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튜어트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튜어트가는 1371년부터 1714년까지 스코틀랜드와 잉글랜드, 아일랜드를 통치한 왕가이다. 스코틀랜드 왕조 시대는 로버트 2세부터 시작하여 제임스 6세까지 이어졌으며,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한 제임스 1세는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군주를 겸했다. 1707년 연합법에 따라 앤 여왕 시기에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이 성립되면서 스튜어트 왕가는 그레이트 브리튼 아일랜드의 마지막 군주가 되었고, 이후 하노버 왕가가 왕위를 계승했다. 명예 혁명으로 쫓겨난 제임스 2세의 후손들은 자코바이트 운동을 통해 왕위 복원을 시도했으나,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이후 남자 후손이 단절되면서 운동은 약화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코틀랜드의 왕가 - 둔켈드가
둔켈드 왕조는 1034년부터 1286년까지 스코틀랜드를 통치하며 왕위 계승 방식 변화, 외부 세력의 영향력 증대, 봉건 사회로의 전환을 겪었으며, 후계자 부재로 인한 왕위 계승 분쟁은 스코틀랜드 독립 전쟁의 원인이 되었다. - 스코틀랜드의 왕가 - 알핀가
알핀가는 스코틀랜드 왕국, 특히 9세기 중반 알핀 왕조의 국왕들을 설명하며, 복잡한 왕위 계승 과정과 여러 왕들의 재위, 그리고 스코틀랜드 왕국 형성에 기여한 역할을 다룬다. - 잉글랜드의 왕가 - 플랜태저넷가
플랜태저넷가는 12세기부터 15세기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왕조로, 앙주 가문에서 유래하여 헨리 2세부터 시작해 리처드 2세의 폐위로 본가가 막을 내렸으며, 랭커스터 왕조와 요크 가문과의 장미 전쟁을 거쳤다. - 잉글랜드의 왕가 - 앙주가
앙주가는 11세기부터 13세기까지 잉글랜드와 프랑스에 영향력을 행사하며 플랜태저넷 왕조의 기원이 되었고, 잉글랜드 법률과 행정 제도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스튜어트가 - 윌리엄 3세
윌리엄 3세는 네덜란드 출신으로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왕이었으며, 명예 혁명을 통해 왕위에 올라 프랑스의 팽창을 막고 잉글랜드 의회 권한을 강화했으며, 대동맹 전쟁을 이끌고 잉글랜드 은행 설립을 지원하다 낙마 사고로 사망했다. - 스튜어트가 - 메리 2세
메리 2세는 1662년에 태어나 1689년부터 1694년까지 윌리엄 3세와 함께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를 공동 통치했으며, 명예 혁명 이후 권리 장전 통과를 통해 왕권 제한과 의회 권한 강화를 이끌었다.
스튜어트가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유형 | 왕가 |
국가 | 스코틀랜드 잉글랜드 아일랜드 그레이트브리튼 |
기원 | 클랜 스튜어트 |
창건 | 1371년경 |
창건자 | 로버트 2세 (1371–1390) |
해산 | 1807년 |
폐위 | 해당 사항 없음 |
마지막 통치자 | 앤, 그레이트브리튼 여왕 (1702–1714) |
문장 | |
![]() | |
분가 | |
칭호 | |
관련 가문 | |
역사 | |
설립 | 1371년 |
소멸 | 1807년 |
기타 | |
모토 | 알 수 없음 |
관련된 구성원 | 알 수 없음 |
스타일 | 알 수 없음 |
유산 | 알 수 없음 |
영지 | 알 수 없음 |
웹사이트 | 알 수 없음 |
비고 | 알 수 없음 |
2. 스코틀랜드 왕조 시대
스튜어트 가문은 프랑스 브르타뉴 지방의 소귀족 플라알드(Flaald, ? - 1099년)를 시조로 한다. 그의 손자 플라알드 2세는 헨리 1세를 따라 잉글랜드로 이주했다. 플라알드 2세의 손자인 월터 피츠알란(? - 1177년)은 잉글랜드의 무정부 시대에 마틸다를 지지했고, 그의 삼촌인 아서 가문의 스코틀랜드 왕 데이비드 1세를 섬기며 왕실 집사(Lord High Steward)로 임명되었다. 이 지위는 세습되었고, 스튜어트가 가문의 이름이 되었다. 제6대 집사 월터 스튜어트가 브루스 가문의 로버트 1세 (외할머니 마가렛이 제3대 집사 월터 스튜어트의 딸)의 딸 마조리와 결혼하면서 스코틀랜드 왕실과 연결되었다.
