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와데시 리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와데시 리스트는 언어 간의 비교 연구를 위해 모리스 스와데시가 개발한 단어 목록으로, 언어의 친족 관계를 파악하고 언어 연대를 추정하는 데 활용된다. 스와데시는 215개 단어 목록으로 시작하여 여러 번의 수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100단어 목록을 완성했으며, 이후 다양한 버전의 스와데시 리스트가 제작되었다. 스와데시 리스트는 어휘 통계학과 언어 연대학에서 널리 사용되며, 언어 간의 동족어 수를 비교하여 언어 간의 관계를 추정한다. 한국어 스와데시 리스트는 고유어와 한자어를 함께 제시하여 한국어의 어휘적 특징을 보여주며, 다른 언어의 스와데시 리스트와 비교 연구가 가능하다. 그러나 스와데시 리스트는 동족어 정의의 어려움, 기초 단어 대체율의 일정성 가설에 대한 논란, 수화 연구에서의 부적합성 등의 한계와 비판을 가지고 있다.
모리스 스와데시가 제안한 스와데시 리스트는 여러 언어 간의 친족 관계를 파악하고, 언어가 분화된 시기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는 기초 어휘 목록이다. 이 목록은 문화나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모든 언어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기본적인 단어들('나', '너', '물', '불' 등)로 구성되어 있다.
스와데시 리스트는 미국의 언어학자 모리스 스와데시가 만든 기초 어휘 목록이다. 한국어 스와데시 리스트는 총 207개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어에 해당하는 한국어는 오른쪽에 표시되어 있으며, 본래 고유어가 있지만 한자어에 밀려난 경우에는 고유어를 먼저 표시하고 현재 우세한 말(한자어)을 따옴표로 표시하였다.
2. 스와데시 리스트의 개념 및 역사
스와데시 리스트는 모리스 스와데시가 처음 제안한 이후 여러 학자들에 의해 수정, 발전되었다. 스와데시는 215개 단어 목록에서 시작하여 200개, 100개 단어 목록 등으로 변화시켰다.[2][3][4][5] 로버트 리스, 델 하임스,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등 다른 학자들도 다양한 버전의 기초 어휘 목록을 제안했다.[6][7] 이들은 언어 변화의 안정성을 고려하여 목록을 구성하고, 이를 통해 언어 간의 관계를 연구하는 데 활용했다.
하지만 스와데시 리스트를 이용한 연대 추정에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 기초 어휘가 변화하는 속도가 일정하다는 가정이 전제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또한, 동근어를 판별하는 것 자체가 쉽지 않은 경우도 많다. (예: 영어 'wheel' - 힌디어 'cakra')[9]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와데시 리스트는 언어 간의 관계를 대략적으로 파악하는 데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역사 언어학에서는 스와데시 리스트 외에도 다양한 방법을 통해 언어의 계통을 연구하고 있다.
2. 1. 모리스 스와데시와 초기 목록
모리스 스와데시는 자신의 목록을 여러 버전으로 만들었다. 215개 의미 목록으로 시작했지만, 논문에는 오타로 인해 225개 의미 목록으로 잘못 소개되었다.[2] 이후 세이리시-스포캔-캘리스펠어에 대해 165개 단어로 줄였다. 1952년에는 215개 의미 목록을 발표했고,[3] 이 중 16개를 불분명하거나 보편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제거하고 하나를 추가하여 200개 단어 목록을 제안했다. 1955년,[4] 그는 "유일한 해결책은 목록에서 대폭적인 제거를 하는 것이며, 품질이 양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새로운 목록에도 결함이 있지만, 비교적 경미하고 수가 적다."라고 썼다. 약간의 수정 후, 최종 100단어 목록은 1971년[5]과 1972년에 사후에 출판되었다.
스와데시 리스트는 모리스 스와데시의 직관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 돌고폴스키 리스트(1964) 또는 라이프치히-자카르타 리스트(2009)와 같은 유사한 최신 목록은 다양한 언어의 체계적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지만, 아직 스와데시 리스트만큼 널리 알려지거나 사용되지는 않는다.
2. 2. 스와데시 리스트의 발전과 다양한 버전
모리스 스와데시는 자신의 목록을 여러 번 수정했다. 처음에는 215개 의미 목록으로 시작했지만, 논문에는 오타로 인해 225개로 잘못 소개되었다.[2] 이후 세이리시-스포캔-캘리스펠어를 연구하면서 165개로 줄였다. 1952년에는 215개 의미 목록을 발표하고,[3] 이 중 16개를 불분명하거나 보편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제외하고 하나를 추가하여 200개 단어 목록을 제안했다. 1955년에는[4] "목록에서 대폭적인 제거를 해야 하며, 품질이 양만큼 중요하다"고 언급하며 목록을 수정했다. 최종 100단어 목록은 그의 사후인 1971년[5]과 1972년에 출판되었다.
로버트 리스(1953), 존 A. 레아(1958), 델 하임스(1960), E. 크로스(1964), W. J. 사마린(1967), D. 윌슨(1969), 라이오넬 벤더(1969), R. L. 오스왈드(1971), 윈프레드 P. 레만(1984), D. 린지(1992), 세르게이 스타로스틴(1984), 윌리엄 S-Y. 왕(1994), M. 로어(2000), B. 케슬러(2002) 등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버전의 어휘 통계 테스트 목록을 발표했다. 교차 언어 연결 데이터(CLLD) 프로젝트의 컨셉티콘[6]은 다양한 언어와 시대에 걸쳐 여러 개념 목록(스와데시 목록 포함)을 수집하며, 현재 240개의 다른 개념 목록을 제공한다.[7]
이지도르 다이엔의 버전(1992)은 95개 언어, 200개 의미로 구성되어 널리 사용된다. 2010년부터 마이클 던 연구팀은 이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8]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목록은 스와데시가 1952년에 제안한 207 단어 목록이다.[3] 위키낱말사전(언어별 스와데시 목록)과 Panlex[12][13], Palisto의 "인도유럽어족의 스와데시 단어 목록"[14]에서 이러한 목록들을 찾아볼 수 있다.
