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민버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성민버스는 2007년 3월 5일 김포시에서 김포시내버스 주식회사로 설립되어, 2009년 송도버스에서 분리되면서 현재의 사명으로 변경된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운송 업체이다. 2012년 신화여객으로 편입되었으며, 용현운수, 송도버스로부터 노선을 인수받았다. 2013년 본사를 이전하고, 2015년에는 인천여객의 63번 시내버스를 공동 운행하기도 했다. 현재 간선버스 3-2번, 9번, 16번, 지선버스 511번, 512번, 광역급행버스 M6458번을 운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일본우편
일본우편 주식회사는 일본의 우편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요 기업으로, 우정민영화 후 분할되었다가 통합되었으며, 우편, 물류, 금융, 보험 등 다양한 사업을 전개하면서 전국적인 우체국 네트워크를 운영하지만, 우편물 이용량 감소 등의 과제에 직면하여 사업 다각화를 모색하고 있다. - 2007년 설립된 교통 기업 - 백운여객
백운여객은 경기도 의왕시에 있는 버스 회사로, 의왕교통에서 분리되었으며 군포시 방향 마을버스 08번을 운행하고, 현대 그린시티와 하이거 하이퍼스 1609 EV 전기 버스를 주요 차량으로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인천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는 인천광역시의 대중교통 운영을 담당하는 지방공기업으로,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을 시작으로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운영을 위해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출범하여 인천메트로와 합병 후 현재의 모습으로 재편되었으며, 도시철도 운영과 더불어 버스 정보 시스템, 장애인 콜택시, 터미널 운영 등 다양한 대중교통 서비스를 제공하며 '아이로'라는 캐릭터를 사용한다. - 인천광역시의 시내버스 기업 - 강인여객
강인여객은 1979년에 설립되어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운송 사업을 시작했으며, 좌석버스 사업 확장과 인천국제공항 개항에 따른 노선 운행으로 성장하여 현재 간선, 급행 간선, 영종도 순환버스 노선을 운영한다. 
| 성민버스 - [회사]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회사 명칭 | 성민버스 주식회사 | 
| 원어 명칭 | Sungmin Bus Corp. | 
| 설립일 | 2007년 3월 5일 | 
| 국가 | 대한민국 | 
| 소재지 |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2 (동춘동) | 
| 대표이사 | 박진성 | 
| 산업 | 운수업 | 
| 주요 서비스 | 시내버스 | 
| 자본금 | 100,000,000원 (2020.12) | 
| 매출액 | 13,023,563,364원 (2020) | 
| 영업이익 | 1,215,959,438원 (2020) | 
| 순이익 | 860,717,041원 (2020) | 
| 자산총액 | 3,916,035,633원 (2020.12) | 
| 주주 | 박진성: 57.15% 박복규: 2.85% 자기주식: 40.00%  | 
| 계열사 | 신화여객, 한남여객운수 | 
| 직원 수 | 163명 (2020.12) | 
2. 주요 연혁
- 2007년 3월 5일: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에서 김포시내버스 주식회사로 회사 설립. 신재호 대표이사 취임.[1]
 - 2009년 2월 13일: 송도버스에서 분리되어 회사명을 현재 명칭인 '''성민버스주식회사'''로 변경[1]
 - 2011년 5월 30일: 신재호 대표이사 사임. 정판헌, 문홍주 공동대표이사 취임.[1]
 - 2011년 7월 4일: 인천버스조합 명부상 회사 설립일.[1]
 - 2012년 1월 2일: 정판헌 단독대표이사로 변경.[1]
 - 2012년: 선진그룹에서 신화여객으로 편입.[1]
 - 2012년 4월 3일: 용현운수로부터 511번(인하대학교 후문 - 주안역), 512번(인하대학교 후문 - 제물포역)지선버스를 인수받았다.[1]
 - 2012년 8월 18일 : 9번 시내버스 노선이 송도역에서 인하대학교-용현시장-동인천역으로 변경과 더불어 송도버스로부터 인수 받았다.그리고 3-1번 노선을 9번 노선에 통합하였다.[1]
