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시스템 사고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스템 사고는 얀 스머츠의 홀리즘에서 시작되어 일반 시스템 이론, 사이버네틱스를 거쳐 발전한 학문 분야이다. 시스템 사고는 모든 인간 활동을 환경의 영향을 받는 개방계로 간주하며, 전체성, 상호 의존성, 레버리지 포인트, 시간적 지연, 경로 의존성과 같은 주요 특징을 갖는다.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은 시스템 내 요소 간의 인과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 자기 강화형 루프와 균형형 루프를 통해 시스템의 안정성 및 변동성을 이해하는 데 사용된다. 시스템 사고는 시스템 다이내믹스, 시스템 디자인, 소프트 시스템 방법론 등 다양한 프레임워크와 방법론을 포함하며, 제이 포레스터, 도넬라 메도우즈, 피터 센게 등이 관련 학자로 알려져 있다.

2. 역사

시스템 사고는 얀 스머츠의 홀리즘에서 시작되어, 1940년 루트비히 폰 베르탈란피의 일반 시스템 이론, 1950년대 윌리엄 로스 애시비의 사이버네틱스 등으로 발전했다.[18] 이 분야는 제이 포레스터와 MIT의 조직 학습 협회 회원들에 의해 더욱 발전되었다.

2. 1. 일반 시스템 이론

1945년, 생물학자 루트비히 폰 베르탈란피는 "일반 시스템 이론"을 발표했다. 당시 생물은 기계와 같은 것인지, 아니면 영혼과 같은 별개의 존재가 조종하는 것인지에 대한 "기계론"과 "생기론" 논쟁이 있었지만, 베르탈란피는 생물은 각 기관이 외부 세계와 상호 작용하는 개방계 시스템이라고 정의했다. 그리고 이 시스템의 상태를 유지하는 것(제어하는 것)은 정보라고 생각했다. 이를 바탕으로 생물뿐만 아니라 이 세상의 모든 현상을 시스템으로 파악하여 세상의 문제에 접근하기 위한 이론이 일반 시스템 이론이다.[45]

일반 시스템 이론은 전체론적인 시스템 관점을 가지며, 데카르트환원주의와 대립한다. 이 시스템의 각 요소는 환경이나 시스템의 다른 요소로부터 분리될 경우, 다른 행동을 보인다는 전제에 기초한다.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간의 연결과 상호 작용에 주목하며, 이를 통해 전체의 행동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모든 생물 활동은 개방계이며, 따라서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시스템 이론에서는 복잡계에서 사건은 거리와 시간에 따라 구별되며, 작은 사건이 시스템의 큰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어떤 영역에서의 변화가 다른 영역에서 반대 방향의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수직적인 사고의 폐해를 피하기 위해 모든 수준에서의 유기적인 연결을 강조한다.

2. 2. 사이버네틱스

노버트 위너 등의 사이버네틱스 연구는 루트비히 폰 베르탈란피와 동시대에 이루어졌으며, 생물과 시스템의 관계를 연구했다. 1940년, 위너는 미국 국방연구위원회(NDRC) 주도로 대공 고사포의 사격 제어(자동 추종) 장치 개발 연구에 참여했다. 그는 신경생리학자인 Arturo Rosenblueth|아르투로 로젠블루스영어와의 대화를 통해 피드백 제어라는 인체의 작용과 공통점을 발견하고 공동 연구를 진행했다.[4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항공기 전투가 주를 이루면서, 대공포와 같은 병기에서 적기의 움직임을 예측하고 정확하게 타격하기 위한 제어 기술 개발이 시급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피드백 제어 이론을 도입한 서보 기구가 개발되었다.

1942년, 위너는 로젠블루스 등과 함께 "Extrapolation, Interpolation and Smoothing of Stationary Time Series with Engineering Applications" 논문을 "뇌 억제 회의 (The cerebral Inhibition Meeting)"에서 발표했다.

이 회의에는 사회학자, 생리학자, 신경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참석했다. "사이버네틱스 회의"라고도 불린 이 회의는 이후 "생물학과 사회 과학에서의 피드백 기구와 순환 인과율 시스템에 관한 회의 (The Feedback Mechanisms and Circular Causal Systems in Biology and the Social Sciences Meeting)" (메이시 회의)로 이어졌다.

