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부천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부천시는 경기도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973년 부천군 소사읍이 시로 승격되면서 시작되었다. '복사골'이라는 별칭처럼 복숭아를 상징하며, 슬로건은 'Fantasia Bucheon'이다. 동쪽으로는 서울특별시, 서쪽으로는 인천광역시와 접하며, 지형은 낮고 완만하며 하천이 발달했다. 온대 하우 기후에 속하며, 1914년 부평군과 인천부의 일부를 통합하여 부천군으로, 1973년 부천시로 승격되었다. 2024년 3개의 구(원미구, 소사구, 오정구)와 37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인구는 2023년 12월 말 기준 77만 9천여 명으로 경기도에서 인구밀도가 가장 높다.

부천시는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 부천국제만화축제 등 다양한 문화 시설과 행사를 통해 문화 도시로 자리매김했다. 교통은 경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서해선, 대곡-소사선 등을 통해 서울, 인천 등 수도권 주요 도시와 연결되며, 부천FC 1995, 부천 하나원큐 등 프로 스포츠 구단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부천시의 행정 구역 - 소사구
    소사구는 1988년 설치되었다가 2016년 폐지된 후 2024년 재설치된 부천시의 구이며, 부천시 구시가지에 해당하고 11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다양한 교육 기관과 철도 노선이 지나간다.
  • 부천시의 행정 구역 - 원미구
    원미구는 1993년 설치되어 2016년 폐지되었다가 2024년 재설치된 경기도 부천시의 옛 행정 구역으로, 20개의 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약 39만 명의 인구가 거주하고 도서관, 경찰서, 문화 시설 등을 갖추고 있다.
  • 경기도의 도시 - 평택시
    평택시는 경기도 남서부에 위치하며, 안성시, 천안시 등과 접하고, 평택항, 해군 제2함대, 주한 미군 기지, 삼성반도체 평택캠퍼스 등 주요 시설과 다양한 기업의 생산 시설을 갖춘 도농복합시다.
  • 경기도의 도시 - 파주시
    파주시는 경기도 북서부에 위치하며, 고조선 시대부터 역사를 이어왔고, 임진강과 한강이 흐르는 대륙성 기후를 띠며, 장단콩 등 특산물과 다양한 문화·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2024년 1월 특례시로 지정되었다.
  • 1973년 설치 - 성남시
    성남시는 1973년 시로 승격되어 분당, 판교신도시 건설로 인구가 급증한 경기도의 기초자치단체로, 광주산맥에 둘러싸인 분지 지형에 위치하며 구시가지와 신도시 생활권으로 나뉘고 IT산업 중심의 판교테크노밸리를 통해 높은 재정자립도를 보인다.
  • 1973년 설치 - 분당동
    분당동은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당시 분점리의 '분' 자와 당우리의 '당' 자를 따서 만들어진 지명에서 유래한 지역이다.
부천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기본 정보
공식 명칭부천시
로마자 표기Bucheon-si
매큔-라이샤워 표기Puch'ŏn-si
유형특정시
국가대한민국
지역경기도 (수도권)
방언경기 방언
면적53.44km²
인구 (2024년 9월)772,450명
인구 밀도16660.78명/km²
행정 구역10개
우편 번호14400-14899
지역 번호(+82)-32-6xx
공식 웹사이트www.Bucheon.go.kr
시장조용익
시장 소속 정당더불어민주당
시의 상징시목: 복숭아나무
시화: 복숭아꽃
시조: 보라매
행정 구역 정보
하위 행정 구역3개 구 37개 동
행정 구역 분류 코드31050
정치 정보
국회의원부천시 갑: 서영석(더불어민주당)
부천시 을: 김기표(더불어민주당)
부천시 병: 이건태(더불어민주당)
기타
시청 소재지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길주로 210
옥길동 일부 지역 번호02
이미지
시청
부천 옹기 박물관
부천시 깃발

2. 지명

부천이란 지명은 1914년부군면 통폐합으로 부평군의 '부'와 인천부의 '천'을 따서 붙인 것이다.[45] 1973년 7월에 부천군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하였고, 1975년 10월에 북쪽의 오정면이 부천시로 합쳐졌다. 부천은 복숭아가 많이 난다고 하여 예로부터 '복사골'이라는 별칭으로 불려 왔는데, 이 때문에 부천시는 복숭아를 상징물로 지정하였고 시목(市木)도 복숭아나무, 시화(市花)도 복숭아꽃이다.[45] 슬로건은 'Fantasia Bucheon'이다.[46][47]

3. 지리

부천시는 경기도 서부 중앙에 있으며 경기도 김포시에서 남동쪽으로 최소거리 기준 26.8km 부천시청 기준 31km 지점에 있다. 한강 이남의 경기도 치고 휴전선과 매우 가까운 지역이다. 동쪽으로 서울특별시 구로구양천구, 북쪽으로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쪽으로 인천광역시 부평구, 계양구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광명시, 시흥시와 접하고 있다.

부평구와 인접한 위치로 인해 지역 국번은 인천광역시와 공용한다.

부천은 해발 고도 50m 미만이 시 전체의 80% 이상이고 경사도 5% 미만이 약 70%로, 대체로 낮고 완만한 지형이다.[49] 동부와 남부에는 200m 안팎의 산지가 있고 북부와 서부에는 여러 지류의 하천이 중동과 오정동에서 합류하면서 넓은 평야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지형은 남동부가 높고 북서부는 낮다. 시가지에서 보면 남부는 성주산(217m)과 할미산(153m), 동부는 원미산(165m)이 완만한 구릉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화강암과 흑운모화강암과 같은 화강암반이 오랜 세월에 걸쳐 침식된 구릉성 산지와 침식평야이다. 이들 중생대의 화산암체는 안양과 관악산북한산의 대보화강암과 일체가 되는 형태이다[49]. 경사가 완만한 침식평야는 배수가 잘 되어 일찌감치 송내동, 심곡동, 소사동, 원미동, 도당동을 따라 밭농사에 적합하여 복숭아 재배가 이루어졌고 취락의 입지에도 유리하여 부천의 구시가를 자리 잡고 있다.

북부와 서부에는 베르네천, 고리울천, 심곡천 등 여러 지류의 하천이 중동과 상동, 오정동에서 굴포천으로 합류하면서 넓은 평야가 형성되었다. 이 지역들은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들로 한강과 그 지류인 굴포천의 범람으로 형성된 충적평야인 부평평야의 일부분이다. 이곳의 토양은 사면의 이동물질과 표토에 포함된 유기물질들이 운반 퇴적된 비옥한 운적토이며 토목기술의 발달과 함께 배수 문제가 해결되면서 넓은 벼농사 지역으로 이용되어 왔다. 낮고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범람원 지역이라서 1984년1987년 여름과 같은 큰 홍수 때는 몇 일간 침수되기도 하였다.[50][51] 심곡동 근처의 옛 지명인 '진말'은 이러한 현상과 관련된 지명이라 할 수 있다.[52] 이 후 배수 시설이 보강되고 중동신도시 및 상동지구가 조성되었다.

부천의 자연 하천으로는 소사동에서 발원하여 중동과 상동을 흐르는 심곡천과 여월동에서 발원하여 원종동과 오정동을 흐르는 베르네천이 있었다.[53] 이들 하천은 198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대부분 복개되어 도로 밑으로 흘렀다.[53] 2000년대 들어서면서 역곡천베르네천의 일부 구간이 복개보다는 도심경관 하천으로 꾸며 지역 주민에게 휴게공간이 되도록 하는 자연형 하천 공사가 이루어졌고 지금은 부족한 유지용수용 지하수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53] 한편 상동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5.5 km의 인공하천인 시민의 강이 조성되었다.[53] 1986년에 복개되어 도로로 이용되는 심곡천의 일부 구간이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도심 건천·복개하천 생태복원사업' 대상으로 선정되었고[53] 2014년부터 서울의 청계천과 비슷한 방식으로 복원하는 공사가 시작되어 복개된지 31년만인 2017년 5월에 완공되었다.[53] 복원된 심곡천은 소명여고 사거리에서 부천시 보건소까지 약 1km 구간이며 폭 18.6m, 수심 25cm의 하천에 하루 21,000t의 물이 흐르고 있다.[54] 이처럼 부천시의 복개된 자연하천의 복원 사업은 자연환경 복원뿐 아니라 낙후된 구도심에 활력을 주기 위한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53]

부천시는 쾨펜의 기후 구분상 온대 하우 기후/냉대 동계 소우 기후(Cwa/Dwa)에 속한다. 연평균 기온은 12 °C이며, 1979년부터 2008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평균 기온은 1월이 -2.4 °C로 가장 낮고, 8월이 25.1 °C로 가장 높다.[55] 연간 강수량은 1,206mm이며, 2월에 19.9mm로 가장 적고 7월에 309.2mm로 가장 많다.[55]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강설일은 14~21일, 황사일은 9~13일, 서리일은 27~44일이다.[5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3.66.511.018.523.326.829.630.627.221.213.57.219.7
평균 최저 기온 (°C)-5.3-3.32.78.113.017.521.822.317.210.12.0-4.07.0
평균 강수량 (mm)20.019.939.964.697.6116.3309.2277.0144.850.549.420.71206.0



지역 대부분이 시가지인 영향으로 열섬현상이 나타나, 봄철 벚꽃 개화일은 남쪽에 위치한 시흥시인천광역시 남동구보다 1~2주 빠르다.

