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몬 판 데르메이르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몬 판 데르메이르는 네덜란드의 물리학자이다. 그는 1984년 카를로 루비아와 함께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장의 기본 입자(약한 보존)의 발견을 이끈 거대 프로젝트에의 공헌"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판 데르메이르는 CERN에서 1956년부터 1990년 은퇴할 때까지 근무하며, 자기 혼 발명, 뮤온 저장 링 설계, 충돌 빔 휘도 보정 기술 개발, 확률적 냉각 기술 개발 등의 업적을 남겼다. 2011년 제네바에서 8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네덜란드의 발명가 - 크리스티안 하위헌스
    크리스티안 하위헌스는 네덜란드의 과학자로서 진자시계와 밸런스 스프링 시계를 발명하고 토성의 위성 타이탄을 발견했으며 빛의 파동설을 제시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남겼다.
  • 네덜란드의 발명가 - 안드레 가임
    안드레 가임은 그래핀 분리 방법 발견으로 2010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고 개구리 부양 실험으로 이그 노벨상을 수상한 과학자이다.
  • 델프트 공과대학교 동문 - 오라녜나사우 공자 요한 프리소
    오라녜나사우 공자 요한 프리소는 베아트릭스 여왕의 차남으로 태어나 왕자였으나, 의회 승인 없는 결혼으로 왕위 계승권을 포기하고, 델프트 공대 졸업 후 골드만삭스에서 근무하다 스키 사고로 사망한 네덜란드 왕족이다.
  • 델프트 공과대학교 동문 - 한 판 메이헤런
    한 판 메이헤런은 네덜란드의 화가이자 미술품 위조범으로, 특히 요하네스 페르메이르 등 네덜란드 황금 시대 화가들의 작품을 위조하여 부를 축적하고 나치 고위층에게 판매한 혐의로 체포되었으나, 위작 시연을 통해 혐의를 벗고 국민적 영웅이 되기도 했다.
  • 네덜란드의 노벨상 수상자 - 피터 디바이
    피터 디바이는 분자 구조 및 물질의 물리적 성질 연구에 기여한 네덜란드 출신의 물리화학자로, 노벨 화학상 수상, 데바이 단위, 데바이 모델 등의 업적을 남겼으며, 나치 독일 시대 행적 논란 후 미국으로 이민하여 연구를 지속하며 현대 화학 및 물리학 발전에 영향을 미쳤다.
  • 네덜란드의 노벨상 수상자 - 프리츠 제르니커
    프리츠 제르니커는 위상차 현미경 발명 및 제르니커 다항식 개발을 통해 광학 분야에 기여하여 195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네덜란드 물리학자이다.
시몬 판 데르메이르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시몬 판 데르 메이르
출생1925년 11월 24일
출생지헤이그, 네덜란드
사망2011년 3월 4일 (85세)
사망 장소제네바, 스위스
국적네덜란드
분야물리학
소속CERN
모교델프트 공과대학교
업적확률 냉각법
수상더들 메달 및 상 (1982년)
노벨 물리학상 (1984년)
학문
박사 지도교수불명
영향을 준 인물불명
영향을 받은 인물불명
수상 내역
노벨 물리학상1984년
수상 이유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장의 기본 입자(약한 보손)의 발견으로 이어진 거대한 프로젝트에 기여

2. 생애

시몬 판 데르메이르는 4남매 중 한 명으로 헤이그의 교사 집안에서 태어나고 자랐다.[3] 그는 독일이 네덜란드를 점령하고 있던 1943년에 도시의 김나지움을 졸업했다.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 기술 물리학을 전공했으며 1952년에 공학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몇 년 동안 아인트호벤의 필립스 자연과학 연구소(Philips Natuurkundig Laboratorium)에서 전자 현미경용 고전압 장비를 연구했다.[4][5][6] 1956년 CERN에 합류하여 1990년 은퇴할 때까지 그곳에 머물렀다.[4][5][6]

판 데르메이르는 노벨상 수상자인 찰링 쿠프만스의 친척으로, 1촌 사촌 관계였다.[7][8] 1960년대 중반에 카타리나 M. 쿠프만과 결혼하여 딸과 아들을 두었다.

