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조새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시조새과는 1888년 막스 퓌르브링거가 시조새와 시조새속을 포함하기 위해 만든 시조새목의 유일한 과이다. 2011년에는 참새나 드라오메오사우루스보다 시조새에 더 가까운 모든 동물을 포함하는 분지군으로 정의되었다. 전통적으로 비조류 공룡으로 여겨지는 드라오메오사우루스과는 시조새과에 포함되기도 했지만, 최종적인 분지학적 정의에서는 제외되었다. 안키오르니티스과의 일부 또는 전체가 시조새과로 분류되기도 한다. 시조새과의 유연관계는 계통 분석 결과에 따라 데이노니코사우루스류 또는 조류에 위치한다. 시조새과는 가볍게 만들어진 신체 구조를 가지며, 곤충, 어류, 소형 사지동물을 포식했으며, 비행 능력은 종에 따라 달랐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시조새과 - [생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 | |
학명 | Archaeopterygidae |
명명자 | Huxley, 1871 (보존명칭) |
모식종 | 아르카이옵테릭스 리토그라피카 |
모식종 명명자 | von Meyer, 1861 (보존명칭) |
속 | 아르카이옵테릭스 벨른호페리아 안키오르니스아과? |
이명 | Archaeornithidae Petronievics 1925 Archaeopteridae (sic) Shufeldt 1903 Archornithidae Carus 1875 안키오르니스과? Xu et al. 2016 |
지질 시대 | 쥐라기 전기 (1억 6500만년 전) ~ 백악기 전기 (1억 2200만년 전) |
비고 | 안키오르니스과가 아과로 분류된다면 쥐라기 중기 및 백악기 전기의 기록도 포함될 수 있음. |
2. 분류
과 시조새과는 1888년 막스 퓌르브링어가 시조새를 포함하기 위해 만든 목 시조새목의 유일한 과이다.[9] 2011년 쉬싱 등은 참새나 드로마에오사우루스보다 시조새에 더 가까운 모든 동물을 포함하는 분지군(클레이드)으로 시조새과를 정의했다.[10]
2. 1.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의 관계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는 전통적으로 비조류 공룡으로 여겨졌으나, 일부 연구자들은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를 시조새과에 포함시키기도 했다. 그러나 이 경우 시조새과는 측계통군이 되며, 드로마에오사우루스, 벨로키랍토르(데이노니쿠스와 사우로르니톨레스테스 포함)는 시조새보다 현생 조류와 더 가깝게 된다.[11]초기 조류의 관계는 원시 형태의 화석들이 발견되면서 더욱 복잡해졌다. 벨로키랍토르와 데이노니쿠스는 비행 능력을 가진 조상으로부터 진화했을 가능성이 제기되어 조류로 분류될 수 있다는 주장도 있다. 고생물학자 그레고리 S. 폴은 이러한 이유로 드로마에오사우루스과를 시조새과에 포함시켰지만, 시조새과의 최종적인 분지학적 정의에서는 이들을 명시적으로 제외했다.[11]
안키오르니티스과의 경우, 다양한 계통 연구에서 그 구성원 일부 또는 전체가 시조새과로 분류되기도 한다.[10][12][1]
2. 2. 안키오르니스과의 관계
안키오르니스과는 다양한 계통 연구에서 구성원 일부 또는 전체가 시조새과로 분류되기도 한다.[10][12][1] Cau (2020)의 계통 발생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1]{{clade
|1={{clade
|1=''시조새 리토그래피카''
|2={{clade
|1=''시조새 알버스도어페리''
|2={{clade
|1={{clade
|1=''샤오팅지아''
|2=''이시아노사우루스'' 영어
|2={{clade
|1=''세리코르니스''
|2={{clade
|1=''에오시노프테릭스''
|2={{clade
|1=''안키오르니스''
|2={{clade
|1=''아우로르니스''
|2=''차이홍''
}} }} }} }} }} }} }} }}
}}}}
시조새과의 계통 관계는 연구마다 다르게 나타나는데, 2019년 Hartman 등의 연구에서는 데이노니코사우루스류에,[23] 2020년 Cau의 연구에서는 조류에 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5]
3. 형태
시조새는 가벼운 신체 구조를 가지고 있다. 두개골은 작고 삼각형 모양이며, 이빨도 작고 톱니 모양이 없으며 개수도 적었다. 몸 골격은 현생 조류에서 보이는 흉골과 흉늑골이 없고, 갈고리 돌기도 존재하지 않는다. 사지는 가늘고 길며, 발톱도 작다.[18]
4. 생태
시조새는 곤충이나 어류, 소형 사지동물을 잡아먹었다. 비행 능력은 시조새 속과 종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18]
참조
[1]
논문
The body plan of Halszkaraptor escuilliei (Dinosauria, Theropoda) is not a transitional form along the evolution of dromaeosaurid hypercarnivory
2020-02-25
[2]
논문
'Catalogue of fossil birds 1- Archaeopterygiformes through Ardeiformes'
http://ufdc.ufl.edu/[...]
2015-12-30
[3]
논문
First avialan bird from China (''Jinfengopteryx elegans'' gen. et sp. nov.)
[4]
서적
Glorified Dinosaurs: The Origin and Early Evolution of Birds.
UNSW Press
[5]
논문
A basal dromaeosaurid and size evolution preceding avian flight
[6]
논문
Likelihood reinstates ''Archaeopteryx'' as a primitive bird
[7]
논문
A tooth of Archaeopterygidae (Aves)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France extends the spatial and temporal occurrence of the earliest birds
https://linkinghub.e[...]
2017-05
[8]
간행물
Vertebrate paleobiodiversity of the Early Cretaceous (Berriasian) Angeac-Charente Lagerstätte (southwestern France): implications for continental faunal turnover at the J/K boundary
https://hal.archives[...]
[9]
서적
Untersuchungen zur Morphologie und Systematik der Voegel
Amsterdam, van Halkema
[10]
논문
An ''Archaeopteryx''-like theropod from China and the origin of Avialae
http://www.ivpp.ac.c[...]
2011-07-28
[11]
서적
Predatory Dinosaurs of the World.
New York: Simon and Schuster.
[12]
논문
A new paravian dinosaur from the Late Jurassic of North America supports a late acquisition of avian flight
2019
[13]
논문
'Catalogue of fossil birds 1- Archaeopterygiformes through Ardeiformes'
http://ufdc.ufl.edu/[...]
2015-12-30
[14]
서적
恐竜の教科書 最新研究で読み解く進化の謎
"[[創元社]]"
2019-02-20
[15]
논문
The body plan of Halszkaraptor escuilliei (Dinosauria, Theropoda) is not a transitional form along the evolution of dromaeosaurid hypercarnivory
https://peerj.com/ar[...]
2020-02-25
[16]
논문
A tooth of Archaeopterygidae (Aves) from the Lower Cretaceous of France extends the spatial and temporal occurrence of the earliest birds
https://linkinghub.e[...]
2017-05
[17]
문서
[18]
서적
グレゴリー・ポール恐竜事典 原著第2版
"[[共立出版]]"
2020-08-30
[19]
서적
Untersuchungen zur Morphologie und Systematik der Voegel
Amsterdam, van Halkema
[20]
논문
An ''Archaeopteryx''-like theropod from China and the origin of Avialae
http://www.ivpp.ac.c[...]
2016-11-05
[21]
문서
[22]
논문
A new paravian dinosaur from the Late Jurassic of North America supports a late acquisition of avian flight
2019
[23]
논문
A new paravian dinosaur from the Late Jurassic of North America supports a late acquisition of avian flight
201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