2. 3. 시스템 다이내믹스

제2차 세계 대전에서 활약한 서보 기구와 전후 북미 방위 시스템 SAGE 개발 책임자였던 제이 포레스터는 경영, 사회 시스템에 피드백 제어 원리를 응용하여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창시했다.[47] 포레스터의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경영 문제뿐만 아니라 도시 문제, 지구 전체의 과제 해결로까지 그 대상을 넓혔다. 1972년 로마 클럽이 제창한 "성장의 한계"에서는 시스템 다이내믹스를 활용한 시뮬레이션 모델을 통해 무제한적인 경제 성장이 자원 고갈, 환경 파괴 등 지구에 심각한 피해를 줄 수 있음을 밝혔다.

그다음 해에 일어난 오일 쇼크는 로마 클럽의 예언이 적중했다고 여겨져, "성장의 한계" 보고서와 포레스터 팀이 작성한 시뮬레이션 모델 『World3』는 세계의 주목을 받았다.

2. 4. 시스템 다이내믹스에서 시스템 사고 (협의)로

시스템 다이내믹스는 시스템 내에서 연결된 요소 간의 관계를 스톡, 플로우, 변수,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화살표의 4가지 종류로 나타낸다. 그 분석(정량 분석)에는 미적분 지식과 전용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도움이 필요하며, 이 구조를 모르는 사람에게 설명하기가 어렵다. 그래서 이 모델의 요소인 변수의 연결, 피드백 관계를 직관적으로 알기 쉽게 설명하는 도구로서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Causal loop diagram)"이 제안되었다.[18]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은 요소 간의 인과 관계를 유향 그래프(다이어그램)로 나타내고, 그 구조를 이용하여 행동의 특징 파악 및 정성적인 분석을 수행하며, 주로 경영·경제 문제의 분석 등 정량적인 파악이 어려운 것에 대해 사용 예가 보인다.[18]

이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정성 모델을 대중화시킨 것은 피터 센게의 저서 "The Fifth Discipline"이며, 이 책은 인과 루프에 의한 시스템 사고를 핵심으로 하면서, 비즈니스의 조직과 인간의 행동, 학습하는 조직에 대해 논하고 있다. 이 책을 계기로 이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정성적 모델링 기법은 "시스템 사고"로 널리 사용되게 되었다.[18]

3. 주요 특징

시스템 사고는 모든 인간 활동을 환경의 영향을 받는 개방계로 간주한다. 복잡계에서는 작은 사건이 큰 변화를 일으킬 수 있고(레버리지 포인트), 한 영역의 변화가 다른 영역에 반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18]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의 구조와 관계성을 확인하고, 시스템을 제어하거나 개입하여 과제 해결을 도모한다.

3. 1. 전체성 (Wholeness)

루트비히 폰 베르탈란피 등이 제창한 일반 시스템 이론에서는 인공물, 생물의 신체, 사회 집단 등 다양한 현상을 시스템으로 파악한다. '시스템으로 파악한다'는 것은, 사물을 부분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전체 구성 요소 간의 연결과 상호 작용에 주목하는 것을 의미한다. 시스템의 각 요소는 각각이 다른 요소나 환경으로부터 분리되면 다른 거동을 한다는 전제에 있다. 시스템 사고는 전체론적인 시점을 가지며, 데카르트환원주의와는 대조적인 사고방식이다.[45]

전체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 간의 연결과 상호 작용에 주목하며, 이를 통해 전체의 행동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한다. 모든 생물 활동은 개방계이며, 따라서 환경의 영향을 받는다. 시스템 이론에서는 복잡계에서 사건은 거리와 시간에 따라 구별되며, 작은 사건이 시스템의 큰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어떤 영역에서의 변화가 다른 영역에서 반대 방향의 변화를 가져올 수도 있다. 따라서, 수직적인 사고의 폐해를 피하기 위해 모든 수준에서의 유기적인 연결을 강조한다.

