교훈
이 분쟁은 연합군의 군사적 승리로 이어졌지만,[230][228][229] 이집트의 정치적 승리로 귀결되었다.[230] 이집트는 수에즈 운하에 대한 통제권을 유지했다.[231]
은퇴 후 당시 영국 총리였던 앤서니 이든은 군사적 대응이 중동의 훨씬 더 큰 전쟁을 막았다고 주장했다. 체코슬로바키아를 통한 이집트의 대규모 무장의 맥락에서 이스라엘은 1957년 3월 또는 4월에 이집트의 침공과 시리아에 대한 소련의 침공을 예상했다.[232] 이 위기는 또한 탈식민화를 앞당겼을 수 있는데, 남아 있던 많은 영국과 프랑스 식민지들이 향후 몇 년 동안 독립을 얻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위기의 강제적 종식이 아프리카의 지나치게 성급한 탈식민화로 이어져 신생 독립국가들의 내전과 군사 독재 가능성을 증가시켰다고 주장했다.[233]
운하를 둘러싼 싸움은 1967년 6일 전쟁의 기반을 마련했다.[234] 또한 소련은 헝가리 반란의 폭력적인 진압으로부터 대부분의 여파를 피할 수 있었고, 유엔에서 제국주의에 맞선 소국 수호자의 이미지를 제시할 수 있었다.[235]
위기의 직접적인 결과로, 아이젠하워는 1957년 1월 5일 의회에 중동 국가의 요청이 있을 경우 군사력 사용 승인과 중동 국가 지원을 위한 2억 달러 책정을 요청했다. 의회는 두 가지 요청 모두를 승인했고, 이 정책은 아이젠하워 독트린으로 알려지게 되었다.[234]
소련은 중동 지역에서 영향력에 관한 주요 이득을 얻었다.[236] 미국의 역사가인 존 루이스 가디스는 다음과 같이 썼다.
니키타 흐루쇼프가 니콜라이 불가닌이 쓴 편지들을 통해 이집트에서 철군하지 않으면 11월 5일에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에 대한 로켓 공격을 시작하겠다는 위협은 당시 휴전을 강요했다고 널리 믿어졌다.[236][238] 이는 이집트, 아랍 세계, 그리고 소련이 영국, 프랑스, 이스라엘을 위해 핵 공격을 감행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믿었던 제3세계의 명성을 높였다. 나세르는 비공개적으로 그를 구한 것은 미국의 경제적 압력이었다고 인정했지만, 공개적으로는 아이젠하워가 아니라 흐루쇼프에게 감사를 표했다. 흐루쇼프는 회고록에서 자랑했다.[236]
흐루쇼프는 수에즈 위기가 소련 핵 벼랑 끝 전술의 큰 승리였다고 보고, 핵무기 사용을 위협한 것이 이집트를 구한 것이라고 공개적으로, 그리고 비공개적으로 주장했다.[239] 흐루쇼프가 얻은 결론은 핵 협박의 사용이 소련의 외교 정책 목표를 달성하는 매우 효과적인 도구라는 것이었다.[240] 1958년 11월 말에 시작되어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로 절정에 이른 베를린 위기는 장기간의 위기를 불러왔다.[241] 미국의 국무장관 존 포스터 덜레스는 중동에 권력 공백이 있다고 인식했고, 미국이 그 공백을 채워야 한다고 생각했다. 아이젠하워 독트린으로 이어진 그의 정책은 나세르와 다른 아랍 지도자들이 소련에 대한 미국의 두려움을 공유한다는 가정에 기반을 두었는데, 이는 명백하게 사실이 아니었다.[242] 나세르는 이집트가 단일 초강대국과 연합되기를 원하지 않았고, 대신 미국과 소련이 자신의 우정을 위해 경쟁하기를 선호했다.[61]
나세르는 아이젠하워 독트린을 중동을 지배하려는 미국의 시도로 여겼고, 효과적인 대응책으로 소련과 이집트를 동맹하게 만들었다. 1958년 중반 국가 안보 회의 검토에서 아이젠하워 독트린이 조용히 폐기된 후에야 나세르는 소련으로부터 멀어져 자신의 이점을 위해 두 초강대국 모두를 이용하려고 노력하는 기회주의자 역할로 돌아가기 시작했다.[243]
미국의 역사가 아서 L. 허먼은 이 사건이 미국의 지정학적 목표를 지지하기 위해 유엔의 유용성을 망쳤다고 말했다.[244]
이스라엘 방위군은 이 전투를 통해 자신감을 얻었다. 이 전쟁은 이스라엘이 소규모 야간 기습 작전과 대반란 작전뿐만 아니라 대규모 군사 작전도 수행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다비드 벤구리온은 11월 16일 영국과 프랑스군 9만 명이 수에즈 사태에 개입했다는 소식을 접하고 일기에 다음과 같이 적었다. "만약 그들이 우리 사령관을 이 부대에 임명했다면 나세르는 이틀 만에 붕괴되었을 것이다." [270]
