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베리르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베리르가는 노르웨이의 왕 스베레 시구르드손에 의해 창건된 왕가이다. 스베레의 후손들은 왕조의 영향력을 확대했으며, 호콘 4세 통치 하에 노르웨이 왕국은 번성했다. 스코틀랜드 여왕 마거릿도 이 가문 출신이며, 1319년 호콘 5세의 사망으로 단절되어 뱌르보 가문이 노르웨이 왕위를 계승했다. 스베리르 가문의 문장은 붉은 바탕에 왕관을 쓴 황금색 사자였으며, 이후 성 올라프를 상징하는 은색 도끼가 추가되어 노르웨이 국장의 원형이 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노르웨이의 왕가 - 길리 왕조
길리 왕조는 노르웨이 내란 시대에 하르드라다 가문 이후 왕위를 차지하여 혼란을 겪다가 스베레 가문에 의해 단절된 왕조이다. - 노르웨이의 왕가 - 크누트가
크누트가는 10세기에서 11세기 초 덴마크를 통치하며 덴마크 통일과 기독교 수용에 기여하고 잉글랜드 정복을 시도한 옐링 왕조의 주요 인물들과 잉글랜드와의 관계를 보여준다. - 스코틀랜드의 왕가 - 스튜어트가
스튜어트 가문은 스코틀랜드 왕국에서 시작하여 잉글랜드 왕국과 그레이트브리튼 왕국을 통치한 왕조로, 로버트 2세가 스코틀랜드 왕위에 오르면서 시작되었고 제임스 6세가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하며 동군 연합을 이루었으나, 왕권신수설 주장과 실정, 혁명, 왕정복고를 거쳐 앤 여왕을 끝으로 단절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왕가 - 둔켈드가
둔켈드 왕조는 1034년부터 1286년까지 스코틀랜드를 통치하며 왕위 계승 방식 변화, 외부 세력의 영향력 증대, 봉건 사회로의 전환을 겪었으며, 후계자 부재로 인한 왕위 계승 분쟁은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스베리르가 - 호콘 5세
호콘 5세는 1299년부터 1319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한 국왕으로, 왕권 약화, 수도 이전, 아케르스후스 요새 건설 등의 업적을 남기고 외손자에게 왕위를 물려주었다. - 스베리르가 - 망누스 6세
13세기 노르웨이 국왕 망누스 6세는 스코틀랜드와의 관계를 정리하고 전국법과 도시법을 제정하여 왕권 강화에 기여했으나, 성급한 개정으로 '개법왕'이라 불리며 후대 노르웨이에 큰 영향을 미쳤다.
스베리르가 | |
---|---|
기본 정보 | |
가문명 (한국어) | 스베레 가문 |
가문명 (로마자 표기) | Seubere Gammun |
가문명 (노르웨이어) | Sverreætten |
국가 | 노르웨이 왕국 스코틀랜드 왕국 |
모계 가문 | 길레 가문(주장됨) |
칭호 | 비르케베인의 수장 노르웨이의 왕 스코틀랜드의 여왕(논쟁 중) |
창시자 | 스베레 시구르드손 |
마지막 통치자 | 호콘 5세(노르웨이) 마르그레테(스코틀랜드, 논쟁 중) |
설립 년도 | 1184년 |
분가 | 로센스베르 가문 |
2. 역사
스베레 시구르드손이 노르웨이의 왕으로 즉위하면서 스베리르 왕가가 시작되었다. 그는 시구르 문 왕의 서자라고 주장했다. 스베레가 죽은 후 그의 후손들은 왕조의 영향력, 부, 권력을 확장했다.
마가렛, 노르웨이의 소녀는 스코틀랜드 왕국의 여왕으로 지명되었으며, 이 왕가의 일원이기도 했다. 스베리르 왕가의 후손으로는 로센스베르드 가문(노르웨이)[2]이 있다.
스베리르 왕가는 길레 왕조를 대체했으며, 호콘 5세의 사망으로 단절된 이후에는 노르웨이 왕위를 상속받은 비엘보 가문에 의해 대체되었다. 스베리르 왕가는 하랄 페어헤어로부터 부계 혈통을 주장하는 마지막 통치 가문이었다.