 - 2013년 4월 15일: 본사를 현 위치인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2 (동춘동)로 이전하였다. 한창인, 정판헌 공동대표이사 취임.[1]
 - 2013년 12월 17일: 3-2번, 16번 시내버스의 종점인 동인천역에서 현대제철-가좌동 차고지로 노선과 종점이 변경되었다.[1]
 - 2015년 10월 12일 ~ 2016년 1월 31일: 파행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63번 시내버스를 공동배차 운행하였다.[1]
 - 2016년 1월 15일: 한창인 단독대표이사 취임.[1]
 -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3-2번, 16번, 511, 512번 노선변경과 9번은 동인천역에서 가좌동 차고지로 연장운행.[1]
 - 2017년 1월 16일: 한창인, 박진성 공동대표이사 취임.[1]
 - 2018년 9월 15일: 511번 지선버스 노선이 굴다리 정류장 유턴에서 굴다리에서 인하대후문으로 직진하는 노선으로 변경하여 운행.[1]
 - 2019년: 한창인 대표이사 사임. 박진성 단독대표이사 체제로 전환.[1]
 -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3-2번이 인천아시아드 경기장로 연장운행및 9,16번 기점이 송도제2차고지로 변경되었다[1]
 - 2022년 12월 10일: 수시 노선 조정으로 9번 시내버스의 종점이 가좌동차고지에서 전기버스 충전 및 북항배후단지 인근 주민들의 편의를 고려하여 원창동차고지 방면으로 변경되어 운행한다.[1]
 - 2024년 7월 1일: 광역급행버스 M6458번 개통[1]
 
2. 1. 회사 설립 및 성장 (2007년 ~ 2012년)
2007년 3월 5일 경기도 김포시 사우동에서 김포시내버스 주식회사로 설립되었으며, 신재호 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2009년 2월 13일 송도버스에서 분리되어 회사명을 '''성민버스주식회사'''로 변경하였다.[1]2011년 5월 30일 신재호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정판헌, 문홍주 공동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2011년 7월 4일은 인천버스조합 명부상 회사 설립일이다.[1] 2012년 1월 2일 정판헌 단독대표이사 체제로 변경되었다.[1] 같은 해 신화여객으로 편입되었다.[1] 2012년 4월 3일 용현운수로부터 511번(인하대학교 후문 - 주안역), 512번(인하대학교 후문 - 제물포역) 지선버스를 인수받았다.[1] 2012년 8월 18일에는 9번 시내버스 노선이 송도역에서 인하대학교-용현시장-동인천역으로 변경됨과 동시에 송도버스로부터 인수받았으며, 3-1번 노선은 9번 노선에 통합되었다.[1]
2. 2. 노선 확장 및 변화 (2013년 ~ 현재)
2013년 4월 15일, 본사를 인천광역시 연수구 먼우금로 2 (동춘동)로 이전하였고, 한창인, 정판헌 공동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2013년 12월 17일에는 3-2번, 16번 시내버스의 종점이 동인천역에서 현대제철-가좌동 차고지로 변경되었다.[1]2015년 10월 12일부터 2016년 1월 31일까지 파행 운행으로 면허가 취소된 인천여객의 63번 시내버스를 공동 배차 운행하였다.[1] 2016년 1월 15일에는 한창인 단독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2016년 7월 30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3-2번, 16번, 511, 512번 노선이 변경되었고, 9번은 동인천역에서 가좌동 차고지로 연장 운행되었다.[1]
2017년 1월 16일, 한창인, 박진성 공동대표이사가 취임하였다.[1] 2018년 9월 15일에는 511번 지선버스 노선이 굴다리 정류장 유턴에서 굴다리에서 인하대후문으로 직진하는 노선으로 변경되어 운행되었다.[1] 2019년에는 한창인 대표이사가 사임하고 박진성 단독대표이사 체제로 전환되었다.[1]
2020년 12월 31일, 인천시내버스 개편에 따라 3-2번이 인천아시아드 경기장으로 연장 운행되었고, 9, 16번 기점이 송도제2차고지로 변경되었다.[1] 2022년 12월 10일, 수시 노선 조정으로 9번 시내버스의 종점이 가좌동차고지에서 전기버스 충전 및 북항배후단지 인근 주민들의 편의를 고려하여 원창동차고지 방면으로 변경되어 운행한다.[1] 2024년 7월 1일, 광역급행버스 M6458번이 개통될 예정이다.
3. 운행 노선
3. 1. 간선버스
(분)대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