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누트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크누트가는 덴마크, 잉글랜드, 노르웨이를 통치했던 왕조이다. 옐링 왕조는 덴마크에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고 기독교화를 추진했으며, 군사력 강화와 경제 발전에 기여했다. 스벤 1세는 잉글랜드를 정복하여 덴마크 왕조의 통치를 시작했으며, 크누트 대왕은 잉글랜드, 덴마크, 노르웨이를 모두 통치하는 북해 제국을 건설했다. 크누트 대왕 사후 잉글랜드 왕위는 그의 아들들에게 계승되었으나, 하르다크누트의 죽음으로 옐링 왕조는 단절되었고, 에스트리센 왕조가 시작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앵글로노르드인 - 토르켈 인 하비
11세기 바이킹 지도자 토르켈 인 하비는 잉글랜드 침략과 캔터베리 점령을 이끌고 잉글랜드와 덴마크 왕의 용병으로 활동했으며, 크누트 대왕과의 불화 후 덴마크 백작으로 복귀하여 하르다크누트의 양아버지가 되었다. - 노르웨이의 왕가 - 길리 왕조
길리 왕조는 노르웨이 내란 시대에 하르드라다 가문 이후 왕위를 차지하여 혼란을 겪다가 스베레 가문에 의해 단절된 왕조이다. - 노르웨이의 왕가 - 하르드라디 왕조
하르드라디 왕조는 1066년부터 1184년까지 노르웨이를 통치하며 여러 왕과 대립왕을 배출한 주요 왕조로, 하랄 3세의 아들 망누스 2세가 즉위하며 시작되었고 망누스 3세 시대에는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원정, 이후 왕위 계승 분쟁으로 혼란을 겪었다.
크누트가 |
---|
2. 덴마크의 통치자
옐링 왕조는 덴마크에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고, 기독교를 수용하여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1] 링 요새를 건설하고 군사 조직을 혁신하는 등 군사력을 강화하였다.[1] 또한, 덴마크 최초의 주화 주조에 참여하는 등 경제 발전에도 기여하였다.[1]
안드레스 도바트에 따르면, 옐링 왕조의 첫 번째 통치자인 하르타크누트 1세 또는 고름 왕은 외국인 출신일 가능성이 제기되며, 이는 '이방인 왕'의 예시로 언급된다.[1] 스베레 바게에 따르면, 덴마크에서 명확한 왕위 계승 규칙의 첫 징후는 옐링 왕조 아래에서 나타나기 시작했다.[3]
하랄 블라톤은 10세기에 덴마크와 노르웨이를 통합하여 지배했다. 크누트 대왕은 잉글랜드, 덴마크, 노르웨이를 포함하는 "북해 제국"을 건설했다. 그러나 크누트 대왕 사후, 세 나라는 각기 다른 군주에 의해 통치되었고, 옐링 왕조도 하르데크누드의 죽음으로 단절되었다. 덴마크 왕위는 스벤 2세로 시작되는 에스트리드센 왕조에 의해 계승되었다.
2. 1. 덴마크 왕 목록
이름 | 재위 기간 | 비고 |
---|---|---|
하르타크누트 1세 | ? | 옐링 왕조의 첫 번째 통치자 |
고름 | ? | |
하랄 블라톤 (하랄 1세) | ? ~ 985/986년 | 10세기에 덴마크와 노르웨이 통합 |
스베인 튜구스케그 (스벤 1세) | 986년 ~ 1014년 | 1013년 잉글랜드 정복 |
하랄 2세 | 1014년 ~ 1018년 | |
크누트 대왕 (크누트 1세) | 1018년 ~ 1035년 | 잉글랜드, 덴마크, 노르웨이를 포함하는 "북해 제국" 건설 |
하르다크누트 (하르데크누드) | 1035년 ~ 1042년 | 옐링 왕조 단절 |
스벤 포크비어드는 1013년 웨섹스 왕가의 애설레드 2세를 몰아내고 잉글랜드 왕위에 올랐다. 이는 1002년 성 브라이스의 날 학살에서 자신의 누이 군힐데를 포함한 많은 데인족이 살해된 것에 대한 복수였다. 스벤 사후 애설레드 2세가 잠시 복위했지만, 1016년 스벤의 아들 크누트 대왕이 잉글랜드를 다시 정복했다. 에드먼드 아이언사이드가 잠시 왕위에 올랐으나 크누트에게 잉글랜드의 절반을 넘겨주었고, 같은 해 11월 사망하면서 크누트가 잉글랜드 전체의 왕이 되었다. 스코틀랜드는 1017년에, 노르웨이는 1028년에 크누트에게 복종했다.
3. 잉글랜드의 통치자
크누트는 노샘프턴의 엘기푸와 이미 결혼했지만, 노르망디의 엠마와도 결혼했다. 1035년 크누트 사후, 알프레드 애셀링이 왕위를 되찾으려 했으나 웨섹스 백작 고드윈에게 배신당해 체포되어 사망했다. 크누트의 아들 하랄드 1세가 왕위에 올랐고, 그의 어머니 엘기푸가 섭정했을 가능성도 있다. 하랄드는 이복형제 하르다크누트와 잉글랜드를 분할 통치했으나, 하르다크누트가 덴마크에 머물면서 실질적인 통치자는 하랄드였다.
