슈아죌비둘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슈아죌비둘기는 1904년 6개의 표본을 바탕으로 기술된 멸종된 비둘기 종이다. *Microgoura* 속의 단형종으로, 인도네시아와 파푸아뉴기니에 서식하는 두꺼운부리땅비둘기와 유연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몸길이 약 31cm로, 청회색 깃털과 머리 뒤쪽에서 솟아오른 볏을 가지고 있었다. 솔로몬 제도의 초이설 섬에 고유종으로, 해안 습지 등 저지대 숲에서 서식했으며, 1940년대 초를 마지막으로 멸종되었다. 고양이와 같은 도입된 포식자, 서식지 파괴 등이 멸종의 원인으로 추정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04년 기재된 새 - 스코틀랜드솔잣새
스코틀랜드솔잣새는 스코틀랜드 고지대 칼레도니아 숲에 서식하며 고유한 비행 방식과 울음소리를 지닌 십자매류의 독립적인 종으로, 서식지 감소로 인해 보존 노력이 필요하다.
| 슈아죌비둘기 - [생물]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학명 | Microgoura meeki |
| 명명자 | 로스차일드, 1904년 |
| 멸종 상태 | 멸종 (EX) |
| 마지막 확인 보고 | 1904년 |
| 구글 지도 검색어 | 쇼아젤 섬 |
| 다른 이름 | 칸자시바토 |
| 분포 | |
| 범위 지도 | Red denotes Choiseul, the species' confirmed range, while brown denotes Santa Isabel and Malaita, which had unconfirmed reports. |
| 범위 지도 설명 | 빨간색은 쇼아젤, 종의 확인된 범위, 갈색은 산타 이사벨과 말라이타, 확인되지 않은 보고가 있었음. |
| 범위 지도 대체 텍스트 | 솔로몬 제도의 지도에서 쇼아젤, 산타 이사벨, 말라이타의 위치를 강조 표시함. |
2. 분류
슈아죌비둘기는 1904년 월터 로스차일드가 수컷 3마리, 암컷 3마리, 총 6개의 표본과 그 해 초 앨버트 스튜어트 미크가 수집한 알을 바탕으로 기술했다.[2][16] 이 종은 단형 속인 *Microgoura*에 속했는데, 속명은 고대 그리스어 단어 ''mikros'' ("작은"이라는 뜻)와 뉴기니 원주민이 볏이 있는 유사한 관비둘기속(*Goura*)을 부르는 이름에서 유래했다.[3][4] 로스차일드는 미크의 이름을 따서 종명을 ''meeki''로 명명했다.[12]
이 종의 행동에 대해서는 현장 관찰이 이루어지기 전에 멸종되었기 때문에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슈아죌비둘기는 주로 육상 종으로 숲 바닥 근처에서 먹이를 구하고 둥지를 틀었을 가능성이 높다.[15] 분두투라 마을의 원주민들은 비둘기가 땅 가까이에 있는 작은 관목에서 2마리 또는 3~4마리의 작은 무리를 지어 잠을 잤다고 말했다.[14] 그들은 이 종이 매우 길들여져서 지역 사냥꾼들이 접근하여 손으로 앉아 있는 곳에서 잡을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14] 그들은 이 종이 모래주머니에 위석이 있다고 보고했다.[23] 이 종은 바닥의 줄이 없는 움푹 들어간 곳에 단 하나의 어두운 크림색 알을 낳았다.[17] 알의 크기는 약 43mm x 31.3mm로, 새에 비해 작은 크기로 여겨진다.[12][8]
슈아죌비둘기는 철새가 아니었으며, 맹그로브가 없는 해안 습지를 포함한 저지대 숲의 숲 바닥에서 서식했던 것으로 여겨진다.[28][21] 일반적으로 솔로몬 제도의 초이설 섬에 고유종으로 간주되며, 유일한 표본이 채집된 곳이다.[15] 앨버트 스튜어트 미크가 수집한 표본은 섬 북부의 초이설 만 근처에서 채집되었을 가능성이 높다.[17] 이 종에 대한 토착민들의 마지막 보고는 콜롬방가라 강에서 나왔다.[17] 또한, 인근 섬인 산타 이사벨 섬과 말라이타 섬에서도 서식했다고 전해지며, 한때 부건빌 섬에서도 서식했을 가능성이 의심되나, 이러한 보고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일화로 간주해야 한다.[17][18]