1950년대에 판 데르 메이르는 28 GeV 양성자 싱크로트론(PS)을 위한 자석을 설계했다.[9][10] 1961년에는 '판 데르 메이르 혼'으로 알려진 펄스형 초점 장치를 발명했는데, 이는 장기선 중성미자 시설에 필요하며 오늘날에도 사용된다.[11]

1960년대에는 뮤온의 이상 자기 모멘트를 연구하는 물리학 실험을 위한 소형 저장 링을 설계했다. 이후 10년 동안 판 데르 메이르는 교차 저장 링(ISR)과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의 규제 및 제어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1970년대에 판 데르 메이르가 ISR 콜라이더 시절에 개발한 충돌 빔의 휘도 보정 기술은 ISR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오늘날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를 포함한 다른 콜라이더에서도 사용된다.

판 데르 메이르는 확률적 냉각 아이디어를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CERN에서 적용하여, 특히 반양성자 축적기에서 반양성자를 양성자-반양성자 콜라이더에 공급했다.

ISR에서의 작업 동안 판 데르 메이르는 조향 자석을 사용하여 두 개의 충돌 빔을 서로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유효 빔 높이를 평가하고, 교차점에서 빔 휘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판 데르 메이르 스캔'은 오늘날에도 LHC 실험에서 필수적이다.[12]

70년대 초에 건설된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 기계의 경우, 그는 굽힘 및 사중극 공급 장치에 대한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사이클을 따라 필드를 측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보정 알고리즘의 개요를 제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의 제안은 7km의 둘레를 가진 SPS와 같이 지리적으로 분산된 시스템을 위한 최초의 컴퓨터 제어 폐쇄 루프 시스템으로 이어졌다. SPS가 SPS p–pbar 콜라이더를 위한 저장 링으로 작동해야 했을 때 나중에 주 자석 전류 측정이 도입되었다.

판 데르 메이르의 가속기 지식과 컴퓨터 프로그램은 그가 노벨상을 수상한 발견을 위해 반양성자원 가속기를 제어하고 SPS 콜라이더로 반양성자를 전송하기 위한 정교한 도구를 개발했음을 의미한다. AA 및 AC pbar 소스 복합 기계는 1987년부터 1996년까지 CERN의 가속기 레퍼토리에서 가장 자동화된 기계 세트로 남아 있었다.[13]

그의 주요 업적은 중간자가 붕괴하여 생성되는 중성미자를 효율적으로 모으는 중성미자 혼과 확률 냉각법을 통해 반양자 빔의 출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CERN의 Super Proton Synchrotron (SPS)는 1981년부터 가동되었고, 1983년 W 보존의 생성을 확인했다.

1984년, 노벨 물리학상을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장의 기본 입자(약한 보존)의 발견을 이끈 거대 프로젝트에의 공헌"으로 카를로 루비아와 공동 수상했다.

2011년 3월 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사망[18], 향년 85세.

2. 1. 초기 생애 및 교육

시몬 판 데르메이르는 4남매 중 한 명으로 헤이그의 교사 집안에서 태어나고 자랐다.[3] 그는 독일이 네덜란드를 점령하고 있던 1943년에 도시의 김나지움을 졸업했다.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 기술 물리학을 전공했으며 1952년에 공학 학위를 받았다. 졸업 후 몇 년 동안 아인트호벤의 필립스 자연과학 연구소(Philips Natuurkundig Laboratorium)에서 전자 현미경용 고전압 장비를 연구했다.[4][5][6]

판 데르메이르는 노벨상 수상자인 찰링 쿠프만스의 친척으로, 1촌 사촌 관계였다.[7][8] 1960년대 중반에 카타리나 M. 쿠프만과 결혼하여 딸과 아들을 두었다.

2. 2. 필립스 연구소 및 CERN 경력

1950년대에 판 데르 메이르는 28 GeV 양성자 싱크로트론(PS)을 위한 자석을 설계했다.[9][10] 1961년에는 '판 데르 메이르 혼'으로 알려진 펄스형 초점 장치를 발명했는데, 이는 장기선 중성미자 시설에 필요하며 오늘날에도 사용된다.[11]

1960년대에는 뮤온의 이상 자기 모멘트를 연구하는 물리학 실험을 위한 소형 저장 링을 설계했다. 이후 10년 동안 판 데르 메이르는 교차 저장 링(ISR)과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의 규제 및 제어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1970년대에 판 데르 메이르가 ISR 콜라이더 시절에 개발한 충돌 빔의 휘도 보정 기술은 ISR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오늘날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를 포함한 다른 콜라이더에서도 사용된다.

판 데르 메이르는 확률적 냉각 아이디어를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CERN에서 적용하여, 특히 반양성자 축적기에서 반양성자를 양성자-반양성자 콜라이더에 공급했다.