1040년 하랄드 사후 하르다크누트가 잉글랜드 왕위를 계승했으나 2년 만에 사망했다. 이후 참회왕 에드워드가 즉위하면서 웨섹스 왕조가 복원되었다.
3. 1. 잉글랜드 왕 목록
3. 2. 덴마크 통치 기간 잉글랜드 왕비
노르망디의 엠마 (1002년–1016년, 1017년–1035년)
노샘프턴의 앨프기푸 (1016년–1035년)
4. 옐링 왕조 이후
하르데크누드의 죽음으로 옐링 왕조가 단절된 후, 덴마크 왕위는 스벤 포크비어드의 딸 에스트리드의 아들 스벤 2세가 이어받아 에스트리드센 왕조가 시작되었다.[3] 1085~86년 덴마크 왕 크누트 4세는 잉글랜드 침공을 계획했지만 실행 직전 덴마크 반란군에 의해 암살당했다.[2] 이는 바이킹이 서유럽을 공격하려 했던 마지막 시도로, 크누트 4세의 죽음은 바이킹 시대의 종말로 여겨진다.[2]
5. 가계도
옐링 왕조는 하르타크누트 1세로부터 시작되어 고름 가믈리, 하랄드 블라톤, 스베인 튜구스케그, 크누트 대왕 등으로 이어지는 덴마크 왕가이다. 이 가계는 복잡하게 얽혀 있으며, 일부 인물들의 관계는 논쟁의 여지가 있다.[1] 크누트 대왕 사후 옐링 왕조는 쇠퇴하였고, 하르다크누트의 죽음으로 직계가 단절되었다. 이후 덴마크 왕위는 에스트리드 스벤스다테르의 아들 스베인 아스트리다르손으로 시작되는 에스트리센 왕조로 이어졌다.
5. 1. 덴마크 왕조 가계도 (고름 가문)
인물 | 정보 |
---|---|
하르타크누트 1세 | ![]() |
고름 가믈리 | 고름 가믈리 (덴마크 국왕, 940년–958년) 튀라 (잉글랜드 왕녀?) |
군느힐드 코눙가모디르 | 군느힐드 코눙가모디르 (노르웨이 왕비, 929년–934년, 논쟁 있음) |
스트루트하랄드 | ![]() |
하랄드 블라톤 고름손 | 하랄드 블라톤 (덴마크 국왕 958년–986년, 노르웨이 국왕 970년–986년) 귀리테 올라프스도티르 (스웨덴 왕녀) 오보트리티의 토베 (오보트리티 왕녀) |
튀리 하랄드스다테르 | 튀리 하랄드스다테르 (노르웨이 왕비, 990년대–1000년) |
스베인 튜구스케그 | -- 벤트의 군힐드 (폴란드 왕녀, 논쟁 있음) 시그리드 스토라다 (스웨덴 왕비 970년–995년, 논쟁 있음) |
하랄 2세 | 하랄 2세 (덴마크 국왕, 1014년–18년) |
크누트 인 리키 | 노샘프턴의 앨프기푸 -- 크누트 인 리키 (잉글랜드 국왕 1016년–35년, 덴마크 국왕 1018년–35년, 노르웨이 국왕 1028년–35년) -- 노르망디의 에마 (잉글랜드 왕비, 1002년–13년) |
하랄드 헤라포트 | -- 하랄드 헤라포트 (잉글랜드 국왕, 1037년–40년) |
스베인 크누트손 | 스베인 크누트손 (노르웨이 국왕, 1030년–35년) |
하르다크누트 | -- 하르다크누트 (덴마크 국왕 1035년–42년, 잉글랜드 국왕 1040년–42년) |
데인의 군힐다 | 데인의 군힐다 |
스베인 아스트리다르손 | 스베인 아스트리다르손 (덴마크 국왕, 1047년–74년) 울프 토르길손 (덴마크 백작) 에스트리드 스벤드스다테르 (논쟁 있음) |
베아트릭스 폰 프랑켄 | ![]() |
5. 2. 크누트 대왕 가계도
고름 | 튀라 | |||||
---|---|---|---|---|---|---|
하랄 블라톤 | ||||||
스베인 튜구스케그 | 벤트의 군힐드 | |||||
하랄 2세 | 크누트 | 노샘프턴의 앨프기푸 | 노르망디의 에마 | |||
울프 토르길손 | 에스트리드 스벤드스다테르 | 하랄드 헤라포트 | 스베인 크누트손 | 하르다크누트 | 데인의 군힐다 | 하인리히 잘리어 |
스베인 아스트리다르손 | 앨프와인 해롤드슨 | 베아트릭스 폰 프랑켄 |
참조
[1]
논문
Viking stranger-kings: the foreign as a source of power in Viking Age Scandinavia, or, why there was a peacock in the Gokstad ship burial?
https://www.academia[...]
2015
[2]
논문
The State and the Strangers: The Role of External Forces in a Process of State Formation in Viking-Age South Scandinavia (c. ad 900-1050)
https://www.jstor.or[...]
2009
[3]
서적
Cross and Scepter: The Rise of the Scandinavian Kingdoms from the Vikings to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4]
웹사이트
Kings of Wessex and England 802–1066
http://www.royal.gov[...]
2015-07-0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