쉬자후이창수루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쉬자후이창수루는 1847년 상하이에 설립된 도서관으로, 1842년 상하이에 온 예수회 선교사들에 의해 시작되었다. 초기에는 선교사들의 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공간으로 시작하여, 1906년 유럽 스타일의 2층 건물로 확장되었다. 전성기에는 20만 권의 장서를 소장했으며, 1932년 상하이 사변 이후 상하이 최대 도서관이 되었다. 1956년 상하이 도서관의 분관이 되었으며, 2003년 수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상하이시의 도서관 - 상하이 도서관
1952년 개관한 상하이 도서관은 서가회 장서루와 상하이 동 도서관을 모체로 70만 권 이상의 장서를 소장하며 시작하여, 합병을 통해 중국에서 두 번째로 큰 공공 도서관이자 연구 중심의 종합 정보 연구 센터로 발전, 1996년 현재의 건물로 이전했다. - 쉬후이구 - 상하이 프랑스 조계
상하이 프랑스 조계는 1849년 프랑스 영사 샤를 드 몽티니가 설치하여 황푸강 서쪽에 위치했으며, 1900년과 1914년 확장을 거쳐 상하이 최고의 주거 지역으로 발전했으나, 제2차 세계 대전 중 반환되어 현재는 상하이의 일부 지역으로 남아있다. - 쉬후이구 - 상하이 자오퉁 대학
상하이 자오퉁 대학은 1896년 난양 공립 학교를 기원으로 설립되어, 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세계적인 평가를 받으며 다양한 분야의 학부 및 대학원 과정을 제공하는 중국의 명문 연구 중심 대학이다.
쉬자후이창수루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유형 | 도서관 |
위치 | 상하이 |
설립 | 1847년 |
소속 | 상하이 도서관 |
언어 | 영어 |
기타 이름 | Bibliotheca Zi-Ka-Wei 上海图书馆徐家汇藏书楼 |
특징 | |
설명 | 상하이 최초의 근대식 도서관 |
문화 교류 | 동서양 문화 교류의 중심지 |
신문 열람실 | 오래된 외국 신문 열람실 위치 |
주소 |
2. 역사
쉬자후이창수루(徐家汇藏书楼)는 1842년 상하이에 온 예수회 선교사 3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3명의 선교사는 클로드 고텔랑/Claude Gotteland프랑스어(1803-1856), 프랑수아 에스테브/François Estève프랑스어(1804-1848), 벤자민 브뤼에르/Benjamin Brueyre프랑스어(1808-1880)이다.[10] 선교 시작 5년 후, 영구 거주지와 새로 상하이에 오는 선교사들이 중국어를 배우고 선교에 대비하기 위한 장소가 필요해졌다. 이에 상하이 남서쪽 8km 지점의 쉬자후이가 장소로 정해졌다. 고텔랑은 선교사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 책을 보관하는 공간을 만들기로 결정했고, 1847년 쉬자후이창수루가 설립되었다. 이는 훗날 중국의 예수회 도서관 중 베이탕 도서관과 쌍벽을 이루는 도서관의 시작이었다.[10][4]
도서관은 처음에는 기존 교회 북단에 있는 선교사 방 세 칸에서 운영되었다. 1860년 예수회가 쉬자후이에서 추가 토지를 취득하면서 도서관은 자오자방 운하(肇嘉浜) 동쪽의 큰 건물로 이전했다. 1897년 도서관이 다시 좁아지자, 1906년 유럽 스타일의 2층, 12개 방으로 구성된 새로운 도서관(현재 북동쪽)이 세워졌다.[11][4] 새 도서관은 1층은 중국 자료, 2층은 서양 도서로 나뉘었다.[10] 도서관은 Zi-ka-wei Reservata Bibliotheca, Bibliotheca Zi-ka-wei, Zi-ka-wei Bibliotheque de Mission, Zi-ka-wei Bibliotheca Major, 상하이 쉬자후이 천주당 창수루(上海徐家汇天主堂藏书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주민들은 은행나무 고목에 둘러싸인 이 건물을 '대도서관'이라고 불렀다.[10][4]
