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위키낱말사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위키낱말사전은 2002년 시작된 다국어, 자유 콘텐츠 사전 프로젝트로, 위키백과 공동 설립자 래리 생어의 아이디어로 시작되었다. 봇을 활용하여 대량의 항목을 생성하며 빠르게 성장했으며, 영어, 프랑스어, 마다가스카르어 등 여러 언어판이 운영되고 있다. 위키낱말사전은 자연어 처리 분야에서 기계 가독 데이터로 활용되며, 기계 번역, 음성 인식, 텍스트 단순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된다. 위키낱말사전에 대한 평가는 엇갈리지만, 학계에서 점점 더 활용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온라인 사전 - 네이버 사전
    네이버 사전은 네이버에서 제공하는 어학, 백과사전 및 번역 서비스이며, 다양한 언어 사전과 백과사전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용자 참여 번역 서비스와 신조어 대응을 위한 오픈사전 PRO를 운영하며, 2018년 네이버 파파고와 통합되었다.
  • 온라인 사전 - 한한대사전
    한한대사전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에서 한국 학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자 30여 년에 걸쳐 편찬하여 2008년에 완간한 총 16권의 방대한 한자 전문 사전으로, 5만 3,667 글자와 42만 269 단어의 뜻과 출전을 수록하고 지속적인 수정 및 디지털화 작업을 통해 지식 정보 접근성을 높이고 있다.
  •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 위키문헌
    위키문헌은 저작권 만료 또는 공개 라이선스 자료를 디지털 형태로 수집, 보존하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프로젝트로, ProofreadPage 확장 기능을 통해 스캔 자료의 교정 및 검증을 지원하며 여러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질적 향상을 도모하지만 신뢰성 문제에 대한 비판도 존재한다.
  • 위키미디어 프로젝트 - 위키미디어 공용
    위키미디어 공용은 위키미디어 재단에서 운영하는 미디어 파일 저장소로, 자유 라이선스 파일을 저장하고 위키미디어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며, 다양한 기관에서 자료를 기증받아 파일 품질 관리를 위한 제도를 운영하고 사진 공모전을 개최한다.
  • 위키 공동체 - 오픈스트리트맵
    오픈스트리트맵(OSM)은 전 세계 사용자들이 참여하여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크라우드소싱 기반의 세계 지도로, 오픈 데이터베이스 라이선스(ODbL)에 따라 배포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 위키 공동체 - 한국어 위키백과
    한국어 위키백과는 2002년 10월 16일에 시작된 한국어 온라인 백과사전으로, 65만 개가 넘는 문서를 보유하고 있으며, 남북한 관련 문서에서는 북한어 표기를 함께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이미지 사용에 제약이 있으며, 중립성 논쟁이 있지만, 여러 포털 사이트와 연동되어 널리 활용되고 있다.
위키낱말사전
개요
유형온라인 사전
언어다국어 (183개 언어 지원)
등록선택 사항
소유주위키미디어 재단
저자지미 웨일스, 위키미디어 커뮤니티
시작일2002년 12월 12일
현재 상태활동 중
기술 정보
상업성비상업적
링크
웹사이트위키낱말사전

2. 역사

2002년 12월 12일 다니엘 앨스턴의 제안과 위키백과 공동 설립자 래리 생어의 아이디어로 시작된 위키낱말사전은, 2003년 6월 20일 위키미디어 재단의 일원이 되면서 본격적인 발전을 시작했다.[1][2] 초기에는 자원봉사자들의 편집으로 성장했으나, 이후 인터넷 봇을 활용하여 대량의 항목을 자동 생성하면서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2004년 3월 28일 최초의 영어 외 위키낱말사전(프랑스어, 폴란드어)이 시작된 이후, 다양한 언어의 위키낱말사전이 만들어졌다. 2021년 7월 기준으로, 위키낱말사전은 여러 언어판을 통틀어 3천만 개 이상의 문서를 보유하고 있다.[3] 가장 큰 언어판은 750만 개 이상의 항목을 가진 영어 위키낱말사전이며, 프랑스어 위키낱말사전(470만 개 이상), 말라가시어 위키낱말사전(350만 개 이상)이 그 뒤를 잇고 있다. 43개 언어판은 각각 10만 개 이상의 항목을 보유하고 있다.