전체성이란 시스템이 단순한 부분의 집합 이상이며, 전체로서 기능한다는 개념이다. 일반 시스템 이론의 창시자인 루트비히 폰 베르탈란피는 생물학적 시스템을 연구하는 과정에서 부분의 총합 이상의 특성을 갖는 개방계로서의 시스템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전체성의 개념은 복잡한 시스템을 이해하는 데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시스템의 행동은 개별 요소의 특성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으며, 요소 간의 상호 작용에서 발생하는 창발적인 성질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인체는 다양한 기관과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지만, 그 기능은 단순히 개별 기관의 기능 총합이 아니다. 각 기관이 상호 작용함으로써 생명이라는 복잡한 시스템이 유지된다. 마찬가지로, 조직이나 사회 시스템에서도 전체성의 관점은 문제 해결과 의사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3. 2. 상호 의존성 (Interdependence)

제이 포레스터의 연구를 통해 강조된 상호 의존성은 시스템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서로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는 개념이다. 포레스터는 MIT에서의 연구를 통해 산업 및 도시 시스템에서 요소 간 복잡한 상호 작용을 밝혀냈다.

예를 들어, 기업 조직에서 마케팅 부서의 결정은 생산 부서나 재무 부서에 영향을 미치고, 반대로 이러한 부서들의 상황이 마케팅 전략에 영향을 준다. 이러한 상호 의존성을 인식함으로써 조직 전체의 최적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환경 문제에 있어서도 기후 변화, 생태계 파괴, 인간 활동 간의 상호 의존성을 이해하는 것이 지속 가능한 해결책을 찾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3. 3. 레버리지 포인트 (Leverage Points)

레버리지 포인트는 시스템 전체에 큰 영향을 미치는 작은 개입 지점을 의미한다.[49] 이 개념은 환경 과학자 도넬라 H. 메도우즈에 의해 상세히 연구되었다. 메도우즈는 복잡한 시스템에서 작은 변화가 큰 효과를 가져오는 지점을 특정하고 그 중요성을 강조했다. 레버리지 포인트의 특정은 제한된 자원으로 최대의 효과를 얻기 위해 중요하다.

예를 들어, 교육 시스템에서 교사의 질 향상은 학생의 학습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레버리지 포인트가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시 계획에서 대중교통의 정비는 교통 체증 완화나 환경 부하 저감에 큰 효과를 가져올 가능성이 있다.

MIT의 제이 포레스터는 작은 변화로 큰 행동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는 시스템의 지렛대 지점을 어디에서 찾아야 할지 매우 정확하게 추측할 수 있다고 말했다.[18]

3. 4. 시간적 지연 (Time Delays)

시간적 지연은 시스템 내에서 원인과 결과 사이에 존재하는 시간적인 지연을 의미한다. 이는 포레스터의 시스템 다이내믹스 이론의 요소이다. 포레스터는 산업 시스템에서의 재고 관리나 인력 채용 등의 문제에서 이러한 시간적 지연의 영향을 상세히 분석했다[50]。 시간적 지연에 대한 인식은 단기적인 대증 요법이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문제 해결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환경 정책의 효과가 나타나기까지는 오랜 시간이 걸릴 수 있다. CO2 배출 감축책을 실시하더라도 기후 시스템의 관성으로 인해 그 효과가 현저하게 나타나기까지 수십 년이 걸릴 수 있다. 이러한 시간적 지연을 고려하지 않으면 정책의 효과를 과소평가하여 필요한 대책을 소홀히 할 위험이 있다.

3. 5. 경로 의존성 (Path dependency)

경로 의존성은 시스템의 현재 상태와 미래의 가능성이 과거의 결정이나 사건에 의해 강하게 영향을 받는다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경제학자 폴 데이비드나 브라이언 아서(W. Brian Arthur) 등에 의해 발전되었다[51][52]

경로 의존성은 한 번 특정 경로와 기술이 선택되면 이를 변경하는 비용이 높아져 해당 경로에 "록인"될 경향이 있음을 나타낸다. 이는 시스템의 진화나 변화가 반드시 최적의 결과를 가져오는 것은 아닐 수 있음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키보드의 배열(QWERTY 자판)은 타자기의 기계적 제약에 기초하여 설계되었지만, 컴퓨터 시대가 도래했음에도 사용자의 숙련도나 호환성 문제로 인해 변경이 어려워지고 있다. 이는 기술적인 경로 의존성의 전형적인 예이다. 경제 시스템에서도 경로 의존성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산업 집적의 형성 과정에서는 초기 입지 결정이 후속 기업의 입지 선택에 영향을 미쳐 특정 지역에 산업이 집중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경로 의존성의 이해는 장기적인 정책 입안과 전략 수립에 있어서 중요하다. 과거의 결정이 미래의 선택지를 제한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유연성을 유지하면서 바람직한 경로를 선택하는 것이 요구된다.