이 전쟁은 이스라엘에 실질적인 이익도 가져다주었다. 1950년 이후 이집트가 폐쇄했던 티란 해협[12]이 재개방되었다. 이스라엘 선박은 이제 티란 해협을 통해 아프리카와 아시아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이스라엘은 또한 시나이 반도에 UN 평화유지군의 주둔을 확보했다. 카데시 작전은 이스라엘에게 이집트와의 남부 국경에서 11년간의 휴전을 가져다주었다.[271]
이스라엘은 신속하고 강제적인 철군 이후 영국과 프랑스가 당한 정치적 굴욕을 피할 수 있었다. 또한 미국과 UN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보장 없이는 철군을 거부하는 완고한 태도는, 이스라엘의 안보 필요성을 고려하지 않고 중동에 정치적 해결책을 강요하려는 서방, 특히 미국과 영국의 모든 노력을 종식시켰다.[272]
훗날 캐나다 총리가 된 레스터 B. 피어슨은 유엔 평화유지군 창설을 위한 노력으로 1957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했으며, 현대적 의미의 평화유지 개념의 아버지로 여겨진다.[273] 수에즈 위기는 1965년 새로운 캐나다 국기 채택에 기여했는데, 이는 당시 캐나다 국기에 영국 국기가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집트 정부가 캐나다 평화유지군에 반대했기 때문이다.[274]
소련은 한때 서구의 영향권 밖에 있었지만, 이제는 아랍 국가들의 친구가 되었다. 소련이 수에즈 운하를 재개방한 직후,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처음으로 소련 해군 군함들이 운하를 통과했다. 소련의 중동 지역 영향력은 오래가지는 않았지만, 지중해 기지 확보, 다목적 프로젝트 도입, 팔레스타인 해방 운동 지원, 아랍 국가들에 대한 영향력 확대 등을 포함했다.[275]
7. 1. 수에즈 위기의 역사적 의미
수에즈 위기는 20세기 중반, 국제 정치 질서가 변화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분기점이 된 사건이었다. 이 위기는 강대국들의 힘의 논리가 여전히 국제 관계를 지배하고 있음을 보여주면서도, 동시에 새롭게 부상하는 세력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음을 시사했다.제국주의의 쇠퇴와 새로운 세력의 등장:
수에즈 위기는 전통적인 제국주의 강국이었던 영국과 프랑스의 영향력이 쇠퇴하고 있음을 극명하게 드러냈다. 이들은 과거 식민지 시대의 영광을 재현하고자 했지만, 변화된 국제 환경 속에서 더 이상 과거와 같은 방식으로 힘을 행사할 수 없었다.
반면, 미국과 소련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새롭게 부상한 초강대국으로서 수에즈 위기에 개입하여 자신들의 영향력을 확대하고자 했다. 특히, 미국은 영국과 프랑스의 군사 행동에 반대하며 이집트의 편을 드는 듯한 모습을 보였는데, 이는 미국이 더 이상 전통적인 제국주의 질서를 옹호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보여준 것이었다.
아랍 민족주의의 부상과 냉전의 심화:
수에즈 위기는 이집트의 가말 압델 나세르 대통령이 주도한 아랍 민족주의의 성장에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 나세르는 수에즈 운하 국유화를 통해 서방 제국주의에 맞서는 강력한 지도자 이미지를 구축했고, 이는 아랍 세계 전역에서 그의 인기를 높이는 결과를 가져왔다.
또한, 수에즈 위기는 미국과 소련 간의 냉전을 더욱 심화시켰다. 양국은 중동 지역에서 자신들의 영향력을 확대하기 위해 경쟁했으며, 이는 중동 지역의 불안정성을 더욱 고조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유엔의 역할 증대:
수에즈 위기는 국제 연합(UN)의 역할이 국제 분쟁 해결에 있어서 중요하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유엔은 평화유지군을 파견하여 분쟁 지역의 안정을 도모하고, 당사국 간의 협상을 중재하는 등 적극적인 역할을 수행했다.
