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궁쥐족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궁쥐족은 쥐아과에 속하는 설치류 족으로, 멧밭쥐군, 동남아시아가시쥐군, 땃쥐쥐군, 술라웨시가시쥐군, 밀러드쥐군, 시궁쥐군 등 다양한 하위 군을 포함한다. 이들은 주로 아시아의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 분포하며, 시궁쥐속(Rattus)과 멧밭쥐속(Micromys) 등 일부는 온대 및 건조 지역에서도 발견된다. 시궁쥐족은 계통 분류상 쥐아과 내에서 큰구름쥐족 다음으로 기저에 위치하며, 과거에는 멧밭쥐속이 다계통군으로 분류되었으나, 현재는 시궁쥐족 내에 포함된다.

2. 하위 속

시궁쥐족은 높은 현대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쥐아과에서 두 번째로 기저적인 구성원으로 여겨지며, Phloeomyini만이 그들보다 더 기저적인 것으로 여겨진다.[1][2]

과거에 ''Micromys'' 속은 ''Hapalomys'', ''Chiropodomys'', ''Vandeleuria''를 포함하는 다계통군으로 분류되었지만, 계통 발생학적 증거에 따르면 나머지 시궁쥐족(Rattini)과 자매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속이 자체적인 족(Micromyini)을 나타내는지, 아니면 시궁쥐족(Rattini)의 기저 구성원인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으나, 미국 포유류 학회는 2019년 연구를 바탕으로 시궁쥐족 내에 분류한다.[1][2][3]

시궁쥐족은 다양한 하위 속들을 포함하며, 이들은 여러 군(무리)으로 나뉜다. 자세한 분류는 아래 문단에서 다룬다.

2. 1. 멧밭쥐군

2. 2. 동남아시아가시쥐군

2. 3. 땃쥐쥐군

2. 4. 술라웨시가시쥐군


  • 술라웨시가시쥐속 (''Echiothrix'')
  • 가는뿌리쥐속 (''Gracilimus'')
  • 술라웨시돼지코쥐속 (''Hyorhinomys'')
  • 작은술라웨시땃쥐쥐속 (''Melasmothrix'')
  • 돼지코땃쥐쥐속 (''Paucidentomys'')
  • 소머술라웨시쥐속 (''Sommeromys'')
  • 큰술라웨시땃쥐쥐속 (''Tateomys'')
  • 마마사물쥐속 (''Waiomys'')

2. 5. 밀러드쥐군


  • 민도로나무타기쥐속 (''Anonymomys'')
  • 페아나무쥐속 (''Chiromyscus'')
  • 밀러드쥐속 (''Dacnomys'')
  • 긴꼬리자이언트쥐속 (''Leopoldamys'')
  • 흰배쥐속 (''Niviventer'')
  • 폴린석회암쥐속 (''Saxatilomys'')
  • 오히야쥐속 (''Srilankamys'')
  • 다오반티엔석회암쥐속 (''Tonkinomys'')

2. 6. 시궁쥐군

3. 계통 분류

2008년 레콤프테 등(Lecompte et al.)[6]과 2016년 로우 등(Rowe et al.)[7]의 연구에 기초한 쥐아과 내 시궁쥐족의 계통 분류는 다음과 같다. 시궁쥐족은 높은 현대적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쥐아과에서 큰구름쥐족(Phloeomyini) 다음으로 기저적인 분기군으로 간주된다.[1][2] 시궁쥐족 내 주요 하위 분기군과 포함되는 속은 아래와 같다.[7]


술라웨시가시쥐속 (''Echiothrix'')
가는뿌리쥐속 (''Gracilimus'')
술라웨시돼지코쥐속 (''Hyorhinomys'')
작은술라웨시땃쥐쥐속 (''Melasmothrix'')
돼지코땃쥐쥐속 (''Paucidentomys'')
서머술라웨시쥐속 (''Sommeromys'')
큰술라웨시땃쥐쥐속 (''Tateomys'')
마마사물쥐속 (''Waiomys'')

  • ** (하위 분기군)

