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교통공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인천교통공사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2호선을 운영하며,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운영, 버스 정보 관리 시스템 운영, 인천교통연수원 운영, 장애인 콜택시 운영, 청라-학익 간 급행버스 운영 등을 담당한다. 1992년 지방공사 인천터미널로 설립되어, 2005년 인천교통공사로 변경되었고, 2011년 인천메트로와 합병되었다. 현재 서울 지하철 7호선 까치울역~석남역 구간도 운영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인천교통공사 - 월미바다열차
월미바다열차는 인천광역시 월미도를 순환하는 관광 모노레일로, 안전 문제와 부실 공사 논란으로 개통이 지연되었으나 재추진을 거쳐 2019년 10월 개통되었으며 현재는 인천교통공사가 운영하며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 - 199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제부여객
제부여객은 경기도 화성시의 시내버스 회사로, 화성여객에서 사명이 변경되었고 용남고속을 거쳐 현재는 사모펀드 MC 파트너스에 인수되어 도시형버스, 직행좌석버스 등 21개의 노선을 운영하고 있으며, 과거 삼성여객에서 유래되어 현재는 대원여객의 계열사이다. - 1998년 설립된 교통 기업 - 금창운수
금창운수는 1998년 설립되어 현재 노원구와 중랑구에서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소재 마을버스 회사이다. - 대한민국의 철도 기업 - 한국철도공사
한국철도공사는 2005년에 설립된 대한민국의 철도 운영 기관으로, 여객, 물류, 자산 개발 등 다양한 사업을 수행하며 KTX, ITX 등 여러 열차를 운행하고, 지속적인 적자를 기록하며 한국철도노동조합과의 갈등, 통계 조작 논란 등의 문제도 겪고 있다. - 대한민국의 철도 기업 - 서울교통공사
서울교통공사는 2017년 5월 31일에 설립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1~9호선 대부분을 운영하며, 수도권 전철 서해선(소사~원시 구간) 운영도 담당하고, 65세 이상 고령자의 무료 이용 등으로 인한 적자, 시위 대응 과정에서의 논란 등 여러 현안에 직면해 있다.
인천교통공사 - [회사]에 관한 문서 | |
---|---|
지도 정보 | |
기본 정보 | |
회사명 | 인천교통공사 |
영문 회사명 | Incheon Transit Corporation |
한자 회사명 | 仁川交通公社 |
로마자 표기 | Incheon Gyotong Gongsa |
설립일 | 1998년 4월 15일 |
업종 | 육운업 |
종류 | 지방 공기업 |
위치 | 대한민국 인천광역시 남동구 경인로 674 (간석동) |
약칭 | 인교공 |
직원 수 | 2375명 (2016년 기준) |
슬로건 | 행복하고 안전한 세상, 함께한 인천교통공사 |
공식 웹사이트 | 인천교통공사 공식 홈페이지 |
재정 정보 | |
자본금 | 2,109,623,000,000원 |
매출액 | 207,751,895,000원 (2017년) |
총 자산 | 202,044,682,994원 (2007년 기준) |
경영진 | |
사장 | 김성완 |
사장 (과거) | 이종호 |
운영 정보 | |
주요 사업 | 지하철 운영 |
운영 노선 | 인천 도시철도 인천광역시 시내버스 |
2. 주요 업무
인천교통공사는 다음과 같은 주요 업무를 수행한다.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 인천 및 부천 구간 (까치울역\~석남역) 운영
- 인천시 버스정보관리시스템 운영, 청라\~화곡 간 BRT 및 청라-학익 간 급행버스 운영
-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운영
- 인천교통연수원 운영
- 장애인 콜택시 운행
- 월미은하레일 구축 사업
2. 1. 도시철도 운영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을 운영하고 있다. 또한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인천 및 부천 구간 (까치울역~석남역)도 운영하고 있다.2. 2. 버스 및 BRT 운영
인천시 버스정보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으며, 청라~화곡 간 BRT와 청라-학익 간 급행버스를 운영하고 있다.2. 3. 기타 업무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를 운영하고 있다. 또한, 월미은하레일 구축 사업, 인천교통연수원 운영, 인천시 버스정보관리시스템 운영, 인천종합버스터미널 운영, 장애인 콜택시 운행, 청라 ~ 화곡 간 BRT 운영, 서울 지하철 7호선 인천 및 부천 구간 (까치울역 ~ 석남역) 운영, 청라-학익 간 급행버스 운영 업무를 담당하고 있다.3. 역사
인천교통공사의 역사는 크게 세 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 (구)인천교통공사 (1992년 ~ 2011년)
# 인천메트로 (1998년 ~ 2011년)
# 통합 인천교통공사 (2011년 ~ 현재)
각 시기별 주요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고 할 수 있으며, 주요 연혁은 아래 표와 같다.