2004년–2020년 평균 기온은 아래와 같다.[1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2.85.611.217.523.627.729.130.826.620.712.54.317.7
평균 최저 기온 (°C)-4.6-2.32.68.313.919.122.623.818.411.44.4-2.99.6
평균 강수량 (mm)11.625.434.965.187.8110.0391.5207.8147.446.958.418.21205.0


3. 1. 위치

부천시는 경기도 서부 중앙에 있으며 경기도 김포시에서 남동쪽으로 최소거리 기준 26.8km 부천시청 기준 31km 지점에 있다. 한강 이남의 경기도 치고 휴전선과 매우 가까운 지역이다. 동쪽으로 서울특별시 구로구양천구, 북쪽으로 서울특별시 강서구, 서쪽으로 인천광역시 부평구, 계양구와 접하며, 남쪽으로는 광명시, 시흥시와 접하고 있다.

부평구와 인접한 위치로 인해 지역 국번은 인천광역시와 공용한다.

3. 2. 지형

부천은 해발 고도 50m 미만이 시 전체의 80% 이상이고 경사도 5% 미만이 약 70%로, 대체로 낮고 완만한 지형이다.[49] 동부와 남부에는 200m 안팎의 산지가 있고 북부와 서부에는 여러 지류의 하천이 중동과 오정동에서 합류하면서 넓은 평야를 형성하여 전체적인 지형은 남동부가 높고 북서부는 낮다. 시가지에서 보면 남부는 성주산(217m)과 할미산(153m), 동부는 원미산(165m)이 완만한 구릉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는 중생대 쥐라기의 대보화강암과 흑운모화강암과 같은 화강암반이 오랜 세월에 걸쳐 침식된 구릉성 산지와 침식평야이다. 이들 중생대의 화산암체는 안양과 관악산북한산의 대보화강암과 일체가 되는 형태이다[49]. 경사가 완만한 침식평야는 배수가 잘 되어 일찌감치 송내동, 심곡동, 소사동, 원미동, 도당동을 따라 밭농사에 적합하여 복숭아 재배가 이루어졌고 취락의 입지에도 유리하여 부천의 구시가를 자리 잡고 있다.

북부와 서부에는 베르네천, 고리울천, 심곡천 등 여러 지류의 하천이 중동과 상동, 오정동에서 굴포천으로 합류하면서 넓은 평야가 형성되었다. 이 지역들은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들로 한강과 그 지류인 굴포천의 범람으로 형성된 충적평야인 부평평야의 일부분이다. 이곳의 토양은 사면의 이동물질과 표토에 포함된 유기물질들이 운반 퇴적된 비옥한 운적토이며 토목기술의 발달과 함께 배수 문제가 해결되면서 넓은 벼농사 지역으로 이용되어 왔다. 낮고 배수가 잘 되지 않는 범람원 지역이라서 1984년1987년 여름과 같은 큰 홍수 때는 몇 일간 침수되기도 하였다.[50][51] 심곡동 근처의 옛 지명인 '진말'은 이러한 현상과 관련된 지명이라 할 수 있다.[52] 이 후 배수 시설이 보강되고 중동신도시 및 상동지구가 조성되었다.

3. 3. 하천

부천의 자연 하천으로는 소사동에서 발원하여 중동과 상동을 흐르는 심곡천과 여월동에서 발원하여 원종동과 오정동을 흐르는 베르네천이 있었다.[53] 이들 하천은 1980년대 이후 급격한 도시화 과정에서 대부분 복개되어 도로 밑으로 흘렀다.[53] 2000년대 들어서면서 역곡천베르네천의 일부 구간이 복개보다는 도심경관 하천으로 꾸며 지역 주민에게 휴게공간이 되도록 하는 자연형 하천 공사가 이루어졌고 지금은 부족한 유지용수용 지하수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53] 한편 상동 신시가지를 중심으로 5.5 km의 인공하천인 시민의 강이 조성되었다.[53] 1986년에 복개되어 도로로 이용되는 심곡천의 일부 구간이 환경부에서 추진하는 '도심 건천·복개하천 생태복원사업' 대상으로 선정되었고[53] 2014년부터 서울의 청계천과 비슷한 방식으로 복원하는 공사가 시작되어 복개된지 31년만인 2017년 5월에 완공되었다.[53] 복원된 심곡천은 소명여고 사거리에서 부천시 보건소까지 약 1km 구간이며 폭 18.6m, 수심 25cm의 하천에 하루 21,000t의 물이 흐르고 있다.[54] 이처럼 부천시의 복개된 자연하천의 복원 사업은 자연환경 복원뿐 아니라 낙후된 구도심에 활력을 주기 위한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53]

3. 4. 기후

부천시는 쾨펜의 기후 구분상 온대 하우 기후/냉대 동계 소우 기후(Cwa/Dwa)에 속한다. 연평균 기온은 12 °C이며, 1979년부터 2008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평균 기온은 1월이 -2.4 °C로 가장 낮고, 8월이 25.1 °C로 가장 높다.[55] 연간 강수량은 1,206mm이며, 2월에 19.9mm로 가장 적고 7월에 309.2mm로 가장 많다.[55] 2004년부터 2009년까지의 자료에 따르면 강설일은 14~21일, 황사일은 9~13일, 서리일은 27~44일이다.[55]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3.66.511.018.523.326.829.630.627.221.213.57.219.7
평균 최저 기온 (°C)-5.3-3.32.78.113.017.521.822.317.210.12.0-4.07.0
평균 강수량 (mm)20.019.939.964.697.6116.3309.2277.0144.850.549.420.71206.0



지역 대부분이 시가지인 영향으로 열섬현상이 나타나, 봄철 벚꽃 개화일은 남쪽에 위치한 시흥시인천광역시 남동구보다 1~2주 빠르다.

2004년–2020년 평균 기온은 아래와 같다.[10]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C)2.85.611.217.523.627.729.130.826.620.712.54.317.7
평균 최저 기온 (°C)-4.6-2.32.68.313.919.122.623.818.411.44.4-2.99.6
평균 강수량 (mm)11.625.434.965.187.8110.0391.5207.8147.446.958.418.21205.0


4. 역사

부천 지역은 삼국시대에 고구려, 백제, 신라의 영토로 차례로 편입되었으며, 통일신라시대에는 장제군으로 불렸다. 고려시대에는 수주, 안남도호부, 계양도호부, 길주목, 부평부 등으로 지명이 바뀌었다.

918년 왕건은 고려를 건설한 후 940년(태조 23년)에는 전국 주·부·군·현의 지명을 고쳤다. 이때 부평의 지명도 장제군에서 수주(樹州)로 바뀌었다.[61] 수주라는 명칭은 시인 변영로의 호가 되었고, 지금 고강동 일부 지역의 지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1150년(의종 4년)에는 전주에 있던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를 수주로 가져오면서 지명도 안남으로 변화되었다.[61] 1215년(고려 고종 2년)에 안남도호부에서 계양도호부(桂陽都護府)로 개칭되었고, 1308년(충렬왕 34년)에 길주목으로 승격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년)에 다시 부평부로 강등되었다.[61]

4. 1. 선사시대

부천의 대표적인 선사 유적으로는 고강동청동기 시대 유적이 있다. 이 유적은 1995년 여름 홍수 때 반달돌칼과 석창 등 매우 정교하게 가공된 석기 유물이 드러나면서 발견되었다.[58] 이후 2005년까지 한양대 박물관과 한양대 문화인류학과에 의해 7차에 걸친 발굴로 총 21기의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제사 유적인 적석환구유구가 확인되었고,[58] 함께 출토된 청동기시대의 대표적인 토기인 민무늬 토기와 간석기류 등은 청동기시대 뿐만 아니라 초기 철기 시대까지 사용된 것으로 판단되어 한강 유역의 초기 국가 단계의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자료가 되고 있다.[58]

4. 2. 삼국시대와 통일신라시대

삼한시대 마한 54소국의 하나인 우휴모탁국(優休牟琢國)을 부천 일대로 비정하는 견해도 있지만, 사료가 부족하다.

삼국시대 부천의 인근 지역인 인천이 백제 미추홀이었던 것에서 유추하여 부천도 백제의 영역에 포함되어 있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475년(장수왕 63) 고구려가 백제를 공격하여 수도인 한성을 함락시키고 한강 일대를 차지하면서 고구려의 주부토(主夫吐)로 기록되어 문헌에 최초로 등장한다. 주부토는 고구려의 지명으로 당시 한강의 지류인 굴포천범람원에 위치하여 황무지였던 땅에 긴 둑을 쌓아 '줄보둑'-'주부토'로 부른 데서 비롯된 말로 추정한다.[59] 6세기에 고구려가 왕위 계승 분쟁이 일어나는 등 정치적 불안이 거듭되자, 551년 부천 일대의 한강 하류 지역을 백제가 수복하였으나, 553년 신라가 급습하여 한강 유역을 점령하였다. 삼국을 통일한 신라는 전국을 9주5소경으로 정비하면서 지명을 한자식으로 변경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고구려식 이름인 주부토군도 긴 둑이라는 뜻의 장제군(長堤郡)으로 변화되었다.[60]

4. 3. 고려 시대

918년 왕건은 고려를 건설한 후 940년(태조 23년)에는 전국 주·부·군·현의 지명을 고쳤다. 이때 부평의 지명도 장제군에서 수주(樹州)로 바뀌었다.[61] 수주라는 명칭은 시인 변영로의 호가 되었고, 지금 고강동 일부 지역의 지명으로 사용되고 있다. 1150년(의종 4년)에는 전주에 있던 안남도호부(安南都護府)를 수주로 가져오면서 지명도 안남으로 변화되었다.[61] 1215년(고려 고종 2년)에 안남도호부에서 계양도호부(桂陽都護府)로 개칭되었고, 1308년(충렬왕 34년)에 길주목으로 승격되었으나 1310년(충선왕 2년)에 다시 부평부로 강등되었다.[61]