4.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분석 도구 중 하나인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Causal loop diagram)은 시스템 내 요소 간의 인과 관계를 화살표를 이용해 시각적으로 표현한다. 이 다이어그램은 요소 간의 관계를 명확히 보여주어, 시스템의 행동 특징을 파악하고 정성적 분석을 수행하는 데 유용하다. 특히 경영 및 경제 문제와 같이 정량적 파악이 어려운 분야에서 활용된다.[1]

피터 센게의 저서 "The Fifth Discipline" (번역서 『최강 조직의 법칙』)은 인과 루프를 활용한 시스템 사고를 중심으로 조직과 인간 행동, 그리고 학습하는 조직에 대해 다루고 있다. 이 책을 통해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을 활용한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정성적 모델링 기법은 "시스템 사고"라는 이름으로 널리 알려지게 되었다.[1]

게이오기주쿠 대학 대학원 시스템 디자인·매니지먼트 연구과에서는 시스템 사고를 "광의의 시스템 사고"와 "협의의 시스템 사고"로 구분한다. 전자는 세상을 시스템으로 파악하여 과제 해결을 도모하는 사고법 전체를, 후자는 시스템 다이내믹스의 정성 분석 기법으로서의 시스템 사고를 의미한다.[1]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은 시스템의 주요 변수를 명사로 나열하고,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화살표로 연결하여 시스템의 작동 방식과 패턴을 쉽게 이해하도록 돕는다. 각 화살표는 한 변수가 다른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나타내며, 이러한 영향이 어떻게 피드백되는지를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복잡한 문제 해결에 도움을 받을 수 있으며, 특히 피드백 루프와 시스템 원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1]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의 예시 (영어)

4. 1. 구성 요소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의 기본 요소는 다음과 같다.

  • 변수: 시스템 내의 상태나 양을 나타내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인구", "출생률", "사망률", "경제 성장" 등이 변수가 될 수 있다.
  • 화살표: 변수 간의 인과 관계를 나타낸다. 화살표의 시작점은 영향을 주는 변수이며, 화살표의 끝은 영향을 받는 변수를 나타낸다.
  • 일방향 화살표: 한쪽 변수가 다른 쪽 변수에 일방적으로 영향을 주는 경우
  • 양방향 화살표: 두 변수가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경우
  • 영향의 방향:
  • 정(+)의 피드백: 같은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 (예: 출산율 상승 → 출생 수 증가)
  • 부(-)의 피드백: 반대 방향으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 (예: 출산율 상승 → 사망률 감소)

4. 2. 피드백 루프의 종류

피드백 루프는 시스템 내에서 복수의 피드백으로 구성된 순환으로, 시스템의 안정성이나 변동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요소이다. 피드백 루프는 크게 자기 강화형 루프와 균형형 루프 두 가지로 분류된다. 이 루프들은 시스템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어떻게 변화를 지속하거나 안정을 유지하는지를 설명하는 데 사용된다.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Causal Loop Diagram, CLD)은 시스템 사고에서 시스템 내의 요소들과 그 요소들 간의 인과 관계를 시각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사용되는 도구이다. 인과 루프 다이어그램은 특히 피드백 루프와 시스템의 원형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 자기 강화형 루프: 시스템의 변화를 계속 가속화하는 루프이다. 예를 들어, 인플루언서의 인기가 높아지면 더 많은 팔로워를 끌어들이고, 이는 다시 영향력을 증가시켜 더 많은 팔로워를 확보하는 식으로 변화가 증폭된다.
  • 균형형 루프: 시스템의 변화를 억제하고 안정화시키는 루프이다. 예를 들어, 범죄가 증가하면 경찰 활동이 강화되어 범죄가 감소하는 것처럼, 변화가 수렴되는 경향을 보인다.