2021년 7월 현재, 영어 위키낱말사전은 영어 항목에 대해서만 791,870개 이상의 정의와 1,269,938개 이상의 전체 정의(다양한 형태 포함)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언어를 통틀어 총 9,928,056개 이상의 정의를 가지고 있다.[7]

2. 1. 초기 역사

2002년 12월 12일, 다니엘 앨스턴의 제안과 위키백과 공동 설립자 래리 생어의 아이디어로 위키낱말사전 프로젝트가 시작되었다.[1][2] 2002년 12월 26일 공식 주소를 획득하였고, 2003년 6월 20일 위키미디어 재단의 일원이 되었다.

2004년 3월 28일, 최초로 영어프랑스어폴란드어 위키낱말사전이 시작되었다. 이후 여러 언어 버전으로 확장되었다. 2004년 5월 1일, 임시 도메인 이름(wiktionary.wikipedia.org)에서 현재의 도메인(wiktionary.org)으로 변경되었다.

2. 2. 봇을 이용한 성장

초기에는 자원봉사자들의 편집으로 성장했으나, 이후 인터넷 봇을 활용하여 대량의 항목을 자동 생성하면서 급격한 성장을 이루었다. 특히, 영어 위키낱말사전에서는 "ThirdPersBot"과 같은 봇이 표준 사전에는 없는 3인칭 문법적 활용 단수형 동사 활용형을 추가하는 등, 기존 사전보다 더 방대한 정보를 제공하게 되었다.[4] 예를 들어, "smoulders"를 "smoulder의 3인칭 단수 현재형"으로 정의했다.[5]

대규모의 문서를 생성하기 위한 인터넷 봇의 사용은 가장 큰 8개의 위키낱말사전 에디션의 문서 수 그래프에서 "성장 급증"으로 나타난다. (2009년 12월 기준)


프로젝트의 가장 큰 언어 에디션의 많은 정의는 항목을 생성하거나 (드물게) 이전에 출판된 사전에서 수천 개의 항목을 자동으로 가져오는 창의적인 방법을 찾은 인터넷 봇에 의해 만들어졌다. 2007년 영어 위키낱말사전에 등록된 18개의 봇 중 7개는 해당 에디션의 163,000개의 항목을 생성했다.[4] 영어 위키낱말사전이 996,450개의 영어 단어에 대해 제공하는 1,269,938개의 정의 중 478,068개가 이러한 "형태" 정의이다.[5] 이는 그러한 항목이 없더라도 영어에 대한 적용 범위가 주요 단일 언어 인쇄 사전보다 훨씬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프랑스어베트남어 위키낱말사전은 베트남어와 베트남어를 오가는 무료 콘텐츠 이중 언어 사전을 제공하는 자유 베트남어 사전 프로젝트(FVDP)의 많은 부분을 가져왔다. 이러한 가져온 항목은 베트남어 에디션 내용의 거의 전부를 구성한다. 프랑스어 위키낱말사전은 2006년에 구 자유 라이선스 사전(예: 프랑스 학술원 사전의 8판(1935년, 약 35,000 단어))에서 많은 항목을 복사하는 봇을 사용하고, 프랑스어 번역이 있는 다른 위키낱말사전 에디션에서 단어를 추가하는 봇을 사용하여 빠르게 성장했다. 러시아어 에디션은 "LXbot"이 영어독일어 단어에 대한 (정의 없이 제목만 있는) 표준 항목을 추가하면서 약 80,000개의 항목이 증가했다.[6]

2. 3. 한국어 위키낱말사전

2016년 2월, 한국어 위키낱말사전은 20번째로 표제어 수가 많은 위키낱말사전이었으나[27] 2018년 7월, 21번째로 표제어 수가 많은 위키낱말사전이 되었다.[28]

3. 로고

위키낱말사전은 초기에는 통일된 로고가 없었다. 2006년과 2009년에 각각 다른 디자인의 로고가 선정되는 등 여러 차례의 콘테스트를 거쳐 현재의 로고를 사용하게 되었다. 현재 가장 많은 위키낱말사전에서 사용되는 로고는 2006년에 선정된 "Smurrayinchester"의 디자인이다.