4. 4. 조선 시대

조선 건국 후 전국을 8도로 나누었을 때, 부평은 전국 44개 도호부 중 하나로 종3품인 도호부사가 파견되었다. 당시 부평은 강화와 김포를 거쳐 한성 및 해주와 연결되는 한강 수로에 위치하여, 행정구역상 수원진관에 소속되어 인천을 속읍으로 둔 군사적 요충지였다.[62]

중종 때 김안로는 삼남 지방에서 올라오는 조운선들이 인천과 부평 연안을 지나 강화도 염하 수로를 거쳐 한강의 마포나루에서 하역할때 강화도 염하의 거센 물살때문에 조운선들이 좌초되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자 인천 연안에서 한강으로 직접 연결되는 물길을 내서 조운선을 운행하려고 시도하였다. 당시 공사는 한강에서 시작하여 원통이고개까지 수로를 굴착하고 중단되었으나 2011년에 굴포천을 따라 완공된 경인아라뱃길의 원형이 되었다.[62]

고종 32년인 1895년 갑오개혁으로 8도를 폐지하고 23부제를 시행하면서 부평은 인천관찰부에 속한 부평군이 되었다. 당시 부평군은 15개 면으로 구성되었는데, 이 가운데 현재의 부천에 해당하는 곳은 상오정면·하오정면·석천면·주화곶면·옥산면의 일부 지역이었다.

4. 5. 대한제국

개항 이후 인천항을 통해 들어온 많은 외국인들과 교역품들이 서울로 향하면서 그 길목에 해당하는 부천에도 변화의 기운이 움트기 시작하였다. 특히, 1899년 노량진과 제물포를 잇는 경인선이 개통되어 소사역(지금의 부천역)이 설치되면서 현재의 부천이 형성되는 기틀이 마련되었다.[63] 소사역은 광활한 김포평야에서 산출되는 농산물을 모아 인천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하기 위한 목적에서 설치되었다.

소사역이 설치됨에 따라 인근 마을의 주민들이 이주해서 여객을 상대로 한 접객업소와 음식점 등이 생겨났으며, 성주산 서쪽 기슭으로는 가로촌(街路村) 형태의 취락이 발달하였다. 1904년경 일본인들에 의해서 서울을 중심시장으로 하는 근교농업 형태의 복숭아 과수원이 성주산 자락의 사질토양을 배경으로 세워졌고, 경작을 위한 노동력으로 주민들이 늘어나면서 취락의 발달이 촉진되었다.[63]

4. 6. 일제강점기

1914년 일제는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여 인천의 일본 조계 지역과 주변 지역을 인천부로, 나머지 지역과 부평군을 합쳐 부천군으로 개편하였다. 이때 '부천'이라는 지명이 처음으로 등장하였다.[64][4] 부천군은 인천부 일부와 부평군을 중심으로 강화군 일부 섬, 남양군의 대부면과 영흥면의 섬들을 포함하여 15면 160리에 달했다.[64] 당시 부천군청은 문학면 관교리에 있었으며, 현재 부천시 영역은 당시 부천군 15개 면 가운데 계남면·오정면의 대부분 및 소래면의 일부 지역에 해당한다.

섬네일


1919년 3·1운동이 발발하자 부천에서도 격렬한 항일운동이 전개되었다. 1919년 3월 24일 계남면사무소가 군중들의 습격을 받아 조자칭과 판벽 등이 파괴되었다. 이후에도 부천을 중심으로 항일운동이 지속적으로 전개되었다.[4]

1931년 4월 1일 계남면이 소사면으로 개칭되었고,[4] 1941년 10월 1일 소사면이 소사읍으로 승격되었다.[35]

4. 7. 대한민국

1914년 4월 1일 일제에 의해 인천부의 농촌 지역과 부평군강화군 일부(북도면)·남양군 일부(영흥면·대부면)를 '''부천군'''으로 통합하면서 부천이라는 이름이 처음 사용되었다.[32] 1931년 4월 1일 계남면이 소사면으로 개칭되었고,[4] 1941년 10월 1일에는 소사면이 읍으로 승격되었다.[35]

1963년 1월 1일, 서울특별시의 대규모 확장으로 소사읍 일부(고척리, 개봉리, 오류리, 궁리, 온수리, 천왕리, 항리) 및 오정면 일부(오곡리, 오쇠리)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에 편입되었다.[5][36]

기존 지역새로운 지역
오정면오곡리와 오쇠리서울특별시 영등포구오곡리, 오쇠리, 항리, 온수리, 궁리, 천왕리, 오류리, 개봉리, 고척리
소사읍항리, 온수리, 궁리, 천왕리, 오류리, 개봉리, 고척리



1973년 7월 1일 부천군 소사읍이 '''부천시'''로 승격되었으며,[38] 1975년 10월 1일에는 김포군 오정면을 편입하였다. 1983년 2월 15일에는 시흥군 소래읍 일부를 편입하였다.

1988년 1월 1일 부천시는 남구와 중구로 분구되었다.[6] 1993년 2월 11일에는 중구가 원미구오정구로 분구되고, 남구가 소사구로 개칭되었다.

1990년대 중동신도시 개발은 부천시의 급격한 도시화를 가져왔다. 이 사업은 정부의 주택건설계획, 토지자원의 효율적 이용, 도시구조 개편, 대규모 택지개발 및 주택공급을 목적으로 하였다.[65] 중동신도시 개발은 부천시의 도시구조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도시 및 주거환경의 질적, 양적 수준 향상과 함께 기존 도시패턴을 재편성하여 새로운 부천시의 중심으로 활성화되도록 계획되었다.

2016년 7월 4일 책임읍면동제 시행으로 3개 구(소사구, 원미구, 오정구)가 폐지되고 광역동과 행정복지센터 제도로 전환되었다.[6] 그러나 광역동 설치로 인해 일부 지역 주민들의 불만이 높아지면서, 2024년 1월 1일 3개 구를 재설치하고 37개의 행정동을 재설치 및 신규 설치(옥길동)하였다.[7][15][16]

5. 행정 구역

부천시의 행정 구역은 3개 일반구(원미구, 소사구, 오정구)와 37행정동 723통 5,147반으로 구성되어 있다.[66] 면적은 경기도의 0.5%인 53.45km2이며, 개발제한구역은 12.13km2로 전체 면적의 22.7%를 차지한다. 인구는 2023년 12월 말 기준 779,968명이며, 인구밀도는 14,593명/km2이다.[66]

인구의 51%가 신시가지(중부) 지역에 거주하고 있으며, 국회의원 선거구는 4개이다. 2016년 7월 4일에 기존 3개 구청을 폐지하고 10개의 행정복지센터를 두는 책임동제로 변경하였다.[67] 그러나 시민들의 불편을 이유로 2024년 1월 1일 기존의 3구 37동 체계로 돌아갔다.[67]

부천시 행정구역


행정 구역도


2024년 1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각 구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일반구명한자면적
(km2)
인구세대
원미구遠美區20.6393,826174,404
소사구素砂區12.8229,85899,247
오정구梧亭區20155,19070,304
합계53.4778,874343,955

6. 시청

현재 부천시청은 경기도 부천시 원미구 중1동에 있다.

7. 인문환경

7. 1. 인구



부천시의 인구는 2020년 8월 말 기준으로 822,865명이며 인구 밀도는 15,409.45명/km2이다.[68] 이는 경기도에서 가장 높은 수치이다.[68] 0~14세 인구는 12.5%, 65세 이상 인구는 11.6%이다.[68] 생산연령층인 15~64세 인구는 72.2%로 전국평균 75.9%보다 낮고, 유소년인구부양비는 23.1%로 전국 평균인 22.8%보다 높고, 노년인구부양비는 9.8%로 전국 평균인 14.5%보다 낮다.[68] 여자 인구 100명당 남자 인구를 나타내는 성비는 99.87로 남자가 다소 많다.[68] 2020년 6월 말 기준으로 부천시 인구의 약 3%가 외국인이다.[68] 외국인의 국적은 76.9%가 중국 국적이고, 베트남 국적 7.6%, 필리핀 국적 3.2%, 미얀마 국적 1.5% 순이다.[68]

2014년 12월 기준으로 주택보급률은 94.5%이다. 인구이동을 보면 전출자수와 전입자수가 16만 7,701명으로 총인구 대비 19.4%이다. 5세 이상 인구를 기준으로 한 거주자의 약 36%는 현재 살고 있는 집에 산 지 5년이 넘었으나 64%는 5년 이내에 새로 이사온 집에서 살고 있다. 이사 온 64% 중에서 39%는 부천시내에서 이동을 한 것이고, 5%는 경기도의 다른 시군에서, 20%는 서울과 인천을 비롯한 경기도 밖에서 이사 왔다.

부천시의 연도별 인구(내국인) 추이는 다음과 같다.

연도총인구
1975년109,093명
1980년221,397명
1985년456,148명
1990년667,896명
1995년778,693명
2000년757,832명
2005년833,931명
2010년842,482명
2015년843,794명


7. 2. 산업

부천시 공업 지역 위치(2011년)


섬네일


경인공업지역의 핵심지역으로 성장한 도시 전통의 영향으로 통계청 표준산업분류에 따르면 제조업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난다. 부천 시내의 공업지역은 주로 원미구 도당동과 춘의동 지역, 오정구 내동과 신흥동 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으며 그 외 소사구 송내동과 소사동 지역에 일부 발달하고 있다. 제조업체는 8,743 곳이며 종사자 수는 66,226 명이며 비율로 보면 업체수의 비율 16.8%보다 종사자 수의 비율 27.0%이 더 높아 부천시의 산업구조에서 제조업체의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나지만 제조업체의 규모 면에서는 대부분 중소업체가 많음을 알 수 있다.

