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스페셜포스 2 프로리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스페셜포스 2 프로리그는 스페셜포스 2를 기반으로 한 대한민국의 e스포츠 프로리그로, 2009년 시작되어 2012년 종료되었다. 리그는 SK텔레콤이 후원했으며, 2009년과 2011년 사이에는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라는 이름으로 진행되었다. 리그는 팀 드래프트, 정규 시즌, 포스트 시즌으로 구성되었으며, 우승팀에게는 상금이 수여되었다. 온게임넷에서 생방송으로 중계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e스포츠 대회 - GOM 클래식
    GOM 클래식은 곰TV가 주최하여 XNOTE-인텔센트리노 곰TV 스타 인비테이셔널을 시작으로 TG삼보, 인텔, 위메프의 후원을 받아 진행된 스타크래프트 개인 리그 시리즈이며, 각 시즌마다 다양한 맵이 사용되었고 목동 스튜디오에서 결승전이 개최되기도 하였다.
  • 대한민국의 e스포츠 대회 - 카트라이더 리그
    카트라이더 리그는 넥슨의 레이싱 게임 카트라이더를 기반으로 2005년부터 시작된 e스포츠 대회이며, 팀전과 개인전으로 진행되고 문호준, 이재혁 등 많은 우승자를 배출했다.
스페셜포스 2 프로리그
스페셜포스 2 프로리그
종목스페셜포스 2
주관KeSPA
설립 연도2009년
팀 수8팀 (프로 5팀, 세미 3팀)
최근 우승팀STX SouL (4G LTE SF2 프로리그 시즌2)
최다 우승팀STX SouL (3회)

2. 연혁

2. 1. 프로리그 출범 및 드래프트

2. 2. 리그 진행 및 종료

2009년 8월 6일,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1st 결승전이 개최되어 이스트로가 우승하였다. 2010년 2월 6일에는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2nd 결승전이 열렸고, SK텔레콤 T1이 우승하였다. 2010년 8월 6일에 개최된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1st 결승전에서는 STX SouL이 우승하였다. 2011년 8월 20일,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1 1st 결승전에서 다시 STX SouL이 우승하였다.

2012년 9월 22일, 4G LTE SF2 프로리그 2012 시즌2 결승전을 끝으로 리그가 종료되었으며, 마지막 우승 팀은 STX SouL이다.

3. 프로게임단 및 선수 선발

3. 1. 프로팀

SK텔레콤 T1은 P-plus.innovation을 지명하여 김성진, 배주진, 이성훈, 김동호, 이수철을 영입했다. 이스트로는 e-sports united를 지명하여 이호우, 박귀민, 임정민, 강주호, 조현종을 영입했다. STX SouL은 윤재혁, 김성은, 서대원, 김솔, 김준백을 개별 지명했다. MBC게임 히어로+는 김윤환, 김창선, 박재현, 심영훈, 정종권을 개별 지명하고, 임수라, 김진유를 추천 선수로 영입했다. 하이트 스파키즈는 기존 창단 팀으로 선수 지명이 없었다.

3. 2. 세미 프로팀

3. 2. 1.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시즌

지명받지 못한 클랜 중 상위 3팀은 세미프로팀으로 참가자격을 받았다.

  • The Van
  • * 프로리그 출범식부터 RePute로 팀명 변경
  • * 2009년 7월 KT 매직엔스(현 KT 롤스터)에 영입됨
  • nL BeST
  • Archer

3. 2. 2.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시즌1


  • Archer
  • * 전 시즌 시드자격으로 출전하여 1승 1패로 다시 참가자격을 받았다.
  • re'Requiem
  • * 세미프로선발전 결과 2승을 하여 참가자격을 획득하였다.

