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라브 행진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슬라브 행진곡은 표트르 차이콥스키가 작곡한 관현악곡으로, 1876년 세르비아-오스만 전쟁 당시 세르비아를 지원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이 곡은 "세르비아-러시아 행진곡"이라는 이름으로 처음 작곡되었으며, 세르비아 민요와 러시아 제국의 국가를 사용하여 슬라브 민족의 연대와 러시아의 역할을 강조한다. B♭ 단조로 시작하여 세르비아인의 억압을 묘사하고, 러시아의 지원과 슬라브족의 승리를 암시하는 웅장한 분위기로 마무리된다. 1876년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의 지휘로 모스크바에서 초연되었으며, 오늘날에도 애국적인 작품으로 평가받으며 널리 연주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내림나단조 작품 - I seek/Daylight
I seek/Daylight는 아라시의 49번째 싱글로, 오노 사토시와 마츠모토 준이 주연한 드라마 주제가인 〈I seek〉과 〈Daylight〉를 더블 A사이드 곡으로 구성하여 2016년 5월 18일 J Storm에서 발매되었으며, 세 가지 형태로 발매되어 오리콘 차트 1위를 차지하고 드라마송상을 수상하는 등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 내림나단조 작품 - 피아노 협주곡 1번 (차이콥스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가 1874년부터 1875년에 걸쳐 작곡한 피아노 협주곡 1번은 초연 헌정 대상이었던 니콜라이 루빈슈타인의 혹평으로 무산될 뻔했으나 한스 폰 뷜로의 피아노와 벤자민 존슨 랭의 지휘로 1875년 보스턴에서 초연되었고, 세 차례의 개정을 거쳐 1888년 최종 개정판이 출판되었다.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의 작품 - 1812년 서곡
1812년 서곡은 차이콥스키가 나폴레옹의 러시아 침공 승리를 기념하여 작곡한 관현악 서곡으로, 러시아 민요와 프랑스 국가를 인용하고 종소리와 대포 소리를 사용하여 웅장한 스케일과 극적인 분위기를 자아내며, 세계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지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논란이 되기도 했다.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의 작품 - 현을 위한 세레나데 (차이콥스키)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가 1880년에 작곡한 현을 위한 세레나데는 4악장으로 구성된 현악 오케스트라 작품으로, 2악장 왈츠는 널리 사랑받고 1악장 서주는 NHK 교향악단 아워 오프닝으로 사용되기도 했다.
슬라브 행진곡 | |
---|---|
작품 정보 | |
제목 (한국어) | 슬라브 행진곡 |
제목 (프랑스어) | Marche slave |
제목 (러시아어) | Славянский Марш на народно Славянские темы |
로마자 표기 | Slavyanskiy Marsh na narodno Slavyanskiye temy |
작품 번호 | Op. 31 |
작곡가 | 표트르 일리치 차이콥스키 |
작곡 연도 | 1876년 |
헌정 | 니콜라이 루빈스타인 |
악기 편성 | 플루트 2, 오보에 2, 클라리넷 2 (B♭조), 바순 2, 호른 4 (F조), 트럼펫 2 (B♭조), 트롬본 3, 튜바, 팀파니, 큰북, 심벌즈, 현악기 |
조성 | B♭ 단조 |
음원 정보 | |
관련 정보 | |
장르 | 관현악 작품, 연주회용 서곡 |
주제 | 범슬라브주의 |
2. 역사적 배경
1876년 세르비아 왕국은 오스만 제국과 전쟁을 시작했고, 러시아는 세르비아를 공개적으로 지지했다.[1][2] 러시아 음악 협회는 차이콥스키에게 적십자사를 돕고 부상당한 세르비아 참전 용사들을 위한 자선 콘서트를 위한 관현악곡을 의뢰했다. 많은 러시아인들은 슬라브족과 동방 정교회 신자로서 세르비아인들에게 동정심을 느꼈고, 자원병과 지원 물품을 보냈다.