날짜 | 내용 |
---|---|
1992년 6월 30일 |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 |
1993년 7월 5일 | 지하철 건설공사 착공 |
1997년 11월 20일 | 지하철공사설치조례 공포 |
1998년 2월 20일 | 지하철공사 설립인가, 지하철공사정관 공포 |
1998년 4월 15일 | 공사 창립 |
1998년 5월 21일 | 노동조합 창립 |
1999년 10월 16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박촌 ~ 동막 구간 개통 |
1999년 12월 7일 | 귤현역 개통 |
2000년 5월 2일 | 고객서비스현장 선포 |
2004년 8월 1일 | 불연내장재 교체열차 운행 |
2006년 7월 1일 | 궁도선수단 창단 |
2007년 3월 16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계양역 개통 |
2008년 7월 9일 | 스크린도어 개통행사(부평역, 인천터미널역) |
2009년 2월 11일 | 스크린도어 개통행사(작전역, 예술회관역) |
2009년 6월 1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동막 ~ 국제업무지구 구간 개통 |
2010년 6월 24일 | 의정부 경전철 관리운영계약 체결 |
2011년 12월 28일 | 인수 합병(인천메트로 + 인천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2012년 9월 26일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운영권 확보 |
2013년 3월 28일 | 개통이후 수송인원 10억명 돌파 |
2013년 7월 11일 | 청라 ~ 화곡 BRT 운영 |
2014년 9월 | 전 역사 스크린도어 설치 |
2016년 7월 30일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오류 ~ 운연 구간 개통 |
2020년 12월 12일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국제업무지구 ~ 송도달빛축제공원 구간 개통 |
2021년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 구간(부평구청 ~ 석남) 개통 및 산곡역, 석남역 운영권 이관 |
2022년 1월 1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인천 • 부천 구간(까치울 ~ 부평구청) 운영권 이관(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3. 1. (구)인천교통공사 (1992년 ~ 2011년)
1992년 12월 30일 지방공사 인천터미널로 설립되어[1], 2005년 8월 26일에 인천교통공사로 사명이 변경되었다. 인천광역시 미추홀구의 인천종합버스터미널 부지 내에 본사를 두었으며, 인천종합버스터미널, 버스정보시스템, 장애인콜택시 등의 운영을 담당하였다. 이후 2011년 11월 28일 인천메트로에 합병됨으로써 해체되었다.날짜 | 내용 |
---|---|
1991년 12월 16일 | 인천터미널 설립 조례 제정 |
1992년 4월 26일 | 인천터미널 정관 승인 및 공사 설립 인가 |
1992년 12월 30일 | 인천터미널 설립 |
1997년 11월 20일 | 인천터미널 개장 |
2005년 8월 26일 | 인천교통공사로 사명 변경 |
3. 2. 인천메트로 (1998년 ~ 2011년)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의 운영을 담당할 목적으로 1992년 6월 30일에 설립된 인천광역시 지하철 건설본부가 그 시초이다. 1993년 7월 5일 지하철 착공에 들어갔으며, 1997년 11월 20일 지하철공사설치조례가 공포되었다. 이 조례에 따라 1998년 2월 20일 설립인가를 받아 1998년 4월 15일 인천광역시 지하철공사로 창립, 법인설립 등기가 이루어졌다. 2009년 10월 6일 사명이 인천메트로로 변경되었다.3. 3. 통합 인천교통공사 (2011년 ~ 현재)
2011년 11월 28일 인천메트로가 (구)인천교통공사를 인수 합병하여 인천교통공사로 사명이 변경되었다.본 공사의 캐릭터로 사용된 '아이로'는 인천의 대표 이니셜 '아이(I)'와 한자어 '길 로(路)'를 조합하여, 인천 지역 대중교통의 넘버원으로서 고객과 함께 가는 길, 고객과 함께하는 인천교통공사를 상징하는 의미를 함축적으로 담아낸 것이다.[1]
2011년 12월 28일 인천도시철도공사(구 인천교통공사)가 (구)인천교통공사에 흡수합병되어, 사명이 인천교통공사로 변경되었다.
