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화여객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신화여객은 2001년 설립된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1992년 삼산운수로 시작하여 마을버스 운행을 시작했으며, 2001년 시내버스로 전환하며 신화여객으로 변경되었다. 주요 연혁으로는 34번, 37번, 552번, 553번, 555번 등 노선 신설 및 변경, 본사 이전, 타 버스 회사 인수 등이 있다. 현재 34번, 37번, 526번, 555번 등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자일대우, 현대 자동차의 버스를 보유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현대글로비스
현대글로비스는 고객 화물 운송, 보관, 하역을 담당하는 종합물류 회사이며, 해상, 항공, 내륙 운송 등 다양한 사업을 영위하고 현대자동차그룹의 자회사로서 안정적인 매출 구조를 갖추고 있다. - 2001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동아여객
동아여객은 2001년 제일여객 부도 이후 설립된 시외버스 운송 업체이며, 진해, 김해, 거제, 부산 방면으로 시외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창원 시내버스 노선을 공동 배차하며, 다양한 차종을 보유하고 있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 인천 서구의 교통 - 경인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는 서울특별시 양천구 신월동과 인천광역시 서구 가정동을 잇는 총 8차로의 고속도로로, 일부 구간의 고속도로 지정 해제 및 관리권 이관으로 현재 총연장 13.44km이며 서울, 인천, 경기를 연결하는 주요 교통 시설이지만 신월 나들목 부근은 상습 정체 구간이다. - 인천 서구의 교통 -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
수도권제2순환고속도로는 수도권 교통난 해소를 위해 경기도와 인천광역시를 연결하는 총 연장 약 263.4km의 고속도로로, 민간투자 및 국가재정 사업으로 여러 구간으로 나뉘어 건설 중이며 일부 구간은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개통되었고 일부는 2020년대 후반 완공 예정이다.
| 신화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이름 | 주식회사 신화여객 |
| 국가 | 대한민국 |
| 장소 |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 90 (원창동) |
| 사업 지역 | 인천시 연수구, 남동구, 부평구 경기도 부천시 |
| 창립 | 2001년 9월 25일 |
| 인물 | 박진성 (대표이사) |
| 산업 | 운수업 |
| 제품 | 시내버스 |
| 자본금 | 20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10,699,394,329원 (2020) |
| 영업이익 | 230,017,392원 (2020) |
| 순이익 | 195,872,681원 (2020) |
| 자산총액 | 3,290,017,674원 (2020.12) |
| 주주 | 성민버스: 100% |
| 종업원 | 139명 (2020.12) |
| 모기업 | 성민버스 |
2. 주요 연혁
| 날짜 | 내용 |
|---|---|
| 1992년 | 삼산운수로 인천마을버스 회사 설립 |
| 1992년 7월 22일 | 마을버스 부평 4번(554번, 2009년 1월 30일 폐선) 노선 낙찰 및 운행 |
| 1995년 | 부평4-1번(現 555번) 노선 신설 |
| 2001년 9월 25일 | 삼산운수와 산곡운수가 연합하여 신화여객 설립, 박경연 대표이사 취임 |
| 2001년 10월 23일 | 경향여객의 34번 시내버스 인수 |
| 2002년 1월 7일 | 동양지점 설치, 마을버스 노선번호 변경(552번, 553번, 554번, 555번) |
| 2003년 8월 26일 | 본사 이전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 369-19) |
| 2006년 6월 10일 | 37번 버스 노선(삼산농산물시장-송내역(북부)) 신설 |
| 2009년 1월 30일 | 34번 시내버스 노선 변경, 554번 노선 폐선 |
| 2010년 3월 31일 | 본사 이전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93-3), 동양지점 폐지 |
| 2010년 5월 12일 | 한창인, 정판헌 대표이사 취임 (2인 대표이사) |
| 2011년 10월 19일 | 정판헌 대표이사 사임 (1인 대표이사) |
| 2012년 | 선진네트웍스의 성민버스 인수 |
| 2013년 3월 31일 | 본사 이전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2) |
| 2014년 2월 3일 | 한창인, 김재범 공동대표이사 취임 (2인) |
| 2014년 2월 12일 | 본사 이전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 90) |
| 2014년 8월 7일 | 한창인 대표이사 사임, 정판헌 대표이사 취임 (2인 공동대표이사) |
| 2015년 1월 | 555번 노선에 통일형 행선판 부착 |
| 2016년 7월 30일 | 37번 노선 연장, 553번/596번 폐선, 572번 신설 |
| 2016년 9월 1일 | 34번 노선 변경 (구 30번 노선 대체) |
| 2018년 5월 26일 | 37번 노선 기점/종점 변경 |
| 2018년 9월 15일 | 552번 노선 변경 |
| 2020년 12월 31일 | 37번 시내버스 기점과 종점 변경 |
2. 1. 회사 설립 및 성장
- 1992년 삼산운수로 인천마을버스 회사를 설립하였다. 같은 해 7월 22일, 마을버스 부평 4번(554번, 2009년 1월 30일 폐선: 삼산농산물시장 - 갈산역 - 부평구청 - 부평역) 노선을 낙찰받아 운행하였다.