원주민들은 들고양이와 들개의 포식 때문에 슈아죌비둘기가 멸종되었다고 믿었다.[1][21] 쇼아즐에는 토착 육식동물 포유류가 없었기 때문에, 땅에서 서식하는 이 비둘기는 도입된 고양이에게 특히 취약했다.[3] 만약 이 비둘기가 들고양이가 도달하지 못한 섬에 서식했다면, 서식지인 숲의 파괴가 지역 멸종을 초래했을 것으로 보인다.[17] 1904년 이후 여러 차례 수색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보고가 없었으므로, IUCN은 이 비둘기를 멸종으로 선언했다.[28] 여러 조류학자들이 미크 이전에 쇼아즐과 인근 섬들을 방문했지만 이 새의 존재를 발견하지 못했으므로, 1904년에 이미 슈아죌비둘기는 멸종에 가까웠을 가능성이 높다.[14]
이 비둘기는 지역 주민들에게 식량 공급원이었다. 주민들은 비둘기의 울음소리나 앉아 있던 곳 아래에 쌓인 배설물을 통해 둥지를 찾곤 했다.[17] 이 비둘기는 토착민들에게 잘 기억되었으며, 멸종 후 지역 원로들은 맛있는 땅에 사는 비둘기에 대한 이야기를 전했다.[17] 한 원주민은 비둘기의 모래주머니 돌이 지역에서 가치가 있었을 수도 있다고 암시했다.[23] 비둘기가 멸종된 후, 토착민들은 가끔 슈아죌비둘기를 나무에 사는 관머리뻐꾸기비둘기와 혼동했고, 현대 민속에서 비둘기가 계속 존재한다는 여러 주장은 뻐꾸기비둘기에 근거한 것으로 밝혀졌다.[24] 발견 이후, 여러 서양의 조류 수집가들은 이 비둘기의 가죽을 매우 원했다. 휘트니 남태평양 탐험대는 초이죌에서 3개월 동안 많은 비용을 들여 초이죌 비둘기를 확보하는 것을 주요 목표로 삼았다.[25] 2012년에는 초이죌 비둘기가 여러 다른 멸종된 새들과 함께 모잠비크의 우표에 기념되었다.[26] 슈아죌비둘기는 초이죌 주의 깃발에 묘사되어 있다.[27]
[1]
인용
슈아죌비둘기의 유연 관계는 불분명하지만, 인도네시아와 파푸아뉴기니에서 서식하며 유사한 깃털을 가진 두꺼운부리땅비둘기(*Trugon terrestris*)와 가장 가까운 것으로 여겨진다.[5] 슈아죌비둘기가 두꺼운부리땅비둘기와 관비둘기 사이의 연결고리였을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되었지만, 다른 자료에서는 볏이 상당히 달랐기 때문에 관비둘기와 밀접한 관련이 없을 수도 있다고 주장한다.[6][11] 행동 및 형태학적 증거를 바탕으로, 졸리온 C. 패리시는 슈아죌비둘기를 *Goura* 비둘기, 도도새, 로드리게스 솔리테어 등과 함께 관비둘기아과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제안했다.[7] 슈아죌비둘기는 알려진 아종이 없다.[17]
현재 5개의 표본과 부분 골격은 미국 자연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으며, 단 하나의 표본과 알은 트링 자연사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8][9] 슈아죌비둘기는 솔로몬 관비둘기, 솔로몬 제도 비둘기, 솔로몬스 볏비둘기, 솔로몬 제도 볏비둘기, 슈아죌 볏비둘기, 볏 슈아죌 비둘기, 미크 비둘기, 미크 땅비둘기, 드워프 구라라고도 불린다.[10] 슈아죌의 원주민들은 이 종을 "kumku-peka" 또는 "kukuru-ni-lua"라고 불렀는데, 이는 문자 그대로 "비둘기-속함-땅"으로 번역된다.[11][9]
3. 형태

슈아죌비둘기는 길이가 약 31cm였다.[12] 암컷과 수컷의 크기는 서로 달랐는데, 수컷의 날개 길이는 195mm에서 197mm, 꼬리 길이는 100mm에서 105mm, 부리마루는 34mm, 부척은 60mm였다. 암컷의 날개 길이는 180mm에서 190mm, 꼬리 길이는 100mm, 부리마루는 33mm, 부척은 60mm였다.[13] 성체의 슈아죌비둘기는 암수 모두 전체적으로 청회색이었으며, 배는 황갈색을 띠었다.[11]