결론:
수에즈 위기는 20세기 중반 국제 정치 질서의 변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사건이었다. 이 위기는 제국주의의 쇠퇴, 새로운 강대국의 부상, 아랍 민족주의의 성장, 냉전의 심화, 그리고 유엔의 역할 증대 등 다양한 측면에서 국제 관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7. 2. 군사적 교훈
수에즈 전쟁을 통해 얻은 중요한 군사적 교훈은 사막이 매우 유동적이고 기동성 있는 작전에 유리하며, 공중 차단의 힘이 얼마나 큰지를 보여준다는 것이었다. 프랑스 공군은 라스와에서 낙하산 부대를 위협하는 이집트군을 격파했고, 이스라엘 공군은 이스라엘 방위군(IDF)이 수일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공중 우세 없이 사막에서 작전을 수행하는 것은 시나이 반도의 이집트군에게 자살 행위임을 증명했다. 포트사이드에서의 영국 해병대 헬리콥터 공격은 "소규모 상륙 지점에 병력을 수송하는 기술로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149] 그러나 전략 폭격은 효과가 없었다.[245]제2단계 수정 작전은 이집트군의 사기를 꺾는다는 목표를 달성하지 못했고, 동시에 발생한 민간인 사망자들은 여론을 침략에 반대하는 쪽으로 돌리고, 특히 영국 내에서 전쟁 지지율을 떨어뜨리는 데 기여했다. 포트사이드에서의 이집트군 도시전 전술은 연합군의 진격을 늦추는 데 효과적임을 증명했다. 마지막으로, 이 전쟁은 외교의 중요성을 보여주었다. 이집트를 겨냥한 영국과 프랑스의 작전은 군사적으로 성공했지만, 영국과 프랑스의 국내 여론과 미국을 비롯한 세계 여론이 작전에 반대했기 때문에 역효과를 낳았다.[245]
7. 3. 외교적 교훈
제2차 중동 전쟁은 강대국 중심의 외교가 가진 문제점과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이다. 특히, 강대국들이 일방적으로 군사력을 행사했을 때 발생하는 부정적인 결과와, 국제사회가 함께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강대국의 일방주의적 행동의 한계:
영국과 프랑스는 수에즈 운하 국유화에 대응하여 군사적 개입을 선택했지만, 이는 국제사회의 비난과 미국의 경제적 압박으로 이어져 결국 실패했다. 이 사건은 강대국이라 할지라도 국제사회의 지지 없이 일방적으로 행동할 경우, 외교적 고립과 경제적 어려움에 직면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아이젠하워 대통령은 영국과 프랑스의 군사 행동에 강력히 반대하며 경제 제재를 통해 압박했고, 이는 결국 영국과 프랑스가 철군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국제 협력의 중요성:
수에즈 위기는 UN을 중심으로 한 국제 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유엔 총회는 긴급 특별 회의를 통해 즉각적인 휴전과 외국 군대의 철수를 요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고, 이는 분쟁 해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특히, 캐나다의 주도로 유엔 긴급군(UNEF)이 창설되어 분쟁 지역에 배치됨으로써, 평화 유지 활동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했다.
더불어민주당의 외교 정책 기조와의 연관성:
수에즈 위기는 더불어민주당의 외교 정책 기조와도 연결된다. 더불어민주당은 국제 협력과 다자주의를 강조하며, 한반도 문제를 포함한 국제 분쟁 해결에 있어서 대화와 협상을 중시한다. 수에즈 위기에서 나타난 강대국 중심의 외교 실패와 국제 협력의 중요성은 더불어민주당의 외교 정책 방향에 중요한 교훈을 제공한다.
7. 4. 한국 외교에 주는 시사점
제2차 중동 전쟁은 한국 외교에 여러 가지 중요한 시사점을 던져주었다. 특히, 중동 지역과의 관계 설정 및 국제 분쟁 해결에 있어서 한국의 역할에 대한 고민을 안겨주었다.- 중동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 인식: 수에즈 운하는 지중해와 인도양을 연결하는 최단 해상 루트로서, 제1차 세계 대전과 제2차 세계 대전을 거치며 석유 수송의 핵심 경로로 자리 잡았다. 이는 중동 지역이 국제 정치와 경제에 미치는 영향력이 상당함을 보여준다. 한국은 이러한 중동 지역의 전략적 중요성을 인식하고, 이 지역과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지 고민해야 했다.
- 국제 분쟁의 복잡성 이해: 수에즈 위기는 냉전, 아랍 냉전, 아랍 민족주의, 아랍-이스라엘 분쟁 등 다양한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발생했다. 이는 국제 분쟁이 단순한 이해관계의 충돌이 아니라, 역사적, 정치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해야 해결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한국은 이러한 국제 분쟁의 복잡성을 이해하고, 분쟁 해결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야 했다.