3. 1. 로고 변천사

위키낱말사전은 역사적으로 여러 언어판에서 통일된 로고를 갖추지 못했다. 일부 언어판은 미디어위키 개발자인 브루크 바이버가 디자인한 이전의 영어 위키낱말사전 로고를 기반으로 "위키낱말사전"이라는 용어에 대한 사전 항목을 묘사한 로고를 사용한다.[8] 순전히 텍스트로 된 로고는 언어마다 상당히 달라야 했기 때문에, 2006년 9월부터 10월까지 위키미디어 메타-위키에서 통일된 로고를 채택하기 위한 콘테스트가 열렸다. 일부 커뮤니티는 서로 다른 문자의 문자를 담은 3×3 격자 형태의 나무 타일로 구성된 "Smurrayinchester"의 우승작을 채택했다. 그러나 이 투표는 일부 커뮤니티 구성원들이 희망했던 만큼 위키낱말사전 커뮤니티의 참여를 이끌어내지 못했고, 결국 더 큰 위키 중 일부는 텍스트 로고를 유지했다.

2009년 4월, 새로운 콘테스트를 통해 이 문제가 다시 제기되었다. 이번에는 펼쳐진 양장본 사전을 "AAEngelman"이 묘사한 그림이 2006년 로고와의 대결 투표에서 승리했지만, 새로운 로고를 다듬고 채택하는 과정이 중단되었다.[9] 그 후 몇 년 동안 일부 위키는 텍스트 로고를 두 개의 새로운 로고 중 하나로 교체했다. 2012년에는 영어 위키낱말사전 로고를 사용하던 55개의 위키가 "Smurrayinchester"가 디자인한 2006년 디자인의 현지화된 버전을 받았다. 2016년 7월, 영어 위키낱말사전은 이 로고의 변형을 채택했다.[10] 2016년 7월 4일 기준으로, 위키낱말사전 항목의 61%를 차지하는 135개의 위키는 "Smurrayinchester"가 디자인한 2006년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 로고를 사용하고 있으며, 33개의 위키(36%)는 텍스트 로고를, 3개의 위키(3%)는 "AAEngelman"이 디자인한 2009년 디자인을 사용하고 있다.[11]

4. 다국어 지원

mw|CURRENTYEAR영어 현재, 위키낱말사전은 300개 언어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184개가 활성 상태이고 116개가 닫혀 있다.[12] 활성 사이트에는 31,840,972개의 문서가 있으며, 닫힌 사이트에는 314,274개의 문서가 있다.[13] 등록된 사용자는 총 8,313,724명이며, 최근 활동한 사용자는 3,347명이다.[13]

위키낱말사전은 다양한 언어로 제공되며, 각 언어판은 독립적으로 운영된다. 영어 위키낱말사전이 가장 크며, 프랑스어와 말라가시어 위키낱말사전이 그 뒤를 잇는다.

전체 목록과 총계는 위키미디어 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14]

4. 1. 주요 언어판

영어 위키낱말사전이 750만 개 이상의 항목으로 가장 크며, 프랑스어 위키낱말사전(470만 개 이상), 말라가시어 위키낱말사전(350만 개 이상)이 그 뒤를 잇고 있다. 43개 언어판의 위키낱말사전이 각각 10만 개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3]

주요 공간 문서 수 기준 상위 10개 위키낱말사전 언어 프로젝트는 다음과 같다:[13]

언어위키좋음총합편집관리자사용자활동 사용자파일
1영어en9,928,05687,958,5901,061,504,3391435,154,9431,57711,952
2프랑스어fr5,350,56634,518,766265,000,45615545,1613981,128
3마다가스카르어mg4,078,7534,452,33913,951,291321,464283
4중국어zh1,634,1427,097,40349,052,9508231,1131401
5러시아어ru1,521,36111,573,50077,022,23714453,2823691,897
6스페인어es1,076,3514,846,08331,592,58812249,050186304
7세르보크로아티아어sh1,010,6631,467,5006,743,385425,786291
8베트남어vi998,4632,301,93820,959,5781298,6746121
9타갈로그어tl921,7781,033,5333,896,946222,330211
10스웨덴어sv897,1412,336,72316,098,81110106,53710314