이 비둘기는 털이 있는 질감의 길고 둥근 볏을 가지고 있었는데, 볏은 머리 윗부분과 마찬가지로 암청색이었으며 머리 뒤쪽에서 솟아 있었다.[17] 미크의 기록에는 볏을 어떻게 유지했는지에 대한 내용이 없어, 살아있을 때 볏의 정확한 모습은 알려져 있지 않다. 존 제라드 케울레만스는 미크의 표본을 바탕으로 볏을 평평하게 묘사했지만, 다른 예술가들은 관비둘기처럼 볏이 퍼지고 헝클어진 모습으로 표현하기도 했다.[14] 박물관 표본의 볏은 준비 과정에서 펴졌을 가능성이 있다.[13]
이마에는 털이 없고 창백한 분필색의 청색 전두엽 방패가 있었다.[11] 이는 부리 기저부에서 눈 바로 아래 앞쪽까지 뻗어있는 짧고 벨벳 같은 검은 깃털로 둘러싸여 있었고, 눈 아래쪽은 분홍빛을 띠었다.[15] 턱과 목은 검은색의 벨벳 같은 깃털로 드문드문 덮여 있었고, 목은 암청색에서 갈색 회색의 가슴으로 변했다.[12] 복부와 하부꼬리덮깃은 짙은 주황색이었으며, 하부꼬리는 검은 회색을 띠었다.[17] 날개는 암청색이었고 기저부에 갈색 기미가 있었으며, 날개 끝으로 갈수록 따뜻하고 짙은 갈색이 되었고, 날개 아랫면은 갈색이었다.[17] 등은 회색이었고 엉덩이로 갈수록 갈색으로 변했으며, 상부꼬리덮깃은 검은색 팁이 있는 어두운 그을린 회색이었다.[12] 짧고 둥근 꼬리는 자주색 광택이 살짝 도는 매우 어두운 남색이었다.[16][17] 부리는 두 가지 색을 띠었는데, 위쪽 턱은 검은색 팁이 있는 분필색 청색이었고, 아래쪽 턱은 붉은색이었다. 어린 개체의 깃털은 알려지지 않았다.[17] 발은 칙칙한 자줏빛 붉은색이었고 발꿈치까지 깃털이 없었으며, 홍채는 짙은 갈색이었다.[16]
이 새의 울음소리는 기록된 적이 없지만, 멸종된 후 원주민들은 이를 "매일 저녁 둥지에서 울려 퍼지는 아름다운 고저 장단의 휘파람 소리"라고 묘사했다.[11] 다른 사람들은 그 소리를 낮게 "c-r-r-ooo", "cr-ooo", 또는 "cr-o-o-o"로 묘사했다.[11]
4. 생태
5. 분포 및 서식지

1904년 1월, 로드 월터 로스차일드의 조류 수집가인 앨버트 스튜어트 미크가 초이설 섬의 초이설 만 근처에서 6개의 표본과 알 하나를 수집했다.[9][19] 몇몇 현지 소년들은 미크에게 이 비둘기가 인근 산타 이사벨 섬과 말라이타 섬에도 서식한다고 말했다.[15] 미크는 이 섬들로 이동하지는 않았지만, 인접한 부건빌 섬에서 초이설비둘기를 찾았으나, 존재의 증거는 발견하지 못했다.[15]
1927년과 1929년 10월에 휘트니 남태평양 탐험대가 초이설 섬에서 수색을 진행했지만 실패했다.[20] 1940년대 초 사사뭉가 인근 콜롬방가라 강에서 원주민 목격 사례가 있었지만 확인되지 않았다.[21] 1960년대 영국 조류학자 셰인 A. 파커와 1974년 미국 과학자 재러드 다이아몬드의 수색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9][22]
6. 멸종
1904년에 처음 채집되었지만, 이후 채집 기록은 없다. 현지인의 말에 따르면, 제2차 세계 대전 무렵까지는 모습이 보였지만, 그 후 유입된 고양이에게 잡혀 멸종되었다고 한다.
7. 인간과의 관계

참조
[2]
인용
[3]
인용
[4]
인용
[5]
인용
[6]
인용
[7]
인용
[8]
인용
[9]
인용
[10]
인용
[11]
인용
[12]
인용
[13]
인용
[14]
인용
[15]
인용
[16]
인용
[17]
인용
[18]
인용
[19]
인용
[20]
인용
[21]
인용
[22]
인용
[23]
인용
[24]
인용
[25]
인용
[26]
인용
[27]
웹사이트
Choiseul Province (Solomon Islands)
http://www.crwflags.[...]
[28]
인용
[29]
간행물
Microgoura meeki
2012-07-1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