부천시에는 총사업체 5만 여개, 5인 이상 제조업체 9천8백 여 개로 많은 중소기업이 밀집되어 있다. 특히 오랫동안 지역에 연고를 두고 경인공업지역의 전통을 잇는 중소기업들이 많다.[70]

원미구의 대표적인 기업으로는 시스템 반도체의 쌍두마차인 온세미컨덕터코리아와 DB하이텍을 들 수 있다. 부천은 우리나라 반도체산업이 시작된 곳이다. 1972년 ‘한국반도체’가 세워졌고, 이를 삼성전자가 인수해 삼성의 반도체 신화가 시작된 곳이 부천시 도당동이다. 이곳에는 1984년 4월 삼성의 256K D램 개발을 기념해 석조물에 새겨진 고 이병철 회장의 친필 휘호 ‘반도체 기술의 산실’이라고 새겨진 삼성의 흔적이 남아있다. 지금은 그 자리에서 1999년도에 시스템반도체를 인수한 온세미컨덕터코리아가 전력용 반도체를 생산하고 있다. 동부하이텍은 아날로그 분야 파운드리에 집중하고 있다. 1982년부터 부천에서 텐트와 이동식 부탄가스를 생산하는 코베아도 원미구의 주요 기업이다.

오정구에 있는 주요 중소기업으로는1975년부터 부천에서 라벨기 및 라벨지, 전자카드, 일반저울, 체지방측정기를 생산하는 모텍스, 200여개 종류가 넘는 다양한 맛 김치를 생산하고 상동영상문화단지 한옥마을에 김치체험관을 운영하는 한성김치, 1978년도 동아기전으로 출발해 전자, 전기 제품을 생산하는 동아베스텍을 들 수 있다.

소사구에 있는 주요 중소기업으로는 1973년부터 의약품, 곡분과자, 건강식품을 생산하는 서흥캅셀, 1964년에 설립되어 펌프, 전열기기, 선풍기, 스토브를 생산하는 신한일전기, 1969년도 설립되어 제지기계, 프레스기계, 일반산업기계 등을 주로 생산하는 삼양엔텍을 들 수 있다.

|섬네일|부천시 산업별 종사자 비율(2009년)[69]]]

제조업 이 외에 전국 평균보다 비율이 높게 나타는 업종을 살펴보면 숙박 및 음식점업 및 교육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금융 및 보험업, 부동산업 및 임대업, 예술 스포츠 여가관련 서비스업의 비중이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에 반해 건설업,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 출판영상 방송통신 및 정보 서비스업은 전국 평균보다 그 비중이 적은 편이다.[69]

410px

7. 2. 1. 지역 내 총생산

부천시의 2016년 지역 내 총생산은 17조 1,049억 원으로 경기도 지역 내 총생산의 4.58%를 차지하고 있다. 이 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19억 원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10조 80억 원으로 31.6%의 비중을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1조 6,281억 원으로 68.4%의 비중을 차지한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서울특별시의 위성도시로서 도소매업(9.0%)과 금융 및 보험업(7.7%)과 사업서비스(7.2%), 부동산업 및 임대업(7.1%)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71]

7. 2. 2. 산업별 종사자 현황

2014년 부천시 산업의 총종사자 수는 275,521명으로 경기도 총종사자 수의 6.2%를 차지하고 있다. 이중 농림어업(1차 산업)은 4명으로 비중이 낮고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은 72,635명으로 26.4%의 비중으로 차지하고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은 202,882명으로 73.6%의 비중을 차지한다. 2차 산업과 3차 산업의 비중을 경기도 전체의 비중과 비슷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3차 산업 부문에서는 도소매업(15.0%), 숙박 및 음식점업(10.1%)과 교육서비스업(8.1%), 보건업 및 사회복지서비스업(8.0%)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72]

7. 2. 3. 상주인구와 주간인구

부천시의 2010년 기준 상주인구는 833,475명이고 주간인구는 695,020명으로 주간인구지수가 83으로 낮다. 통근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46,577명, 유출인구는 165,059명이고, 통학으로 인한 유입인구는 191,963명, 유출인구는 26,904명으로 전체적으로 유출인구가 138,455명 더 많은데, 이는 수도권에서 서울특별시와 가깝거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이다.[73] 이는 서울특별시의 높은 집값과 베드타운 현상으로 인해, 서울로 통근, 통학하는 인구가 많기 때문이다.

7. 3. 교통

부천의 급속한 성장은 수도 서울과 그 관문인 항구 도시 인천의 사이에 위치한 관계적 위치와 함께 두 도시를 연결하는 편리한 교통 때문이었다. 1899년 개통된 경인선 철도의 중간 기착지로 소사역(현 부천역)이 세워지면서 역이 위치한 심곡동을 중심으로 시가지가 발달하였다.[74]

경인선 송내역 북쪽 출구 (버스 환승 센터 설치 전)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교통로는 현재는 복복선 전철이 운행되는 경인선 철도의 부천 구간에는 송내역, 중동역, 부천역, 소사역, 역곡역이 있다. 이 외에도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국도인 경인고속도로국도 제46호선 (경인로), 국도 제6호선, 국도 제77호선이 있으며, 기타 주요 간선도로로 길주로, 봉오대로 및 2011년 개통한 서해안로가 있다. 2012년에는 서울 지하철 7호선 연장구간[75]이 길주로를 따라 완공되어 상동역, 부천시청역, 신중동역, 춘의역, 부천종합운동장역, 까치울역을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이들 도로와 철도는 모두 인천과 서울을 연결하는 동서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남북 방향으로는 국도 제39호선이 시흥과 김포를 연결하고 있으며 1998년에 개통된 수도권제1순환고속도로가 주변 인천, 시흥, 김포, 일산을 비롯한 수도권 주요 도시를 연결하고 있다. 영동고속도로의 시점과 연결되는 송내대로 (옛 중동대로)와, 39번 국도와 연결되는 소사로는 남북 방향으로 시가지를 통과하는 도로이다. 이와 함께 2018년 준공된 소사에서 안산 원시 사이의 복선전철 구간과 이후에 이 구간에서 연결될 소사에서 고양 대곡 사이의 철도 구간이 남북방향으로 놓일 예정이다.

부천시를 통과하는 서울 지하철 노선도


부천시는 시내를 서울, 인천 및 인근 도시들과 연결하는 광범위한 시내버스 및 광역버스 네트워크를 갖추고 있다. 부천터미널에서는 전국 각지의 도시와 도를 연결하는 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울 지하철 1호선과 7호선이 부천을 통과한다. 현재 부천에는 부천역송내역을 포함한 서울 지하철 1호선 역 5개와 까치울역, 부천종합운동장역, 춘의역, 신중동역, 부천시청역, 상동역을 포함한 7호선 역 7개가 있다. 상동역은 인천을 지나 부평역에서 종착한다.

부천시에는 현재 2개의 지하철 노선이 건설 중이다. 소사~원시선은 2018년에 개통하여 부천의 1호선 소사역을 안산의 서울 지하철 4호선 초지역과 연결한다. 대곡~소사선은 2022년에 개통하여 소사~원시선과 단일 노선으로 연결된다. 이 노선은 부천 북부 지역에 지하철 서비스를 제공하고 서울 지하철 5호선, 서울 지하철 9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 김포골드라인으로 환승할 수 있는 김포국제공항역과 연결한다. 이 노선은 고양의 대곡역 (고양)에서 종착하며, 서울 지하철 3호선과 경의중앙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또한, 부천시 북부 원정 지역을 홍대입구역과 연결하는 완전히 새로운 지하철 노선이 미래에 건설될 예정이다.[11]

부천터미널 소풍에 2012년, 서울 지하철 7호선부천시청역, 상동역이 인근에 개통되었다.

  • *고속버스는 대구(한진)행 등이 있지만, 상당히 적다.
  • *시외버스가 중심이 되며, 장거리 노선이라도 이곳에서 출발하는 것은 시외버스인 경우가 많다. 부산종합터미널·울산·대구북부시외버스터미널·대전·광주·원주·평택·이천 등으로 가는 노선이 있다.
  • 송내역 시외버스 정류장
  • *성남·수원 등, 시외버스 일부 노선을 이용 가능하다.
  • 공항버스(리무진버스)는 인천국제공항과 부천터미널을 잇고 있다.
  • 일반버스는 서울시청 방면에서 서울시 버스도 진입하는 외에, 여의도 환승센터 방면으로 가는 노선이 많이 운행하며, 거기서 서울시 각 방면으로 환승할 수 있다. 그 외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인천 방면, 시흥시, 안산시로 가는 노선이 있다.

7. 3. 1. 도로 교통

부천시 시가지 내의 도로는 주요 도로가 동서 방향과 남북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어, 격자망의 비교적 규칙적인 형태를 띠고 있다. 이로 인해 길찾기와 교통량 분산이 수월한 편이다.[76] 부천시는 2000년 12월 전국 최초로 버스정보시스템(BIS)을 도입하였고,[76] 현재는 시내버스의 경우 경기버스시스템으로 통합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마을버스는 별도로 부천버스정보시스템[77]을 통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경인전철이 지상으로 다니기 때문에 소사구원미구 사이의 이동이 어려워 교통 정체가 발생하고 있다. 이 6km 구간을 통과하는 남북 방향의 시가지 도로는 7개에 불과하며,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경인전철 지하화가 논의되고 있다.