3. 2. 3.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시즌2


  • Archer
  • SSeDa
  • AMBITION

3. 2. 4.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1 시즌1

3. 3. 기타 사항

프로게임단 드래프트에서 MBC게임 히어로에 지명된 '이섭'은 e스포츠 최초 지명 거부권 행사를 함으로써 입단을 포기했다. 이로 인해 3년간 드래프트에 참가할 수 없게 되었고, 대신 보상선수로 김윤환을 지명하였다.[2] KT 매직엔스는 2009년 프로게임단 드래프트 선발전에 참여하려 했으나, KT-KTF의 합병 작업에 의한 예산 집행 중지로 창단 작업이 중단되었다. 그러나 합병 이후인 2009년 7월, 프로리그 1위를 달리던 RePute 클랜을 영입하면서, 스타크래프트 뿐만 아니라 스페셜포스 팀도 창단하였다.[3] 국산 e스포츠 종목 프로게임단(스페셜포스, 카트라이더)을 운영하고 있는 ITBank는 스페셜포스 최초로 프로팀을 창단하면서 하이트 스파키즈와 프로리그 활성화를 위해 노력했다. 그러나 협회는 ITBANK가 이사회에 가입하지 않아 프로팀으로 참가시킬 수 없다고 밝혔고, 결국 프로리그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었다.[4] 그럼에도 불구하고 ITBank팀은 천안 ESWC 국제대회에 참가하여, 프로팀으로 창단된 이스트로팀을 상대로 결승전에서 승리하며 우승했다.

4. 역대 리그

4. 1.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1st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1st는 2라운드 방식으로 8개 팀이 풀리그를 진행, 총 56경기가 치러졌다. 3세트 2선승제로, 1세트당 전·후반전 각 5라운드(단체전 10라운드 6선승제)가 진행되었으며, 10라운드까지 5:5 동점일 경우 단체전 1라운드의 연장전이 진행되었다. 순위는 세트 득실, 라운드 득실, 킬/데스 순으로 결정되었다.[5][6]

상위 4팀이 포스트시즌에 진출하며, 3주간 진행되었다. 정규리그 1위 팀은 결승전에 직행하고, 3위 팀과 4위 팀은 준플레이오프를 치렀다. 플레이오프 승리 팀은 정규리그 2위 팀과 플레이오프 경기를 진행하여 결승전 진출 팀을 가렸다.

RePute는 1라운드를 전승으로 마감하고, 2라운드 1주차에서 MBC게임 히어로+를 상대로 승리하며 9연승을 달성하였으나, 이스트로와의 경기에서 패배하며 첫 패를 기록했다. 2라운드 2주차 Archer와 STX Soul과의 경기에서 Archer가 버그폭탄 플레이를 하여 한 라운드를 몰수패 선고받았다.[6] 2라운드 6주차 하이트 스파키즈가 nL.Best와의 경기에서 첫 승을 거두었다. 이스트로의 조현종은 가장 먼저 100킬을 달성하였다.

최종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승패승점경고포스트시즌 결과
1KT 롤스터11승 3패+123준우승
2이스트로10승 4패+73우승
3Archer9승 5패+72준플레이오프 (4위)
4SK텔레콤 T19승 5패+60플레이오프 (3위)
5STX SouL8승 6패+31PS 진출 실패
6MBC게임 히어로+6승 8패-40
7nL.Best2승 12패-213
8하이트 스파키즈1승 13패-231



포스트시즌 결과, 이스트로가 우승을 차지했고, KT 롤스터가 준우승, SK텔레콤 T1이 3위, Archer가 4위를 기록했다.

4. 2.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2nd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2nd는 3세트 2선승제로 치러지지만, 한 세트가 14라운드 8선승제로 변경되었다. 개막전은 2009년 10월 10일 SKT T1과 KT 롤스터의 경기였다.

2010년 2월 6일 용산 이스포츠 스타디움에서 열린 결승전에서는 SKT T1이 MBC게임 히어로를 꺾고 우승을 차지했다. 하이트 스파키즈는 3위, KT 롤스터는 4위를 기록하였다.