2. 3. 다른 기초 어휘 목록
모리스 스와데시는 자신의 목록을 여러 번 수정했다. 처음에는 215개 의미 목록으로 시작했지만, 이후 세이리시-스포캔-캘리스펠어 연구를 위해 165개로 줄였다. 1952년에는 215개 의미 목록을 발표하고[3], 이 중 16개를 보편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제거하고 하나를 추가하여 200개 단어 목록을 제안했다. 1955년에는[4] "품질이 양만큼 중요하다"며 목록을 대폭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종 100단어 목록은 1971년[5]과 1972년에 그의 사후에 출판되었다.
로버트 리스, 존 A. 레아, 델 하임스, E. 크로스, W. J. 사마린, D. 윌슨, 라이오넬 벤더, R. L. 오스왈드, 윈프레드 P. 레만, D. 린지, 세르게이 스타로스틴, 윌리엄 S-Y. 왕, M. 로어, B. 케슬러 등 많은 학자들이 다양한 버전의 어휘 통계 테스트 목록을 발표했다. 컨셉티콘[6]은 교차 언어 연결 데이터(CLLD) 프로젝트에서 관리하는 프로젝트로, 다양한 언어와 시대에 걸친 개념 목록(고전적인 스와데시 목록 포함)을 수집하며, 현재 240개의 다른 개념 목록을 제공한다.[7]
이지도르 다이엔의 버전(1992, 95개 언어 변형, 200개 의미)은 자주 사용되며 인터넷에서 널리 이용된다. 2010년부터 마이클 던을 중심으로 한 팀이 해당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개선하려 노력하고 있다.[8]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목록은 스와데시 1952에서 유래된 스와데시 207 단어 목록이다.[3]
위키낱말사전(Wiktionary) ("언어별 스와데시 목록")과 Panlex[12][13], 그리고 Palisto의 "인도유럽어족의 스와데시 단어 목록"[14]에서 수백 개의 스와데시 목록을 찾을 수 있다.
3. 한국어 스와데시 리스트
3. 1. 한국어 스와데시 리스트의 특징
스와데시 리스트는 총 207개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각 단어에 해당하는 한국어는 오른쪽에 표시되어 있으며, 고유어가 있지만 한자어에 밀려난 경우에는 고유어를 먼저 제시하고 현재 널리 쓰이는 한자어를 따옴표 안에 함께 표기하였다. 예를 들어 'man (adult male)'의 경우 '남자, 사내, 머시메, 머스마'와 같이 고유어와 한자어를 병기하여 한국어의 어휘적 특징을 보여준다.
이는 진보적 관점에서 한국어의 다양성과 변화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될 수 있다. 고유어와 한자어가 경쟁하고 공존하는 양상은 언어가 고정된 실체가 아니라 사회적 맥락에 따라 변화하는 유동적인 존재임을 시사한다. 특히, 한자어에 밀려 사용 빈도가 줄어든 고유어를 명시함으로써, 잊혀 가는 우리말의 가치를 되새기고 언어 다양성 보존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3. 2. 한국어 스와데시 리스트 (207개 단어)
스와데시 리스트는 총 207개 단어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은 한국어 스와데시 리스트를 표 형태로 정리한 것이다. 본래 고유어가 있지만 한자어에 밀려난 경우에는 고유어를 먼저 표시하고 현재 우세한 말(한자어)을 따옴표로 표시하였다.
№ | 영어 | 한국어(한글) | 漢字 | IPA |
---|---|---|---|---|
1 | I | 나, 저 | 我 | nɑ, t͡ɕ⁽ʰʌ |
2 | you (singular) | 너, 네 | 汝 | nʌ, ni |
3 | he | 그 | 彼 | k⁽ʰɯ̽ |
4 | we | 우리, 저희 | 我等 | uɾi, t͡ɕ⁽ʰʌhɰi |
5 | you (plural) | 너희, 너네 | 汝等 | nʌhɰi |
6 | they | 그들, 그네 | 彼等 | k⁽ʰɯ̽dɯ̽l |
7 | this | 이것, 이 | 此 | i, iɡo̞t̚ |
8 | that | 저것, 저 | 彼 | k⁽ʰɯ̽, t͡ɕ⁽ʰʌ |
9 | here | 여기 | 此處 | jʌgi |
10 | there | 저기 | 彼處 | k⁽ʰʌgi, kɯɡo̞t̚, t͡ɕʌ̹ɡi, t͡ɕʌ̹ɡo̞t̚ |
11 | who | 누구 | 誰 | nugu, nugɑ |
12 | what | 무엇 | 何 | muʌ̹t̚, musʰɯn |
13 | where | 어디 | 何處 | ʌdi |
14 | when | 언제 | 何時 | ˈɘːnd͡ʑe̞ |
15 | how | 어떻게 | 如何 | ʌ̹t͈ʌ̹kʰe̞ |
16 | not | ~아니다, 않다 | 不 | ɑni, ɑn |
17 | all | 모든, 모두, 다 | 全 | modɯ̽n, modu |
18 | many | 많은 | 多 | manɦɯ̽n |
19 | some | 어떤, 몇몇의 | 幾 | ʌt͈ʌn, t͡ɕ⁽ʰ⁾ogɯ̽m |
20 | few | 조금 | 少 | t͡ɕ⁽ʰ⁾ogɯ̽m |
21 | other | 다른 | 他 | dɑɾɯ̽n |
22 | one | 하나 | 一 | hɑnɑ, hɑn |
23 | two | 둘 | 二 | dul, du |
24 | three | 셋 | 三 | sʰe̞t̚, sʰe̞ |
25 | four | 넷 | 四 | ne̞t̚, ne̞ |
26 | five | 다섯 | 五 | ta̠sʰʌ̹t̚ |
27 | big | 크다 | 大 | kʰɯ̽n, kʰɯ̽dɑ |
28 | long | 길다 | 長 | gin, gildɑ |
29 | wide | 넓다 | 廣 | nʌ̹ɭt͈a̠ |
30 | thick | 두껍다 | 厚 | tuk͈ʌ̹p̚t͈a̠ |
31 | heavy | 무겁다 | 重 | muɡʌ̹p̚t͈a̠ |
32 | small | 작다 | 小 | t͡ɕa̠k̚t͈a̠ |
33 | short | 짧다 | 短 | t͡ɕ͈a̠ɭt͈a̠ |