1371년 데이비드 2세가 죽고 브루스 가문이 단절되자, 월터와 마조리의 아들 로버트가 로버트 2세로 즉위하면서 스튜어트 왕조가 시작되었다. 이후 제임스 6세까지 8명의 왕이 스코틀랜드를 통치했다. 이 시기 스코틀랜드는 잉글랜드와 대체로 험악한 관계였으며, 동맹국 프랑스를 끌어들여 종종 전쟁을 벌였다. 많은 왕들이 어린 나이에 즉위하여 유력 귀족 간의 정쟁이나 귀족과의 대립에 휘말려 왕이 살해·연행되는 일도 잦았다.
1603년 엘리자베스 1세가 사망하면서 제임스 6세는 제임스 1세로서 잉글랜드 왕위를 겸하게 되었고,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는 동군 연합을 이루게 되었다.
다음은 스튜어트 왕조 시대의 주요 사건들이다.
시기 | 사건 |
---|---|
12세기 | 월터 피츠앨런, 아설 왕실 집사장에 취임. |
14세기 | 제6대 왕실 집사장 월터 스튜어트와 로버트 1세의 딸 마조리 결혼. |
1468년 | 제임스 3세, 덴마크 왕 크리스티안 1세의 왕녀 마가렛과 결혼. 오크니 제도와 셰틀랜드 제도를 획득. |
1502년-1513년 | 스코틀랜드-잉글랜드 간 "영구 평화" 성립. |
1503년 | 제임스 4세, 잉글랜드 왕 헨리 7세의 딸 마거릿 튜더와 결혼. |
1513년 | 제임스 4세, "영구 평화"를 파기하고 잉글랜드에 침공. 플로든 전투에서 사망, 제임스 5세 즉위. |
1625년 | 찰스 1세 즉위. |
1629년 | 찰스 1세 의회를 해산. |
1642년 | 청교도 혁명(잉글랜드 내전) 발생. |
1649년 | 올리버 크롬웰, 찰스 1세를 처형하고 공화제 수립. |
1653년 | 크롬웰이 종신 호국경이 됨. |
1660년 | 호국경 리처드 크롬웰이 퇴위하고, 왕정복고. 찰스 2세 즉위. |
1688년 | 명예 혁명. 제임스 7세/2세, 프랑스로 망명. 메리 2세·윌리엄 3세의 공동 통치. |
1689년 | 권리 장전의 제정 |
1707년 | 잉글랜드·스코틀랜드 정식으로 병합하여, 그레이트브리튼 왕국 성립. |
1714년 | 앤 여왕 사망, 스튜어트 왕조 단절. |
2. 1. 역대 스코틀랜드 국왕
초상화 | 이름 | 즉위 | 퇴위 | 전임자와의 관계 |
---|---|---|---|---|
![]() | 로버트 2세 | 1371년 2월 22일 | 1390년 4월 19일 | 로버트 1세의 손자 |
![]() | 로버트 3세 | 1390년 4월 19일 | 1406년 4월 4일 | 로버트 2세의 아들 |
![]() | 제임스 1세 | 1406년 4월 4일 | 1437년 2월 21일 | 로버트 3세의 아들 |
![]() | 제임스 2세 | 1437년 2월 21일 | 1460년 8월 3일 | 제임스 1세의 아들 |
![]() | 제임스 3세 | 1460년 8월 3일 | 1488년 6월 11일 | 제임스 2세의 아들 |
![]() | 제임스 4세 | 1488년 6월 11일 | 1513년 9월 9일 | 제임스 3세의 아들 |
![]() | 제임스 5세 | 1513년 9월 9일 | 1542년 12월 14일 | 제임스 4세의 아들 |
![]() | 메리 1세 | 1542년 12월 14일 | 1567년 7월 24일 | 제임스 5세의 딸 |
![]() | 제임스 6세 | 1567년 7월 24일 | 1625년 3월 27일 | 메리 1세의 아들 |
제임스 1세가 스코틀랜드 왕으로 즉위하면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결합하여 대브리튼 왕국의 기초가 확립되었으나, 근대 영국의 내분 시대로 민권 확립이 촉진되고 해외 진출의 기운이 고조되었다.
3. 잉글랜드·스코틀랜드·아일랜드의 군주
제임스 1세와 그의 아들 찰스 1세는 민정(民情)을 무시하고 전제주의를 취하여, 튜더 왕가의 전제 때문에 억압되었던 민권에 대한 전통적 욕망이 국왕 대 의회 대립의 형식으로 표면화되었다. 이로 인해 청교도 혁명이 발발하여 1649년 1월부터 1660년 5월까지 왕조가 일시 중단되기도 하였다. (올리버 크롬웰 참조)
왕정복고로 찰스 2세 및 그의 동생 제임스 2세가 왕위에 올랐으나, 가톨릭 보호자였기 때문에 명예 혁명 때 내쫓기고, 네덜란드 총독 윌리엄과 제임스 2세의 딸 메리가 영국을 공동 통치하게 되었다.