순위승패승점경고
1MBC게임 히어로11승 3패+140
2SK텔레콤 T110승 4패+140.5
3KT 롤스터9승 5패+61
4하이트 스파키즈8승 6패+41
5Archer7승 7패-20.5
6이스트로6승 8패-71
7STX Soul5승 9패-60
8nL.Best0승 14패-260


4. 3.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1st 한국-대만 인터리그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1st는 2010년 3월 14일 KT 롤스터와 화이 스파이더의 경기를 시작으로 최초로 한국-대만 인터리그가 열렸다.

한국-대만 인터리그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승패승점라운드 득실경고
1SK 텔레콤 T15승 0패+10530
2MBC게임 히어로5승 0패+10400
3STX SOUL5승 0패+9490
4eSTRO5승 0패+9420
5KT 롤스터5승 0패+9410
6Archer5승 0패+8390
7re'Requiem4승 1패+7320
8하이트 스파키즈4승 1패+7310
9화이 스파이더1승 7패-11-550
10감마 베어스1승 7패-12-490
11세븐일레븐 아이언맨0승 8패-15-650
12서멀테이크 아폴로0승 8패-15-780
13타오위엔 제트0승 8패-16-800


4. 4.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1st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1st는 2010년 4월 16일에 개막하였다. 특별히 이번 리그는 한국-대만 인터리그의 성적이 반영되었다.

style="font-weight:bold;" |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1st 순위
순위승패승점경고포스트시즌 결과
1STX SOUL17승 2패+280우승
2KT 롤스터15승 4패+191준우승
3MBC 게임 히어로14승 5패+160플레이오프 (3위)
4SK텔레콤 T113승 6패101준플레이오프(4위)
5이스트로12승 7패111진출 실패
6하이트 스파키즈9승 10패10진출 실패
7re'Requiem8승 11패-63진출 실패
8Archer6승 13패-171진출 실패



4. 5.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2nd

CJ 엔투스와 하이트 스파키즈가 합병되었다. 개막일은 MBC게임에서 2010년 10월 15일, 온게임넷에서 2010년 10월 16일이었다.

포스트시즌 결과, KT 롤스터가 우승, SK텔레콤 T1이 준우승, STX SouL이 3위, CJ 엔투스가 4위를 기록했다.

순위승패승점경고포스트시즌 결과
1KT 롤스터11승 3패+150우승
2SK텔레콤 T111승 3패+140준우승
3STX SouL11승 3패+131플레이오프 (3위)
4CJ 엔투스11승 3패+130준플레이오프 (4위)
5MBC게임 히어로6승 8패00PS 진출 실패
6Archer4승 10패-173
7SSeDa2승 12패-201
8AMBITION0승 14패-230


4. 6.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1 1st

2011년 4월 22일에 개막한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1 1st는 스페셜포스로 치러지는 마지막 대회였다. (차기 대회부터는 스페셜포스 2로 진행)

리그 결과, STX SouL이 우승을 차지했고, KT 롤스터가 준우승, CJ 엔투스가 3위, SK텔레콤 T1이 4위를 기록했다.

순위승패승점경고포스트시즌 결과
1KT 롤스터12승 2패+180준우승
2CJ 엔투스10승 4패+120플레이오프 (3위)
3SK텔레콤 T110승 4패+110준플레이오프 (4위)
4STX SouL10승 4패+110우승
5AIKA8승 6패21포스트시즌 진출 실패
6MBC게임 히어로4승 10패-120
7락다운1승 13패-211
8[Cz]1승 13패-241


4. 7. 생각대로T SF2 프로리그 시즌 1

2011년 11월 19일에 개막한 생각대로T SF2 프로리그 시즌 1은 스페셜포스 2로 진행하는 첫 번째 리그이다.

