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준 고지도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경준 고지도는 신경준이 제작한 지도로, 현재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89호로 지정된 북방강역도와 강화도 이북해역도를 포함한다. 북방강역도는 황해도에서 백두산에 이르는 지역의 산천, 지명, 거리를 상세히 묘사한 군사용 지도이며, 강화도 이북해역도는 강화도에서 압록강 하구에 이르는 지역의 섬, 거리, 해초, 암초 등을 상세하게 그려 국방상 중요한 관방도로 활용되었다. 신경준은 천문, 지리, 음운학에 능통했으며, 정상기의 동국여지도 등을 감수하고, 강계지, 산수경, 산경표 등의 지리서를 저술했다. 이 지도들은 조선의 국방 및 영토 인식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순창군의 문화유산 - 순창 합미성
순창 합미성은 백제 때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 시대에 군량미 저장 용도로 사용되었고, 내성과 외성을 갖춘 구조적 특징을 보인다. - 순창군의 문화유산 - 낙덕정
낙덕정은 조선 인종 때 김인후의 학덕을 기리고자 1900년 김노수가 김인후가 자주 찾았던 낙덕암 위에 건립한 팔모 단층 정자이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 수운정
수운정은 조선 후기 김낙현이 건립한 정자로, 팔작지붕의 간결한 디자인이 특징이며, 학문 연구 및 교육 공간으로 활용되다가 현재는 마을 사람들의 대화 공간으로 사용된다. - 전북특별자치도의 유형문화재 - 운서정
운서정은 김승희가 부친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지은 정자로, 일제강점기에는 우국지사들의 망국 한을 달래고 독립운동가들이 항일 운동을 논의하던 장소였으며, 현재는 사선대의 관광 명소이다. - 한국의 고지도 - 대동여지도
대동여지도는 김정호가 제작한 한국의 대표적인 고지도로, 전국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다양한 지형지물과 시설물을 기호와 색상으로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였으며, 휴대와 이용이 편리하도록 제작되었다. - 한국의 고지도 -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는 1402년 조선에서 제작된 세계지도로, 이택민의 『성교광피도』, 청준의 『혼일강리도』, 조선과 일본 지도를 바탕으로 조선의 정치적 위상과 세계 지리에 대한 이해를 보여주는 역사적 자료이며, 아프리카, 유럽, 중동 지역에 대한 상세한 묘사와 한반도 및 일본 묘사에서 조선의 관점을 반영하고 있다.
| 신경준 고지도 - [유적/문화재]에 관한 문서 | |
|---|---|
| 고지도 정보 | |
| 이름 | 신경준의 고지도 (申景濬 古地圖) |
| 유형 | 유형문화재 |
| 지정 번호 | 89 |
| 지정일 | 1979년 12월 27일 |
| 주소 | 전북특별자치도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534 |
| 소유자 | 고령 신씨 귀래공파 |
| 시대 | 조선 |
| 문화재청 ID | 21,00890000,35 |
2. 신경준의 지도 제작 배경
신경준은 신말주의 후손으로 천문, 지리, 음운학에 밝았다.[1] 조선 팔도의 산천 지리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지도 제작에 참여했다.
2. 1. 신경준의 학문적 배경
신경준은 신말주(申末舟)의 후손으로 천문, 지리, 음운학에 밝았다. 특히 그는 조선 팔도의 산천 지리에 대하여 자세히 알고 있었기 때문에 왕명으로 정상기의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와 팔도분도 등을 감수하였다. 그의 저서로는 강계지(疆界誌), 산수경(山水經), 도로고(道路考), 산경표 등의 지리서와 여암집(旅庵集)이 있다.[1]3. 북방강역도
북방강역도는 전북특별자치도 유형문화재 제89호 고지도 중 하나로, 신경준이 제작한 것으로 추정된다. 황해도에서 백두산까지 이르는 지역의 산천, 성책, 도서, 지명, 거리 등을 상세하게 묘사하고 있으며,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1]
3. 1. 지도의 크기 및 재질