2. 1. 노르웨이 내전 시대의 종식과 왕권 강화
스베레 시구르드손이 노르웨이의 왕으로 즉위하면서 스베리르가가 시작되었다. 그는 자신이 시구르 문 왕의 서자라고 주장했다.[4] 스베레 사후, 그의 후손들은 왕조의 영향력, 부, 권력을 확장했다. 스베레의 손자 호콘 4세의 통치 시기에 노르웨이 왕국은 절정에 달했고, 내전 시대가 종식되면서 노르웨이의 황금기가 시작되었다.호콘 4세의 통치로 내란 시대가 끝나고 노르웨이 왕국이 통일되었다.[5] 또한 적통 장자에 의한 왕위 계승법이 확립되었다. 스베레 가문의 통치 기간 동안 트론헤임 대주교좌 설치 (1252/3년), 도서부 속령 지배, 법전 성립 (1270년대) 등이 이루어졌다.[5]
2. 2. 노르웨이의 황금 시대

스베레 시구르드손이 시구르 문의 서자라고 주장하며 노르웨이 왕으로 즉위하면서 스베리르 가문이 시작되었다.[4] 스베레 사후 그의 후손들은 왕조의 영향력, 부, 권력을 확장했다. 그의 손자 호콘 4세 통치 시기에 노르웨이 왕국은 절정에 달했고, 내전 시대가 종식되며 황금기가 시작되었다.[5] 호콘 4세는 적통 장자에 의한 왕위 계승법을 확립했고, 트론헤임 대주교좌 설치(1252/3년), 도서부 속령 지배, 법전 성립(1270년대) 등이 이루어졌다.[5]
2. 3. 가문의 몰락과 비엘보 가문으로의 왕위 계승
스베레 시구르드손은 길레 가문의 시구르 2세의 서자라고 주장하며 노르웨이 왕이 되었다.[4] 이후 스베레 가문은 길레 왕조를 대체하여 노르웨이 왕위를 차지했다. 스베레의 손자 호콘 4세 통치 시기에 내란 시대가 끝나고 노르웨이 왕국이 통일되었으며,[5] 적장자에 의한 왕위 계승법이 확립되었다. 스베레 가문의 통치하에 트론헤임 대주교좌 설치 (1252/3년)와 도서부 속령 지배, 법전 성립 (1270년대) 등이 진행되었다.[5]스코틀랜드 여왕 마거릿도 이 가문 출신이다.[6]
1319년 호콘 5세의 사망으로 스베레 가문이 단절되면서, 스웨덴 왕가였던 뱌르보 가문이 노르웨이 왕위를 계승했다. 스베레 가문은 하랄 1세의 남자 후손을 주장한 마지막 노르웨이 왕가였다.
3. 문장
스베리르 가문의 문장은 붉은 바탕에 왕관을 쓴 황금색 사자였다. 이 문장에는 나중에 성 올라프를 상징하는 은색 도끼가 추가되었으며, 이는 오늘날 노르웨이의 국장의 원형이 되었다.
3. 1. 문장의 변천
가문 문장은 붉은 바탕에 왕관을 쓴 황금색 사자이다. 나중에 성왕 올라프를 상징하는 은색 도끼가 추가되었다. 이는 오늘날 노르웨이의 국장의 원형이 되었다.[1]

4. 역대 군주
이름 | 재위 기간 |
---|---|
스베레 시구르손 | 1184년–1202년 |
호콘 3세 | 1202년–1204년 |
구토름 시구르손 | 1204년 |
잉에 2세 (길레 분파) 통치 | 1204년–1217년 |
호콘 4세 | 1217년–1263년 |
젊은 호콘 | 1240년–1257년 |
마그누스 6세 | 1257년–1263년–1280년 |
에이리크 2세 | 1273년–1280년–1299년 |
호콘 5세 | 1299년–1319년 |
스베리르 가의 다른 구성원으로는 쇠데르만란드 공작부인 잉기뵤르그 하코나르도티르가 있다.
4. 1. 스코틀랜드 군주
마가렛 (1286년 ~ 1290년)5. 가계도
노르웨이 국왕
노르웨이 국왕
노르웨이 국왕
노르웨이 국왕
노르웨이의 부왕
노르웨이 국왕
융커
노르웨이 국왕
노르웨이 국왕
스코틀랜드 여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