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강인여객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강인여객은 1979년 설립된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1990년대 후반 좌석버스 사업을 확장했으며, 2000년대 초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맞춰 관련 노선을 운행하며 성장했다. 현재는 간선버스, 급행 간선버스,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과거에는 여러 노선을 타사에 양도하거나 폐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강인여객 계열사 - 미래교통 (인천)
    미래교통 (인천)은 인천광역시에서 111번, 117번, 304번 등의 시내버스 노선을 운영하며 십정동, 청라국제도시, 인천국제공항 등 인천과 서울의 주요 지역을 연결하는 버스 운송 기업으로, 일부 노선은 강인교통과 공동 운행하고 현대자동차의 차량을 보유하고 있다.
  • 강인여객 계열사 - 강인교통
    강인교통은 200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에서 5개의 시내버스 노선을 운행하는 회사로, 302번, 303번, 303-1번은 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며 304번은 미래교통과 공동 배차 운행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신강교통
    신강교통은 2012년 7월 설립된 인천광역시 버스 운송 업체로, 광역버스와 광역급행버스 M6457번을 운행하며 현대 유니버스 모델을 보유하고 있고, 과거에는 790번 등 다양한 노선을 운행했으나 현재는 운행하지 않는다.
  • 197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서흥여객
    서흥여객은 1979년 설립되어 경상남도 거창군과 합천군을 중심으로 시내/농어촌버스를 운행하며, 거창읍과 합천읍을 기점으로 군내 주요 지역과 인근 지역을 연결하는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보유한 회사이다.
  • 1979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청주교통
    청주교통은 1979년 충북교통에서 분리되어 설립된 청주시 시내버스 회사로, CNG 버스 도입, 마을순환버스 노선 인수 등을 거쳐 코리아와이드 계열에 속하며, 북부공영차고지 운영권 확보 후 다양한 차종의 버스를 운행하고 있다.
강인여객 - [회사]에 관한 문서
회사 정보
이름강인여객 주식회사
원어Kangin Passenger Co., Ltd.
국가대한민국
장소인천광역시 부평구 백범로 570 (십정동)
사업 지역연수주차장 :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1 (동춘동)
인물최영락, 최우석 (대표이사)
창립1979년 4월 3일
산업운수업
제품시내버스
주주기타: 20.83%
이혜: 12.5%
최영락: 16.67%
최우석: 16.67%
최영은: 9.38%
자본금401,280,000원 (2020.12)
매출액13,955,140,928원 (2020)
영업이익635,111,093원 (2020)
순이익707,198,813원 (2020)
자산총액7,117,523,687원 (2020.12)
종업원164명 (2020.12)
계열사강인교통, 미래교통, 청라교통, 강인산업

2. 주요 연혁


  • 1979년 4월 3일: 경기도 인천시 북구(현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 261-2에 강인여객 주식회사 설립.[1]
  • 1993년 12월 20일: 인천직할시 남구 연수택지개발지구 25블럭 102로트에 지점 설치.[1]
  •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맞춰 111번(인천터미널-부평역-갈산동-계산역-서부공단-인천국제공항) 운행 업체로 선정되었다.
  • 2003년 신공항여객 도산으로 300번, 301번, 302번, 306번, 223번 노선을 인수하였다.
  • 2005년 무의운수의 한정면허 만료로 202번, 203번, 221번, 222번 노선을 운행하였다.
  • 2009년 7월, 영종도 노선이 준공영제에서 제외되어 202번, 203번, 221번, 222번 노선을 인천시에 반납하였다.
  • 2007년 1월 21일, 700번, 701번 노선을 강화선진버스에 매각하였다.
  • 2007년 2월, 300번 운영권을 선진여객으로 이양하였다.
  •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가 시행되었다.
  • 2009년 2월과 3월 사이 미래교통, 철마교통, 청라교통을 분사하였다.
  • 2006년 8월, 환경부로부터 천연가스버스 최다 보유 업체로 선정되어 최우수상을 받았다.