34 | narrow | 좁다 | 狹 | t͡ɕo̞p̚t͈a̠ |
35 | thin | 얇다 | 薄 | ja̠ɭt͈a̠ |
36 | woman | 여자, 계집, 가시나, 간나해 | 女 | kje̞d͡ʑip̚, ka̠t̚, jʌ̹d͡ʑa̠ |
37 | man (adult male) | 남자, 사내, 머시메, 머스마 | 男 | sʰa̠na̠i, na̠md͡ʑa̠ |
38 | man (human being) | 사람, 놈 | 人 | sʰa̠ɾa̠m |
39 | child | 어린이, 아이, 애, 꼬마 | 兒 | ʌ̹ɾini, a̠i, e̞ |
40 | wife | 아내, 마누라 | 妻 | a̠ne̞, ma̠nuɾa̠ |
41 | husband | 남편, 지아비, 샤옹 | 夫 | na̠mpʰjʌ̹n, t͡ɕia̠bi, ɕʰja̠o̞ŋ |
42 | mother | 엄마, 어머니, 애미 | 母 | ʌ̹mʌ̹ni, ʌ̹mma̠ |
43 | father | 아버지, 아빠, 애비 | 父 | a̠bʌ̹d͡ʑi, a̠p͈a̠ |
44 | animal | 동물, 뭍사리, 짐승 | 動物 | t͡ɕimsʰɯŋ |
45 | fish | 물고기, -치 | 魚 | muɭɡo̞ɡi |
46 | bird | 새 | 鳥 | sʰe̞ |
47 | dog | 개 | 犬 | ke̞ |
48 | louse | 이(기생충) | 虱 | i |
49 | snake | 뱀 | 蛇 | pe̞m |
50 | worm | 벌레 | 虫 | pʌ̹ɭɭe̞ |
51 | tree | 나무 | 木 | na̠mu |
52 | forest | 숲 | 林 | sʰup̚ |
53 | stick | 막대, 작대기 | 棒 | ma̠k̚t͈e̞ɡi |
54 | fruit | 과일, 열매 | 果實 | jʌ̹ɭme̞, jʌ̹ɾɯm |
55 | seed | 씨 | 種 | ɕ͈i |
56 | leaf | 잎 | 葉 | ip̚ |
57 | root | 뿌리 | 根 | p͈uɾi |
58 | bark (of a tree) | 껍질 | 皮 | na̠muk͈ʌ̹p̚t͡ɕ͈iɭ, mo̞k̚pʰi |
59 | flower | 꽃 | 花 | k͈o̞t̚ |
60 | grass | 풀, 잔디 | 草 | pʰuɭ, t͡ɕa̠ndi |
61 | rope | 밧줄, 줄 | 繩 | pa̠t̚t͡ɕ͈uɭ |
62 | skin | 피부(皮膚),살,살갗 | 皮膚 | sʰa̠ɭɡa̠t̚ |
63 | meat | 고기 | 肉 | ko̞ɡi, sʰa̠ɭ |
64 | blood | 피 | 血 | pʰi |
65 | bone | 뼈 | 骨 | p͈jʌ̹ |
66 | fat (noun) | 살, 기름, 지방 | 脂 | kiɾɯm |
67 | egg | 알 | 卵 | a̠ɭ |
68 | horn | 뿔 | 角 | p͈uɭ |
69 | tail | 꼬리 | 尾 | k͈o̞ɾi |
70 | feather | 깃털 | 羽 | kit̚tʰʌ̹ɭ |
71 | hair | 머리카락 | 髮 | tʰʌ̹ɭ, tʰʌ̹ɾʌ̹k̚ |
72 | head | 머리 | 頭 | mʌ̹ɾi, te̞ɡa̠ɾi |
73 | ear | 귀 | 耳 | kɥi |
74 | eye | 눈 | 眼 | nun |
75 | nose | 코 | 鼻 | kʰo̞ |
76 | mouth | 입 | 口 | ip̚, t͡ɕuduŋi |
77 | tooth | 이 | 齒 | i, ip͈a̠ɭ |
78 | tongue (organ) | 혀 | 舌 | çjʌ̹, s͈e̞ |
79 | fingernail | 손톱 | 爪 | sʰo̞ntʰo̞p̚ |
80 | foot | 발 | 脚 | pa̠ɭ |
81 | leg | 다리 | 腿 | ta̠ɾi |
82 | knee | 무릎 | 膝 | muɾɯp̚ |
83 | hand | 손 | 手 | sʰo̞n |
84 | wing | 날개 | 翼 | na̠ɾe̞, na̠ɭɡe̞ |
85 | belly | 배 | 腹 | pe̞ |
86 | guts | 배알, 밸, 창자, 장 | 腸 | e̞ |
87 | neck | 목 | 頸 | mo̞k̚ |
88 | back | 등 | 背 | tɯŋ |
89 | breast | 가슴 | 胸 | ka̠sʰɯm, t͡ɕʌ̹t̚ |
90 | heart | 심장, 마음, 염통 | 心 | jʌ̹mtʰo̞ŋ, ɕʰimd͡ʑa̠ŋ |
91 | liver | 애, 간 | 肝 | ka̠n, e̞ |
92 | to drink | 마시다 | 飲 | ma̠ɕʰida̠ |
93 | to eat | 먹다 | 食 | mʌ̹k̚t͈a̠ |
94 | to bite | 깨물다 | 嚙 | muɭda̠ |
95 | to suck | 빨다 | 吸 | p͈a̠ɭda̠ |
96 | to spit | 뱉다(침을) | 吐 | pe̞t̚t͈a̠ |
97 | to vomit | 게우다, 토하다 | 嘔 | ke̞uda̠, tʰo̞ɦa̠da̠ |
98 | to blow | 불다 | 吹 | puɭda̠ |
99 | to breathe | 숨쉬다 | 呼吸 | ʃʰɥida̠ |
100 | to laugh | 웃다 | 笑 | ut̚t͈a̠ |
101 | to see | 보다 | 見、觀 | bodɑ |
102 | to hear | 듣다 | 聽、聞 | tɯt̚t͈a̠ |
103 | to know | 알다 | 知 | ɑlda |
104 | to think | 생각하다 | 想、思 | he̞a̠ɾida̠, sʰe̞ŋɡa̠k̚ |
105 | to smell | 맡다 | 嗅 | ma̠t̚t͈a̠, ne̞msʰe̞ |
106 | to fear | 두려워하다, 무서워하다 | 恐 | tuɾjʌ̹p̚t͈a̠, musʰʌ̹p̚t͈a̠ |
107 | to sleep | 자다 | 寢、眠 | t͡ɕ⁽ʰ⁾ada |
108 | to live | 살다 | 生 | s⁽ʰ⁾ɑldɑ |
109 | to die | 죽다 | 死 | t͡ɕuk̚t͈a̠ |
110 | to kill | 죽이다 | 殺 | t͡ɕuɡida̠ |
111 | to fight | 싸우다 | 戰、鬪、爭 | ta̠tʰuda̠, s͈a̠uda̠ |
112 | to hunt | 사냥하다, 잡다 | 狩 | sʰa̠ɲja̠ŋɦa̠da̠ |
113 | to hit | 치다 | 打 | t͡ɕʰida̠, t͈e̞ɾida̠ |