생각대로T SF2 프로리그 시즌 1 순위
순위승패승점경고포스트시즌 결과
1SK텔레콤 T113승 1패+210준우승
2CJ 엔투스12승 2패+200우승
3STX SouL9승 5패+70플레이오프 (3위)
4KT 롤스터8승 6패+20준플레이오프 (4위)
5TVing5승 9패-70PS 진출 실패
6IT BANK4승 10패-110
7웅진 스타즈3승 11패-130
8QSENN2승 12패-190


4. 8. 4G LTE SF2 프로리그 시즌2

4G LTE SF2 프로리그 시즌2는 2012년 6월 16일에 개막하였다. 기존의 리그전에서 듀얼토너먼트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승리 시 승점을 얻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2승은 3점, 1승 1패(승자전)는 2점, 1승 1패(패자전)는 1점, 2패는 0점을 획득한다.

최초로 대학팀인 전남과학대학교가 참여하였고, 기존 8팀에서 7팀으로 축소되어 진행되었다. 이 리그는 스페셜포스 2의 마지막 프로리그였다.

순위는 다음과 같다.

순위승패승점경고포스트시즌 결과
1SK텔레콤 T118승 6패270준우승
2CJ 엔투스14승 10패220플레이오프 (3위)
3STX SouL11승 13패200우승
4웅진 스타즈9승 15패180준플레이오프 (4위)
5KT 롤스터9승 15패140PS 진출 실패
6IT BANK8승 16패120
7전남과학대학교3승 11패120


5. 역대 결승전 결과

wikitext

회차연도리그명우승팀스코어준우승팀결승전 MVP
12009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1st이스트로* (김현진)3 : 2KT 롤스터 (이지훈)
209-10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2ndSK텔레콤 T1 (박용운)3 : 0MBC게임 히어로* (하태기)이수철
32010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1stSTX SouL* (김은동)3 : 0KT 롤스터 (이지훈)김지훈
410-11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2ndKT 롤스터 (이지훈)3 : 1SK텔레콤 T1 (박용운)김찬수
52011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1STX SouL* (김은동)3 : 2KT 롤스터 (이지훈)김인재
611-12생각대로T SF2 프로리그 시즌1CJ 엔투스 (김동우)3 : 0SK텔레콤 T1 (박용운)박지오
720124G LTE SF2 프로리그 시즌2STX SouL* (김은동)3 : 0SK텔레콤 T1 (박용운)이태준


5. 1. 역대 결승전 결과

회차연도리그명우승팀스코어준우승팀결승전 MVP
12009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1st이스트로* (김현진)3 : 2KT 롤스터 (이지훈)
209-10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2ndSK텔레콤 T1 (박용운)3 : 0MBC게임 히어로* (하태기)이수철
32010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1stSTX SouL* (김은동)3 : 0KT 롤스터 (이지훈)김지훈
410-11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0 2ndKT 롤스터 (이지훈)3 : 1SK텔레콤 T1 (박용운)김찬수
52011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1STX SouL* (김은동)3 : 2KT 롤스터 (이지훈)김인재
611-12생각대로T SF2 프로리그 시즌1CJ 엔투스 (김동우)3 : 0SK텔레콤 T1 (박용운)박지오
720124G LTE SF2 프로리그 시즌2STX SouL* (김은동)3 : 0SK텔레콤 T1 (박용운)이태준


5. 2. 역대 결승전 기록실

wikitable

순위횟수비고
1STX SouL3
2SK텔레콤 T11
KT 롤스터
CJ 엔투스
이스트로*



순위횟수비고
1KT 롤스터4
SK텔레콤 T1
3STX SouL3
4CJ 엔투스1
이스트로*
MBC게임 히어로*



순위감독횟수비고
1김은동3STX SouL 2회
2김현진1이스트로* 1회
박용운SK텔레콤 T1 1회
이지훈KT 롤스터 1회
김동우CJ 엔투스 1회


6. 맵 및 상금

폭파 미션은 공격팀(레드)이 정해진 시간 안에 폭탄을 설치하고 폭파될 때까지 방어팀(블루)을 막아야 하며, 방어팀(블루)은 폭탄 설치를 저지하거나 설치된 폭탄을 해체해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생각대로T 스페셜포스 프로리그 1st에서는 크로스로드/Crossroad영어, 데저트캠프/Desert Camp영어, 미사일/Missile영어, 위성/Satellite영어, 상하이/Shanghai영어가 사용되었다. 생각대로T 스페셜포스 프로리그 2nd에서는 네오미사일, KF815, 위성, 크로스로드가 사용되었다.