2. 1. 설립 초기 (1979년 ~ 2000년)

1979년 4월 3일 경기도 인천시 북구(현 인천광역시 부평구) 십정동 261-2에 강인여객 주식회사가 설립되었다.[1]

1993년 12월 20일 인천직할시 남구 연수택지개발지구 25블럭 102로트에 지점을 설치하였다.[1]

1992년 당시 마을버스 북구 13번(계양구 13번, 현재 581번), 남구 13번(연수구 13번, 현재 522번)을 운행하였으나, 도중에 매각하였다.[1] 1998년 5월 경인여객 좌석버스를 인수하였고, 1998년 9월 경향여객, 영종운수, 제물포버스, 대진운수의 좌석버스를, 1998년 10월 부성여객 좌석버스를, 1999년 2월 동화운수 좌석버스를, 1999년 4월 송도버스 좌석버스를 인수하여 좌석버스 단일업체가 되었다.[1] 1998년 9월 좌석버스 고정배차제(101번(2001년 폐선), 103번, 105번(2005년 112번과 통폐합), 107번(1998년 폐선), 135번)를 시행하여 좌석버스 고급화 운행을 시작하였다.[1]

2000년 인천시내버스 1차 고정배차제 시행으로 아래 노선들을 운영하였다.[1]

2. 2. 인천국제공항 개항 이후 (2001년 ~ 현재)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맞춰 111번(인천터미널-부평역-갈산동-계산역-서부공단-인천국제공항) 운행 업체로 선정되었다. 300번(인천국제공항-서부공단-계산역-신대진아파트-김포공항-송정역-발산역-당산역-영등포역) 개통이 예정되었으나 차량 출고 지연으로 보류되었고, 신공항여객이 인수받았다. 이후 화물터미널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111-1번(구터미널-동인천역-재능대학-석남동-가정5거리-서구청-서부공단-공항신도시-인천공항 화물터미널) 노선을 개통했다. 2002년 2월, 111-1번 좌석버스 노선을 112번으로 변경했다.

2002년 하반기, 인천시내 좌석버스 이용객 급감으로 좌석버스 요금을 1000원(카드 900원)으로 인하하여 좌석버스 이용률 증가에 기여했다.

2003년, 신공항여객의 도산으로 인해 다음 노선들을 인수하여 운행하게 되었다.

2005년, 영종도시내버스 사업자였던 무의운수의 한정면허 만료로 202번, 203번, 221번, 222번 노선을 대신 운행하게 되었다. 같은 해, 용현운수 명의로만 운행했던 710번(공항신도시-계산역)을 정식 양도받고 112번의 운행구간을 단축했다.

2009년 7월, 영종도 노선이 준공영제 참여 노선에서 제외되고 적자폭이 커짐에 따라 223번을 제외한 202번, 203번, 221번, 222번 노선을 인천시에 반납하였다. 영종운수가 해당 노선 매각에 낙찰되어 현재 운행 중이다.

112번은 화물터미널 이용 승객 편의를 위해 개설된 노선으로, 번호 변경과 함께 여러 차례 노선 변경이 있었다.

  • 2002년 2월, 111-1번 좌석버스 노선을 112번으로 변경.
  • 2003년 상반기, 동인천역 종점이던 112번을 신설 예정이던 113번과 통합하여 연안부두로 연장했으나, 하반기에 다시 동인천역으로 변경.
  • 2005년 10월 말, 105번 버스와 통합하여 통합 112번으로 운행했으나, 인천광역시 좌석버스 환승제 시행으로 112번의 공항신도시-화물터미널 구간은 710번으로 대체. 112번은 공항좌석버스에서 시내일반좌석버스로 전환되어 서구청(서부공단)으로 노선 단축.
  • 2009년 1월 30일, 노선개편에 맞춰 동춘동~서구청(서부공단)에서 동춘동~송림동 풍림아파트로 단축하고 간선형 시내버스로 전환.
  • 대부분 구간이 46번과 겹쳐 이후 한화지구-십정동 강인여객으로 연장.
  • 운행 회사는 청라교통으로 이관.
  • 2016년 7월 30일, 십정동 강인여객 - 부평역 - 원적산터널 - 가좌공단 - 동인천역 - 연수구 동춘동으로 변경 운행 중.