114 | to cut | 자르다 | 切 | pe̞da̠, t͡ɕa̠ɾɯda̠ |
115 | to split | 가르다, 갈라지다 | 分 | ka̠ɾɯda̠, ka̠ɭɭa̠d͡ʑida̠ |
116 | to stab | 찌르다 | 刺 | t͡ɕ͈iɾɯda̠ |
117 | to scratch | 긁다 | 搔 | kɯk̚t͈a̠ |
118 | to dig | 파다 | 掘 | pʰa̠da̠ |
119 | to swim | 헤엄치다 | 泳 | he̞da̠ |
120 | to fly | 날다 | 飛 | na̠ɭda̠ |
121 | to walk | 걷다 | 歩 | kʌ̹t̚t͈a̠ |
122 | to come | 오다 | 來 | o̞da̠ |
123 | to lie (as in a bed) | 눕다 | 臥 | nup̚t͈a̠ |
124 | to sit | 앉다 | 坐 | a̠nt͈a̠ |
125 | to stand | 서다 | 立 | sʰʌ̹da̠ |
126 | to turn (intransitive) | 돌다 | 回 | to̞ɭda̠ |
127 | to fall | 떨어지다 | 落 | t͈ʌ̹ɾʌ̹d͡ʑida̠ |
128 | to give | 주다 | 與 | t͡ɕuda̠ |
129 | to hold | 잡다 | 捕 | t͡ɕa̠p̚t͈a̠, put̚t͡ɕ͈a̠p̚t͈a̠ |
130 | to squeeze | 짜다 | 絞 | t͡ɕ͈a̠da̠ |
131 | to rub | 문지르다 | 磨 | mund͡ʑiɾɯda̠, pibida̠ |
132 | to wash | 씻다 | 洗 | ɕ͈it̚t͈a̠, p͈a̠ɭda̠ |
133 | to wipe | 닦다, 씻다 | 拭 | ta̠k̚t͈a̠ |
134 | to pull | 끌다 | 引 | k͈ɯ̽ldɑ |
135 | to push | 밀다 | 押 | mildɑ |
136 | to throw | 던지다 | 投 | tʌ̹nd͡ʑida̠ |
137 | to tie | 묶다 | 縛 | mεdɑ |
138 | to sew | 바느질하다, 꿰메다 | 縫 | k͈ʷemεdɑ |
139 | to count | 세다 | 計 | s⁽ʰ⁾edɑ |
140 | to say | 말하다, 얘기하다, 나불대다 | 言 | ko̞t̚t͈a̠, ma̠ɾɦa̠da̠ |
141 | to sing | 노래하다, 부르다 | 歌 | puɾɯda̠, no̞ɾe̞ɦa̠da̠ |
142 | to play | 놀다 | 遊 | no̞ɭda̠ |
143 | to float | 뜨다 | 浮 | t͈ɯda̠ |
144 | to flow | 흐르다 | 流 | xɯɾɯda̠ |
145 | to freeze | 얼다 | 凍 | ʌldɑ |
146 | to swell | 붓다 | 膨 | put̚t͈a̠, pupʰuɭda̠ |
147 | sun | 해 | 日 | hε |
148 | moon | 달 | 月 | dɑl |
149 | star | 별 | 星 | pjʌ̹ɭ |
150 | water | 물 | 水 | muɭ |
151 | rain | 비 | 雨 | pi |
152 | river | 강(江),가람,내 | 河 | ne̞, ka̠ɾa̠m |
153 | lake | 호수(湖水), 못 | 湖 | mo̞t̚ |
154 | sea | 바다 | 海 | pa̠da̠ |
155 | salt | 소금 | 塩 | sʰo̞ɡɯm |
156 | stone | 돌,바위 | 石 | to̞ɭ, pa̠y |
157 | sand | 모래 | 沙 | mo̞ɾe̞ |
158 | dust | 먼지 | 塵 | mʌ̹nd͡ʑi |
159 | earth (soil) | 땅, 지구(地球) | 地 | xɯk̚ |
160 | cloud | 구름 | 雲 | kuɾɯm |
161 | fog | 안개 | 霧 | a̠nɡe̞ |
162 | sky | 하늘 | 天 | ha̠nɯɭ |
163 | wind | 바람 | 風 | pa̠ɾa̠m |
164 | snow | 눈 | 雪 | nun |
165 | ice | 얼음 | 氷 | ʌ̹ɾɯm |
166 | smoke | 김, 내, 연기 | 煙 | ne̞, jʌ̹nɡi |
167 | fire | 불 | 火 | puɭ |
168 | ash[es] | 재 | 灰 | t͡ɕe̞ |
169 | to burn | 태우다 | 燃 | tɑdɑ, kup̚t͈a̠ |
170 | road | 길 | 路、道 | kiɭ |
171 | mountain | 산, 뫼 | 山 | mwe̞, ʌ̹ndʌ̹k̚, sʰa̠n |
172 | red | 빨갛다 | 赤、紅 | puk̚t͈a̠, p͈a̠ɭɡa̠tʰa̠ |
173 | green | 푸르다, 녹색 | 綠 | pʰuɾɯda̠, t͡ɕʰo̞ɾo̞k̚ |
174 | yellow | 노랗다, 노랑 | 黃 | nuɾɯda̠, no̞ɾa̠tʰa̠ |
175 | white | 하얗다, 하양 | 白 | çida̠, ha̠ja̠tʰa̠ |
176 | black | 검다, 검정 | 黑 | kʌ̹mda̠, k͈a̠ma̠tʰa̠ |
177 | night | 밤, 저녁 | 夜 | pa̠m |
178 | day | 날,낮 | 晝 | na̠t̚ |
179 | year | 해 | 年 | he̞ |
180 | warm | 따뜻하다 | 暖 | tʌ̹p̚t͈a̠, t͈a̠t͈ɯtʰa̠da̠ |
181 | cold | 춥다 | 冷 | t͡ɕʰup̚t͈a̠, t͡ɕʰup̚t͈a̠ |
182 | full | 가득차다 | 滿 | t͡ɕʰa̠da̠, puɾɯda̠, ka̠dɯk̚ |
183 | new | 새롭다, 새 | 新 | sʰe̞, sʰe̞ɾo̞un |
184 | old | 늙다, 옛 | 舊 | je̞t̚, o̞ɾe̞dwe̞da̠ |
185 | good | 좋다 | 好、良 | t͡ɕo̞tʰa̠ |
186 | bad | 나쁘다 | 惡 | na̠p͈ɯda̠ |
187 | rotten | 썩다 | 腐 | s͈ʌ̹k̚t͈a̠ |
188 | dirty | 더럽다 | 汚 | tʌ̹ɾʌ̹p̚t͈a̠ |
189 | straight | 똑바로, 곧장, 바로, 쭉 | 直 | ko̞t̚t͈a̠ |
190 | round | 둥글다 | 圓 | tuŋɡɯɭda̠ |