- 강대국 의존 외교의 한계: 수에즈 위기 당시 영국과 프랑스는 수에즈 운하에 대한 기득권을 유지하기 위해 이스라엘과 공모하여 이집트를 침공했지만, 미국과 소련의 압력으로 철수해야 했다. 이는 강대국에 의존하는 외교가 한계에 부딪힐 수 있음을 보여준다. 한국은 강대국과의 관계를 유지하면서도, 독자적인 외교 노선을 구축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 평화적 분쟁 해결 노력의 중요성: 수에즈 위기는 무력 충돌로 이어져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 피해를 낳았다. 이는 국제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한국은 국제 사회의 일원으로서, 평화적 분쟁 해결을 위한 노력을 지지하고 동참해야 했다.
결론적으로, 수에즈 위기는 한국 외교에 중동 지역과의 관계 설정, 국제 분쟁 해결, 독자적 외교 노선 구축, 평화적 분쟁 해결 노력 등 다양한 과제를 안겨주었다. 한국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제 정세를 면밀히 분석하고,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외교 정책을 수립해야 했다.
참조
[1]
서적
A Military History of Modern Egypt: From the Ottoman Conquest to the Ramadan War
[2]
뉴스
Casualties of Mideast Wars
https://www.latimes.[...]
2023-03-17
[3]
Harvnb
Harvnb
[4]
웹사이트
Armed Conflict Year Index
https://www.onwar.co[...]
2024-02-04
[5]
비디오 미디어
Israel – The Suez War of 1956: U.S. newsreel footage
https://www.youtube.[...]
[6]
서적
Causes and Consequences of the Arab–Israeli Conflict
https://archive.org/[...]
Evans Brothers
2004
[7]
서적
Writing the Arab–Israeli Conflict: Pragmatism and Historical Inquiry
Lexington Books
2006
[8]
서적
Futile Diplomacy: Operation Alpha and the Failure of Anglo-American Coercive Diplomacy in the Arab–Israeli Conflict, 1954–1956
Psychology Press
1983
[9]
잡지
In 63rd ann. of Tripartite Aggression, members of popular resistance tell heroic stories
https://www.egypttod[...]
2021-03-25
[10]
서적
The Eisenhower Years
Infobase Publishing
2010
[11]
서적
The Game Player: Confessions of the CIA's original political operative
Aurum Press
1989
[12]
서적
1956 Suez Crisis And The United Nations
Tannenberg Publishing
2014-08-15
[13]
학술지
The Historical Place of the Czech-Egyptian Arms Deal, Fall 1955
1995
[14]
서적
The Dynamics of Global Dominance: European Overseas Empires, 1415–1980
Yale University Press
2000
[15]
서적
Suez Crisis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6]
뉴스
An affair to remember
http://www.economist[...]
2014-09-03
[17]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Anglo-American Relations
Scarecrow Press
2009
[18]
학술지
Suez and Britain's Decline as a World Power
2012-12
[19]
웹사이트
Suez Crisis
https://www.history.[...]
2023-06-15
[20]
서적
Reassessing Suez 1956: New perspectives on the crisis and its aftermath
Routledge
2016
[21]
웹사이트
NATO in the Beholder's Eye: Soviet Perceptions and Policies, 1949–56
https://www.wilsonce[...]
Woodrow Wilson International Center for Scholars
2018-04-30
[22]
서적
The 1956 Hungarian Revolution: Hungarian and Canadian Perspectives
University of Ottawa Press
2010
[23]
Harvnb
Harvnb
[24]
웹사이트
Suez Canal
http://www.sis.gov.e[...]
Egyptian State Information Service
2007-03-18
[25]
Harvnb
Harvnb
[26]
Harvnb
Harvnb
[27]
Harvnb
Harvnb
[28]
Harvnb
Harvnb
[29]
뉴스
State of Business: Middle-East Echoes
http://www.time.com/[...]
1956-11-12
[30]
서적
Britain and the Suez Canal
Royal Institute of International Affairs
1956
[31]
Harvnb
Harvnb
[32]
Harvnb
Harvnb
[33]
Harvnb
Harvnb
[34]
서적
Nasser and His Generation
[35]
서적
Bad Strategies: How Major Powers Fail in Counterinsurgency
Voyageur Press
2008-08-15
[36]
논문
[37]
뉴스
1956: Egypt seizes Suez Canal
http://news.bbc.co.u[...]