차이콥스키는 5일 만에 "세르비아-러시아 행진곡"이라는 제목으로 이 곡을 작곡했다.[1][2] 이 곡은 1876년 11월 5일 모스크바에서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의 지휘로 초연되어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초연 당시 청중들은 열광적인 반응을 보였고 많은 사람들이 눈물을 흘렸다고 기록되어 있다.
2. 1. 세르비아-오스만 전쟁과 러시아의 지원
1876년 세르비아 왕국과 오스만 제국 사이에 세르비아-오스만 전쟁이 발발하자, 러시아 제국은 공개적으로 세르비아를 지지했다.[1][2] 많은 러시아인들은 슬라브족이자 동방 정교회 신자인 세르비아인들에게 동정심을 느껴 자원병과 지원 물품을 보냈다. 러시아 음악 협회는 차이콥스키에게 적십자사를 돕고 부상당한 세르비아 참전 용사들을 위한 콘서트를 위해 관현악곡을 의뢰했다.[1][2]
차이콥스키는 이 곡을 "세르비아-러시아 행진곡"이라고 불렀으며, 1876년 11월 5일 모스크바에서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3. 곡의 구성 및 특징
이 곡은 B-플랫 단조의 어둡고 침울한 분위기로 시작하여 오스만 제국에 의한 세르비아인의 억압을 묘사한다.[1] 세르비아 민요 선율을 바탕으로 장송 행진곡처럼 슬프게 연주된다.[6][8]
이후 D-플랫 장조의 두 번째 부분은 러시아인들이 세르비아인을 돕기 위해 결집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소박한 춤곡풍의 선율을 기반으로 한다.[1] 제정 러시아의 국가인 "신이여, 차르를 구하소서"가 장엄하게 연주되며, 슬라브족의 승리를 예언하는 듯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세 번째 부분은 첫 번째 부분의 격렬한 클라이맥스를 반복하며, 세르비아의 도움을 호소하는 절규를 표현한다.[1] 네 번째 부분은 러시아 자원병들이 세르비아를 돕기 위해 전투에 참여하는 모습을 묘사하며, 러시아 민요를 사용하고 "신이여, 차르를 구하소서"를 다시 연주한다.[1] 곡은 전체 관현악을 위한 화려한 코다로 마무리된다.[1]
연주 시간은 약 10~11분 정도이다.[6][9]
3. 1. 사용된 민요와 국가
이 작품에는 세르비아 민요인 "Sunce jarko, ne sijaš jednako"(밝은 태양, 똑같이 빛나지 않네)[3], 요십 룬야닌의 "Rado ide Srbin u vojnike"(세르비아인은 기꺼이 군인이 되네)[4], '그리운 세르비아의 문', '세르비아인은 적의 총을 두려워하지 않는다'[6][8]와 제정 러시아의 국가인 "신이여, 차르를 구하소서"가 인용되었다.[1] 소련 시대에는 제정 러시아 국가 부분이 미하일 글린카의 오페라 "황제를 위한 생애"의 합창곡인 "영광, 거룩한 루스여!"(''Славься, славься, святая Русь!'')로 대체되었으나, 소련의 해체 이후 원본 악보가 다시 사용되었다.[5]4. 악기 편성
Славянский марш|슬라뱐스키 마르시ru의 악기 편성은 다음과 같다.
목관 악기 | 금관 악기 | 타악기 | 현악기 |
---|---|---|---|
5. 제목
이 작품의 원래 제목은 《'''세르비아-러시아 행진곡'''》인데, 작곡자인 차이콥스키는 러시아음악협회에서 의뢰를 받은 지 5일 만에 완성했다. 1876년 11월 니콜라이 루빈스타인의 지휘로 초연되었다.