191 | sharp (as a knife) | 날카롭다 | 尖 | na̠ɭkʰa̠ɾo̞p̚t͈a̠, p͈jod͡ʑo̞kʰa̠da̠ |
192 | to be dull (as a knife) | 느리다, "둔(鈍)하다", 무디다 | 鈍 | mudida̠ |
193 | smooth | 매끄럽다 | 滑 | pudɯɾʌ̹p̚t͈a̠ |
194 | wet | 젖다 | 濕 | t͡ɕʌ̹t̚t͈a̠ |
195 | dry | 마르다 | 乾 | ma̠ɾɯda̠ |
196 | correct | 바르다, 옳다 | 正 | pa̠ɾɯda̠, ma̠t̚t͈a̠ |
197 | near | 가깝다 | 近 | ka̠k͈a̠p̚t͈a̠ |
198 | far | 멀다 | 遠 | mʌ̹ɭda̠ |
199 | right | 오른쪽 | 右 | o̞ɾɯn(-t͡ɕ͈o̞k̚) |
200 | left | 왼쪽 | 左 | we̞n(-t͡ɕ͈o̞k̚) |
201 | at | ~에서 | 在、於 | e̞sʰʌ̹ |
202 | in | ~안에 | 內 | e̞, a̠ne̞ |
203 | with | ~와, ~과, ~랑 | 與 | wa̠, kwa̠, ɾa̠ŋ |
204 | and | 그리고 | 而 | wa̠, kwa̠, -sʰʌ̹, kɯɾiɡo̞ |
205 | if | 만약(萬若), ~한다면, 하다가(옛말) | 萬若 | -mjʌ̹n, ma̠ɲja̠k̚, ma̠niɭ |
206 | because | 때문에, 말미암다 | 因 | -ni, t͈e̞mune̞ |
207 | name | 이름 | 名 | iɾɯ̽m |
208 | house | 집 | 家 | t͡ɕip̚ |
209 | wall | 벽, 담, 담장 | 壁 | ta̠m, pjʌ̹k̚ |
210 | deer | 사슴 | 鹿 | sʰa̠sʰɯm |
211 | mouse | 쥐 | 鼠 | t͡ɕy |
212 | rabbit | 토끼 | 兎 | tʰo̞k͈i |
213 | eagle | 수리 | 鷹 | sʰuɾi |
214 | spider | 거미 | 蜘蛛 | kʌ̹mi |
215 | face | 얼굴 | 顔、面 | ʌ̹ɭɡuɭ |
216 | body | 몸 | 體、身 | mo̞m |
217 | navel | 배꼽 | 臍 | pe̞k͈o̞p̚ |
218 | finger | 손가락 | 指 | sʰo̞nɡa̠ɾa̠k̚ |
219 | sick(painful) | 아프다 | 痛 | a̠pʰɯda̠ |
220 | needle | 바늘 | 針 | pa̠nɯɭ |
221 | clothing | 옷 | 衣、服 | o̞t̚ |
222 | thunder | 천둥, 우레 | 天動 | t͡ɕʰʌ̹nduŋ |
223 | lightning | 번개 | 雷 | pʌ̹nɡe̞ |
224 | above | 위에, 우, 웃 | 上 | y |
225 | below | 아래에 | 下 | a̠ɾe̞ |
226 | to cough | 기침하다 | 咳 | kit̚t͈a̠, kit͡ɕʰimɦa̠da̠ |
227 | to buy | 사다 | 買 | sʰa̠da̠ |
228 | to choose | 고르다 | 選、擇 | ko̞ɾɯda̠ |
229 | to grow | 자라다 | 育 | t͡ɕa̠ɾa̠da̠ |
230 | to open | 열다 | 開 | jʌ̹ɭda̠ |
231 | to steal | 훔치다 | 盜 | ɸʷumt͡ɕʰida̠ |
232 | to dream | 꿈꾸다 | 夢 | k͈uda̠ |
233 | to cry | 울다 | 泣 | uɭda̠ |
234 | to yawn | 하품하다 | 呿呻 | ha̠pʰumɦa̠da̠ |
235 | to cook | 요리하다 | 料理하다 | joɾiɦa̠da̠ |
236 | six | 여섯 | 六 | jʌ̹sʰʌ̹t̚ |
237 | seven | 일곱 | 七 | iɭɡo̞p̚ |
238 | eight | 여덟 | 八 | jʌ̹dʌ̹ɭ |
239 | nine | 아홉 | 九 | a̠βo̞p̚ |
240 | ten | 열 | 十 | jʌ̹ɭ |
3. 3. 한국어와 다른 언어의 스와데시 리스트 비교
다음은 표준 일본어와 영어로 된 스와데시 리스트 207개 단어이다. 스와데시가 더 중요하다고 선택한 100개의 단어 목록은 굵게 표시되어 있다.번호 | 한자 | 히라가나 | 영어 |
---|---|---|---|
1 | 私 | わたし | I |
2 | 君 / 貴方 | きみ / あなた | you |
3 | 彼 | かれ | he |
4 | 私達 | わたしたち | we |
5 | 君等 | きみら | you |
6 | 彼等 | かれら | they |
7 | 此れ | これ | this |
8 | 彼 | あれ | that |
9 | 此処 | ここ | here |
10 | 其処 | そこ | there |
11 | 誰 | だれ | who |
12 | 何 | なに | what |
13 | 何処 | どこ | where |
14 | 何時 | いつ | when |
15 | 如何 | どう | how |
16 | 否 | いな | not |
17 | 全て | すべて | all |
18 | 多く | おおく | many |
19 | 少し | すこし | some |
20 | 少ない | すくない | few |
21 | 他 | ほか | other |
22 | 一 | ひと | one |
23 | 二 | ふた | two |
24 | 三 | み | three |
25 | 四 | よ | four |
26 | 五 | いつ | five |
27 | 大きい | おおきい | big |
28 | 長い | ながい | long |
29 | 広い | ひろい | wide |
30 | 厚い | あつい | thick |
31 | 重い | おもい | heavy |
32 | 小さい | ちいさい | small |
33 | 短い | みじかい | short |
34 | 狭い | せまい | narrow |
35 | 細い | ほそい | thin |
36 | 女 | おんな | woman |
37 | 男 | おとこ | man |
38 | 人 | ひと | human |
39 | 子 | こ | child |
40 | 妻 | つま | wife |
41 | 夫 | おっと | husband |
42 | 母 | はは | mother |