3. 4. 주요 연혁
- 1992년 6월 30일: 지하철 건설본부 설립
- 1993년 7월 5일: 지하철 건설공사 착공
- 1997년 11월 20일: 지하철공사설치조례 공포
- 1998년 2월 20일: 지하철공사 설립인가, 지하철공사정관 공포
- 1998년 4월 15일: 공사 창립
- 1998년 5월 21일: 노동조합 창립
- 1999년 10월 1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박촌 ~ 동막 구간 개통
- 1999년 12월 7일: 귤현역 개통
- 2000년 5월 2일: 고객서비스현장 선포
- 2004년 8월 1일: 불연내장재 교체열차 운행
- 2006년 7월 1일: 궁도선수단 창단
- 2007년 3월 16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계양역 개통
- 2008년 7월 9일: 스크린도어 개통행사(부평역, 인천터미널역)
- 2009년 2월 11일: 스크린도어 개통행사(작전역, 예술회관역)
- 2009년 6월 1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동막 ~ 국제업무지구 구간 개통
- 2010년 6월 24일: 의정부 경전철 관리운영계약 체결
- 2011년 12월 28일: 인수 합병(인천메트로 + 인천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 2012년 9월 26일: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운영권 확보
- 2013년 3월 28일: 개통이후 수송인원 10억명 돌파
- 2013년 7월 11일: 청라 ~ 화곡 BRT 운영
- 2014년 9월: 전 역사 스크린도어 설치
- 2016년 7월 30일: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단오류 ~ 운연 구간 개통
- 2020년 12월 12일: 인천 도시철도 1호선 국제업무지구 ~ 송도달빛축제공원 구간 개통
- 2021년 5월 22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석남 구간(부평구청 ~ 석남) 개통 및 산곡역, 석남역 운영권 이관
- 2022년 1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 인천 • 부천 구간(까치울 ~ 부평구청) 운영권 이관(서울교통공사 → 인천교통공사)
4. 운행 노선
인천교통공사는 도시철도와 버스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도시철도'''
인천 도시철도 1호선, 인천 도시철도 2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일부 구간을 운행한다.
'''버스'''
현재 운행 중인 노선과 과거에 운행했던 노선은 다음과 같다.
- 현재 운행 노선: 63번, 순환 41번, 순환 42번, 순환 43번, 순환 47번, 701번, 702번
- 과거 운행 노선: 계양1번, 계양2번, 순환 31번, 순환 43번, 순환 44번, 51-1번, 순환 51-2번, 순환 81번, 순환 82번, 720번, 7번, 순환 91번, 순환 92번
'''BRT (간선급행버스체계)'''
청라국제도시와 가정역을 잇는 701번, 702번 노선과 청라국제도시에서 화곡역, 가양역을 잇는 7700번 노선을 운행한다.
4. 1. 도시철도
노선 | 구간 | 총연장 | 역 수 | 운행 차량 | 기타 |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계양역 ~ 송도달빛축제공원역 | 30.3km | 30개 | 인천교통공사 1000호대 전동차 | 귤현차량사업소 사용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검단오류역 ~ 운연역 | 29.2km | 27개 | 인천교통공사 2000호대 전동차 | 운연차량사업소, 오류차량사업소 사용 |
서울 지하철 7호선 | 까치울역 ~ 석남역 | 11.9km | 11개 | 서울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SR000호대 전동차, 인천교통공사 7000호대 전동차(764~772편성은 서울교통공사 수탁 관리) | 2021년 5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산곡역부터 석남역까지 운영, 2022년 1월 1일부터 까치울역부터 확대 운영 |
4. 2. 버스
인천교통공사에서 운행하는 버스와 과거에 운행했던 버스는 다음과 같다.