탈취 미션은 공격팀(레드)이 제한 시간 안에 방어팀(블루)이 지키는 특정 목표물을 탈취하여 공격팀(레드) 캐릭터 생성 지점으로 돌아와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생각대로T 스페셜포스 프로리그 1st에서는 EMP, 너브가스/Nerve Gas영어가 사용되었고, 생각대로T 스페셜포스 프로리그 2nd에서는 트레인, 너브가스가 사용되었다.

=== 상금 ===

스페셜포스 2 프로리그의 총 상금 규모는 5,000만원으로 연간 1억원 규모이다. 우승 팀에게는 4,000만원, 준우승 팀에게는 1,0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6. 1. 사용 맵

폭파 미션은 공격팀(레드)이 정해진 시간 안에 폭탄을 설치하고 폭파될 때까지 방어팀(블루)을 막아야 하며, 방어팀(블루)은 폭탄 설치를 저지하거나 설치된 폭탄을 해체해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생각대로T 스페셜포스 프로리그 1st에서는 크로스로드/Crossroad영어, 데저트캠프/Desert Camp영어, 미사일/Missile영어, 위성/Satellite영어, 상하이/Shanghai영어가 사용되었다. 생각대로T 스페셜포스 프로리그 2nd에서는 네오미사일, KF815, 위성, 크로스로드가 사용되었다.

탈취 미션은 공격팀(레드)이 제한 시간 안에 방어팀(블루)이 지키는 특정 목표물을 탈취하여 공격팀(레드) 캐릭터 생성 지점으로 돌아와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생각대로T 스페셜포스 프로리그 1st에서는 EMP, 너브가스/Nerve Gas영어가 사용되었고, 생각대로T 스페셜포스 프로리그 2nd에서는 트레인, 너브가스가 사용되었다.

6. 2. 상금

스페셜포스 2 프로리그의 총 상금 규모는 5,000만원으로 연간 1억원 규모이다. 우승 팀에게는 4,000만원, 준우승 팀에게는 1,000만원의 상금이 주어진다.

7. 방송 및 해설진

온게임넷은 토요일과 수요일에 용산 상설 경기장에서 스페셜포스 2 프로리그 생방송을 진행했다.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09 1st부터 생각대로T SF 프로리그 2011 1st까지 온게임넷(토요일) 중계는 정소림, 온상민, 이재백이 맡았고, MBC게임(금요일) 중계는 박상현, 정인호, 한현우가 맡았다.

생각대로T SF2 프로리그 시즌1에서는 토요일은 정소림, 온상민, 이재백이, 화요일은 정소림, 온상민, 손대영이 중계를 맡았다. 4G LTE SF2 프로리그 시즌2에서는 토요일은 정소림, 온상민, 이재백이, 수요일은 김철민, 온상민, 손대영이 중계를 진행했다.

참조

[1] 뉴스 스포2 프로리그, e스포츠 '역사 속으로' http://esports.daily[...]
[2] 문서 2009년 3월 29일 http://www.fomos.kr/[...]
[3] 뉴스 KTF 매직엔스 "스페셜포스 팀 창단 계획중" http://www.dailyespo[...]
[4] 웹인용 경제투데이 :: 경제의 해답, 연예의 즐거움 https://web.archive.[...] 2009-06-04
[5] 뉴스 http://www.dailyespo[...]
[6] 뉴스 http://www.dailyesp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