전체 목록과 총계는 위키미디어 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14]

5. 통계

위키낱말사전은 2002년 12월 12일 래리 생어의 아이디어로 시작되었다.[1][2] 2004년 3월 28일, 프랑스어폴란드어로 최초의 영어 외 위키낱말사전이 시작되었고, 이후 다양한 언어의 위키낱말사전이 만들어졌다. 2004년 5월 1일까지 임시 도메인 이름으로 운영되다가 현재의 도메인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2021년 7월 기준으로, 위키낱말사전은 여러 에디션을 통틀어 3천만 개 이상의 문서를 보유하고 있다.[3] 가장 큰 언어판은 750만 개 이상의 항목을 가진 영어 위키낱말사전이며, 프랑스어 위키낱말사전(470만 개 이상), 말라가시어 위키낱말사전(350만 개 이상)이 그 뒤를 잇고 있다. 43개의 위키낱말사전 언어판은 각각 10만 개 이상의 항목을 포함하고 있다.

위키낱말사전의 상당수 정의는 인터넷 봇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거나 기존 사전에서 가져온 것이다. 2007년 영어 위키낱말사전에 등록된 18개의 봇 중 7개는 163,000개의 항목을 생성했다.[4] 예를 들어, "ThirdPersBot"은 표준 사전에는 없는 3인칭 문법적 활용형을 추가하여, 영어 위키낱말사전의 정의 중 478,068개가 이러한 형태이다.[5]

영어 위키낱말사전은 다른 에디션에 비해 봇 의존도가 낮다. 프랑스어베트남어 위키낱말사전은 자유 베트남어 사전 프로젝트(FVDP)의 자료를 활용하며, 프랑스어 위키낱말사전은 한자 통합 데이터베이스에서 약 20,000개 항목을 가져왔다. 러시아어 에디션은 봇을 통해 영어와 독일어 단어 항목을 추가하여 약 80,000개 항목이 증가했다.[6]

2021년 7월 현재, 영어 위키낱말사전은 영어 항목에 대해서만 791,870개 이상의 정의와 1,269,938개 이상의 전체 정의(다양한 형태 포함)를 가지고 있으며, 모든 언어를 통틀어 총 9,928,056개 이상의 정의를 가지고 있다.[7]

현재 위키낱말사전 사이트는 여러 언어로 운영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활성 상태이고 일부는 닫혀 있다.[12] 활성 사이트와 닫힌 사이트의 문서, 등록 사용자, 최근 활동 사용자 수 등의 자세한 정보는 위키미디어 통계에서 확인할 수 있다.[13]

5. 1. 위키낱말사전 총 항목 수 순위 (2021년 8월 28일 기준, 20만 항목 이상)

위키낱말사전 총 항목 수 랭킹
(2021년 8월 28일 현재, 20만 항목 이상)
순위언어항목 수ISO 639 언어 코드
1영어6,924,771en
2프랑스어4,304,105fr
3마다가스카르어1,741,250mg
4러시아어1,163,299ru
5중국어1,125,691zh
6독일어1,025,768de
7세르보크로아티아어911,568sh
8스페인어909,267es
9스웨덴어821,417sv
10그리스어801,610el
11네덜란드어795,076nl
12폴란드어755,073pl
13쿠르드어736,371ku
14리투아니아어618,730lt
15이탈리아어553,848it
16카탈루냐어540,930ca
17핀란드어486,947fi
18헝가리어466,718hu
19타밀어378,443ta
20터키어347,250tr
21이도어307,652io
22아르메니아어303,005hy
23한국어297,235ko
24일본어283,592ja
25포르투갈어268,439pt
26칸나다어264,221kn
27베트남어238,333vi
28세르비아어223,264sr
29태국어211,352th


6. 자연어 처리에서의 활용

위키낱말사전은 반구조화된 데이터를 가지고 있으며, 사전적 데이터는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되어 자연어 처리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17],[18],[19],[20]

위키낱말사전은 이처럼 자연어 처리 연구 및 개발에 중요한 데이터 자원으로 활용되고 있다.