전성기에 쉬자후이창수루는 10만 작품, 20만 권의 장서를 보유했으며, 그 중 8만 권은 서양 도서, 12만 권은 중국 도서였다.[10]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에서 상무인서관과 동방도서관이[5][6] 일본군의 공습으로 불탄 후, 쉬자후이창수루는 상하이 최대 도서관이 되었다. 쉬자후이창수루는 풍부한 지명 사전, 오래된 신문 및 잡지, 히브리어, 라틴어, 그리스어 등 10개 이상의 언어로 된 서양 도서를 소장했다. 또한 세계 주요 사전, 백과사전, 학술 잡지, 18세기 이전 출판된 2,000점 이상의 자료도 갖추고 있었다.[10][4]
1956년 쉬자후이창수루는 상하이 도서관의 분관이 되었으며, 2003년에 수리되었다.[11][7]
2. 1. 설립 초기 (1842-1860)
쉬자후이창수루는 1842년 상하이에 온 예수회 선교사 3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은 클로드 고텔랑(Claude Gotteland, 1803-1856), 프랑수아 에스테브(François Estève, 1804-1848), 벤자민 브뤼에르(Benjamin Brueyre, 1808-1880)이다.[10] 선교 시작 5년 후, 새로 상하이에 오는 선교사들이 중국어를 배우고 선교에 대비하기 위한 장소와 영구 거주지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이에 따라 상하이 남서쪽 8km 지점의 쉬자후이가 장소로 정해졌다. 고텔랑은 선교사들의 학습을 돕기 위해 책을 보관하는 공간을 만들기로 결정했고, 1847년 쉬자후이창수루가 설립되었다. 이는 훗날 중국의 예수회 도서관 중 쌍벽을 이루는 도서관의 시작이었다.[10]도서관은 처음에는 기존 교회 북단에 있는 선교사의 방 세 칸을 사용했다. 1860년 예수회는 쉬자후이에서 추가 토지를 취득하여 도서관을 肇嘉滨 운하 동쪽의 큰 건물로 이전했다. 1897년 도서관이 다시 좁아지자, 유럽 스타일의 2층, 12개 방을 갖춘 새로운 도서관(현재 북동쪽)이 건설되었다.[11] 새 도서관은 1층은 중국 자료, 2층은 양서를 두는 방식으로 운영되었다.[10] 도서관은 Zi-ka-wei Reservata Bibliotheca, Bibliotheca Zi-ka-wei, Zi-ka-wei Bibliotheque de Mission, Zi-ka-wei Bibliotheca Major, Shanghai Xujiahui Tianzhutang Cangshulou 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으며, 주민들은 은행나무 고목에 둘러싸인 이 건물을 '대도서관'이라고 불렀다.[10]
2. 2. 확장과 이전 (1860-1906)
쉬자후이창수루는 1842년 상하이에 온 예수회 선교사 3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이들은 클로드 고텔랑(Claude Gotteland, 클로드 고틀랑/Claude Gotteland프랑스어, 1803-1856), 프랑수아 에스테브(François Estève, 1804-1848), 벤자민 브뤼에르(Benjamin Brueyre, 1808-1880)이다.[10] 선교 시작 5년 후, 영구 거주지와 선교사들의 중국어 학습 및 선교 준비를 위한 장소가 필요해짐에 따라 상하이 남서쪽 8km 지점의 쉬자후이가 선택되었다. 고텔랑은 선교사들의 연구를 돕기 위해 도서 보관 공간을 만들기로 결정했고, 1847년 쉬자후이창수루가 설립되었다.[10]도서관은 처음에는 기존 교회 북단에 있는 선교사 방 세 칸에서 운영되었다. 1860년 예수회가 쉬자후이에서 추가 토지를 취득하면서 도서관은 자오자방(肇嘉浜) 운하 동쪽의 큰 건물로 이전했다. 1897년 도서관이 다시 좁아지자, 1906년 유럽 스타일의 2층, 12개 방으로 구성된 새로운 도서관(현재 북동쪽)이 세워졌다.[11] 새 도서관은 1층은 중국 자료, 2층은 서양 도서로 나뉘었다.[10] 도서관은 Zi-ka-wei Reservata Bibliotheca, Bibliotheca Zi-ka-wei, Zi-ka-wei Bibliotheque de Mission, Zi-ka-wei Bibliotheca Major, 상하이 쉬자후이 천주당 창수루(上海徐家汇天主堂藏书楼) 등 다양한 이름으로 불렸으며, 주민들은 은행나무 고목에 둘러싸인 이 건물을 '대도서관'이라고 불렀다.[10]