BBC News
1956-07-26
[38]
논문
[39]
논문
[40]
논문
[41]
논문
[42]
논문
[43]
논문
[44]
논문
[45]
논문
[46]
논문
[47]
논문
[48]
논문
[49]
논문
[50]
논문
[51]
논문
[52]
논문
[53]
논문
[54]
논문
[55]
논문
[56]
논문
[57]
논문
[58]
논문
[59]
논문
[60]
논문
[61]
논문
[62]
논문
[63]
논문
[64]
논문
[65]
논문
[66]
웹사이트
Cutting the Gordian Knot: The Post-WWII Egyptian Quest for Arms and the 1955 Czechoslovak Arms Deal
http://www.wilsoncen[...]
wilsoncenter.org
2007-02
[67]
논문
[68]
서적
Soviet Foreign Aid
Fredrich Prager
[69]
논문
[70]
서적
Nasser
Haus Publishing
[71]
서적
The Egyptian Intelligence Service: A History of the Mukhabarat, 1910–2009
Routledge
2010-02-25
[72]
Harvnb
[73]
Harvnb
[74]
Harvnb
[75]
웹사이트
Arab and Israeli Terrorism: The Causes and Effects of Political Violence, 1936–1993
https://books.google[...]
McFarland
1996-12-01
[76]
서적
Righteous Victims
[77]
학술지
Escalation to Suez: The Egypt-Israel Border War, 1949–56
http://journals.sage[...]
2023-10-13
[78]
Harvnb
[79]
Harvnb
[80]
Harvnb
[81]
Harvnb
[82]
Harvnb
[83]
Harvnb
[84]
Harvnb
[85]
Harvnb
[86]
Harvnb
[87]
Harvnb
[88]
Harvnb
[89]
서적
The World Bank Since Bretton Woods
Brookings Institution
1973
[90]
Harvnb
[91]
Harvnb
[92]
Harvnb
[93]
웹사이트
Cycles of Debt
https://doi.org/10.1[...]
Oxford Academic
2024-03-16
[94]
Harvnb
[95]
Harvnb
[96]
Harvnb
[97]
Harvnb
[98]
Harvnb
[99]
Harvnb
[100]
Harvnb
[101]
Harvnb
[102]
Harvnb
[103]
학술지
Covert Diplomacy Between Israel and Egypt During Nasser Rule: 1952–1970
2016-10
[104]
Harvnb
[105]
Harvnb
[106]
서적
Israel Or Palestine? Is the Two-state Solution Already Dead?: A Political and Military History of the Palestinian-Israeli Conflict
https://books.google[...]
Algora Publishing
2010-01-01
[107]
Harvnb
1994
[108]
뉴스
1956: Egypt seizes Suez Canal
http://news.bbc.co.u[...]
BBC
2023-03-17
[109]
뉴스
1956: Egypt Seizes Suez Canal
http://news.bbc.co.u[...]
BBC
2007-03-04
[110]
Harvnb
1996
[111]
웹사이트
Background Note: Israel
https://2009-2017.st[...]
US State Department
2007-03-04
[112]
서적
Rethinking Nasserism: Revolution and Historical Memory in Modern Egypt
https://books.google[...]
University Press of Florida
2004-12-01
[113]
서적
The Commonwealth and Suez: A Documentary Survey
Oxford University Press
1964
[114]
웹사이트
The 1956 Suez Crisis as a Perfect Case for Crisis Research
https://oxfordre.com[...]
2024-12-14
[115]
Harvnb
2006
[116]
학술지
Low Conspiracy? — Government interference in the BBC
2005
[117]
Harvnb
2006
[118]
Harvnb
2006
[119]
Harvnb
2003
[120]
Harvnb
2003
[121]
Harvnb
2003
[122]
Harvnb
2003
[123]
서적
From Barton to Fraser
Cassell Australia
1978
[124]
Television production
Le canal de Suez et la nationalisation par le Colonel Nasser
https://www.ina.fr/v[...]
Institut national de l'audiovisuel
2021-07-03
[125]
잡지
Compromise-Minded Conferees
https://books.google[...]
1956-08-27
[126]
서적
Speech is of Time
Cassell
1958
[127]
Harvnb
1997
[128]
서적
Eden, Suez and the Mass Media: Propaganda and Persuasion During the Suez Crisis
https://books.google[...]
I.B. Tauris
1996
[129]
서적
Harold Macmillan
2009
[130]
Harvnb
1986
[131]
서적
A Lesson for Our Times: How America Kept the Peace in the Hungary-Suez Crisis of 1956
2010
[132]
Harvnb
1997
[133]
학술지
The 1956-57 'Occupation of the Gaza Strip: Israeli Proposals to Resettle the Palestinian Refugees,
https://www.jstor.or[...]