인천광역시의 강화도 주민 교통 편의를 위해 700번, 701번 한정면허 공모에 강인여객이 입찰하여 운행하게 되었다. 화도-계산역 간 701번 부진으로 700번 인천시내 구간을 동일하게 운행하다 2007년 1월 21일 강화선진버스에 두 노선을 매각했다. 대신 김포선진여객(현 고양교통)이 운행했던 1000번(현 308번)(김포북변시외버스터미널-김포시청-풍무동-원당,당하지구-경서지구-서부공단-인천국제공항)을 인수하여 운행 중이다.

700번, 701번은 선진버스에 양도되었으며, 2007년 2월에는 300번 운영권을 선진여객으로 이양하였다.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추진위원회를 설립하여 준공영제 시행에 앞장섰고,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맞춰 112번 좌석버스 노선을 단축, 306번 공항직행좌석버스도 서부공단으로 노선을 조정했다. 2009년 2월과 3월 사이 미래교통, 철마교통, 청라교통을 분사했다. 통합환승제 시행 약 한 달 전인 2009년 9월 15일, 103번 노선을 연장, 분할했다.

2006년 8월, 환경부로부터 천연가스버스 최다 보유 업체로 선정되어 최우수상을 받았다.

3. 운행 노선

(분)인가
대수비고103동춘동종점나사렛국제병원, 남동인더스파크역, 도림동입구, 농산물센터, 길병원, 간석오거리, 동암역, 가정오거리, 백마장농협, 부평구청, 백마장농협, 루원시티, 남동공단상정중학교9–1128103-1십정동차고지간석오거리역, 일신동행정복지센터, 송내역남부, 남동구청, 수산동, 호구포역, 동춘역, 나사렛국제병원, 동춘2동주민센터동춘동차고지13–1618223영종역허브주유소, 원성골, 운남교차로, 중산교차로, 우미린1단지후문, 한라비발디, 신명스카이뷰, LH7단지, 한양수자인, 중산동, 경제자유구역청, 전소, 영종중학교, 운남동, 영정고등학교, 운서역, 공항초등학교, 롯데마트인천국제공항T119–228223A율도선착장입구풍림엑슬로타워, 린스트라우스, 중흥s클래스, 서부공단입구인천국제공항T1102율도선착장입구~인천국제공항 2회 별도운행급행91동춘동차고지캠퍼스타운역, 테크노파크역, 인천대입구역, 센트럴파크역, 송도달빛축제공원역, 남항교차로, 청라중앙호수공원입구, 청라센트럴에일린의뜰, 경명초등학교, 청라달튼외국인학교청라국제도시역28–326


3. 1. 영종도 순환버스

2005년 무의운수의 한정면허가 종료됨에 따라, 강인여객은 무의운수가 운행하던 202번, 203번, 221번, 222번 노선을 인수하여 운행하게 되었다.

2009년 7월, 강인여객은 영종도 노선이 준공영제 참여 노선에서 제외되고 적자 폭이 커짐에 따라 223번을 제외한 202번, 203번, 221번, 222번 노선을 인천시에 반납하였다. 이후 영종운수가 이 4개 노선 매각에 낙찰되어 현재 해당 노선들을 운행하고 있다.