전성기에 쉬자후이창수루는 10만 작품, 20만 권의 장서를 보유했으며, 그 중 8만 권은 서양 도서, 12만 권은 중국 도서였다.[10]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에서 상무인서관이 일본군의 공습으로 불탄 후, 쉬자후이창수루는 상하이 최대 도서관이 되었다.[10] 쉬자후이창수루는 풍부한 지명 사전, 오래된 신문 및 잡지, 히브리어, 라틴어, 그리스어 등 10개 이상의 언어로 된 서양 도서를 소장했다. 또한 세계 주요 사전, 백과사전, 학술 잡지, 18세기 이전 출판된 2,000점 이상의 자료도 갖추고 있었다.[10]
쉬자후이창수루는 1956년 상하이 도서관의 분관이 되었으며, 2003년에 수리되었다.[11]
2. 3. 전성기와 역할 (1906-1956)
쉬자후이창수루는 1842년 상하이에 온 예수회 선교사 3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3명의 선교사는 클로드 고텔랑(Claude Gotteland, 클로드 고텔랑/Claude Gotteland프랑스어, 1803-1856), 프랑수아 에스테브(François Estève, 프랑수아 에스테브/François Estève프랑스어, 1804-1848), 벤자민 브뤼에르(Benjamin Brueyre, 벤자민 브뤼에르/Benjamin Brueyre프랑스어, 1808-1880)이다.[10] 선교를 시작한지 5년이 지나 영구 거주지의 필요성이 높아졌으며, 새로 상하이에 오는 선교사들이 중국어를 배우고 선교에 대비하기 위한 장소도 필요했다. 장소는 상하이 남서쪽 8km에 있는 쉬자후이로 정해졌다. 고텔랑은 또한 거기서 책을 보관하는 공간을 만들어 상하이에 온 선교사들이 선교를 위한 학습 작업을 할 수 있게 하는 것도 결정했다. 쉬자후이창수루는 1847년에 이렇게 시작하였으나, 이후 중국의 예수회 도서관 중 베이탕 도서관과 쌍벽을 이루게 된다.[10][4]도서관은 처음에는 기존 교회의 북단에 있는 선교사의 방을 세 가지로 운영되었다. 1860년에 예수회는 쉬자후이에서 다른 토지를 취득하고 도서관은 자오자방 운하(Zhaojiabang Canal)의 동쪽에 큰 건물로 이전했다. 1897년까지 도서관은 다시 좁아졌고, 1906년에는 새로운 유럽 스타일인 2층 · 12개 방 도서관 (현재 북동)이 세워졌다.[11][4] 새로운 도서관은 중국의 자료를 모은 1층과 양서를 둔 2층으로 나누어져 있었다.[10] 이 도서관은 ''Zi-ka-wei Reservata Bibliotheca'', ''Bibliotheca Zi-ka-wei'', ''Zi-ka-wei Bibliothèque de Mission'', ''Zi-ka-wei Bibliotheca Major''등 여러 이름으로 불렸고, 중국어로는 ''상하이 쉬자후이 천주당 창수루''("상하이 쉬자후이 천주교회의 도서관")가 있었다. 주민들은 은행 나무 고목에 둘러싸인 이 큰 건물을 단순히 '대도서관'이라고 불렀다.[10][4]
쉬자후이창수루는 전성기에 10만 작품, 20만권의 장서를 보유했다. 그 중 8만권이 양서, 12만권이 중국 도서였다.[10]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에서 상무인서관과 동방도서관이[5][6] 일본군의 공습에 의해 불탄 후에는 쉬자후이창수루가 상하이 최대의 도서관이 되었다. 쉬자후이창수루는 풍부한 지명 사전 외에도 오래된 귀중한 신문이나 잡지도 보관하고 있었다. 또한 양서는 히브리어, 라틴어, 그리스어, 기타 유럽어 등 10개 이상의 언어로 제공했다. 예수회들의 면학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세계의 주요 사전과 백과 사전, 중요한 학술 잡지도 갖추고 18세기 이전에 출판된 자료가 2,000점 이상 있었다.[10][4]
1956년에 쉬자후이창수루는 상하이 도서관의 분관이 되었으며, 2003년에 수리되었다.[11][7]
2. 4. 상하이 도서관 분관 (1956-현재)