6. 1. 활용 분야

위키낱말사전의 사전적 데이터는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형식으로 변환되어 자연어 처리 작업에 사용될 수 있다.[17],[18],[19],[20]

위키낱말사전 데이터를 활용한 자연어 처리 작업의 예는 다음과 같다.

  • 규칙 기반 기계 번역: 네덜란드어아프리칸스어 사이의 번역에 영어 위키낱말사전, 네덜란드어 위키낱말사전 및 위키백과 데이터를 Apertium 기계 번역 플랫폼과 함께 사용했다.
  • 기계 가독 사전 구축: NULEX 파서를 통해 영어 위키낱말사전, WordNet 및 VerbNet과 같은 열린 언어 자원을 통합한다. NULEX 파서는 영어 위키낱말사전을 웹 스크래핑하여 동사의 시제 정보, 명사의 복수형 및 품사 정보를 수집한다.
  • 음성 인식음성 합성: 위키낱말사전은 발음 사전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데 사용되었다. 단어-발음 쌍은 6개의 위키낱말사전 언어판 (체코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폴란드어, 독일어)에서 검색되었으며, 발음은 국제 음성 기호로 표시된다. 영어 위키낱말사전을 기반으로 하는 음성 인식 시스템은 각 세 번째 음소를 변경해야 하는 가장 높은 단어 오류율을 보인다.
  • 온톨로지 엔지니어링 및 의미 네트워크 구축.
  • 온톨로지 매칭.
  • 텍스트 단순화: 위키낱말사전 데이터를 사용하여 어휘 난이도(읽기 수준 감지)를 평가했다. 위키낱말사전 항목에서 추출한 단어의 속성(정의 길이 및 품사, 의미, 번역 수)을 조사했다.
  • 품사 태깅: 영어 위키낱말사전과 숨겨진 마르코프 모델을 기반으로 8개의 자원 빈약 언어에 대한 다국어 POS 태거를 구축했다.
  • 감성 분석.


"위키데이터:사전적 데이터"는 위키낱말사전에 구조화된 데이터 지원을 제공하기 위해 2018년에 시작되었다. 이는 모든 언어의 단어 데이터를 위키데이터의 전용 "렉셈" 네임스페이스에서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 모델로 저장한다. 2021년 10월 현재 이 프로젝트는 다양한 언어로 60만 개 이상의 렉셈 항목을 축적했다.[22]

6. 2. 데이터 마이닝의 어려움

위키낱말사전의 데이터 마이닝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복잡하다:[17]

  • 데이터 및 스키마의 지속적이고 빈번한 변경
  • 위키낱말사전 언어판 스키마의 이질성 (예를 들어, 영어 위키낱말사전과 러시아어 위키낱말사전의 항목 구조 및 서식 규칙을 비교해 보십시오.)
  • 위키의 인간 중심적 성격.

6. 3. 주요 파서

DBpedia의 하위 프로젝트인 DBpedia Wiktionary,[17] 자바 위키낱말사전 API를 제공하는 JWKTL,[18] 영어 및 러시아어 위키낱말사전 파서인 wikokit[19] 등 다양한 파서가 개발되어 위키낱말사전 데이터를 추출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러한 파서들은 언어, 품사, 정의, 의미 관계, 번역 등 다양한 정보를 추출한다.

7. 비판적 평가

위키낱말사전에 대한 비판적인 평가는 엇갈리고 있다. 2006년, 질 레포어는 ''뉴요커''에 기고한 "노아의 방주" 기사에서 다음과 같이 썼다.[1]

> ''위키낱말사전''에는 손을 드는 사람이 없다. 심지어 편집진도 없다. "당신 스스로 낱말사전 편집자가 되세요!"가 위키낱말사전의 모토일지도 모른다. 누가 전문가가 필요하겠는가? 우리가 직접 하나를 조합할 수 있는데, 낱말사전 편찬자가 쓴 낱말사전에 왜 돈을 지불해야 하는가?