43 | 父 | ちち | father |
44 | 生き物 | いきもの | animal |
45 | 魚 | さかな | fish |
46 | 鳥 | とり | bird |
47 | 犬 | いぬ | dog |
48 | 虱 | しらみ | louse |
49 | 蛇 | へび | snake |
50 | 虫 | むし | worm |
51 | 木 | き | tree |
52 | 森 | もり | forest |
53 | 枝 | えだ | stick |
54 | 実 / 果物 | み / くだもの | fruit |
55 | 種 | たね | seed |
56 | 葉 | は | leaf |
57 | 根 | ね | root |
58 | 木皮 | こはだ | bark |
59 | 花 | はな | flower |
60 | 草 | くさ | grass |
61 | 縄 | なわ | rope |
62 | 皮 | かわ | skin |
63 | 肉 | しし | meat |
64 | 血 | ち | blood |
65 | 骨 | ほね | bone |
66 | 脂 | あぶら | fat |
67 | 卵 | たまご | egg |
68 | 角 | つの | horn |
69 | 尻尾 | しっぽ | tail |
70 | 羽 | はね | feather |
71 | 髪 | かみ | hair |
72 | 頭 | あたま | head |
73 | 耳 | みみ | ear |
74 | 目 | め | eye |
75 | 鼻 | はな | nose |
76 | 口 | くち | mouth |
77 | 歯 | は | tooth |
78 | 舌 | した | tongue |
79 | 爪 | つめ | fingernail |
80 | 足 | あし | foot |
81 | 脚 | あし | leg |
82 | 膝 | ひざ | knee |
83 | 手 | て | hand |
84 | 翼 | つばさ | wing |
85 | 腹 | はら | belly |
86 | 腸 | はらわた | guts |
87 | 首 | くび | neck |
88 | 背 | せ | back |
89 | 胸 | むね | breast |
90 | 心 | こころ | heart |
91 | 肝 | きも | liver |
92 | 飲む | のむ | to drink |
93 | 食べる | たべる | to eat |
94 | 噛む | かむ | to bite |
95 | 吸う | すう | to suck |
96 | 吐く | はく | to spit |
97 | 吐く | はく | to vomit |
98 | 吹く | ふく | to blow |
99 | 息する | いきする | to breathe |
100 | 笑う | わらう | to laugh |
101 | 見る | みる | to see |
102 | 聞く | きく | to hear |
103 | 知る | しる | to know |
104 | 思う | おもう | to think |
105 | 嗅ぐ | かぐ | to smell |
106 | 恐れる | おそれる | to fear |
107 | 寝る | ねる | to sleep |
108 | 生きる | いきる | to live |
109 | 死ぬ | しぬ | to die |
110 | 殺す | ころす | to kill |
111 | 戦う | たたかう | to fight |
112 | 狩る | かる | to hunt |
113 | 打つ | うつ | to hit |
114 | 切る | きる | to cut |
115 | 割る | わる | to split |
116 | 刺す | さす | to stab |
117 | 掻く | かく | to scratch |
118 | 掘る | ほる | to dig |
119 | 泳ぐ | およぐ | to swim |
120 | 飛ぶ | とぶ | to fly |
121 | 歩く | あるく | to walk |
122 | 来る | くる | to come |
123 | 寝る / 横たわる | ねる / よこたわる | to lie (as in a bed) |
124 | 座る | すわる | to sit |
125 | 立つ | たつ | to stand |
126 | 回る | まわる | to turn (자동사) |
127 | 落ちる | おちる | to fall |
128 | 与える / 上げる | あたえる / あげる | to give |
129 | 持つ | もつ | to hold |
130 | 絞る | しぼる | to squeeze |
131 | 擦る | こする | to rub |
132 | 洗う | あらう | to wash |
133 | 拭く | ふく | to wipe |
134 | 引く | ひく | to pull |
135 | 押す | おす | to push |
136 | 投げる | なげる | to throw |
137 | 結ぶ | むすぶ | to tie |
138 | 縫う | ぬう | to sew |
139 | 数える | かぞえる | to count |
140 | 言う | いう | to say |
141 | 歌う | うたう | to sing |
142 | 遊ぶ | あそぶ | to play |
143 | 浮く | うく | to float |
144 | 流れる | ながれる | to flow |
145 | 凍る | こおる | to freeze |
146 | 膨らむ | ふくらむ | to swell |
147 | 日 | ひ | sun |
148 | 月 | つき | moon |
149 | 星 | ほし | star |
150 | 水 | みず | water |
151 | 雨 | あめ | rain |
152 | 川 | かわ | river |
153 | 湖 | みずうみ | lake |
154 | 海 | うみ | sea |
155 | 塩 | しお | salt |
156 | 石 | いし | stone |
157 | 砂 | すな | sand |
158 | 塵 | ちり | dust |
159 | 土 | つち | earth |
160 | 雲 | くも | cloud |
161 | 霧 | きり | fog |
162 | 空 | そら | sky |
163 | 風 | かぜ | wind |
164 | 雪 | ゆき | snow |
165 | 氷 | こおり | ice |
166 | 煙 | けむり | smoke |
