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숙정옹주 (중종)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서녀로, 숙의 김씨의 딸이다. 1525년에 태어나 1534년 능성 구씨 구한과 혼인했으며, 구한은 능창위에 봉해졌다. 옹주는 토지 요구와 가옥 규모 초과 등으로 비판을 받았으며, 남편 사망 후 사위와 간통하여 1564년 문정왕후에 의해 사사되었다. 슬하에 3남 3녀를 두었으며, 묘는 경기도 고양시 대자동에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525년 출생 - 장거정
    장거정은 명나라 만력제 시기의 정치가이자 개혁가로, 수보의 자리에 올라 일련의 개혁을 추진하여 명나라의 재정을 안정시키고 국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했지만, 비판을 받기도 했다.
  • 1525년 출생 - 다키가와 이치마스
    다키가와 이치마스는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이세국 공략, 나가시마 포위전, 나가시노 전투 등 주요 전투에 참전하여 다케다 가쓰요리 토벌에 공을 세우고 간토 어취차역에 임명되었으나, 혼노지의 변 이후 호조 씨족과의 전투에서 패배하고 도요토미 히데요시에게 항복한 후 승려가 되어 은퇴하였다.
  • 1564년 사망 - 페르디난트 1세 (신성 로마 황제)
    페르디난트 1세는 1556년부터 신성 로마 제국 황제, 1526년부터 헝가리와 보헤미아의 왕, 1521년부터 오스트리아 대공을 지냈으며 합스부르크 왕가의 오스트리아 분가를 창시하고 헝가리와 보헤미아 왕위를 계승하여 합스부르크 제국의 기틀을 마련, 종교 갈등을 조정하여 아우크스부르크 화의를 이끌어냈고 중앙집권화와 가톨릭 부흥을 추진했다.
  • 1564년 사망 - 장 칼뱅
    장 칼뱅은 프랑스 출신의 종교 개혁가로, 《기독교 강요》를 저술하여 칼뱅주의를 확립하고 제네바에서 종교 개혁을 추진했으며, 개신교 신학과 서구 사회 전반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혜정옹주
    혜정옹주는 조선 중종의 딸로 태어나 혜정옹주로 봉해졌으며, 홍여와 혼인하여 딸을 낳았고, 폐서인되었다가 복권되었으며, 사위 윤호에게 의지하며 살다가 사망했다.
  • 조선 중종의 자녀 - 효혜공주
    효혜공주는 조선 중종과 장경왕후의 장녀로, 김희와 혼인하여 딸 김선옥을 낳았으며, 이질을 앓다 사망하여 고양의 월산대군 묘에 예장되었다.
숙정옹주 (중종)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숙정옹주
작위옹주
배우자구한(具澣) (능창위)
자녀3남 3녀
수환(守環)
왕조조선
부왕중종
모후숙의 김씨
출생일1525년
출생지조선
사망지조선
사망일1564년
사망 원인사사(간통에 의한 처벌)
매장지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
국적조선

2. 생애

숙정옹주는 중종의 서녀로, 숙의 김씨(淑儀 金氏)의 유일한 딸이다. 1525년(중종 20년)에 태어나 1534년(중종 29년) 능성 구씨 구한과 혼인하였고, 구한은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다.[1][2][3] 옹주는 광주의 정금원 땅을 요구했다가 사헌부의 상소로 환납했고[4], 집 크기 문제로도 비판을 받았다.[5] 남편 사후 사위와 간통하여 문정왕후에 의해 사사되었으며[6], 무덤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에 있다.[7] 구한과의 사이에서 3남 3녀를 두었고[8], 장남 구사근은 벼슬을 받았다.[6]

2. 1. 출생과 혼인

중종의 서녀로, 숙의 김씨(淑儀 金氏)의 유일한 딸이다. 1525년(중종 20년)에 태어났으며, 10세 때인 1534년(중종 29년) 능성 구씨 구한과 혼인하였다.[1] 이후 구한은 능창위(綾昌尉)에 봉해졌다.[2][3]