4. 과거 운행 노선

강인여객은 1992년 당시 마을버스 북구 13번(현 581번), 남구 13번(현 522번)을 운행했으나, 도중에 매각했다.[1] 1998년 5월에는 경인여객 좌석버스를 인수했고, 같은 해 9월에는 경향여객, 영종운수, 제물포버스, 대진운수의 좌석버스를 인수했다.[1] 1998년 10월에는 부성여객 좌석버스를, 1999년 2월에는 동화운수 좌석버스를, 1999년 4월에는 송도버스 좌석버스를 인수하여 좌석버스 단일업체가 되었다.[1]

2000년 인천시내버스 1차 고정배차제 시행 당시 강인여객이 운영했던 노선은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노선 경로
49번만의골 (대공원후문) - 만수A단지 - 구월시장 - 인천시청 - 길병원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인천고4거리 - 신기촌4거리 - 제일시장 - 도화사거리 - 제물포역 - 숭의로터리 - 신흥로터리 - 동인천역 - 화평동 - 송현동 - 가좌공구상가 - 목재단지 - 원창동 (율도입구) (2000년 인천버스로 양도. 이후 용현운수로 양도 후 2003년 폐지)[1]
101번검단 - 월미도 (1999년 폐지)[1]
105번동춘동 - 연수구청 - 연수4단지(함박마을) - 청학동 - 송도역 - 대우전자 - 용현시장 - 숭의로터리 - 동인천역 - 재능대학 - 동부제강 - 거북시장 - 석남4거리 - 신현주공A - 가정오거리 - 효성4거리 - 대우자동차 - 부평여고 - 부평시장역 - 부평역 (2005년 10월 112번 노선에 통합)[1]
105-1번 (1기노선)동춘동 - 연수경찰서 - 남동공단 - 남동소방서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길병원 - 구산4거리 - 간석4거리 - 만수여중 - 인천대공원 - 인천중앙병원 - 송내역 (2000년 도시형버스 11번으로 형간전환)[1]
105-1번 (2기노선)동춘동 - 연수구청 - 연수4단지(함박마을) - 용담마을 - 문학터널 - 법원,검찰청 - 학익4거리 - 인하대학교 - 용현시장 - 숭의로터리 - 동인천역 (2004년 5월 1일 문학터널 개통과 동시에 105번에서 분리 신설되었으나 수요 저조로 2004년 하반기 폐지.)[1]
107번동춘동 - 가좌동 - 계산동 (1998년 폐지)[1]
111-1번용현동 - 동인천 - 송림로터리 - 인천교 - 거북시장 - 신현주공 - 가정오거리 - 서구청 - 서부공단 - 화물터미널 - 인천국제공항 (2002년 하반기 동인천단축하면서 112번으로 변경)[1]
133번연안부두 - 용현동 - 숭의동 - 주안동 - 구월동 - 만수동 (1999년 폐지)[1]
135번동춘동 - 남동공단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 주안동 - 십정사거리 - 산곡동 - 부평시장 - 굴포천 - 부평구청 - 대우자동차 - 청천동 - 효성동 (1999년 폐지)[1]
301번왕산해수욕장 - 을왕리 - 용유동 - 덕교동 - 무의도입구 - 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 국제선(스카이시티) - 김포공항 국내선 - 송정역 - 발산역 - 발산2동 주민센터 - KBS 88체육관 - 하이웨이주유소 - 강서보건소 - 염창동(서울도시가스공사) - 당산역 - 영등포시장역 - 영등포역(신세계백화점) (2009년 10월 22일 폐지)[1]
301-1번을왕해수욕장 - 왕산해수욕장 - 공항신도시 - 김포공항 국제선(스카이시티) - 김포공항 국내선 - 송정역 - 발산역 - 88체육관 - 강서보건소 - 염창동 - 당산역 - 영등포시장역 - 영등포역 (2008년 폐지)[1]
305번U.City(환승센터) - 해양경찰청 - 이안송도 - 인천대교 - 삼목사거리 - 풍림아파트 - 공항초등학교 - 운서역 - 메디컬사거리(2010년 5월 303번 노선에 통합)[1]