《슬라브 행진곡》 (Словенски марш|Slovenski maršsr, Славянский марш|Slavyanskiy marshru), 《슬라브 행진곡》, 《세르보-러시아 행진곡》 (Српско-руски марш|Srpsko-ruski maršsr, Сербско-русский марш|Serbsko-russkiy marshru) 등으로 다양하게 출판되었다.[1]
6. 소련 시대의 연주 금지
이 작품에는 3개의 세르비아 민요 외에 제정 러시아 국가인 『신이여, 황제를 지켜주소서』가 인용되었기 때문에 구 소련 시대에는 원곡 연주가 금지되었다.
7. 현대의 평가 및 영향
차이콥스키의 슬라브 행진곡은 1812년 서곡과 함께 자주 연주되는 애국적인 작품으로 평가받는다. 이 곡은 슬라브 민족의 연대와 러시아의 역할을 강조하는 작품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다음은 슬라브 행진곡을 연주한 주요 오케스트라와 지휘자들이다.
지휘자 | 오케스트라 |
---|---|
애드리안 볼트 | 런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안탈 도라티 | 디트로이트 심포니 오케스트라 |
샤를 뒤투아 |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
클라우디오 아바도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헤르베르트 폰 카라얀 | 베를린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베르나르트 하이팅크 | 로열 콘세르트헤보우 오케스트라 |
프리츠 라이너 | 시카고 심포니 오케스트라 |
레너드 슬래트킨 | 세인트루이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
레오폴트 스토코프스키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네메 예르비 | 예테보리 심포니 오케스트라 |
레너드 번스타인 | 이스라엘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유진 오먼디 | 필라델피아 오케스트라 |
겐나디 로제스트벤스키 |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
유리 테미르카노프 | 로열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
발레리 게르기예프 | 마린스키 극장 오케스트라 |
이 외에도 다양한 오케스트라와 지휘자들이 이 곡을 연주했으며, 음반으로도 많이 발매되었다.
1876년 11월 5일(그레고리력으로는 11월 17일) 모스크바 초연 당시 차이콥스키는 여동생에게 보낸 편지에서 "지난 토요일, 여기서 세르비아-러시아 행진곡(후의 슬라브 행진곡)이 처음 연주되었다. 이는 애국적 열광의 완전한 폭풍을 일으켰다."라고 썼다.[1] 당시 연주회 감상에는 "행진곡 연주 후, 장내에서 일어난 사람들의 함성은, 정말 붓으로 표현할 수 없다. 모든 청중은 일어서서, 브라보의 함성 속에 우라(만세)의 함성이 섞였다. 행진곡은 다시 연주되었고, 다시 폭풍이 몰아쳤다. 이는 1876년 가장 감동적인 순간 중 하나였다. 장내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울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다.[1]
참조
[1]
웹사이트
Slavonic March
https://www.kennedy-[...]
2016-07-14
[2]
웹사이트
Tchaikovsky Research – Slavonic March
http://en.tchaikovsk[...]
[3]
Youtube
Sunce jarko ne sijaš jednako - Gordana Kojadinović
https://www.youtube.[...]
[4]
Youtube
Радо иде Србин у војнике (хорска верзија)
https://www.youtube.[...]
[5]
웹사이트
Russian national anthem "God Save the Tsar" in Tchaikovsky's music
http://www.hymn.ru/g[...]
2006-07-10
[6]
웹사이트
チャイコフスキー(1840 - 1893) スラヴ行進曲 作品31
https://www.nhkso.or[...]
NHK교향악단
2018-10-04
[7]
웹사이트
チャイコフスキー:1812年、スラヴ行進曲《オーケストラ新定番名盤50》
http://kingjazzcla.c[...]
킹레코드
2018-10-04
[8]
웹사이트
スラヴ行進曲(チャイコフスキー)
http://www.gakufu.co[...]
로켓뮤직
2018-10-04
[9]
웹사이트
チャイコフスキー:スラヴ行進曲 作品31
http://shop.zen-on.c[...]
전음악보출판사
2018-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