; 고속도로

; 국도

7. 3. 2. 철도 교통

1987년 양귀자의 연작 소설 <원미동 사람들>에서 그 시절 부천에서 서울까지 지하철로 출퇴근하던 시민들의 고통을 “이 차를 폭파시켜버리겠다!”라는 비명 한 문장으로 형상화할 정도로 혼잡한 출퇴근 전철은 오래된 현상이었다.

이러한 혼잡을 해결하기 위해서 경인선 전철은 1990년대 후반에 복선화되었다. 복선구간에서는 동인천역에서 용산까지 급행열차가 운행되고 있으며 부천시내에서는 송내역, 부천역, 역곡역에 정차하고 있다. 이와 함께 2012년 10월 27일에는 서울 강남으로 연결되는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연장 구간이 개통되면서 출퇴근 시간 교통 흐름이 원활해질 것으로 보인다.

계속해서 남북방향으로는 2018년 준공된 소사역에서 안산 원시역 사이의 복선전철 구간과 이후에 이 구간에서 연결될 소사역에서 고양 대곡역 사이의 철도 구간이 건설되어 2023년에 개통되었다. 이 구간의 철도는 남쪽으로는 원시에서 신설되는 수도권 전철 서해선으로 신안산선이 연결되고 북쪽으로는 대곡에서 교외선을 따라 의정부시철원군이 연결되어 거대한 한반도의 남북 방향 철도의 한 축을 이루게 될 예정이다.

한편, 수도권의 고속 광역 교통망 체계를 갖추기 위하여 국토교통부에서 제안한 고속전철망인 GTX가 논의되고 있다. 계획안에 따르면 부천은 인천 송도에서 시작하여 여의도와 서울 도심을 거쳐 서울 청량리에 이르는 노선 B가 지나가게 된다. 인천 송도에서 서울 청량리까지 49.9km를 운행하는데 약 33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80]
:: (서울특별시 강서구) ← 원종역 -부천종합운동장역 - 소사역 - 소새울역 → (경기도 시흥시 대야동)
:: (서울특별시 구로구) ← 까치울역 - 부천종합운동장역 - 춘의역 - 신중동역 - 부천시청역 - 상동역 → (인천광역시 부평구)

8. 교육 기관

부천시는 도시 규모에 비해 고등교육기관이 많지 않지만, 4개의 대학교가 있다. 가톨릭대학교는 1964년 성심수녀회 수녀들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1975년 부천시에 분교가 설립되었다. 1995년 가톨릭대학교와 통합하여 현재의 가톨릭대학교가 되었다.[81] 서울신학대학교는 1911년 서울 무교동에서 경성성서학원으로 설립되었고, 1974년 현 위치인 소사본동으로 이전하였다.[82] 부천대학교는 1958년 설립된 소사공과기술학교를 모태로 1979년 설립되었다.[83] 유한대학교유한양행의 설립자인 유일한 박사가 세운 유한재단을 통해 설립되었다.[84]

유한대학교 정문


중등교육기관으로는 22개의 일반계 고등학교, 1개의 특수목적 고등학교, 4개의 전문계 고등학교와 함께 32개의 중학교가 있으며, 초등교육기관으로는 64개의 초등학교, 1개 분교, 2개 특수학교(부천상록학교, 부천혜림학교)가 있다.

9. 언론

오정구 오정동에 인천광역시와 경기도 전역을 방송권역으로 하는 민영방송사 OBS경인TV 본사가 있다. SBS와 네트워크 제휴 협정을 맺지 않은 독립 방송사로, 기존에 경인 지역을 가시청권으로 방송하던 경인방송(iTV)가 폐국한 이후 2008년에 경인지역 지상파 TV 사업권을 취득하여 세워진 대한민국 유일의 독립 민영 지상파 방송국이다. 그 외 전국 방송망의 방송국은 KBS는 경인방송센터, MBC·SBS는 서울 본국의 지역이 된다.

10. 문화·관광·여가시설

부천은 서울 수도권의 문화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부천필하모닉오케스트라가 위치해 있으며,[89] 매년 7월에는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라는 국제 영화제가 열리고, 2016년부터 진조크루가 주최하는 부천 B-boy 국제 챔피언십(BBIC)이라는 국제 비보이 대회가 개최된다.

이 도시는 "문학 도시"로 지정되었으며, 2017년부터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의 일원이 되었다.[8]

1997년부터 매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가 개최되고 있다.

2002년, 드라마 《야인시대》 촬영을 위해 오픈 세트를 유치하여 1930년대부터 1970년대까지의 서울 도시 경관을 재현한 촬영소·테마파크인 부천판타스틱스튜디오가 되었다(2011년 폐쇄). 동 스튜디오에서는 영화 《브라더후드》 등 많은 영상 작품이 촬영되었으며, 한일 합작 영화 《역도산》과 일본 영화 《제로의 초점》(2009년판)[39]도 여기서 촬영되었다.

그 외에도 한국 만화의 역사를 알 수 있는 한국만화박물관/한국만화박물관한국어[40](구, 부천만화정보센터) 개관 및 부천국제만화축제/부천국제만화축제한국어,만화 서밋 개최 등의 활동을 하고 있다.

10. 1. 행사 및 축제

부천시에서는 다양한 축제가 개최된다. 1997년부터 매년 부천국제판타스틱영화제(BiFan)가 열리고 있으며,[85] 이 영화제는 판타지 장르뿐만 아니라 코미디, 로맨스, 액션 영화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상영한다. 아시아 최대 규모의 장르 영화제로 성장하였으며, 아시아 판타스틱 영화제작네트워크(NAFF)를 통해 아시아 영화 제작 활성화에도 기여하고 있다.[85]

1999년에는 국내 최초의 학생 중심 애니메이션 전문 영화제인 부천국제애니메이션페스티벌(BIAF)이 개최되었다. 전 세계 학생들의 수준 높은 애니메이션 작품 상영, 발표와 특강, 포럼, 전시 등 다양한 행사를 진행하며, 애니메이션 산업의 전문 인력을 발굴, 육성하고 있다.

부천국제만화축제(Bicof)는 1998년 처음 개최된 이후,[86] 한국 만화산업의 활성화와 국제적인 만화 축제로 성장하였다. 기획 전시, 만화 페어, 이벤트, 학술 행사 등으로 구성되며, 허영만, 강풀 등의 작가 특별전과 프랑스, 이탈리아 등의 해외국가 특별전이 열리기도 했다.[86] 부천시의 만화에 대한 열정은 프랑스 앙굴렘국제만화제에서 2013년 한국 만화 특별전이 열리는 데 큰 역할을 하였다.[87]

1985년 시작된 복사골 예술제는 잊혀져 가는 복숭아 고장의 정취를 되살리고자 하는 취지로 개최되었다.[88] 국악제, 연극제, 무용제 등과 사진콘테스트, 시조경창대회, 궁도대회 등 전국 규모의 행사를 진행하며, 시민 참여 행사로 길놀이, 주부솜씨전, 휘호대회, 가요경연, 백일장, 사생대회 등을 진행한다.[88]

이 외에도 미니어처 테마파크 아이인스 월드에서는 월드 야경 판타지 조명 축제가 매년 열리며,[9] 세계적인 B-보이 그룹 진조 크루(Jinjo Crew)가 주최하는 국제 B-보이 대회인 부천 B-보이 인터내셔널 챔피언십(BBIC)이 2016년부터 개최되고 있다.

부천시는 "문학 도시"로 지정되었으며, 2017년부터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의 일원이다.[8]

10. 2.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

부천 필하모닉 오케스트라는 1988년 창단 이후 새로운 형식의 음악회와 레퍼토리로 클래식 팬들의 사랑을 받아오고 있다. 1989년 서울대 임헌정 교수를 상임지휘자로 영입한 후 더욱 탄탄한 실력과 폭넓은 레퍼토리로 국내 뿐 아니라 세계 무대에서도 명성을 떨치는 국내 최정상 오케스트라로 성장하였다.[89]

부천필은 말러 교향곡 전곡 연주로 유명하다. 1999년부터 2003년까지 이루어진 말러 교향곡 전곡 연주의 성공은 한국에서의 첫 시도였을 뿐만 아니라 말러의 관현악 세계를 완벽하게 재현해낸 탁월한 곡 해석으로 한국 음악사에 한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05년 호암예술상을 수상하였다.[89]

부천필은 매년 복사골 예술제와 시민의 날 경축 음악회, 신년음악회, 송년음악회, 정기연주회 등을 통해 시민들을 위한 활발한 연주활동을 펼치고 있으며 주부들을 위한 모닝콘서트, 어린이와 청소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해설이 있는 음악회 등을 통해 쉽게 클래식 음악을 접할 수 있는 프로그램들을 기획하고 있다.

10. 3. 부천문화재단

부천시는 전국 기초 지자체 최초의 문화재단을 2001년 10월에 설립하였다.[8] 부천문화재단은 상동의 복사골문화센터에 본부를 두고 시민회관을 관리하며 문화정책연구, 공연사업, 문화복지사업, 문화교육사업을 추진하였다. 부천문화재단은 지자체 문화도시 정책의 주요한 일익을 담당하는 파트너로서 기능하였고, 이후에 전국으로 확산되는 기초 지자체 문화재단 설립의 모델로서 벤치마킹 대상이 되었다. 복사골문화센터는 문화와 복지 기능이 통합되어 있으며, 주 대상층은 어린이, 청소년, 여성을 중심으로 생애주기별 문화서비스를 제공하는 복합문화공간으로서의 모델을 제시하였다. 2015년 여성 청소년 분야가 별도의 여성청소년 재단을 추진하면서 문화도시 정책 연구와 문화다양성 증진과 문화예술교육, 공연사업의 전문성을 더욱 강화하고 있다.