이 두 가지 유형의 루프는 시스템 내에서 함께 존재하며, 시스템의 복잡하고 역동적인 움직임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예를 들어, 경제 성장 과정에서 기업 이익 증가와 고용 확대는 자기 강화형 루프로 작용하지만, 과도한 성장은 인플레이션을 유발하여 구매력을 저하시키는 균형형 루프를 통해 억제되기도 한다.

4. 2. 1. 자기 강화형 루프 (Reinforcing Loop)

자기 강화형 루프는 시스템의 변화를 계속 가속화하는 루프이다. 이 루프에서는 어떤 변수의 변화가 다른 변수에 영향을 주고, 그 영향이 원래 변수에 피드백되어 변화가 증폭된다. 이러한 유형의 루프는 시스템이 급격히 성장하거나 악화되는 원인이 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다.

자기 강화형 루프의 예시
예시설명
인플루언서의 인기어떤 인플루언서가 인기를 얻으면, 그 영향력이 더 많은 팔로워를 끌어들이고, 그 결과, 영향력이 더욱 증가한다.
범죄 증가어떤 지역에서 범죄가 증가하면, 그 지역의 치안이 악화되고, 주민의 불안이 높아지며, 경비가 소홀해짐으로써, 더 많은 범죄가 증가한다.
교육 격차높은 교육을 받은 부모가 자녀에게 높은 교육을 제공함으로써, 그 자녀가 더욱 높은 교육을 받고, 다음 세대에도 높은 교육을 제공하는 경향이 강해진다.
사회적 유행특정 패션이나 라이프 스타일이 유행하면, 그 인기가 더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결과적으로 유행이 계속 확산된다.
언어 보급어떤 언어가 널리 사용되게 되면, 그 언어를 배우는 사람이 늘어나고, 더욱 그 언어의 사용 범위가 넓어진다.
전통 유지어떤 전통이 널리 실천되면, 그것을 배우는 사람이 늘어나고, 전통이 더욱 강화된다.
예술 운동어떤 예술 운동이 주목을 받으면, 그 스타일을 모방하는 예술가가 늘어나고, 운동이 더욱 확산된다.
식문화 확대특정 요리가 인기를 얻으면, 그것을 제공하는 레스토랑이 늘어나고, 더욱 그 요리의 인기가 높아진다.
투자 버블어떤 기업의 주가가 상승하면, 많은 투자자들이 그 주식을 구매하고, 더욱 주가가 상승한다.
경제 성장경제가 성장하면, 기업의 이익이 늘어나고, 고용이 확대되고, 소비가 증가하여, 더욱 경제가 성장한다.


4. 2. 2. 균형형 루프 (Balancing Loop)

균형형 루프는 시스템의 변화를 억제하고 안정화시키는 루프이다. 이 루프에서는 어떤 변수의 변화가 다른 변수에 영향을 미치고, 그 영향이 원래의 변수로 피드백되면서 변화가 수렴된다. 이 유형의 루프는 시스템을 안정 상태로 유지하는 데 중요하며, 제어 및 조정 메커니즘으로 작용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예가 있다.

예시설명
치안 유지범죄가 증가하면 경찰 활동이 강화되고, 그 결과 범죄가 감소한다.
교통 체증교통량이 증가하면 정체가 발생하고, 사람들이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교통량이 감소한다.
인구 억제인구가 증가하면 자원이 부족해지고, 그 결과 출산율이 저하되어 인구 증가가 억제된다.
사회 복지실업률이 증가하면 사회 복지 지출이 늘어나고, 실업자가 감소하면서, 다시 사회 복지 지출이 감소한다.
교육 제도교육의 질이 저하되면 교육 개혁이 추진되고, 교육의 질이 향상되어 다시 안정된 상태로 돌아간다.
문화 보존어떤 문화가 사라질 위기에 처하면, 그 보존 활동이 활발해지고, 문화가 보존된다.
언어 보호언어가 소멸 위기에 처하면, 그 언어의 교육 및 보존 활동이 증가하고, 언어의 사용이 유지된다.
전통 행사전통 행사의 참가자가 감소하면, 그 행사의 홍보 및 지원이 강화되어 참가자가 증가한다.
예술 보호예술 작품이 위기에 처하면, 그 보호 활동이 증가하고, 작품이 보존된다.
종교 유지종교의 신자가 감소하면, 포교 활동이 활발해지고, 신자가 증가한다.


