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정옹주 (태종)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숙정옹주는 조선 태종의 딸로, 신빈 신씨에게서 태어났다. 어릴 적 병약하여 유언강의 집에서 양육되었으며, 이후 정효전과 혼인하여 2남 4녀를 두었다. 세종은 유언강의 불충한 행위를 처벌하고, 숙정옹주는 남편 정효전이 수양대군을 모해하려다 사망한 후 몰수된 재산을 돌려받기 위해 노력했다. 1489년 이후의 행적은 기록에 남아 있지 않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조선 태종의 자녀 - 양녕대군
양녕대군은 조선 태종의 장남으로 왕세자였으나 폐위되었고, 동생 세종을 도왔으며 숭례문 현판 글씨를 쓰는 등 예술적 재능을 보였다. - 조선 태종의 자녀 - 함녕군
함녕군 이인은 조선 태종의 아들이자 외교적 업적을 남겼으며 세종의 신임을 받았고, 단종과 세조 시대에도 활동하다 1467년에 사망한 인물이다. - 조선의 공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공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 조선의 옹주 - 덕혜옹주
덕혜옹주는 고종과 귀인 양씨 사이에서 태어나 불행한 삶을 살았던 대한제국의 옹주로, 일본 유학 후 결혼 생활 중 조현병 증세를 보였으며 해방 후 귀국하여 창덕궁에서 생을 마감했고, 그녀의 삶은 여러 작품의 소재가 되었다. - 조선의 옹주 - 영온옹주
영온옹주는 조선 순조와 숙의 박씨의 외동딸이자 효명세자의 이복 여동생으로, 11세에 옹주로 책봉되었으나 병약하여 13세에 요절하였으며 효명세자의 깊은 슬픔을 자아냈다.
숙정옹주 (태종)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숙정옹주 |
한자 표기 | 淑貞翁主 |
별칭 | 숙진옹주(淑眞翁主) |
작위 | 조선 태종의 옹주 |
가족 관계 | |
아버지 | 태종 |
어머니 | 신빈 신씨(신녕궁주) |
배우자 | 일성군(日城君) 정효전(鄭孝全) |
자녀 | 2남 4녀 정원창(鄭元昌) 정극창(鄭克昌) 이승존(李承尊)의 처 이의석(李義碩)의 처 정석을금(鄭石乙金) 정옥금(鄭玉金) |
생애 | |
출생일 | 미상 |
사망일 | 미상 |
사망 원인 | 미상 |
기타 | |
능묘 | 미상 |
능묘 좌표 | 미상 |
매장지 | 미상 |
매장지 좌표 | 미상 |
거주지 | 미상 |
시호 | 미상 |
2. 생애
태종과 신빈 신씨(신녕궁주)의 셋째 딸로, 어릴 적 병약하여 궁 밖에서 유언강의 보살핌을 받으며 자랐다. 정효전과 혼인하였으나, 유언강이 정효전을 불손하게 대하자 세종이 유언강을 처벌하였다.[1] 이후 남편 정효전이 수양대군(세조)을 모해하려다 사망하고 재산이 몰수되는 시련을 겪었다.[2] 1488년(성종 19년) 몰수 재산 환수를 요청하여 성종이 이를 허락하였다.[2] 1489년(성종 20년) 이후의 기록은 없어 사망 시기는 알 수 없다.