10. 4. 한국 만화영상 진흥원

한국만화영상진흥원은 1998년 12월 설립된 만화산업진흥기관과 부천만화정보센터를 전신으로 하여 2009년 9월 확대하여 개원한 공적기관으로, 대한민국 애니메이션의 중심 역할을 하고 있다.[90][91] 만화 전시공간과 열람 공간, 애니메이션 상영관이 있는 한국만화박물관과 만화콘텐츠 생산 기지인 만화비즈니스센터 2개 건물이 있다.[90] 한국만화박물관, 디지털 만화규장각을 운영하면서 만화 인프라 구축하고 만화 및 관련 콘텐츠 제작 지원 사업, 창작지원실 입주지원, 만화 인력의 발굴과 양성, 전문 만화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다.[90] 매년 부천국제만화축제(BICOF)를 주관하고 있고 국제만화가대회 사무국을 통한 국제 네트워크 구축하고 있다.[90][91]

10. 5. 부천시 소재 박물관

부천시는 문화의 도시로 성장하면서 다양한 종류의 박물관을 운영하고 있다.[92][93][94][95][96][97][98][99][100][101][102][89]

  • 부천로보파크: 부천테크노파크 내 로봇산업연구단지 1, 2 층에 건립된 국내외 최초의 로봇상설전시장이다. 지능형 로봇산업을 홍보하고, 신세대들에게 로봇에 대한 꿈과 희망을 심어주는 체험학습 공간이다.[92]
  • 한국만화박물관: 한국만화영상진흥원 내에 있으며 한국 만화 100년의 역사를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작품 및 작가 소개, 체험 전시, 디지털 극장(4D/3D), 만화열람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93]
  • 부천활박물관: 춘의동 종합운동장 내에 있으며, 우리 민족문화로 자리 잡고 있는 각궁을 전시하고 있다. 중요무형문화재 제47호 궁시장 故 김장환, 故 김박영 선생의 뜻을 기리고 각궁 관련 자료, 제조, 유물들을 전시한다.[94]
  • 부천수석박물관: 춘의동 종합운동장 내에 있으며, 수석 및 수석 관련 자료 2,200여 점이 전시되어 있다. 자연의 미를 체험할 수 있는 교육과 문화의 공간이다.[95]
  • 유럽자기박물관: 춘의동 종합운동장 내에 있으며, 18세기부터 근대에 이르는 유럽 자기 및 유리(크리스털) 작품과 앤틱 가구를 전시한다. 독일의 마이센, 프랑스의 세브르, 영국의 자기, 덴마크의 로열 코펜하겐, 헝가리의 헤렌드, 체코슬로바키아, 한국, 중국, 일본의 명품 자기를 접할 수 있다.[96]
  • 부천물박물관: 작동 정수장 내에 있으며, 물의 탄생과 소멸, 물 이용의 역사, 물의 소중함 등을 체험할 수 있는 공간이다. 수돗물 생산 과정을 볼 수 있고, 측우기, 물시계, 작두펌프, 물레방아 등을 체험할 수 있다.[97]
  • 부천교육박물관: 2003년 개관, 춘의동 종합운동장 내에 있다. 조선시대 전적류, 일제강점기 교육자료, 미군정청과 60년대부터 현대까지의 교과서, 참고서, 상장, 학용품 등 학습 자료와 고서가 시대별로 전시되어 있다.[98]
  • 자연생태박물관: 춘의동 381번지에 있으며, 한국의 민물고기 및 공룡 화석 등을 만날 수 있는 자연 체험 학습장이다. 3D 입체 영상, 어린이 동물원, 4월 튤립 전시회, 8월 여름꽃 전시회, 10월 국화 전시회 등이 열린다.[99]
  • 부천식물원: 자연생태박물관 내에 있으며, 부천시의 상징인 복사꽃 모양을 형상화한 유리온실이다. 5개의 테마 식물관(재미있는 식물관, 수생식물관, 아열대식물관, 다육식물관, 자생식물관)과 중앙정원에 총 310종 9,975본이 심어져 있다. 식물전시관, 식물체험관, 그린도서실도 있다.[100]
  • 펄벅기념관: 1967년부터 10년간 심곡본동에서 운영되었던 소사희망원을 복원하여 건립되었다. 펄벅 여사의 박애 및 희생정신을 계승하기 위해 유물 232점이 전시되어 있다.[101]
  • 부천옹기박물관: 2011년 11월 개관, 여월택지지구 내 근린공원에 있다. 상설전시실, 기증자특별전시실, 뮤지엄샵, 체험실, 움집 및 가마터 등이 있다.[102]
  • 세계유명건축물박물관 (아인스월드): 원미구 상동 부천영상문화단지에 있으며, 전 세계 25개국 유명 건축물 71점 등 총 109점의 미니어처가 실제 크기의 1/25로 축소되어 전시되어 있다. 2020년 2월 임대 기간 만료 예정이다.[89]
  • 자전거 문화센터: 오정동 오정대공원에 2009년 개관하였다. 자전거와 관련된 정보를 얻고 체험할 수 있다.[89]

10. 6. 문화재

부천시에는 부천 석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공장공 변종인 신도비, 청평군 한언 신도비, 청천군 한준 신도비, 이한규 묘, 고강동 선사유적지 등이 있다.

10. 7. 시립도서관

부천시에는 현재 원미도서관, 심곡도서관, 북부도서관, 꿈빛도서관, 책마루도서관, 한울빛도서관, 꿈여울도서관, 상동도서관, 송내도서관, 도당도서관, 오정도서관, 동화도서관, 역곡도서관 등 13개의 시립도서관이 운영되고 있다. 2021년 12월 하반기에는 부천 남부 옥길동에 별빛마루도서관이 개관할 예정이다.

10. 8. 여가시설(공원 등)

11. 경제

11. 1. 상업

11. 1. 1. 백화점·대형아울렛, 쇼핑몰

롯데백화점 중동점은 길주로 300 (신중동)에 위치해 있다. 현대백화점 중동점은 길주로 180 (신중동)에 있다. 세이브존 부천상동점은 길주로 105 (상동)에 있다. 뉴코아아울렛 부천점은 송내대로 239 (상동)에 위치해 있으며, 스타필드 시티 부천점은 옥길로 1 (범안동)에 있다. 이들 대형 쇼핑몰은 부천 시민들의 소비 생활에 크게 기여하고 있으며, 특히 롯데, 현대백화점은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11. 1. 2. 대형마트, 창고형마트

11. 1. 3. 영화관

CGV 부천역은 심곡동 부일로 460에 있다.

CGV 부천은 신중동 길주로 180에 있다.

CGV 소풍은 상동 송내대로 239에 있다.

CGV 역곡은 범안동 경인로 505에 있다.

CGV 부천옥길은 범안동 옥길로 124에 있다.

롯데시네마 부천역은 심곡동 부천로 11에 있다.

롯데시네마 부천(신중동역)은 신중동 길주로 280에 있다.

메가박스 부천 스타필드 시티는 범안동 옥길로 1에 있다.

12. 스포츠

부천 종합운동장 전경


부천시는 프로 스포츠 구단으로 부천 하나원큐(여자농구)와 부천 FC 1995(축구)를 두고 있다.

부천은 K리그2 축구단 부천FC 1995와 여자프로농구단 부천 하나원큐의 연고지이다.

종목팀명창립연도홈 경기장
K리그2부천FC 19952007년부천종합운동장
WKBL부천 하나원큐 농구단1998년부천실내체육관



과거에는 K리그의 부천 SK가 연고지였으나,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로 연고지를 옮겨 제주 유나이티드 FC가 되었다. 부천FC 1995는 구 부천 SK 서포터즈를 중심으로 설립된 클럽으로 2013년부터 K리그2에 참가하고 있다.

도시의 급격한 성장이 정점에 도달한 2000년 이후 부천시에는 많은 체육시설이 도시 곳곳에 들어서면서 시민들의 체육 활동의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규모 면에서 가장 큰 부천종합운동장은 부천동에 소재하고 있으며 부천 FC 1995의 홈구장으로 사용되는 주경기장과 보조경기장이 있고 주변에, 야구장 궁도장이 함께 있고 운동장 관람석 건물에는 여러 개의 박물관이 함께 있고, 서울 지하철 7호선의 부천종합운동장역이 개통되어 접근성이 좋다. 오정동의 오정대공원에 있는 오정레포츠센터는 잔디구장과 체육관, 수영장 등의 시설이 있다. 신중동의 부천실내체육관은 주경기장과 함께 잔디구장, 테니스장 등이 있고 여자프로농구팀인 신세계 쿨캣의 홈 경기장이다. 소사본동의 소사국민체육센터는 체육관과 수영장이 있다. 그 밖에 상동의 서촌다목적체육관, 대산동의 송내사회체육관, 중동의 부천시민운동장이 있다.[103]

부천시 관내 학교의 운동부는 초등학교는 모두 18개 학교에서 19개 종목, 중학교는 모두 25개 학교에서 33개 종목, 고등학교는 17개 학교에서 21개 종목이 운영되고 있다.[108]

육상은 고강초, 심곡초, 소사초-성주중, 계남중, 여월중, 부곡중, 부천여중, 심원고에서, 수영은 복사초, 덕산초, 부천남초-부일중-부명고, 도당고에서 운영되고 있다.