노선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63번 | 청라BRT차고지 | 제물포역, 주안역, 석바위(인천고등학교), 문학경기장(인명여자고등학교), 선학역, 연수구청 | 동춘동 | 2020년 12월 31일 삼환교통에서 이관 및 연장 |
순환 41번 | 송도공영차고지 | 신정중학교 | 송도공영차고지 | |
순환 42번 | 송도공영차고지 | 겐트대학글로벌캠퍼 | 송도공영차고지 | |
순환 43번 | 송도공영차고지 | 송도스포츠센(LNG야구장) | 송도공영차고지 | |
순환 47번 | 송도공영차고지 | 랜드마크시티1호수변공원 | 송도공영차고지 | |
701번 | 청라국제도시 | 가정역 | ||
702번 | 청라국제도시 | 가정역 |
노선 번호 | 기점 | 주요 경유지 | 종점 | 비고 |
---|---|---|---|---|
계양1번 | 계양역 | 이화2동 | 계양구시설관리공단으로 이관 | |
계양2번 | 계양역 | 둑실동 | 계양구시설관리공단으로 이관 | |
순환 31번 | 신세계 | 주안역 | 2016년 7월 30일 해성운수로 이관 | |
순환 43번 | 청학동 | 농산물센터 | 2016년 7월 30일 폐선 | |
순환 44번 | 송도공영차고지 | 송도스포츠센터(LNG야구장) | 송도공영차고지 | 2023년 4월 29일 폐선 |
51-1번 | 송도공영차고지 | 논현지구 | 2018년 9월 15일 폐선 | |
순환 51-2번 | 동막역 | 인천논현역, 소래포구역, 신연수역 | 동막역 | 2016년 7월 30일 폐선 |
순환 81번 | 1차풍림아이원 | 대인고등학교 | 2016년 7월 30일 폐선 | |
순환 82번 | 삼보해피타임 | 귤현현대아이파크 | 2016년 7월 30일 폐선 | |
720번 | 연안부두 | (구)터미널, 인천역 | 월미도 | 2008년 11월 1일 ~ 2014년 11월 1일 |
7번 | 청라차고지 | 제물포역, 동인천역, 신포역 | 2020년 12월 31일 마니교통으로 이관 | |
순환 91번 | 송도공영차고지 | 송도스포츠센터 | ||
순환 92번 | 송도공영차고지 | 엑스포빌리지 10단지 |
4. 3. BRT (간선급행버스체계)
5. 논란 및 비판
인천교통공사는 과거 여러 노선의 위탁 운영을 맡았으나, 현재는 대부분 철수하거나 다른 기관으로 이관되었다.
- 2019년 4월 30일까지 의정부 경전철 운영을 위탁받았으나, 현재는 우진메트로로 위탁이 변경되었다.[1]
- 2008년 11월 1일부터 2014년 11월 1일까지 720번 버스(연안부두 - 인천역 - 월미도)를 위탁 운영하였다.[1]
- 2016년 7월 30일 순환 31번(신세계 - 주안역) 노선은 해성운수로, 순환 43번(청학동 - 농산물센터) 노선은 간선버스로 전환 후 청룡교통으로 이관되었다.[1] 같은 날 순환 51-2번(동막역 - 인천현한국어역 - 소래포구역 - 신연수역 - 동막역), 순환 81번(1차 풍림아이원 - 대인고등학교), 순환 82번(삼보해피타임 - 계양현한국어현대아이파크) 노선은 폐선되었다.[1]
- 2018년 9월 15일 순환 51-1번(동막역 - 신연수역 - 소래포구역 - 인천논현역 - 동막역) 노선이 폐선되었다.[1]
- 계양 1번(계양역 - 이화2동)과 계양 2번(계양역 - 독실동) 노선은 계양구시설관리공단으로 이관되었다.[1]
5. 1. 과거 위탁 운영 사업 철수
2019년 4월 30일까지 차량기지 임시승강장 ~ 발곡역 구간의 의정부 경전철 운영을 위탁받아 관리하였으나, 사실상 의정부경전철 주식회사의 노선이었다. 현재는 우진메트로로 위탁이 변경되었다.[1]2008년 11월 1일부터 2014년 11월 1일까지 720번 버스(연안부두 - (구)터미널 - 인천역 - 월미도)를 위탁 운영하였다.[1]
2016년 7월 30일 순환 31번(신세계 - 주안역) 노선은 해성운수로, 순환 43번(청학동 - 농산물센터) 노선은 간선버스로 전환 후 청룡교통으로 이관되었다.[1] 같은 날 순환 51-2번(동막역 - 인천현한국어역 - 소래포구역 - 신연수역 - 동막역), 순환 81번(1차 풍림아이원 - 대인고등학교), 순환 82번(삼보해피타임 - 계양현한국어현대아이파크) 노선은 폐선되었다.[1]
2018년 9월 15일 순환 51-1번(동막역 - 신연수역 - 소래포구역 - 인천논현역 - 동막역) 노선이 폐선되었다.[1]
계양 1번(계양역 - 이화2동)과 계양 2번(계양역 - 독실동) 노선은 계양구시설관리공단으로 이관되었다.[1]
6. 향후 계획
현재 도원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환상선 3호선이 계획되어 있으나, 구체화되지는 않고 있다.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관련 사건 타임라인
인천 송도 지하철 환기실서 불…"열차 운행 지장 없어"
인천 송도 지하철 환기실서 불…"열차 운행 지장 없어"
작년 2번 감전 사망사고…서울지하철 안전평가 ‘최하위’
인천지하철 1호선 부평역서 에스컬레이터 고장···3명 부상
인천지하철 1호선 부평역 에스컬레이터 고장…3명 부상
서울 시내버스 파업 대비 인천지하철 연장 운행
2025 인천스타트업파크 ‘TRYOUT’ 실증 프로그램 참여기업 통합 모집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