- 1995년 삼산지구 아파트 입주민 증가로 부평4-1번(現 555번) 노선을 신설 개통하였다.
- 2001년 9월 25일, 인천마을버스가 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삼산운수와 산곡운수(前 부평2번, 부평 2-1번)가 연합하여 '''신화여객'''을 설립하고, 박경연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같은 해 10월 23일에는 경향여객이 보유했던 34번 시내버스를 인수하여 운행하였다.
- 2002년 1월 7일,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 369-19에 동양지점을 설치하고, 부평 2번은 552번, 부평 2-1번은 553번, 부평 4번은 554번, 부평 4-1번은 555번으로 노선 번호를 변경하였다.
- 2003년 8월 26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 369-19로 이전하였다.
- 2006년 6월 10일, 인천시내버스 최초로 부천시로 운행하는 37번(삼산농산물시장-삼산지구-부천터미널-현대백화점-송내역(북부)) 버스 노선을 신설 개통하였다.
-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노선 변경으로 34번 시내버스의 "팬더아파트-소구월4거리-모래내시장-석천초등학교" 구간이 "길병원 직선화"로 변경되었고, 삼산지구-부평역 간을 운행하던 554번 노선이 폐선되었다.
- 2010년 3월 31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93-3으로 이전하면서 동양지점을 폐지하였다. 같은 해 5월 12일, 한창인, 정판헌 대표이사가 취임하여 2인 대표이사 체제가 되었다.
- 2011년 10월 19일, 정판헌 대표이사가 사임하면서 1인 대표이사 체제가 되었다.
- 2012년, 선진네트웍스가 보유했던 성민버스를 인수하였다.
- 2013년 3월 31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2 (동춘동)으로 이전하였다.
- 2014년 2월 3일, 공동대표이사로 한창인, 김재범 대표이사가 취임하여 2인 공동대표이사 체제가 되었다. 같은 해 2월 12일, 현 위치인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 90 (원창동)으로 본사를 이전하였다. 같은 해 8월 7일, 한창인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정판헌 대표이사가 취임하여 2인 공동대표이사 체제를 유지하고 있다.
- 2015년 1월, 인천광역시 최초로 통일형 행선판을 부착하여 555번 노선을 운행하였다.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노선개편에 따라 37번 시내버스 노선이 송내역에서 숭덕여자고등학교-만수주공아파트로 연장되었고, 553번, 596번 노선이 폐선되었으며, 572번 노선을 신설해 낙찰받았다. 같은 해 9월 1일, 인천시내버스 2차 노선개편에서 34번 시내버스 노선의 일부 구간인 "남동구-부평구간"의 구 30번 노선을 대체하여 운행 중이다.
- 2018년 5월 26일, 37번 시내버스 노선의 기점이 삼산 서해그랑블아파트에서 삼산 미래타운아파트로 변경되었고, 종점도 만수역에서 남동구청역으로 변경되어 운행하고 있다. 같은 해 9월 15일, 552번 시내버스 노선인 태일연립 - 장수상회 구간의 도로 협소 및 안전 위협으로 인해 기점을 미추홀아파트 - 무지개아파트 구간과 백운역 - 부흥5거리(폐선) 구간의 노선이 변경되어 운행하고 있다.
-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37번 시내버스 기점과 종점이 변경되었다.
2. 2. 경영 변화
- 1992년: 삼산운수로 인천마을버스 회사를 설립하였다.
- 1992년 7월 22일: 마을버스 부평 4번(554번, 2009년 1월 30일 폐선: 삼산농산물시장 - 갈산역 - 부평구청 - 부평역) 노선을 낙찰받아 운행하였다.
- 1995년: 삼산지구 아파트 입주민 증가로 부평4-1번(現 555번) 노선을 신설 개통하였다.
- 2001년 9월 25일: 인천마을버스가 시내버스로 전환되면서 삼산운수와 산곡운수(前 부평2번, 부평 2-1번)가 연합하여 '''신화여객'''을 설립하고, 박경연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
- 2001년 10월 23일: 경향여객이 보유했던 34번 시내버스를 인수하여 운행하였다.
- 2002년 1월 7일: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 369-19에 동양지점을 설치하고, 부평 2번은 552번, 부평 2-1번은 553번, 부평 4번은 554번, 부평 4-1번은 555번으로 노선 번호를 변경하였다.
- 2003년 8월 26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부평구 산곡동 369-19로 이전하였다.