쉬자후이창수루는 1842년 상하이에 온 예수회 선교사 3명으로부터 시작되었다. 3명의 선교사는 Frs. Claude Gotteland (1803-1856), Francois Esteve (1804-1848), Benjamin Brueyre (1808-1880)이다.[10] 5년간의 선교 활동으로 영구 거주지와 새로 상하이에 오는 선교사들이 중국어를 배우고 선교에 대비하기 위한 장소가 필요했고, 상하이 남서쪽 8km 지점의 쉬자후이가 장소로 정해졌다. Gotteland는 선교사들의 학습을 위한 도서 보관 공간도 결정하여, 1847년 쉬자후이창수루가 시작되었고, 이후 중국의 예수회 도서관 중 쌍벽을 이루게 된다.[10]도서관은 처음에는 기존 교회의 북단에 있는 선교사의 방 세 곳에서 운영되었다. 1860년 예수회는 쉬자후이에서 토지를 취득하고 도서관을 肇嘉滨 운하의 동쪽에 큰 건물로 이전했다. 1897년에 다시 공간이 좁아져 유럽 스타일의 2층 · 12개 방 도서관 (현재 북동)이 1906년에 완공되었다.[11][4] 새로운 도서관은 중국 자료를 모은 1층과 양서를 둔 2층으로 나누어져 있었다.[10] 도서관은 Zi-ka-wei Reservata Bibliotheca, Bibliotheca Zi-ka-wei, Zi-ka-wei Bibliotheque de Mission, Zi-ka-wei Bibliotheca Major, Shanghai Xujiahui Tianzhutang Cangshulou 등의 책이 있었고, 주민들은 은행 나무 고목에 둘러싸인 이 큰 건물을 '대도서관'이라고 불렀다.[10]
쉬자후이창수루는 전성기에 10만 작품, 20만권의 장서를 보유했다. 그 중 8만권이 양서, 12만권이 중국 도서였다.[10] 1932년 제1차 상하이 사변에서 상무인서관이 일본군의 공습에 의해 불탄 후에는 쉬자후이창수루가 상하이 최대의 도서관이 되었다.[10] 쉬자후이창수루는 풍부한 지명 사전 외에도 오래된 귀중한 신문이나 잡지도 보관하고 있었다. 또한 양서는 히브리어, 라틴어, 그리스어, 기타 유럽어 등 10개 이상의 언어로 제공했다. 예수회들의 면학에 이바지할 수 있도록 세계의 주요 사전과 백과 사전, 중요한 학술 잡지도 갖추고 18세기 이전에 출판된 자료가 2,000점 이상 있었다.[10]
1956년에 상하이 도서관의 분관이 되었으며, 2003년에 수리되었다.[11]
3. 소장 자료
3. 1. 주요 소장 자료
4. 건축
4. 1. 구조
4. 2. 특징
5. 의의 및 평가
6. 한국과의 관계
참조
[1]
간행물
Xujiahui Library: A Cultural Crossroads between East and West
http://www.iclc.us/c[...]
2016
[2]
간행물
Building archives through curatorial practice
2016-06-06
[3]
서적
Newspapers in the Shanghai Library." International Newspaper Librarianship for the 21st Century
Walter de Gruyter
2008
[4]
뉴스
The Xujiahui (Zikawei) Library of Shanghai
https://www.jstor.or[...]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7
[5]
서적
A Description of the Oriental Library Before and After the Destruction by Japanese on February 1, 1932
https://books.google[...]
Mercury Press
1932
[6]
뉴스
Review of The Life and Times of Zhang Yuanji, 1867-1959 by Manying Ip
https://www.jstor.or[...]
Australian Journal of Chinese Affairs
1988
[7]
웹사이트
The Bibliotheca Zi-Ka-Wei (The Xujiahui Library)
http://www.library.s[...]
Shanghai Library
[8]
뉴스
The Xujiahui (Zikawei) Library of Shanghai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7
[9]
웹사이트
The Bibliotheca Zi-Ka-Wei (The Xujiahui Library)
http://www.library.s[...]
상하이 도서관
2015-11-18
[10]
뉴스
The Xujiahui (Zikawei) Library of Shanghai
http://www.jstor.org[...]
University of Texas Press
1997
[11]
웹인용
The Bibliotheca Zi-Ka-Wei (The Xujiahui Library)
http://www.library.s[...]
상하이 도서관
2015-11-1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