>

> 위키낱말사전은 공화당이나 민주당보다는 마오주의에 가깝다. 그리고 저작권이 만료된 책에서 베껴온 만큼만 가치가 있다.

키어 그래프가 ''북리스트''에 쓴 평가는 덜 비판적이었다.

> 위키낱말사전이 설 자리가 있을까? 의심할 여지 없이 그렇다. 많은 제작자들의 열정과 열의는 시장이 있다는 증거이다. 오늘날 급변하는 세상과 온라인 환경에서 생겨나는 특이한 용어를 검색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강력한 출처가 하나 더 있다는 것은 훌륭하다. 그러나 다른 많은 웹 출처(이 칼럼 포함)와 마찬가지로, 더 신뢰할 수 있는 출처와 함께 정교한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다른 출판물에서의 언급은 일시적이며 위키백과에 대한 더 큰 논의의 일부이며, 정의를 넘어서지 못하고 있다. 하지만 ''내슈아 텔레그래프''의 데이비드 브룩스는 이를 "거칠고 난잡하다"고 묘사했다.[15] 위키낱말사전에 대한 독립적인 보도를 방해하는 요인 중 하나는 위키낱말사전이 단순히 위키백과의 확장일 뿐이라는 지속적인 혼란이다.

영어 위키낱말사전의 폴란드어 단어 하위 집합에 대한 굴절의 정확성 측정을 통해 이 문법 데이터가 매우 안정적임이 나타났다(한 연구에 따르면 4,748개의 폴란드어 단어 중 131개만 굴절 데이터가 수정되었다).[16]

참조

[1] 웹사이트 Wikipedia mailing list archive discussion announcing the opening of the Wiktionary project http://lists.wikimed[...] 2002-12-12
[2] 웹사이트 Wikipedia mailing list archive discussion from Larry Sanger giving the idea on Wiktionary http://lists.wikimed[...] 2011-05-03
[3] 웹사이트 Wiktionary https://www.wiktiona[...]
[4] 웹사이트 TheDaveBot http://tools.wikimed[...]
[4] 웹사이트 TheCheatBot http://tools.wikimed[...]
[4] 웹사이트 Websterbot http://tools.wikimed[...]
[4] 웹사이트 PastBot http://tools.wikimed[...]
[4] 웹사이트 NanshuBot http://tools.wikimed[...]
[5] 웹사이트 Detailed statistics https://en.wiktionar[...] 2021-07-21
[6] 웹사이트 LXbot http://tools.wikimed[...]
[7] 웹사이트 Wiktionary:Statistics https://en.wiktionar[...] 2022-03-29
[8] 문서 Wiktionary talk:Wiktionary Logo
[9] 문서 Wiktionary/logo/refresh/voting
[10] Phabricator T139255
[11] 문서 Wiktionary/logo#Logo use statistics
[12] 웹사이트
[13] 웹사이트
[14] 웹사이트 Wiktionary Statistics http://meta.wikimedi[...]
[15] 뉴스 Online, interactive encyclopedia not just for geeks anymore, because everyone seems to need it now, more than ever! The Nashua Telegraph 2004-08-04
[16] 논문 2016
[17] 웹사이트 DBpedia Wiktionary http://dbpedia.org/W[...]
[18] 웹사이트 Welcome https://dkpro.github[...]
[19] 웹사이트 Wikokit - Machine-readable Wiktionary https://github.com/c[...] 2022-12-19
[20] 웹사이트 Gerard de Melo's Research at ICSI, Berkeley http://gerard.demelo[...]
[21] 웹사이트 ConceptNet 5 http://conceptnet5.m[...]
[22] 웹사이트 Wikidata:Wiktionary https://www.wikidata[...]
[23] 웹사이트
[24] 웹사이트 http://wikimediafoun[...]
[25] 웹사이트
[26] 웹인용 Wiktionary:Criteria for inclusion – Wiktionary http://en.wiktionary[...] En.wiktionary.org 2012-02-23
[27] 웹인용 Wiktionary https://meta.wikimed[...]
[28] 웹인용 List of Wiktionaries 문단 참고 https://meta.wikimed[...]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