ISR에서의 작업 동안 판 데르 메이르는 조향 자석을 사용하여 두 개의 충돌 빔을 서로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유효 빔 높이를 평가하고, 교차점에서 빔 휘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판 데르 메이르 스캔'은 오늘날에도 LHC 실험에서 필수적이다.[12]

70년대 초에 건설된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 기계의 경우, 그는 굽힘 및 사중극 공급 장치에 대한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사이클을 따라 필드를 측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보정 알고리즘의 개요를 제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의 제안은 7km의 둘레를 가진 SPS와 같이 지리적으로 분산된 시스템을 위한 최초의 컴퓨터 제어 폐쇄 루프 시스템으로 이어졌다. SPS가 SPS p–pbar 콜라이더를 위한 저장 링으로 작동해야 했을 때 나중에 주 자석 전류 측정이 도입되었다.

판 데르 메이르의 가속기 지식과 컴퓨터 프로그램은 그가 노벨상을 수상한 발견을 위해 반양성자원 가속기를 제어하고 SPS 콜라이더로 반양성자를 전송하기 위한 정교한 도구를 개발했음을 의미한다. AA 및 AC pbar 소스 복합 기계는 1987년부터 1996년까지 CERN의 가속기 레퍼토리에서 가장 자동화된 기계 세트로 남아 있었다.[13]

3. CERN에서의 연구 업적

1950년대에 판 데르메이르는 28 GeV 양성자 싱크로트론(PS)을 위한 자석을 설계했다.[9][10] 1961년에는 '판 데르 메이르 혼'으로 알려진 펄스형 초점 장치를 발명했는데, 이는 장기선 중성미자 시설에 필요하며 오늘날에도 사용된다.[11]

1960년대에는 뮤온의 이상 자기 모멘트를 연구하는 물리학 실험을 위한 소형 저장 링을 설계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판 데르 메이르는 교차 저장 링(ISR)과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의 규제 및 제어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1970년대에 판 데르 메이르의 ISR 콜라이더 시절은 충돌 빔의 휘도 보정 기술로 이어졌으며, 이는 ISR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오늘날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뿐만 아니라 다른 콜라이더에서도 사용된다. ISR에서의 작업 동안 판 데르 메이르는 조향 자석을 사용하여 두 개의 충돌 빔을 서로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유효 빔 높이를 평가하고, 교차점에서 빔 휘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유명한 '판 데르 메이르 스캔'은 오늘날에도 LHC 실험에서 필수적이다.[12]

판 데르메이르는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CERN에서 확률적 냉각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반양성자 축적기에서 반양성자를 양성자-반양성자 콜라이더에 공급하는 데 기여했다. 이 기술은 CERN의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에서 빔당 270 GeV, 질량 중심 에너지 540 GeV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양성자 빔과의 정면 충돌을 위해 강렬한 반양성자 빔을 축적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충돌은 1983년 카를로 루비아가 이끈 UA1 실험에서 처음으로 감지할 수 있었던 W 및 Z 보존을 생성했으며, 이는 수년 전에 이론적으로 예측된 것이었다. 판 데르메이르와 루비아는 이 프로젝트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공로로 1984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70년대 초에 건설된 새로운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 기계의 경우, 그는 굽힘 및 사중극 공급 장치에 대한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사이클을 따라 필드를 측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보정 알고리즘의 개요를 제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의 제안은 7km의 둘레를 가진 SPS와 같이 지리적으로 분산된 시스템을 위한 최초의 컴퓨터 제어 폐쇄 루프 시스템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1970년대 초반에는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판 데르 메이르의 가속기 지식과 컴퓨터 프로그램은 그가 노벨상을 수상한 발견을 위해 반양성자원 가속기를 제어하고 SPS 콜라이더로 반양성자를 전송하기 위한 매우 정교한 응용 프로그램과 도구를 개발했음을 의미한다. AA 및 AC pbar 소스 복합 기계는 1987년부터 1996년까지 CERN의 가속기 레퍼토리에서 가장 자동화된 기계 세트로 남아 있었다.[13]

3. 1. 양성자 싱크로트론(PS) 자석 설계 (1950년대)

1950년대에 판 데르 메이르는 28 GeV 양성자 싱크로트론(PS)을 위한 자석을 설계했다.[9][10]

3. 2. 자기 혼(판 데르 메이르 혼) 발명 (1961년)

1950년대에 판 데르 메이르는 28 GeV 양성자 싱크로트론(PS)을 위한 자석을 설계했다.[9][10] 1961년, 그는 '판 데르 메이르 혼'으로 알려진 펄스형 초점 장치를 발명했다.[11] 이러한 장치는 장기선 중성미자 시설에 필요하며 오늘날에도 사용된다.[11]