2. 2. 특권 요구와 논란

1534년(중종 29년) 음력 7월 20일, 숙정옹주는 약 100여 년간 훈련장으로 사용된 국유지인 광주의 정금원 땅을 요구하여 받았으나, 사헌부의 상소로 다시 국가에 환납하였다.[4] 1538년(중종 33년)에는 옹주의 집 크기가 규정보다 6칸을 초과하여 중종의 명으로 헐게 되었는데, 규모만 줄이고 담장 등에 부리는 사치는 줄지 않아 계속 비판을 받았다.[5]

2. 3. 간통과 사사

숙정옹주는 남편 구한이 죽은 후 사위와 간통을 저질렀다. 이 일로 1564년(명종 19년) 문정왕후에 의해 40세의 나이로 사사되었다[6]. 옹주의 무덤은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대자동에 있다[7]. 구한과의 사이에서 3남 3녀를 두었으며[8], 장남 구사근은 명종에게 벼슬을 받았다[6].

3. 가족 관계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부왕중종1488년1544년조선 제11대 왕
생모숙의 김씨??
시부구신경(具信璟)??
시모고성 이씨??이균(李匀)의 딸
남편구한(具澣)1524년1558년구완(具澣)이라고도 함
슬하 3남 3녀
관계이름출생사망비고
장남구사근(具思謹)1542년1562년[9]
며느리광주 이씨??참판(參判) 이영현(李英賢)의 딸
양손자구화(具崈)1570년?차남 구사인(具思訒)의 친아들
장녀구옥선(具玉善)1546년?[10]
사위김정남(金正男)??[11]
외손자김희(金憙)1567년?
외손자김지(金志)1569년?
외손자김억(金悥)1572년?
차남구사인(具思訒)1551년1596년
며느리전주 이씨??이흠례(李欽禮)의 딸
손자구옹(具㝘)1569년?
손자구화(具崈)1570년?
손자구밀(具密)1571년?
손녀구여정(具女貞)1573년?
손녀구말정(具末貞)1574년?
손자구연(具㝚)1577년?
손자구강(具㝩)1586년?
차녀구옥영(具玉英)1552년?
사위함평 이씨 이창(李瑒)1550년1580년[12]
외손자이경원(李敬元)1570년?
외손자이춘원(李春元)1571년?
외손자이충원(李忠元)1572년?
외손자이인원(李仁元)1574년?
외손자이필원(李弼元)1577년?
3남구사성(具思誠)1555년?구사함(具思諴)이라고도 함[13]
며느리성주 이씨??별좌(別坐) 이미(李楣)의 딸
손녀구여옥(具女玉)1569년?
손녀구여선(具女善)1571년?
3녀구효생(具孝生)1556년?
사위전주 이씨 이진(李瑱)1553년?[14]
외손자이덕일(李德一)1577년?


참조

[1] 문서 또는 구완이라고도 읽는다.
[2] 네이버 구완 https://terms.naver.[...]
[3] 역사 《조선왕조실록》인종실록 1권, 인종 1년 1월 24일 무오 3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4] 역사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77권, 중종 29년 7월 20일 을유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5] 역사 《조선왕조실록》중종실록 87권, 중종 33년 7월 29일 경자 2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6] 역사 《조선왕조실록》명종실록 33권, 명종 21년 12월 21일 정미 1번째기사 http://sillok.histor[...]
[7] 뉴스 간통죄로 죽은 숙정옹주 묘를 둘러보며 http://www.mygoyang.[...] 고양신문 2015-03-18
[8] 네이버 국역 국조인물고 〈구한〉 https://terms.naver.[...]
[9] 웹인용 능성구씨 세보 綾城具氏 世譜, 8권 https://www.familyse[...]
[10] 서적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 https://web.archive.[...]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6-11-29
[11] 웹인용 안동김씨세보 安東金氏世譜, 28권(권14, 페이지12) https://www.familyse[...]
[12] 웹인용 함평이씨족보 咸平李氏族譜, 1 https://www.familyse[...]
[13] 문서 네이버 국역 국조인물고 〈구한〉 항목에서는 구사성(具思誠)으로 표기하였고, 김창겸 등이 지은 《한국 왕실여성 인물사전》에서는 구사함(具思諴)으로 표기하였다.
[14] 웹인용 안평대군파, 임영대군파 권1(安平大君派, 臨瀛大君派 卷之一) http://visualjoseo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