1702년 앤 여왕이 즉위하였으나, 후사(後嗣)가 없었고 제임스 에드워드의 후손들은 로마 가톨릭 신자라 하여 영국 의회에서 상속권을 박탈하여 스튜어트 왕조는 단절되었다.[1]
3. 1. 역대 잉글랜드·스코틀랜드·아일랜드의 군주
1603년, 엘리자베스 1세가 사망한 후, 제임스 1세가 잉글랜드 왕위를 이어받았다. 이때부터 1707년까지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군주를 겸했다. 다음은 잉글랜드, 스코틀랜드, 아일랜드의 군주 목록이다.
초상화 | 이름 | 즉위 | 퇴위 | 선임 군주와의 관계 |
---|---|---|---|---|
![]() | 제임스 6세와 1세 | 1603년 3월 24일 | 1625년 3월 27일 | 잉글랜드의 헨리 7세의 증손자. 튜더 왕가가 단절된 이후 프랑스에 대한 주장 등 잉글랜드와 아일랜드의 왕위 계승을 상속받기 전까지는 스코틀랜드의 왕이었다. |
![]() | 찰스 1세 | 1625년 3월 27일 | 1649년 1월 30일 (처형) | 제임스 6세와 1세의 아들 |
![]() | 찰스 2세 | 1649년 1월 30일 (명목상), 1660년 5월 2일 (사실상) | 1685년 2월 6일 | 찰스 1세의 아들. 잉글랜드 연방으로 알려진 공화정 시기 동안 의회에 의해 왕위 계승이 금지되었으나, 1661년에 왕으로 받아들여졌다. |
![]() | 제임스 7세와 2세 | 1685년 2월 6일 | 1688년 12월 11일 | 합법적인 후사 없이 사망한 찰스 2세의 동생. 찰스 1세의 아들. 1688년 혁명으로 폐위되었다. 1701년에 사망. |
![]() | 메리 2세 | 1689년 2월 13일 | 1694년 12월 28일 | 여전히 살아있었고 왕위를 주장했던 제임스 2세와 7세의 딸. 공동 군주는 아내보다 오래 산 윌리엄 3세와 2세였다. |
![]() | 앤 | 1702년 3월 8일 | 1714년 8월 1일 | 메리 2세의 여동생. 제임스 2세와 7세의 딸. 1707년 연합법에 따라 국명이 그레이트브리튼으로 변경되었지만, 왕가는 제임스 1세와 6세 이후 이 칭호를 사용해 왔다. 자녀 없이 사망하여 권리는 하노버 왕가로 넘어갔다. |
4. 그레이트 브리튼·아일랜드의 군주
이 시대는 근대 영국의 내분 시대였지만, 민권 확립이 촉진되고 해외 진출의 기운이 고조되었다. 또한 스코틀랜드 왕인 제임스 1세가 잉글랜드 왕으로 즉위하면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결합하여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의 기초가 확립되었다.
그러나 제임스 1세와 그의 아들 찰스 1세는 민정(民情)을 무시하고 전제주의를 취했다. 이로 인해 튜더 왕가의 전제(專制) 때문에 억압받던 민권(民權)에 대한 전통적 욕망이 국왕 대 의회의 대립 형식으로 표면화되었다.
이에 청교도 혁명을 거쳐 1649년 1월부터 1660년 5월까지 왕조는 일시 중단되었다.( 올리버 크롬웰 참조) 왕정복고(王政復古)로 찰스 2세 및 그의 동생 제임스 2세가 왕위에 올랐으나, 가톨릭 보호자였기 때문에 명예 혁명 때 내쫓겼다. 그 대신 네덜란드 총독 윌리엄과 제임스 2세의 딸 메리가 영국을 공동 통치하게 되었다. 1702년에는 앤 여왕이 즉위하였으나, 후사(後嗣)가 없었고 제임스 에드워드의 후손들은 로마 가톨릭 신자라 하여 영국 의회에서 상속권을 박탈하여 스튜어트 왕조는 단절되었다.
1707년 연합법에 의해 잉글랜드 왕국과 스코틀랜드 왕국이 그레이트 브리튼 왕국으로 합쳐졌다.
5. 자코바이트 운동
명예 혁명으로 쫓겨난 제임스 2세는 루이 14세의 도움을 받아 왕위를 되찾으려 했으나 실패하고 프랑스에서 사망했다. 그러나 제임스 2세의 후손들은 계속해서 왕위를 주장했으며, 이들을 자코바이트(Jacobite)라고 부른다. 스튜어트 왕조가 단절된 이후에는 스튜어트 왕가의 복원을 주장하는 사람들을 자코바이트라고 부르게 되었다.
자코바이트 운동은 19세기 초까지 계속되었으나, 제임스 2세의 손자이자 성직자가 된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이후 스튜어트 왕가의 남자 후손이 단절되면서 운동은 사그러들었다.