밀러드쥐군
* 민도로나무타기쥐속 (''Anonymomys'')
* 페아나무쥐속 (''Pithecheir'')
* 밀러드쥐속 (''Dacnomys'')
* 긴꼬리자이언트쥐속 (''Leopoldamys'')
* 흰배쥐속 (''Niviventer'')
* 폴린석회암쥐속 (''Saxatilomys'')
* 오히야쥐속 (''Srilankamys'')
* 다오반티엔석회암쥐속 (''Tonkinomys'')
시궁쥐군
* 루손넓은이빨쥐속 (''Abditomys'')
* 반디쿠트쥐속 (''Bandicota'')
* 흰이빨쥐속 (''Berylmys'')
* 필리핀쥐속 (''Bullimus'')
* 언덕쥐속 (''Bunomys'')
* 류큐긴꼬리자이언트쥐속 (''Diplothrix'')
* 할마헤라쥐속 (''Halmaheramys'')
* 소디나무쥐속 (''Kadarsanomys'')
* 코모도쥐속 (''Komodomys'')
* 민다나오산악쥐속 (''Limnomys'')
* 짧은꼬리반디쿠트쥐속 (''Nesokia'')
* 스람쥐속 (''Nesoromys'')
* 팔라완부드러운털산악쥐속 (''Palawanomys'')
* 플로레스자이언트쥐속 (''Papagomys'')
* 술라웨시자이언트쥐속 (''Paruromys'')
* 플로레스긴코쥐속 (''Paulamys'')
* 시궁쥐속 (''Rattus'')
* 자이언트순다쥐속 (''Sundamys'')
* 셀레베스쥐속 (''Taeromys'')
* 긴발쥐속 (''Tarsomys'')
* 루손짧은코쥐속 (''Tryphomys'')

과거에 멧밭쥐속(Micromys)은 마모셋쥐속(Hapalomys), 연필꼬리나무쥐속(Chiropodomys), 긴꼬리나무타기쥐속(Vandeleuria)을 포함하는 다계통군으로 분류되었으나, 계통 발생학적 연구 결과 나머지 시궁쥐족(Rattini)과 자매군을 형성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 속을 독립된 족(Micromyini)으로 분류해야 하는지, 아니면 시궁쥐족의 기저 구성원으로 보아야 하는지에 대한 논쟁이 있었지만, 미국 포유류 학회는 2019년 연구를 바탕으로 시궁쥐족 내에 포함시킨다.[1][2][3]

4. 분포

시궁쥐족은 주로 아시아 전역, 특히 열대 및 아열대 지역에서 발견된다. 그러나 시궁쥐(Rattus), 멧밭쥐속, Nesokia와 같은 일부 속은 분포 범위를 넓혀 온대 또는 건조 지역까지 북쪽이나 서쪽으로 진출했다. 시궁쥐속의 많은 종들은 뉴기니와 오스트레일리아 전역에서도 발견되는데, 이들은 Hydromyini를 제외하면 해당 지역의 유일한 토착 설치류다. 유럽 전역에는 멧밭쥐속멧밭쥐 한 종만이 분포하며, Nesokia indica는 아프리카이집트 북부까지 서식한다.[4]

아시아 내에서는 동남아시아의 열대 지역, 특히 필리핀과 술라웨시 섬에서 가장 높은 종 다양성을 보인다.

한편, 시궁쥐속의 여러 종들은 인간 활동을 통해 전 세계적으로 퍼져나갔고, 일부는 침입종이 되어 유입된 지역의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며 다른 동식물의 멸종을 초래하기도 했다.[5]

참조

[1] 논문 Molecular phylogeny of South-East Asian arboreal murine rodents https://onlinelibrar[...] 2016
[2] 논문 Pliocene colonization and adaptive radiations in Australia and New Guinea (Sahul): Multilocus systematics of the old endemic rodents (Muroidea: Murinae) http://dx.doi.org/10[...] 2008-04
[3] 논문 Oceanic islands of Wallacea as a source for dispersal and diversification of murine rodents https://onlinelibrar[...] 2019
[4] 간행물 Mammal Diversity Database https://zenodo.org/r[...] 2021-11-06
[5] 논문 Invasive rats on tropical islands: Their population biology and impacts on native species 2015-01-01
[6] 문서 Emilie Lecompte, Ken Aplin, Christiane Denys, François Catzeflis, Marion Chades, Pascale Chevret: Phylogeny and biogeography of African Murinae based on mitochondrial and nuclear gene sequences, with a new tribal classification of the subfamily. In: BMC Evolutionary Biology. Bd. 8, 199, 2008, S. 1–21,
[7] 문서 Kevin C. Rowe, Anang S. Achmadi and Jacob A. Esselstyn. 2016. A New Genus and Species of Omnivorous Rodent (Muridae: Murinae) from Sulawesi, nested within A Clade of Endemic Carnivores. Journal of Mammalogy.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