- 2006년 6월 10일: 인천시내버스 최초로 부천시로 운행하는 37번(삼산농산물시장-삼산지구-부천터미널-현대백화점-송내역(북부)) 버스 노선을 신설 개통하였다.
-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노선 변경으로 34번 시내버스의 "팬더아파트-소구월4거리-모래내시장-석천초등학교" 구간이 "길병원 직선화"로 변경되었고, 삼산지구-부평역 간을 운행하던 554번 노선이 폐선되었다.
- 2010년 3월 31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동 93-3으로 이전하고 동양지점을 폐지하였다.
- 2010년 5월 12일: 한창인, 정판헌 대표이사가 취임하여 2인 대표이사 체제가 되었다.
- 2011년 10월 19일: 정판헌 대표이사가 사임하여 1인 대표이사 체제가 되었다.
- 2012년: 선진네트웍스가 보유했던 성민버스를 인수하였다.
- 2013년 3월 31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2 (동춘동)로 이전하였다.
- 2014년 2월 3일: 한창인, 김재범이 공동대표이사로 취임하여 2인 공동대표이사 체제가 되었다.
- 2014년 2월 12일: 본사를 현 위치인 인천광역시 서구 원창로 90 (원창동)으로 이전하였다.
- 2014년 8월 7일: 한창인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정판헌 대표이사가 취임하여 2인 공동대표이사 체제를 유지하였다.
- 2015년 1월: 인천광역시 최초로 통일형 행선판을 부착하여 555번 노선을 운행하였다.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개편에 따라 37번 시내버스 노선이 송내역에서 숭덕여자고등학교-만수주공아파트로 연장되었고, 553번, 596번 노선이 폐선되었으며, 572번 노선을 신설해 낙찰받았다.
- 2016년 9월 1일: 인천시내버스 2차 노선 개편에서 34번 시내버스 노선의 "남동구-부평구" 구간(구 30번 노선)을 대체하여 운행하고 있다.
- 2018년 5월 26일: 37번 시내버스 노선의 기점이 삼산 서해그랑블아파트에서 삼산 미래타운아파트로 변경되었고, 종점도 만수역에서 남동구청역으로 변경되어 운행하고 있다.
- 2018년 9월 15일: 552번 시내버스 노선 중 태일연립 - 장수상회 구간이 도로 협소 및 안전 문제로 인해 미추홀아파트 - 무지개아파트 구간과 백운역 - 부흥5거리(폐선) 구간으로 변경되어 운행하고 있다.
-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37번 시내버스 기점과 종점이 변경되었다.
2. 3. 노선 변화 및 조정
- 1992년 7월 22일: 마을버스 부평 4번(554번, 2009년 1월 30일 폐선: 삼산농산물시장 - 갈산역 - 부평구청 - 부평역) 노선을 낙찰받아 운행하였다.
- 1995년: 삼산지구 아파트 입주민 증가로 부평4-1번(現 555번) 노선을 신설 개통하였다.
- 2001년 10월 23일: 경향여객이 보유했던 34번 시내버스를 인수하여 운행하였다.
- 2002년 1월 7일: 부평 2번은 552번, 부평 2-1번은 553번, 부평 4번은 554번, 부평 4-1번은 555번으로 노선번호를 변경하였다.
- 2006년 6월 10일: 인천시내버스 최초로 부천시로 운행하는 37번(삼산농산물시장-삼산지구-부천터미널-현대백화점-송내역(북부)) 버스 노선이 신설되었다.
-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과 노선 변경으로 34번 시내버스의 "팬더아파트-소구월4거리-모래내시장-석천초등학교" 구간이 "길병원 직선화"로 변경되었고, 삼산지구-부평역 간 554번 노선이 폐선되었다.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노선 개편에 따라 37번 시내버스 노선이 송내역에서 숭덕여자고등학교-만수주공아파트로 연장되었고, 553번, 596번 노선이 폐선되었으며, 572번 노선을 신설해 낙찰받았다.
- 2016년 9월 1일: 인천시내버스 2차 노선 개편에서 34번 시내버스 노선의 "남동구-부평구" 구간이 구 30번 노선을 대체하여 운행 중이다.
- 2018년 5월 26일: 37번 시내버스 노선의 기점이 삼산 서해그랑블아파트에서 삼산 미래타운아파트로 변경되었고, 종점도 만수역에서 남동구청역으로 변경되어 운행하고 있다.
- 2018년 9월 15일: 552번 시내버스 노선인 태일연립 - 장수상회 구간의 도로 협소 및 안전 문제로 기점을 미추홀아파트 - 무지개아파트 구간과 백운역 - 부흥5거리(폐선) 구간으로 노선이 변경되어 운행하고 있다.
-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37번 시내버스 기점과 종점이 변경되었다.
3. 운행 노선
(미래타운4단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