한편, 이후에도 자코바이트 계승자들은 존재하였다. 스튜어트 왕가의 남자 후손은 없었지만, 찰스 1세의 딸이었던 헨리에타 앤 스튜어트의 계통은 이어지고 있어, 이들이 자코바이트 계승자가 되었다. 현재 자코바이트들이 인정하는 계승자는 바이에른 공작 프란츠 폰 바이에른이다.
5. 1. 스튜어트 왕조의 왕위 요구자
명예혁명으로 쫓겨난 제임스 2세는 이후 왕위를 되찾기 위해 루이 14세의 도움을 받아 아일랜드를 침략하였으나, 패하여 1701년 프랑스에서 사망하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제임스 2세의 후손들은 왕위를 주장하였으며, 이들을 자코바이트(Jacobite)라고 부른다. 스튜어트 왕가가 단절된 이후에는 스튜어트 왕가의 복원을 노리는 사람을 자코바이트라고 한다.자코바이트 운동은 19세기 초까지 계속되었으나, 제임스 2세의 손자이자 성직자가 된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Henry Benedict Stuart) 이후 스튜어트 왕가의 남자 후손이 단절되면서 운동은 사그러들었다.
한편, 이후에도 자코바이트 계승자들은 존재하였다. 스튜어트 왕가의 남자 후손은 없었지만, 찰스 1세의 딸이었던 헨리에타 앤 스튜어트(Henrietta Anne Stuart)의 계통은 이어지고 있어, 이들이 자코바이트 계승자가 되었다. 현재 자코바이트들이 인정하는 계승자는 바이에른 공작 프란츠 폰 바이에른이다.
이름 | 재위 기간 |
---|---|
제임스 2세 | 1685년 – 1688년[1] |
제임스 프랜시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 1714년 ~ 1766년[1] |
찰스 에드워드 스튜어트 | 1766년 ~ 1788년[1] |
헨리 베네딕트 스튜어트 | 1788년 ~ 1807년[1] |
6. 가계도
스코틀랜드 왕가 | ||
---|---|---|
로버트 2세 | 로버트 3세 | 제임스 1세 |
제임스 2세 | 제임스 3세 | 제임스 4세 |
제임스 5세 | 메리 1세 | 제임스 6세 |
잉글랜드 왕가 및 스코틀랜드 왕가 (동군연합) | ||
제임스 1세 | 찰스 1세 | 찰스 2세 |
제임스 2세 | 메리 2세 | 앤 |
7. 평가 및 영향
스튜어트 왕가는 근대 영국의 내분 시대에 민권 확립과 해외 진출의 기틀을 마련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스코틀랜드 왕이었던 제임스 6세가 제임스 1세로 잉글랜드 왕위에 오르면서 잉글랜드와 스코틀랜드가 결합하여 대브리튼 왕국의 기초가 확립되었다.[1]
그러나 제임스 1세와 그의 아들 찰스 1세는 민심을 무시하고 전제주의를 추구하여 튜더 왕가 시절부터 억압받던 민권에 대한 열망이 국왕 대 의회의 대립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 대립은 결국 청교도 혁명으로 이어져 1649년 1월부터 1660년 5월까지 왕정이 일시 중단되기도 하였다. (올리버 크롬웰 참조)[1]
찰스 2세와 그의 동생 제임스 2세가 왕정복고로 왕위에 올랐으나, 이들은 가톨릭 옹호자였기 때문에 명예 혁명으로 쫓겨났다. 이후 네덜란드 총독 윌리엄과 제임스 2세의 딸 메리가 공동으로 영국을 통치하게 되었다. 1702년 앤 여왕이 즉위했으나 후사가 없었고, 제임스 에드워드의 후손들은 로마 가톨릭 신자라는 이유로 영국 의회에서 상속권을 박탈당하면서 스튜어트 왕조는 단절되었다.[1]
참조
[1]
문서
titular claim rather than de facto
[2]
문서
Title assumed by James V of Scotland, in correspondence with Irish chieftains, as a challenge to Henry VIII, who had recently been declared 'King of Ireland.'
[3]
웹사이트
J.H. Round: The Origin of the Stewarts: Part 1
http://www.medievalg[...]
MedievalGenealogy.org.uk
2008-11-13
[4]
서적
England Under the Norman and Angevin Kings, 1075–1225
[5]
서적
Encyclopædia Americana
[6]
서적
The Anarchy of King Stephen's Reign
[7]
웹사이트
Act repeal could make Franz Herzog von Bayern new King of England and Scotland
https://web.archive.[...]
2008-04-07
[8]
서적
The Oxford Dictionary of National Biography
[9]
웹사이트
Studies in peerage and family history
https://archive.org/[...]
New York Longmans, Green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