북방강역도(北方彊域圖)는 지질이 두꺼운 한지로 제작되었으며 가로 73.5cm, 세로 111cm의 대형지도이다. 황해도에서 백두산에 이르는 산천(山川), 성책(城柵), 도서(島嶼), 지명(地名), 거리(距離) 등을 자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특히 백두산 부근의 지명과 마을 이름, 거리 등을 적어 놓아 군사용 지도로 제작된 듯하다.[1]3. 2. 상세 지형 정보
두꺼운 한지로 제작되었으며 가로 73.5cm, 세로 111cm의 대형지도로 황해도에서 백두산에 이르는 산천(山川), 성책(城柵), 도서(島嶼), 지명(地名), 거리(距離) 등을 자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특히 백두산 부근의 지명과 마을 이름, 거리 등을 적어 놓아 군사용 지도로 제작된 듯하다.[1]4. 강화도 이북해역도
강화도 이북해역도는 강화도에서 압록강 하구에 이르는 지역의 섬, 거리, 해초, 암초 등을 상세하게 그린 대형 지도이다. 이 지도는 신경준이 제작하였는데, 그는 천문, 지리, 음운학에 밝았으며, 특히 조선 팔도의 산천 지리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었다. 왕명으로 정상기의 (동국여지도)와 팔도분도 등을 감수하기도 하였다. 그의 저서로는 산경표 등이 있다.[1]
4. 1. 지도의 크기 및 재질
강화도 이북해역도는 북방강역도보다 3배 이상 크다. 북방강역도보다 훨씬 얇은 종이를 사용했으며, 워낙 길기 때문에 가로, 세로로 세 폭의 종이를 붙였고, 세로 아랫부분에도 210cm 가량의 종이를 두 폭 더 붙였다.그래서 가로는 272cm, 세로는 83cm인 대형 지도인데, 우측의 강화도로부터 좌측의 압록강 하구·대하도·소하도·신도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섬들을 모두 그렸으며 거리를 표시하였고 해초(海草), 암초(暗礁)까지 그림으로 나타냈기 때문에 국방상 중요한 관방도이다.[1]
4. 2. 상세 해양 정보
강화도 이북해역도는 가로 272cm, 세로 83cm인 대형지도로, 우측 강화도에서 좌측 압록강 하구·대하도·소하도·신도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섬들을 모두 그렸다.[1] 거리, 해초(海草), 암초(暗礁)까지 그림으로 나타내어 국방상 중요한 관방도로 활용되었다.[1]5. 지도의 의의 및 평가
신경준의 지도는 조선 후기 지리학 및 지도 제작 기술의 발전을 보여주는 중요한 자료이다. 신경준은 정상기의 동국여지도를 감수하고, 산경표 등 다양한 지리서를 저술한 당대 최고의 지리학자 중 한 명이었다.[1]
그의 지도들은 국방 및 영토 인식, 특히 서북 지역과 해양 방어에 대한 조선의 관심을 보여준다. 북방강역도는 황해도에서 백두산까지의 지역을, 강화도 이북해역도는 강화도에서 압록강 하구까지의 지역을 상세히 묘사하여 국방상 중요한 지도였음을 알 수 있다.[1]
5. 1. 조선 후기 지리학 및 지도 제작 기술
신경준은 신말주(申末舟)의 후손으로 천문, 지리, 음운학에 밝았다.[1] 정상기의 <동국여지도(東國輿地圖)>와 팔도분도 등을 왕명으로 감수하였다.[1] 저서로는 강계지(疆界誌), 산수경(山水經), 도로고(道路考), 산경표(山經表) 등의 지리서와 여암집(旅庵集)이 있다.[1]5. 2. 국방 및 영토 인식
신경준이 제작한 북방강역도와 강화도 이북해역도는 조선의 국방 및 영토 인식, 특히 서북 지역과 해양 방어에 대한 관심을 보여준다.북방강역도는 두꺼운 한지로 만들어졌으며, 가로 73.5cm, 세로 111cm의 대형 지도이다. 황해도에서 백두산에 이르는 산천, 성책, 도서, 지명, 거리 등을 자세하게 나타내고 있다. 특히 백두산 부근의 지명과 마을 이름, 거리 등을 기록하여 군사용 지도로 제작된 것으로 보인다.
강화도 이북해역도는 북방강역도보다 3배 이상 크다. 북방강역도보다 얇은 종이를 사용했으며, 가로 272cm, 세로 83cm의 대형 지도이다. 우측의 강화도에서 좌측의 압록강 하구, 대하도, 소하도, 신도에 이르기까지 크고 작은 섬들을 모두 그리고 거리를 표시하였다. 또한 해초, 암초까지 그림으로 나타내어 국방상 중요한 관방도(關防圖)임을 알 수 있다.[1]
6. 신경준의 저서
신경준은 지도 제작 외에도 강계지, 산수경, 도로고, 산경표 등의 지리서와 여암집 등 다양한 지리 관련 저술을 남겼다.[1]
6. 1. 주요 저서 목록
신경준은 천문, 지리, 음운학에 밝았으며, 특히 조선 팔도의 산천 지리에 대해 자세히 알고 있었다. 왕명으로 정상기의 동국여지도와 팔도분도 등을 감수하였다. 저서로는 강계지, 산수경, 도로고, 산경표 등의 지리서와 여암집이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