4. 2. 3. 자기 강화형 루프와 균형형 루프의 병존

시스템 내에서 자기 강화형 루프와 균형형 루프가 함께 존재하는 것은 흔히 볼 수 있는 현상이다. 이러한 두 루프가 동시에 작동하면서 시스템은 복잡하고 역동적인 움직임을 보인다.

자기 강화형 루프와 균형형 루프가 함께 존재한다는 것은 시스템이 성장과 안정이라는 두 가지 힘을 동시에 가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음은 이러한 병존이 시스템의 움직임을 어떻게 만들어내는지 보여주는 구체적인 예시들이다.

예시자기 강화형 루프균형형 루프
경제 성장과 인플레이션경제가 성장하면 기업의 이윤이 증가하고, 고용이 확대되며, 소비가 증가한다. 이는 다시 경제 성장을 촉진한다.경제 성장이 과열되면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여 물가가 상승한다. 즉,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구매력이 저하되면서 경제 성장이 억제된다.
기술 혁신과 시장 포화기술이 개발되면 신제품이나 서비스가 출시되어 기업의 수익이 증가하고, 이는 다시 기술 개발을 촉진한다.기술 혁신이 지속되면 시장이 포화되어 수요가 공급보다 적어지면서 제품 판매가 정체되고, 결국 기술 개발 속도도 억제된다.
인구 증가와 자원 고갈인구가 증가하면 노동력이 증가하고 경제가 활성화되면서 인구가 더 증가한다.인구가 증가하면 자원 소비도 증가하여 자원이 고갈되고, 생활 수준이 저하되면서 인구 증가가 억제된다.
경제 활동과 환경 문제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면 기업의 이익이 증가하고, 이는 다시 경제 활동을 촉진한다.경제 활동이 활발해지면 환경에 대한 부담이 증가하고, 환경 규제가 강화되면서 경제 활동이 억제된다.


5. 프레임워크와 방법론

시스템 사고를 위한 프레임워크 및 방법론은 다음과 같다.


  • 시스템 다이내믹스
  • 시스템 디자인
  • 시스템 모델
  • 비판적 시스템 사고
  • 시스템 역학
  • 소프트 시스템 방법론
  • 비판적 시스템 휴리스틱:[44] 특히, 사고와 행동을 조직할 때 시스템에 대한 12가지 경계 범주가 있을 수 있다.
  • 비판적 시스템 사고 - E P I C 접근 방식을 포함한다.
  • 개념, 데이터 및 엔티티 간의 표현, 범주의 공식적인 명명 및 정의, 속성 및 관계에 대한 온톨로지 엔지니어링.
  • 소프트 시스템 방법론 - CATWOE 접근 방식 및 리치 픽쳐를 포함한다.
  • 시스템 디자인 - 예를 들어 더블 다이아몬드 접근 방식을 사용한다.
  • 스톡, 흐름 및 내부 피드백 루프의 시스템 다이내믹스.
  • 생존 가능한 시스템 모델: 5개의 하위 시스템을 사용한다.

6. 관련 학자

7. 한국 사회에의 적용

System thinking영어는 한국 사회의 다양한 문제 해결에 적용될 수 있다.