1996-05
[134]
서적
The Arab–Israeli Wars: War and Peace in the Middle East from the 1948 War of Independence to the Present
2008
[135]
서적
Soldiers, Spies and Statesmen: Egypt's Road to Revolt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2-11-13
[136]
웹사이트
Ben-Gurion Exchange with Soviet Premier Bulganin Regarding Threat to Israel (November 1956)
https://www.jewishvi[...]
2023-03-17
[137]
서적
The Hundred Years' War on Palestine: A History of Settler Colonialism and Resistance, 1917–2017
Profile Books
2020
[138]
Harvnb
2003
[139]
Harvnb
2003
[140]
Harvnb
2003
[141]
논문
[142]
논문
[143]
논문
[144]
논문
[145]
논문
[146]
웹사이트
Jonathan Steele and Ian Black: An act of folly
http://www.theguardi[...]
2006-07-08
[147]
뉴스
Suez affair highlighted Britain's fall from major world power
https://www.irishtim[...]
2022-05-19
[148]
서적
The Collins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HarperCollins
1994
[149]
논문
[150]
논문
[151]
서적
A.J.P. Taylor the Traitor Within the Gates
Macmillan
1993
[152]
논문
[153]
논문
[154]
논문
[155]
논문
[156]
서적
The Closed Circle: An Interpretation of the Arabs
Ivan Dee
2002
[157]
논문
[158]
논문
[159]
논문
[160]
간행물
Egypt and Israel
Hansard
2020-04-29
[161]
논문
[162]
논문
[163]
서적
Pistols at Dawn: Two Hundred Years of Political Rivalry from Pitt and Fox to Blair and Brown
https://archive.org/[...]
Vintage
2010
[164]
논문
[165]
웹사이트
The Suez Fiasco 1956
http://www.socialism[...]
Socialism Today
2006-10
[166]
논문
[167]
논문
[168]
논문
[169]
논문
[170]
논문
[171]
웹사이트
Aneurin Bevan 1956
http://www.newstates[...]
2010-02-04
[172]
논문
[173]
논문
[174]
뉴스
Drama sparks Suez Crisis memories
http://www.edp24.co.[...]
2011-06-30
[175]
서적
Suez: Splitting of a Nation
Collins
1973
[176]
서적
Post-War Britain: A Political History
Penguin
1984
[177]
서적
Never Had It So Good: A History of Britain from Suez to the Beatles
Abacus
2006
[178]
Harvnb
2008
[179]
서적
Full Circle
Cassell
1960
[180]
서적
[181]
서적
Seeking a Role: The United Kingdom, 1951–1970
Oxford University Press
2009
[182]
학술지
'The Bitterest Enemies of Communism': Labour Revisionists, Atlanticism and the Cold War
2001-09-01
[183]
서적
The Collapse of British Power
Eyre Methuen
1972
[184]
서적
The Rise and Fall of the British Empire
Abacus
1998
[185]
서적
David Owen: Personally Speaking
Pan Books Ltd
[186]
서적
The Progressive Dilemma: From Lloyd George to Blair
Phoenix
1999
[187]
서적
Fighting All The Way
Pan
1994
[188]
서적
Britain Since 1945: The People's Pea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1
[189]
서적
Time and Chance
Collins
1987
[190]
Harvnb
2003
[191]
학술지
Containment, Rollback, Liberation or Inaction? The United States and Hungary in the 1950s
[192]
Harvnb
1981
[193]
서적
Eisenhower and the Cold War
Oxford University Press
1981
[194]
서적
Empires at War
I.B. Tauris
2009
[195]
Harvnb
2006
[196]
서적
The Kingdom
Avon
1981
[197]
웹사이트
Establishment of UNEF, Background
https://www.un.org/e[...]
[198]
Harvnb
1969
[199]
서적
Encyclopedia of the United Nations
2008
[200]
웹사이트
UNGA Emergency Special Sessions
https://www.un.org/g[...]
2011-09-08
[201]
웹사이트
Nothing common and there is no wealth
https://indianexpres[...]