167 | 火 | ひ | fire |
168 | 灰 | はい | ash |
169 | 燃える | もえる | to burn |
170 | 道 | みち | road |
171 | 山 | やま | mountain |
172 | 赤 | あか | red |
173 | 緑 | みどり | green |
174 | 黄色 | きいろ | yellow |
175 | 白 | しろ | white |
176 | 黒 | くろ | black |
177 | 夜 | よる | night |
178 | 日 | ひ | day |
179 | 年 | とし | year |
180 | 暖かい | あたたかい | warm |
181 | 寒い | さむい | cold |
182 | 満ちた | みちた | full |
183 | 新しい | あたらしい | new |
184 | 古い | ふるい | old |
185 | 良い | いい | good |
186 | 悪い | わるい | bad |
187 | 腐った | くさった | rotten |
188 | 汚い | きたない | dirty |
189 | 真っ直ぐ | まっすぐ | straight |
190 | 丸い | まるい | round |
191 | 鋭い | するどい | sharp (칼날처럼) |
192 | 鈍い | にぶい | dull (칼날처럼) |
193 | 滑らか | なめらか | smooth |
194 | 濡れた | ぬれた | wet |
195 | 乾いた | かわいた | dry |
196 | 正しい | ただしい | correct |
197 | 近い | ちかい | near |
198 | 遠い | とおい | far |
199 | 右 | みぎ | right |
200 | 左 | ひだり | left |
201 | で | ~에서 | |
202 | で | ~안에 | |
203 | と | ~와 | |
204 | と | 그리고 | |
205 | もし | 만약 | |
206 | から | ~때문에 | |
207 | 名前 | なまえ | name |
4. 스와데시 리스트의 활용
모리스 스와데시는 여러 버전의 스와데시 리스트를 만들었다. 그는 215개 의미 목록으로 시작했으나(논문에는 오타로 225개로 잘못 소개됨[2]), 세이리시-스포캔-캘리스펠어에 대해 165개로 줄였다. 1952년에는 215개 의미 목록을 발표했고[3], 이 중 16개는 불분명하거나 보편적이지 않다는 이유로 제거하고 하나를 추가하여 200개로 만들 것을 제안했다. 1955년에 그는 "유일한 해결책은 목록에서 대폭적인 제거를 하는 것이며, 품질이 양만큼 중요하다는 것을 깨닫는 것이다. 새로운 목록에도 결함이 있지만, 비교적 경미하고 수가 적다."라고 썼다.[4] 약간의 수정 후, 최종 100단어 목록은 1971년[5]과 1972년에 사후에 출판되었다.
로버트 리스(1953), 존 A. 레아(1958:145f), 델 하임스(1960:6) 등 많은 사람들이 스와데시 리스트와 유사한 어휘 통계 테스트 목록을 출판했다. 컨셉티콘[6]은 교차 언어 연결 데이터(CLLD) 프로젝트에서 호스팅되는 프로젝트로, 다양한 언어 영역과 시대에 걸쳐 다양한 개념 목록(고전적인 스와데시 목록 포함)을 수집하며, 현재 240개의 다른 개념 목록을 나열하고 있다.[7]
자주 사용되고 인터넷에서 널리 이용되는 것은 이지도르 다이엔의 버전(1992, 95개 언어 변형, 200개 의미)이다. 2010년부터 마이클 던을 중심으로 한 팀이 해당 목록을 업데이트하고 개선하려 노력하고 있다.[8]
4. 1. 어휘통계학에서의 활용
어휘통계학적 검사 목록은 언어의 하위 그룹을 정의하기 위해 사용되며, 언어연대학에서 "나무의 분기점에 대한 날짜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10] 목록에서 동족어를 정의하고 수를 세는 작업은 간단하지 않다. 동족어는 반드시 유사하게 보이지 않으며, 동족어의 인지는 각 언어의 음운 변화에 대한 지식을 전제하기 때문에 종종 논쟁의 대상이 된다.스와데시 리스트는 어휘 통계학과 언어 연대학에서 일반적으로 동족 언어가 분기된 대략적인 연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지만, 다른 어휘 목록이 사용되기도 한다. 언어 간의 관계의 근접성은 현대 언어의 어휘 목록에서 동근어의 수에 대략적으로 비례한다. 임의의 어휘 목록이 아닌 정해진 개념의 집합이 사용되는 이유는, 유년기 초기에 학습되는 기초적인 단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느리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목록에 포함된 동근어의 수를 세는 것은 결코 사소한 문제가 아니며, 오히려 논쟁의 대상이다. 왜냐하면, 동근어는 반드시 외관이 비슷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언어의 단어들을 동근어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각 언어에서의 음운 변화의 법칙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영어의 wheel영어과 힌디어의 cakrahi는 동근어이지만, 이것들을 동근어로 인식하기 위해서는, 양쪽 언어의 역사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또한, 설령 동근어의 수에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경우라도, 스와데시 리스트를 사용한 연대 추정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다. 기초적인 단어가 대체되어 가는 비율이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일정하다는 가정이 근본적으로 있기 때문이다. 스와데시 리스트는 대략적인 추정을 하는 데 매우 유용한 수단이지만, 역사 언어학의 주류는 전적으로 스와데시 리스트에만 근거하여 언어의 근연도를 추정하는 주장에 대해서는 많은 경우 매우 회의적이다.