2001년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맞춰 111번 (인천터미널-부평역-갈산동-계산역-서부공단-인천국제공항)을 운행하는 업체로 선정되었다.[1] 이후 화물터미널 이용객의 편의를 위해 111-1번(구터미널-동인천역-재능대학-석남동-가정5거리-서구청-서부공단-공항신도시-인천공항 화물터미널) 노선을 개통했다.[1] 300번(인천국제공항-서부공단-계산역-신대진아파트-김포공항-송정역-발산역-당산역-영등포역) 개통이 예정되었으나 차량출고 지연으로 보류되었고, 신공항여객이 인수받았다.[1]

2003년 신공항여객의 도산으로 인해 300번, 301번, 302번, 306번, 223번 노선을 인수하여 운행하게 되었다.[1]

2005년에는 영종도시내버스 사업자였던 무의운수의 한정면허가 끝남에 따라 202번, 203번, 221번, 222번 노선을 대신 운행하게 되었다.[1]

2009년 7월, 영종도 노선이 준공영제 참여 노선에서 제외되고 적자폭이 커 223번을 제외한 나머지 노선(202번, 203번, 221번, 222번)을 인천시에 반납하였다.[1]

112번은 여러 차례 노선 변경을 거쳤다. 2003년 상반기 동인천역 종점이었던 112번은 신설 예정이었던 113번을 통합해 연안부두로 노선을 연장했으나, 하반기에 다시 동인천역으로 변경되었다.[1] 2005년 10월 105번 버스를 통합하여 통합 112번으로 운행했으나, 인천광역시의 좌석버스 환승제 시행으로 112번의 공항신도시-화물터미널 구간 운행은 710번으로 대체되었으며, 112번은 서구청(서부공단)으로 노선이 단축되었다.[1] 2009년 1월 30일 노선 개편으로 동춘동~서구청(서부공단)에서 동춘동~송림동 풍림아파트로 단축됨과 동시에 간선형 시내버스로 전환되었다.[1] 이후 한화지구- 십정동 강인여객으로 연장되었고, 운행 회사도 청라교통으로 이관되었다.[1] 2016년 7월 30일 십정동 강인여객 - 부평역 - 원적산터널 - 가좌공단 - 동인천역 - 연수구 동춘동으로 변경 운행 중이다.[1]

한편, 인천광역시에서는 강화도 주민들의 교통편의를 위해 700번과 701번을 한정면허 공모하였는데, 강인여객이 입찰하여 운행하게 되었다.[1] 2007년 1월 21일 강화선진버스에 두 노선을 매각하였고, 그 대신에 김포선진여객(현 고양교통)이 운행했던 1000번(현 308번)(김포북변시외버스터미널-김포시청-풍무동-원당,당하지구-경서지구-서부공단-인천국제공항)을 인수받아 운행하고 있다.[1]

4. 1. 타사에 양도된 노선

5. 차량

뉴 슈퍼 에어로시티로 운행한다.

6. 기타

강인여객은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추진위원회를 설립하여 준공영제 시행에 앞장섰다. 2009년 1월 30일 인천시내버스 준공영제 시행에 맞춰 112번 좌석버스의 노선을 "연수구 동춘동-동인천-신현동-서구청(서부공단)" 구간에서 연수구 동춘동-동인천-송림동으로 단축했고, 306번 공항직행좌석버스도 서부공단으로 노선을 조정하였다. 2009년 2월과 3월 사이에는 미래교통, 철마교통, 청라교통을 분사하였다. 통합환승제가 시행되기 약 한 달 전인 2009년 9월 15일에는 103번 노선을 연장, 분할하였다.

2006년 8월에는 환경부로부터 천연가스버스 최다 보유 업체로 선정되어 최우수상을 받았으며, 총 12개(일반형 4개, 좌석형 8개)의 노선을 보유하고 있다.[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