2023-03-17
[202]
서적
Konrad Adenauer: A German Politician and Statesman in a Period of War, Revolution and Reconstruction, 1952–1967
Berghahn Books
1995
[203]
서적
Konrad Adenauer: A German Politician and Statesman in a Period of War, Revolution and Reconstruction, 1952–1967
Berghahn Books
1995
[204]
서적
Konrad Adenauer: A German Politician and Statesman in a Period of War, Revolution and Reconstruction, 1952–1967
Berghahn Books
1995
[205]
Harvnb
2008
[206]
Harvnb
1993
[207]
서적
A Restless Mind: Essays in Honor of Amos Perlmutter
Psychology Press
1996
[208]
서적
The Iron Wall: Israel and the Arab World
W. W. Norton
2001
[209]
Harvnb
1981
[210]
Harvnb
2006
[211]
서적
The Central Intelligence Agency and Overhead Reconnaissance: The U-2 and OXCART Programs, 1954–1974
http://www2.gwu.edu/[...]
History Staff, Central Intelligence Agency
1992
[212]
Harvnb
1998
[213]
Harvnb
1998
[214]
Harvnb
1998
[215]
Harvnb
1998
[216]
서적
Harold Macmillan
2009
[217]
Harvnb
2003
[218]
Harvnb
1969
[219]
웹사이트
The Suez Crisis of 1956
https://www.historyl[...]
2023-03-17
[220]
학술지
The effect of Prime Minister Anthony Eden's illness on his decision-making during the Suez crisis
http://qjmed.oxfordj[...]
2005-05-06
[221]
Harvnb
1993
[222]
웹사이트
Service Cinématographique des Armées SCA reportage de Paul Corcuff, 22 December 1956
http://www.ecpad.fr/[...]
French Ministry of Defense archives ECPAD MO56141AR14
2008-12-06
[223]
서적
The Fateful Triangle: The United States, Israel and the Palestinians
https://archive.org/[...]
South End Press
1983
[224]
서적
The Railways of Palestine and Israel
Tourret Publishing
1984
[225]
웹사이트
Gallery
http://www.rail.co.i[...]
Israel Railways
[226]
웹사이트
Message to the Congress Transmitting the 11th Annual Report on United States Participation in the United Nations
http://www.presidenc[...]
University of California Santa Barbara
1958-01-14
[227]
뉴스
Suez crisis, 1956
https://www.usatoday[...]
2001-08-28
[228]
서적
Eye on Israel: How America Came to View the Jewish State as an Ally
https://books.google[...]
SUNY Press
2006-02-09
[229]
Harvnb
2013
[230]
Harvnb
2001
[231]
웹사이트
Why Was The Suez Crisis So Important?
https://www.iwm.org.[...]
[232]
Harvnb
2003
[233]
뉴스
Suez: The 'betrayal' of Eden
http://news.bbc.co.u[...]
2006-10-30
[234]
undergraduate course assignment
Suez Canal Crisis
https://novaonline.n[...]
2023-07
[235]
서적
Illustrated History of Europe: A Unique Guide to Europe's Common Heritage
1992
[236]
Harvnb
1998
[237]
Harvnb
2003
[238]
서적
War And Peace In The Space Age
https://archive.org/[...]
Harper
[239]
Harvnb
1998
[240]
Harvnb
1998
[241]
Harvnb
1998
[242]
Harvnb
1998
[243]
Harvnb
1998
[244]
웹사이트
A Man, A Plan, A Canal What Nasser wrought when he seized Suez a half century ago
http://www.weeklysta[...]
2006-07-31
[245]
Harvnb
2003
[246]
서적
Soldiers, Spies and Statesmen: Egypt's Road to Revolt
https://books.google[...]
Verso Books
2012-11-13
[247]
뉴스
What we failed to learn from Suez
https://www.telegrap[...]
2016-07-05
[248]
Harvnb
[249]
Harvnb
[250]
Harvnb
[251]
Harvnb
[252]
Harvnb
[253]
Harvnb
[254]
웹사이트
Jewish Refugees from Arab Countries
https://www.jewishvi[...]
2023-03-17
[255]
웹사이트
WWII Behind Closed Doors: Stalin, the Nazis and the West . Biographies . Anthony Eden
https://www.pbs.org/[...]
2011-09-08
[256]
서적
The Oxford History of the British Empire, Vol. 4: The Twentieth Century
1999
[257]
Harvnb
[258]
Harvnb
[259]
웹사이트
US-UK Special Relationship 06 | Intelligence Analysis and Reporting
http://spyinggame.wo[...]
2011-09-08
[260]
뉴스
Dangerous liaisons: post-September 11 intelligence alliances
http://findarticles.[...]
2002
[261]
Harvnb
[262]
Harvnb
[263]
학술지
Theory and Reality in the Anglo-American Alliance
1966
[264]
서적
GCHQ
https://books.google[...]