4. 2. 언어연대학에서의 활용
어휘통계학적 검사 목록은 언어의 하위 그룹을 정의하기 위해 어휘통계학에서 사용되며, 언어연대학에서 "나무의 분기점에 대한 날짜를 제공"하는 데 사용된다.[10] 목록에서 동족어를 정의하고 수를 세는 작업은 결코 간단하지 않으며, 동족어는 반드시 유사하게 보이지 않고, 동족어의 인지는 각 언어의 음운 변화에 대한 지식을 전제하기 때문에 종종 논쟁의 대상이 된다.스와데시 리스트는 어휘 통계학과 언어 연대학에서 일반적으로 동족 언어가 분기된 대략적인 연대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지만, 다른 어휘 목록이 사용되기도 한다. 언어 간의 관계의 근접성은 현대 언어의 어휘 목록에서 동근어의 수에 대략적으로 비례한다. 임의의 어휘 목록이 아닌 정해진 개념의 집합이 사용되는 이유는 유년기 초기에 학습되는 기초적인 단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느리게 변화하기 때문이다. 주의해야 할 점은, 목록에 포함된 동근어의 수를 세는 것은 결코 사소한 문제가 아니며, 오히려 논쟁의 대상이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동근어는 반드시 외관이 비슷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언어의 단어들을 동근어로 인정하기 위해서는 각 언어에서의 음운 변화의 법칙에 대한 지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전제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영어의 「wheel|휠영어」과 힌디어의 「cakra|차크라hi」는 동근어이지만, 이것들을 동근어라고 인식하기 위해서는 양쪽 언어의 역사에 대한 지식이 필수적이다. 또한, 설령 동근어의 수에 논쟁의 여지가 없는 경우라도, 스와데시 리스트를 사용한 연대 추정에 대해서는 논의가 있다. 기초적인 단어가 대체되어 가는 비율이 매우 오랜 기간 동안 일정하다는 가정이 근본적으로 있기 때문이다. 스와데시 리스트는 대략적인 추정을 하는 데 매우 유용한 수단이지만, 역사 언어학의 주류는 전적으로 스와데시 리스트에만 근거하여 언어의 근연도를 추정하는 주장에 대해서는 많은 경우 매우 회의적이다.
5. 스와데시 리스트의 한계와 비판
모리스 스와데시가 고안한 스와데시 리스트는 여러 언어 간의 친족 관계를 추정하고, 언어가 분기된 시기를 추정하는 데 사용되지만, 몇 가지 한계와 비판점이 존재한다.
우선, 스와데시 리스트의 동근어 판정은 쉽지 않다. 동근어는 겉모습이 비슷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각 언어의 음운 변화에 대한 지식이 있어야 동근어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어의 'wheel'(wheel영어)과 힌디어의 'cakra'(cakrahi)는 동근어이지만, 이를 인식하려면 두 언어의 역사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10]
또한, 스와데시 리스트는 기초적인 단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매우 느리게 변화한다는 가정에 기반한다. 그러나 실제로는 단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화하는 경향은 다양하며, 차용 등의 요인도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이유로, 역사 언어학의 주류는 스와데시 리스트에만 근거하여 언어의 근연도를 추정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인 경우가 많다.
결론적으로, 스와데시 리스트는 언어 간 관계를 추정하는 데 유용한 도구이지만, 방법론적인 한계와 논쟁점을 인지하고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참조
[1]
서적
Swadesh 1950
[2]
논문
Towards a history of concept list compilation in historical linguistics
https://www.nature.c[...]
2018
[3]
서적
Swadesh 1952
https://cdstar.shh.m[...]
[4]
서적
Swadesh 1955
[5]
서적
Swadesh 1971
[6]
웹사이트
Concepticon
http://concepticon.c[...]
[7]
간행물
Concepticon. A resource for the linking of concept lists
http://www.lrec-conf[...]
2016
[8]
웹사이트
IELex :: IELex
https://github.com/e[...]
2022-03
[9]
서적
New Approaches to Lexicostatistics and Glottochronology
2000
[10]
서적
International Encyclopaedia of Linguistics
Oxford University Press
1992
[11]
데이터베이스
The Global Lexicostatistical Database
http://starling.rine[...]
Higher School of Economics, & Santa Fe Institute
2020-12-26
[12]
문서
Panlex Swadesh Lists
https://dev.panlex.o[...]
2016
[13]
문서
PanLex: Building a Resource for Panlingual Lexical Translation
http://www.lrec-conf[...]
2014
[14]
웹사이트
Swadesh Word List of Indo-European languages
http://kurdishdna.bl[...]
2013
[15]
웹사이트
Concept list Yakhontov 1991 100
https://concepticon.[...]
2020-12-30
[16]
서적
Starostin 1991
[17]
서적
The Signs of Language Revisited: An Anthology to Honor Ursula Bellugi and Edward Klima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11-09-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