참조

[1] 서적 Systems Thinking Basics: From Concepts to Causal Loops Pegasus Comm., Inc. 1997
[2] 서적 Systems Thinkers Springer 2009
[3] 간행물 Introduction to Systems thinking https://assets.publi[...] Government Office for Science 2012-07-03
[4] 논문 Applications of Systems Thinking in STEM Education https://doi.org/10.1[...] 2019-05-14
[5] 웹사이트 School of System Change: Why Systems Change? https://schoolofsyst[...] 2022-12-06
[6] Youtube Systemic Thinking 101 Russell L Ackoff From Mechanistic to Systemic thinking https://www.youtube.[...]
[7] 뉴스 Scholarly History of Ptolemy’s Star Catalog Index https://www.universe[...] Universe Today 2022-10-14
[8] 논문 Hipparchus Commentary On Aratus and Eudoxus https://www.scribd.c[...] 2017
[9] 서적 Philosophiæ Naturalis Principia Mathematica 1687
[10] 간행물 An attempt to prove the motion of the earth from observations https://echo.mpiwg-b[...] 1674
[11] 논문 On the Concept of a System http://www.jstor.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Philosophy of Science Association 2024-05-31
[12] 서적 Reflections on the Motive Power of Fire 1824
[13] 문서 On Governors 1868
[14] 논문 Maxwell and the Origins of Cybernetics https://www.jstor.or[...] 1971
[15] Youtube Celebrating Maxwell's Genius and Legacy: Prof Rodolphe Sepulchre https://www.youtube.[...] The Royal Society of Edinburgh 2016
[16] 서적 Feedback Systems: An Introduction for Scientists and Engineers, Second Edition https://press.prince[...] 2021
[17] 논문 The Ontology of the Enemy: Norbert Wiener and the Cybernetic Vision https://www.jstor.or[...] 1994
[18] 서적 Thinking In Systems: A Primer 2008
[19] Youtube A Philosophical Look at System Dynamics https://www.youtube.[...] 1977
[20] Youtube Thinking in Systems, Key Ideas (Ch. 1) https://www.youtube.[...]
[21] Youtube Thinking in Systems, Ch. 2: Types of System Dynamics 2a https://www.youtube.[...]
[22] Youtube Thinking in Systems, Ch. 2, Part 2: Limiting Factors in Systems 2b https://www.youtube.[...]
[23] Youtube Thinking in Systems, Ch. 3: Resilience, Self-Organization and Hierarchy 3 https://www.youtube.[...]
[24] Youtube Thinking in Systems, Ch. 4: Why Systems Surprise Us 4 https://www.youtube.[...]
[25] Youtube Thinking in Systems, Ch. 5: System Traps 5 https://www.youtube.[...]
[26] Youtube Thinking in Systems, Ch. 6: Leverage Points in Systems 6 https://www.youtube.[...]
[27] Youtube Thinking in Systems, Ch. 7: Living with Systems 7 https://www.youtube.[...]
[28] 서적 Standard Dictionary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Terms IEEE 1972
[29] 서적 Cybernetics: Or the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the Animal and the Machine MIT Press 1961
[30] 서적 Politics
[31] 논문 The Aristotelianism of Locke's Politics https://www.jstor.or[...] 2009
[32] 서적 History of Animals
[33] 웹사이트 Aristotle's Biology http://plato.stanfor[...] Stanford University 2011-07-27
[34] 서적 The Wealth of Nations https://standardeboo[...] 1776
[35] 서적 The Protestant Ethic and the Spirit of Capitalism
[36] 서적 The Structure of Social Action
[37] 간행물 MIT Radiation Laboratory Series, 28 volumes
[38] Youtube What is a Lyapunov function https://www.youtube.[...] 2021
[39] 서적 From Being To Becoming https://archive.org/[...] Freeman
[40] 서적 Thermodynamic Theory of Structure, Stability and Fluctuations https://books.google[...] Wiley-Interscience
[41] 서적 The Wisdom of the Body W. W. Norton
[42] 서적 A Charles Riches amis, ses collègues, ses élèves Paris: Les Éditions Médicales
[43] 뉴스 Self-Organization, Transformity and Information https://www.science.[...] Science 1988-11-25
[44] 웹사이트 A Brief Introduction to Critical Systems Heuristics (CSH) https://projects.kmi[...] 1987
[45] 서적 General System theory: Foundations, Development, Applications George Braziller
[46] 서적 ウィーナー サイバネティックス――動物と機械における制御と通信 岩波文庫 2011
[47] 문서 Feedback Thought in Social Science and Systems Theory Pegasus Communications
[48] 문서 グラフ理論におけるグラフ。要素とそのつながりを表すダイアグラム。
[49] 웹사이트 レバレッジ・ポイント https://www.change-a[...] 2024-06-24
[50] 웹사이트 The Many Careers of Jay Forrester https://www.technolo[...] 2024-06-24
[51] 논문 Path Creation, Path Dependency, and Alternative Theories of the Firm
[52] 웹사이트 Path Dependence, Lock-In, and History https://personal.utd[...] 2024-06-24
[53] 서적 Systems Thinkers Springe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