2. 1. 어린 시절
태종과 신빈 신씨(신녕궁주)의 셋째 딸이다. 어렸을 적 병약하여 궁 밖에서 자랐는데, 이때 유언강(劉彦剛)이라는 사람의 여종의 젖을 먹고 자랐다. 이를 계기로 유언강의 집에서 자랐으며, 유언강은 대호군까지 벼슬이 올랐다.[1]2. 2. 정효전과의 혼인
1422년(세종 4년), 도총제 정진(鄭鎭)의 아들인 일성군(日城君) 정효전과 혼인하여 2남 4녀를 두었고, '''숙진옹주'''(淑眞翁主)로 책봉되었다.[1]숙정옹주는 어렸을 적 병약하여 궁 밖에 나가 있을 때 유언강(劉彦剛)의 여종의 젖을 먹고 자랐으며, 이를 계기로 유언강의 집에서 수양되었고 그의 벼슬은 대호군까지 이르렀다. 숙정옹주는 유언강의 집에 드나들다가 정효전과 인연을 맺고 혼인하였다.[1]
태종이 세상을 떠난 뒤 유언강은 정효전을 구박하며 접대하였고, 언사 또한 공손하지 않았다. 이를 들은 세종은 의금부에서 유언강을 국문하게 하였고, 자신의 누이와 부마에게 불충한 죄가 매우 크다며 유언강을 참수하고 가산을 몰수하였으며, 유언강의 처자를 종으로 만들었다.[1]
2. 3. 남편의 죽음과 시련
1453년(단종 1년), 남편인 정효전이 수양대군(세조)을 모해하려다 발각되어 국문을 받게 되었고 외방에 부처되어 있다가 다음 해에 사망하였고 정효전의 재산은 적몰되었다.[2]2. 4. 재산 환수 노력
1488년(성종 19년), 숙정옹주는 몰수된 전답과 남편 정효전의 속공노비를 돌려줄 것을 상언하였고, 성종은 이를 돌려주라고 명하였다.[2]2. 5. 사망
1453년(단종 1년), 남편인 정효전이 수양대군(세조)을 모해하려다 발각되어 국문을 받게 되었고 외방에 부처되어 있다가 다음 해에 사망하였고 정효전의 재산은 적몰되었다.1488년(성종 19년), 숙정옹주는 몰수된 전답과 남편 정효전의 속공노비를 돌려줄 것을 상언하였고, 성종은 이를 돌려주라고 명하였다.[2]
1489년(성종 20년), 숙정옹주의 상언에 관한 언급이 실록에 마지막으로 기록된 숙정옹주의 모습으로, 언제 사망하였는지는 알 수 없다.
3. 가족 관계
구분 | 관계 | 성명 | 비고 |
---|---|---|---|
아버지 | 태종 | 1367년 ~ 1422년 | |
어머니 | 신빈 신씨 | ? ~ 1435년 | |
오빠 | 함녕군 | 1402년 ~ 1467년 | |
오빠 | 온녕군 | 1407년 ~ 1454년 | |
언니 | 정신옹주 | ? ~ 1452년 | |
언니 | 정정옹주 | 1410년 ~ 1456년 | |
여동생 | 숙녕옹주 | 생몰년 미상 | |
여동생 | 소신옹주 | ? ~ 1437년 | |
여동생 | 소숙옹주 | ? ~ 1456년 | |
여동생 | 숙경옹주 | 1420년 ~ 1494년 | |
시가 | 연일 정씨 | ||
시아버지 | 정진 | ||
남편 | 일성군 정효전 | ? ~ 1454년 | |
장남 | 감찰 정원창 | ||
며느리 | 전주 이씨 | 이중무의 딸 | |
손자 | 정승종 | ||
차남 | 첨정 정극창 | ||
며느리 | 양천 허씨 | 허삼의 딸 | |
손자 | 정천령 | ||
장녀 | 전의 이씨 직장 이승존의 처 | ||
외손자 | 이수녕 | ||
외손녀 | 첨사 이기경의 처 | ||
외손녀 | 영산 신씨 신세호의 처 | ||
차녀 | 이의석의 처 | ||
삼녀 | 정석을금 | 노맹곤의 처 | |
사녀 | 정옥금 | 현감 신순담의 처 | |
외손녀 | 연안 이씨 부사 이귀종의 처 |
참조
[1]
서적
세종실록
1422-09-19
[2]
서적
성종실록
1488-08-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