Harper Press
2011
[265]
Harvnb
[266]
Harvnb
[267]
Harvnb
[268]
서적
France Since 1870
Palgrave Macmillan
[269]
웹사이트
Affaire de Suez, Le Pacte Secret
http://www.france5.f[...]
France 5/Sunset Presse/Transparence
[270]
서적
Lacking in style
https://www.lrb.co.u[...]
Hodder
2023-03-17
[271]
Harvnb
[272]
Harvnb
[273]
뉴스
The price of a Pearson
https://www.theglobe[...]
2018-08-30
[274]
서적
A Country Nourished on Self-Doubt: Documents in Post-Confederation Canadian History
https://archive.org/[...]
Broadview Press
2003
[275]
웹사이트
MILITARIA Toon onderwerp – Suez Crisis: Operation Musketeer
http://militaria.for[...]
2011-09-08
[276]
웹사이트
スエズ戦争
https://web.archive.[...]
コトバンク
2024-07-25
[277]
웹사이트
Israel Defense Forces: Military Casualties in Arab-Israeli Wars (1948 - 1973)
https://www.jewishvi[...]
Jewish Virtual Library
2024-03-15
[278]
서적
スエズ危機と1950年代中葉のイギリス対中東政策
一橋大学
[279]
웹사이트
ナーセル
https://kotobank.jp/[...]
[280]
서적
イスラエル全史【下】
朝日新聞出版
2009-01-21
[281]
서적
[282]
논문
The Protocol of Sevres, 1956: Anatomy of a War Plot
[283]
서적
中東戦争全史
学習研究社
[284]
서적
[285]
서적
図説 中東戦争全史
学習研究社
[286]
서적
[287]
서적
The Arab-Islaeri Wars: War and Peace in the Middle East
Vintage Books
[288]
서적
中東軍事紛争史
第三書館
[289]
서적
イギリス帝国とスエズ戦争
名古屋大学出版会
"1997-02-28"
[290]
간행물
Memorandum of Discussion at the 302d Meeting of the National Security Council, Washington, November 1, 1956, 9 a.m.,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SUEZ CRISIS, JULY 26–DECEMBER 31, 1956, VOLUME XVI
[291]
웹사이트
http://al.odu.edu/mu[...]
[292]
서적
イギリス帝国とスエズ戦争
名古屋大学出版会
"1997-02-28"
[293]
서적
We Now Know, Rethinking Cold War History.
Oxford University Press
[294]
간행물
Telegram From the Department of State to the Embassy in Egypt, Washington , November 6, 1956—6:29 p.m.,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SUEZ CRISIS, JULY 26–DECEMBER 31, 1956, VOLUME XVI
[295]
서적
[296]
서적
[297]
간행물
Message From Prime Minister Ben Gurion to President Eisenhower, Jerusalem, March 7, 1957, ''FOREIGN RELATIONS OF THE UNITED STATES'', 1955–1957, ARAB-ISRAELI DISPUTE, 1957, VOLUME XVII
[298]
서적
American Orientalism, The United States and the Middle East since 1945
I.B.Tauris
[299]
간행물
「2-2 NDRF/RRFの歴史」『米国海軍予備船隊制度に関する調査』
シップ・アンド・オーシャン財団
"1998-05"
[300]
서적
The Iron Wall: Israel and the Arab World
https://archive.org/[...]
W. W. Norton
[301]
웹사이트
Casualties in Arab–Israeli Wars
https://www.jewishvi[...]
[302]
웹사이트
Israeli Casualties in Battle
https://www.jewishvi[...]
[303]
서적
The Collins Encyclopedia of Military History
HarperCollins
[304]
서적
The Suez Crisis 1956
Osprey
[305]
웹인용
Britain France Israel Egypt War 1956
http://www.onwar.com[...]
"2017-07-12"
[306]
서적
A History of the Israeli Army, 1870–1974
Straight Arrow Books
[307]
서적
A History of the Israeli Army: 1870 - 1974
https://books.google[...]
[308]
영상
Israel – The Suez War of 1956: U.S. newsreel footage
https://www.youtube.[...]
[309]
웹사이트
Port Said Remembers 'Tripartite Aggression' of 1956'
http://www.dailystar[...]
[310]
서적
The Eisenhower Years
https://books.google[...]
Infobase Publishing
[311]
서적
Suez Crisis
Oxford University Press Inc.
[312]
서적
The Dynamics of Global Dominance: European Overseas Empires, 1415-1980
https://books.google[...]
Yale University Press
"2000"
[313]
웹사이트
An affair to remember
http://www.economist[...]
"2006-06-27"
[314]
웹사이트
제2차 중동 전쟁
https://ko.wikisour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