3. 3. 뮤온 저장 링 설계 및 ISR 연구 (1960년대)

1950년대에 판 데르메이르는 28 GeV 양성자 싱크로트론(PS)을 위한 자석을 설계했다.[9][10] 1961년에는 '판 데르 메이르 혼'으로 알려진 펄스형 초점 장치를 발명했는데, 이는 장기선 중성미자 시설에 필요하며 오늘날에도 사용된다.[11]

1960년대에는 뮤온의 이상 자기 모멘트를 연구하는 물리학 실험을 위한 소형 저장 링을 설계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판 데르 메이르는 교차 저장 링(ISR)과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을 위한 전원 공급 장치의 규제 및 제어에 관한 연구를 수행했다.

ISR에서의 작업 동안 판 데르 메이르는 조향 자석을 사용하여 두 개의 충돌 빔을 서로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유효 빔 높이를 평가하고, 교차점에서 빔 휘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유명한 '판 데르 메이르 스캔'은 오늘날에도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 실험에서 필수적이다.[12]

3. 4. 확률적 냉각 기술 개발 및 W/Z 보손 발견 (1970년대 ~ 1980년대)

시몬 판 데르메이르는 1970년대 후반과 1980년대 CERN에서 확률적 냉각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반양성자 축적기에서 반양성자를 양성자-반양성자 콜라이더에 공급하는 데 기여했다.[12] 이 기술은 CERN의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에서 빔당 270 GeV, 질량 중심 에너지 540 GeV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양성자 빔과의 정면 충돌을 위해 강렬한 반양성자 빔을 축적하는 데 사용되었다.[14]

판 데르메이르는 입자 빔의 확률 냉각 기술을 발명했다.[14] 이러한 충돌은 1983년 카를로 루비아가 이끈 UA1 실험에서 처음으로 감지할 수 있었던 W 및 Z 보존을 생성했으며, 이는 수년 전에 이론적으로 예측된 것이었다.[15]

판 데르메이르와 루비아는 이 프로젝트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공로로 1984년 노벨 물리학상을 공동 수상했다.[15] 1970년대에 판 데르 메이르의 ISR 콜라이더 시절은 충돌 빔의 휘도 보정 기술로 이어졌으며, 이는 ISR에서 처음 사용되었고 오늘날 대형 강입자 충돌기(LHC)뿐만 아니라 다른 콜라이더에서도 사용된다. ISR에서의 작업 동안 판 데르 메이르는 조향 자석을 사용하여 두 개의 충돌 빔을 서로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를 통해 유효 빔 높이를 평가하고, 교차점에서 빔 휘도를 평가할 수 있었다. 유명한 '판 데르 메이르 스캔'은 오늘날에도 LHC 실험에서 필수적이다.[12]

70년대 초에 건설된 새로운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 기계의 경우, 그는 굽힘 및 사중극 공급 장치에 대한 기준 전압을 생성하는 것이 사이클을 따라 필드를 측정하는 것을 기반으로 해야 하며 보정 알고리즘의 개요를 제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그의 제안은 7km의 둘레를 가진 SPS와 같이 지리적으로 분산된 시스템을 위한 최초의 컴퓨터 제어 폐쇄 루프 시스템으로 이어졌으며, 이는 1970년대 초반에는 간단한 일이 아니었다.

판 데르메이르의 가속기 지식과 컴퓨터 프로그램은 그가 노벨상을 수상한 발견을 위해 반양성자원 가속기를 제어하고 SPS 콜라이더로 반양성자를 전송하기 위한 매우 정교한 응용 프로그램과 도구를 개발했음을 의미한다. AA 및 AC pbar 소스 복합 기계는 1987년부터 1996년까지 CERN의 가속기 레퍼토리에서 가장 자동화된 기계 세트로 남아 있었다.[13]

3. 5. 노벨 물리학상 수상 (1984년)

판 데르메이르는 입자 빔의 확률 냉각 기술을 발명했다.[14] 그의 기술은 CERN의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SPS)에서 빔당 270 GeV 또는 질량 중심 에너지 540 GeV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양성자 빔과의 정면 충돌을 위해 강렬한 반양성자 빔을 축적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충돌은 1983년 카를로 루비아가 이끈 UA1 실험에서 처음으로 감지할 수 있었던 W 및 Z 보존을 생성했다. W 및 Z 보존은 수년 전에 이론적으로 예측되었으며, 실험적 발견은 CERN의 중요한 성공으로 여겨졌다.[15] 그의 주요 업적은 중간자가 붕괴하여 생성되는 중성미자를 효율적으로 모으는 중성미자 혼과 확률 냉각법을 통해 반양자 빔의 출력을 향상시킨 것이다. CERN의 SPS는 1981년부터 가동되었고, 1983년 W 보존의 생성을 확인했다.