야구는 신도초, 부천북초-부천중-부천고와 진영정보고에서, 축구는 계남초, 동곡초, 부인초, 중원초-역곡중, 여월중, 상일중, 계남중-정명고, 경기국제통상고, 진영정보공고에서, 핸드볼은 원종초-부천남중-부천공고에서 탁구는 오정초, 삼정초-내동중, 북여중-중원고에서 운영되고 있다.

배구는 소사초-소사중에서 럭비는 부천북중-부천북고에서, 사이클은 중흥중-부천고에서, 태권도는 부인중, 성곡중, 부천동중, 부흥중, 동여중-소사고, 시온고, 부천정보산업고에서, 복싱은 중원중, 부명중-부천공고, 상동고에서, 사격은 도당중, 원종고에서 검도는 성곡중-심원고에서 양궁은 원미초-상지초에서 볼링은 부명중, 심원중-중흥고에서 운영되고 있다.

송내고의 골프, 덕산중의 근대3종 부일중의 유도부가 있으며

그 밖에도 농구엔 상일고가 있다.

부천시청에 소속을 둔 직장인 운동부는 모두 6개 팀으로 검도부(정원 10명), 육상부(정원 10명), 수영부(정원 9명), 레슬링부(정원 8명), 탁구부(정원 6명), 테니스부(정원 5명)가 있다.[108]

12. 0. 1. 프로 스포츠 구단

부천 하나원큐(여자농구)와 부천 FC 1995(축구)가 있다.

부천은 K리그2 축구단 부천FC 1995와 여자프로농구단 부천 하나원큐의 연고지이다.

종목팀명창립연도홈 경기장
K리그2부천FC 19952007년부천종합운동장
WKBL부천 하나원큐 농구단1998년부천실내체육관



과거에는 K리그의 부천 SK가 연고지였으나,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로 연고지를 옮겨 제주 유나이티드 FC가 되었다. 부천FC 1995는 구 부천 SK 서포터즈를 중심으로 설립된 클럽으로 2013년부터 K리그2에 참가하고 있다.

12. 0. 2. 학교 운동부

부천시 관내 학교의 운동부는 초등학교는 모두 18개 학교에서 19개 종목, 중학교는 모두 25개 학교에서 33개 종목, 고등학교는 17개 학교에서 21개 종목이 운영되고 있다.[108]

육상은 고강초, 심곡초, 소사초-성주중, 계남중, 여월중, 부곡중, 부천여중, 심원고에서, 수영은 복사초, 덕산초, 부천남초-부일중-부명고, 도당고에서 운영되고 있다.

야구는 신도초, 부천북초-부천중-부천고와 진영정보고에서, 축구는 계남초, 동곡초, 부인초, 중원초-역곡중, 여월중, 상일중, 계남중-정명고, 경기국제통상고, 진영정보공고에서, 핸드볼은 원종초-부천남중-부천공고에서 탁구는 오정초, 삼정초-내동중, 북여중-중원고에서 운영되고 있다.

배구는 소사초-소사중에서 럭비는 부천북중-부천북고에서, 사이클은 중흥중-부천고에서, 태권도는 부인중, 성곡중, 부천동중, 부흥중, 동여중-소사고, 시온고, 부천정보산업고에서, 복싱은 중원중, 부명중-부천공고, 상동고에서, 사격은 도당중, 원종고에서 검도는 성곡중-심원고에서 양궁은 원미초-상지초에서 볼링은 부명중, 심원중-중흥고에서 운영되고 있다.

송내고의 골프, 덕산중의 근대3종 부일중의 유도부가 있으며

그 밖에도 농구엔 상일고가 있다.

12. 0. 3. 직장인 운동부

부천시청에 소속을 둔 직장인 운동부는 모두 6개 팀으로 검도부(정원 10명), 육상부(정원 10명), 수영부(정원 9명), 레슬링부(정원 8명), 탁구부(정원 6명), 테니스부(정원 5명)가 있다.[108]

13. 인물

부천시는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유일한 박사는 1895년 평안남도 평양에서 태어났으나, 1936년 부천시 심곡본동 일대에 우리나라 최초로 근대적 제약공장을 세워 제약입국의 의지를 실천하였다. 해방 후에는 고려공과학원을 시작으로 유한중학교, 유한공업고등학교, 유한대학교로 규모를 키워 인재 양성에 힘썼다. 사후에는 기업과 개인 재산 전부를 공익법인에 기증하여 청지기 정신을 실천한 기업인으로, 부천시 중앙공원에 그의 동상이 있다.

독립운동가이자 교육자인 한항길 선생은 부천군 문학면 동천리(현 인천 동촌동)에서 태어났다. 3.1 독립운동에 참여하여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으며, 소사공업기술학교, 학교법인 한길학원과 부천대학교를 세워 교육에 힘썼다. 건국훈장 애족장이 수여되었고, 부천시 중앙공원에 그의 동상이 있다.

변영로 시인은 1898년 서울에서 태어났으나, 그의 아호인 수주(樹州, 고려 때 부천의 행정명칭)가 말해주듯 고향은 부천이다. 그의 기념비와 묘소가 부천시 고강동에 있으며, 대표작 '논개'를 비롯한 그의 작품은 일제 강점기 민족의 해방을 바라는 마음과 민족혼을 잘 표현했다. 중앙공원에는 수주 변영로 시비가 있다.

목일신 선생은 "자전거", "누가 누가 잠자나", "자장가" 등을 작곡했으며, 부천 범박동에서 26년간 살았다. 1982년 국민 표창을 수상하였고, 그의 작품은 우리 민족의 정서를 잘 표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부천시는 목일신 선생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2017년 7월 범박동에 있던 괴안근린공원을 "목일신 근린공원"으로 명칭을 변경했다.

정지용 시인은 '향수'로 유명하며, 2차 대전 중 일제의 소개령으로 부천시에 정착했다. 천주교도인 그는 부천지역 최초의 성당인 소사성당을 세웠다.

이 외에도 부천시 출신 인물로는 최상현(Sakiroo), 추예진, 백현(EXO 멤버)[41], 김설현, 이하이, 김희정, 류수영, 문별(마마무 멤버), 김연아(피겨스케이팅 선수), 최소라, 케이티 김, 바다, 진호(펜타곤 멤버), 송이한, 유나(브레이브걸스 멤버), 최리(이달의 소녀 멤버), 김근태(정치인), 금민철, 최훈락, 김하성(프로야구 선수) 등이 있다.

14. 자매 도시

미국 캘리포니아주 베이커스필드 (2006)[13]

중국 하얼빈 (1995)[13]

러시아 하바롭스크 (2002)[13]

필리핀 발렌수엘라 (2008)[13]

14. 1. 대한민국 국내

부천시는 대한민국 경기도 화성시,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충청남도 공주시, 충청북도 옥천군, 전라남도 진도군, 전북특별자치도 무주군, 경상북도 봉화군, 경상남도 남해군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4. 2. 해외

중국 헤이룽장성 하얼빈시와 1995년 11월 28일 자매결연을 맺었다.[13]

14. 3. 우호도시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는 2002년 2월 26일 부천시와 우호도시 관계를 맺었다.