1984년, 판 데르메이르는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장의 기본 입자(약한 보존)의 발견을 이끈 거대 프로젝트에의 공헌"으로 카를로 루비아와 공동으로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15] 판 데르메이르와 어니스트 로렌스는 노벨상을 수상한 유일한 가속기 물리학자이다.[16]

4. 사망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태어났다.[18] 제2차 세계 대전 종전 후 델프트 공과대학교에서 전기 기술을 전공했다.[18] 1952년부터 필립스사에 입사했고, 1954년에 설립된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CERN)에 1956년부터 합류하여 가속기 개발에 기여했다.[18]

1984년, 노벨 물리학상을 "약한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장의 기본 입자(약한 보존)의 발견을 이끈 거대 프로젝트에의 공헌"으로 카를로 루비아와 공동 수상했다.[18]

2011년 3월 4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사망했으며, 향년 85세였다.[18]

5. 수상 및 영예

시몬 판 데르메이르는 입자 빔의 확률 냉각 기술을 발명했다.[14] 그의 기술은 CERN의 슈퍼 양성자 싱크로트론에서 빔당 270 GeV 또는 질량 중심 에너지 540 GeV에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양성자 빔과의 정면 충돌을 위해 강렬한 반양성자 빔을 축적하는 데 사용되었다. 이러한 충돌은 1983년 카를로 루비아가 이끈 UA1 실험에서 처음으로 감지할 수 있었던 W 및 Z 보존을 생성했으며, 실험적 발견은 CERN의 중요한 성공으로 여겨졌다. 판 데르메이르와 루비아는 이 프로젝트에 결정적인 기여를 한 공로로 1984년 노벨상을 공동 수상했다.[15]

판 데르메이르와 어니스트 로렌스는 노벨상을 수상한 유일한 가속기 물리학자이다.[16] 그는 1984년 네덜란드 왕립 예술 과학 아카데미 회원이 되었다.[17]

6. 외부 링크

7. 각주

참조

[1] 웹사이트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4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2009-10-31
[2] 간행물 The W and Z particles: a personal recollection https://cds.cern.ch/[...]
[3] 뉴스 Obituary: Simon Van der Meer https://www.telegrap[...] The Daily Telegraph 2011-03-09
[4] 간행물 Simon van der Meer retires https://cds.cern.ch/[...] 1991-01
[5] Nobelprize
[6] 간행물 Simon van der Meer: a quiet giant of engineering and physics https://cds.cern.ch/[...] 2011-06
[7] 웹사이트 Ancestors of Tjalling Koopmans http://www.familyaff[...] Family Affairs 2010
[8] 서적 Tussen observatie en participatie: twee eeuwen gereformeerde en antirevolutionaire wereld in ontwikkelingsperspectief Uitgeverij Verloren
[9] 간행물 Simon van der Meer (1925-2011): A modest genius of accelerator science 2011
[10] 서적 Simon van der Meer and his legacy to CERN and particle accelerators https://cds.cern.ch/[...] CERN 2012
[11] 간행물 ESS Neutrino Super Beam ESSνSB Design and Performance for Precision Measurements of the Leptonic CP Violating Phase δCP MDPI 2023-11-28
[12] 웹사이트 Calibration of the effective beam height in the ISR https://cds.cern.ch/[...]
[13] 간행물 Aspects of automation and applications in the CERN antiproton source https://cds.cern.ch/[...] 1989-12
[14] 뉴스 Nobel Press Release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1984-10-17
[15] 뉴스 Simon van der Meer http://www.economist[...] The Economist 2011-03-19
[16] 서적 DICTIONARY OF PHYSICS: For students of Class VI to X https://books.google[...] Notion Press
[17] 웹사이트 Simon van der Meer (1925 - 2011) http://www.dwc.knaw.[...] Royal Netherlands Academy of Arts and Sciences 2016-01-24
[18] 뉴스 Nobelprijswinnaar Van der Meer overleden http://www.nu.nl/wet[...] NU 2011-03-04
[19] 웹인용 The Nobel Prize in Physics 1984 http://nobelprize.or[...] The Nobel Foundation 2009-10-31
[20] 저널 인용 The W and Z particles: a personal recollection https://cds.cern.ch/[...]
[21] 뉴스 Nobel Press Release http://nobelprize.or[...] Nobelprize.org 1984-10-17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