15. 교류

전국다문화도시협의회, 전국평생학습도시협의회, 전국대도시시장협의회, 대한민국건강도시협의회에 가입되어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서적 3.Urbanization and its Impact on Seoul, Korea https://web.archive.[...] Taiwan NGO Professionalization Watch 2016-02-17
[3] 뉴스 부천시, 상동 영상단지 내 초대형 신세계 복합쇼핑몰 건립 '논란'… 시민단체 '반발' http://news.heraldco[...] 2016-05-16
[4] 웹사이트 ★ 꿈을 이루는 도시 - 부천시 홈페이지입니다 ★ https://web.archive.[...] 2008-01-14
[5] 기타 Alteration of regions concerning Seoul, provinces, counties and districts(1962-11-21)
[6] 뉴스 부천시 '구 폐지' 효과 벌써 벤치마킹 http://www.incheonil[...] 2016-07-13
[7] 웹사이트 2024년 1월 1일부터 달라지는 부천의 모습! https://www.welfareh[...] 2024-10-10
[8] 뉴스 Bucheon becomes UNESCO City of Literature http://english.yonha[...] 2018-10-03
[9] 뉴스 [Travel Bits] Festivals, sights around Korea http://www.koreahera[...] 2018-06-03
[10]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6-07
[11] 뉴스 국토부, 부천 원종~서울 홍대입구 광역철도 최종 확정 http://news1.kr/arti[...] 2016-06-21
[12] 웹사이트 BOEM http://bucheonchurch[...]
[13] 웹사이트 International & Domestic Exchange http://bucheon.go.kr[...] Bucheon 2020-04-14
[14]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5] 뉴스 불편한 '부천시 광역동' 4년 만에 폐지…3개 구 재설치 https://www.yna.co.k[...] 2023-06-20
[16] 웹사이트 자치법규정보시스템 > 자치법규 본문 - 부천시 행정기구 설치 조례 https://elis.go.kr/a[...] 2023-12-30
[17] 기타 (新旧対照)朝鮮全道府郡面里洞名称一覧(1917年)
[18] 기타 桂南面は富平郡水呑面、玉山面、石川面の合面。
[19] 기타 吾丁面は富平郡注火串面、上吾丁面、下吾丁面の合面。
[20] 기타 富内面は富平郡郡内面、西面、馬場面、同所井面の合面。
[21] 기타 桂陽面は富平郡東面、堂山面、黄魚面の合面。
[22] 기타 西串面は富平郡毛月串面と石串面の合面。
[23] 기타 文鶴面は仁川府旧邑面と西面の合面。
[24] 기타 多朱面は仁川府多所面と朱安面の合面。
[25] 기타 南洞面は仁川府南村面と鳥洞面の合面。
[26] 기타 蘇萊面は仁川府新峴面、田反面、黄等川面の合面。
[27] 기타 富川郡に所属する前は仁川府所属だった。
[28] 기타 19세기 중반에 제작된 대동여지도에서는 이작리를 인천부(덕적면)의 관할로, 승봉리를 남양군(영흥면)의 관할로 표시하고 있다. http://mirror.puzzle[...]
[29] 기타 富川郡に所属する前は南陽郡所属だった。
[30] 기타 富川郡に所属する前は南陽郡所属だった。
[31] 기타 富川郡に所属する前は江華郡所属だった。
[32] 기타 朝鮮総督府令第111号(1913年12月29日)
[33] 기타 朝鮮総督府令第93号(1936年9月26日)
[34] 기타 朝鮮総督府令第40号(1940年3月28日)
[35] 기타 朝鮮総督府令第253号(1941年9月29日)
[36] 법률 서울특별시∙도∙군∙구의관할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62-11-21
[37] 법률 시∙군관할구역변경및면의폐치에관한법률 1962-11-21
[38] 법률 시설치와군의폐치분합에관한법률 1973-03-12
[39] 웹사이트 「ゼロの焦点」の撮影地、富川ファンタスティックスタジオで映画のヒロインになる http://www.ab-road.n[...] リクルートホールディングス|リクルート 2009-11-27
[40] 웹사이트 富川市hp韓国漫画博物館の説明 http://bucheon.go.kr[...]
[41] 웹사이트 아이돌 고향을 찾아서① 우리 고향 아이돌 누가 있을까 http://sports.khan.c[...] 스포츠경향 2017-06-23
[42] 웹페이지
[43] 웹페이지
[44] 웹페이지
[45] 웹사이트 나무, 꽃, 과일, 새 http://www.bucheon.g[...]
[46] 웹페이지
[47] 웹인용 워드마크 https://web.archive.[...] 2018-02-10
[48] 웹페이지
[49] 웹인용 부천 향토문화백과>>삶의 터전>자연지리>지질·지형 http://bucheon.grand[...] 디지털부천문화대전 2012-03-23
[50] 웹인용 1984년 상동 신상리 수해현장 http://blog.naver.co[...] 이재진의원의 부천史박물관 2012-05-07
[51] 뉴스 서울, 중부 폭우 동아일보 1984-09-01
[52] 웹인용 남편 팔아서 장화신은 마을 깊은구지 http://bucheon.grand[...] 디지털부천문화대전 2012-10-16
[53] 웹사이트 심곡복개천 복원 후 새롭게 선보일 밑그림이 완성됐습니다. http://www.bucheon.g[...] 부천시청 공감시정 2015-04-02
[54] 뉴스인용 부천 심곡천 콘크리트 걷어내고 31년만에 생태하천으로 http://www.hani.co.k[...] 한겨레 2019-08-18
[55] 웹인용 2010년 부천시 기본통계 http://conn.bucheon.[...] 2012-03-23
[56] 웹사이트 부천시 통계연보 http://stat.kosis.kr[...] 통계청
[57] 웹사이트 부천의 역사 http://www.bucheon.g[...] 부천시 부천역사관 2015-02-19
[58] 웹인용 부천 향토문화백과>시대>선사>청동기>고강동선사유적주거지 http://bucheon.grand[...] 디지털부천문화대전 2012-03-23
[59] 웹인용 부천 향토문화백과>시대>고대>삼국시대>주부토 http://bucheon.grand[...] 디지털부천문화대전 2012-03-23
[60] 웹인용 부천 향토문화백과>시대>고대>남북국시대>장제군 http://bucheon.grand[...] 디지털부천문화대전 2012-03-23
[61] 웹인용 부천 향토문화백과>시대>고려>고려전기>안남도호부 http://bucheon.grand[...] 디지털부천문화대전 2012-03-23
[62] 웹사이트 아라뱃길 소개 http://www.giwaterwa[...] 경인아라뱃길 2011-12-31
[63] 웹인용 부천 향토문화백과>부천의 특별한 이야기>한국 최초의 복숭아, 소사 복숭아 http://bucheon.grand[...] 디지털부천문화대전 2012-03-23
[64] 웹인용 한국근대 지도자료 1919년 발행 조선오만분지일 지형도 김포 인천 경성 군포장 일부 https://web.archive.[...] 2012-06-19
[65] 웹사이트 1기 신도시 기본정보 http://land.kbstar.c[...] KB 국민은행 신도시/뉴타운/택지개발지구
[66] 웹사이트 부천시행정구역 http://www.bucheon.g[...] 2024-02-03
[67] 웹사이트 부천시 행정구역 http://www.bucheon.g[...] 부천시청 2018-09-02
[68] 웹인용 2010년 부천시 기본통계 http://conn.bucheon.[...] 2012-03-23
[69] 웹인용 2010년 부천시 기본통계 http://conn.bucheon.[...] 2012-03-23
[70] 웹인용 중소기업의 천국 부천시의 영광을 재현합시다. https://web.archive.[...] 2012-10-17
[71] 웹사이트 경기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72] 웹사이트 경기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73] 웹사이트 경기도 기본통계 및 2010 인구주택 총조사 http://kosis.kr/stat[...]
[74] 웹사이트 부천시 ITS 시스템 구성 http://www.bcits.go.[...] 2021-05-06
[75] 웹사이트 인천교통공사 소속 변경 및 인천 도시철도 일부 구간 지정
[76] 뉴스 전국 최초 교통정보센터 돌아보니 http://reporter.kore[...] 공감코리아 2009-09-02
[77] 웹사이트 부천버스정보시스템 http://www.bucheon.g[...] 2012-12-15
[78] 뉴스 출근시간 수도권에서 사람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는 지하철역은?(제686호)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07-11-23
[79] 뉴스 가자 출근길, 굽이굽이쳐 가자(제686호) http://h21.hani.co.k[...] 한겨레21 2007-11-23
[80] 웹사이트 GTX 제안노선 http://www.gtx.go.kr[...] 2012-08-14
[81] 웹사이트 가톨릭대학교 연혁 http://www.cuk.ac.kr 2004-09-24
[82] 웹사이트 서울신학대학교 연혁 http://www.stu.ac.kr[...] 2013-05-11
[83] 웹사이트 부천대학교 연혁 http://www.bc.ac.kr/[...] 2012-01-03
[84] 웹사이트 설립자 유일한 http://www.yuhan.ac.[...] 2010-06-09
[85] 웹사이트 영화제 소개 http://www.pifan.com[...] 2012-02-20
[86] 웹인용 부천향토문화백과>삶의 내용2>문화>지역축제·행사>부천국제만화축제 http://bucheon.grand[...] 디지털부천문화대전 2012-03-23
[87] 뉴스 내년 프랑스서 만화한류 ‘K-코믹스’ 뜬다 http://www.hani.co.k[...] 한겨레 신문 2012-03-07
[88] 웹인용 부천향토문화백과>삶의 내용2>문화>지역축제·행사>복사골예술제 http://bucheon.grand[...] 디지털부천문화대전 2012-03-23
[89] 서적 부천, 이렇게 태어났어요. 부천시 홍보관실 2011
[90] 웹사이트 한국만화영상진흥원 http://www.bucheon.g[...] 2015-09-23
[91] 웹사이트 사업소개 http://www.komacon.k[...] 2012-10-27
[92] 웹인용 로보파크소개 http://www.robopark.[...] 2012-03-23
[93] 웹인용 박물관소개 http://comicsmuseum.[...] 2012-03-23
[94] 웹인용 부천시활박물관 http://www.bcmuseum.[...] 2012-03-23
[95] 웹인용 부천시수석박물관 http://www.bcmuseum.[...] 2012-03-23
[96] 웹인용 유럽자기박물관 http://www.bcmuseum.[...] 2012-03-23
[97] 웹사이트 부천시 박물관 http://www.bucheon.g[...] 2016-03-07
[98] 웹인용 부천교육박물관 http://www.bcmuseum.[...] 2012-03-23
[99] 웹사이트 부천 자연생태 박물관 http://www.ecomuse.g[...] 2007-12-13
[100] 웹사이트 부천 식물원 http://conn.bucheon.[...]
[101] 웹사이트 펄벅기념관 http://www.pearlsbuc[...]
[102] 뉴스 부천 박물관의 새 명소‘옹기박물관’(205호 4쪽) http://www.bucheon.g[...] 복사골부천 2011-10-20
[103] 웹사이트 부천시 스포츠시설 http://www.bucheon.g[...] 2012-12-15
[104] 웹사이트 구단 연혁 http://www.coolcat.c[...]
[105] 웹사이트 구단 소개 http://www.jeju-utd.[...] 2007-05-27
[106] 웹사이트 구단 연혁 http://bfc1995.cafe2[...]
[107] 뉴스 부천FC 간부들 "무급 봉사하겠다" 운영에 힘보태 훈훈 http://sports.chosun[...] 스포츠조선 2012-10-13
[108] 웹사이트 부천시 운동부 현황 http://www.bucheon.g[...] 2016-03-2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