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청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심청가》는 조선 후기에 널리 불린 판소리 작품으로, 심청의 효심을 중심으로 비극적인 내용을 담고 있다. 심청의 탄생부터 심 봉사가 눈을 뜨는 장면까지의 내용을 다루며, 심청이 인당수에 몸을 던져 환생하고, 아버지와 재회하여 행복을 찾는 과정을 보여준다. 작품은 현실과 비현실의 공간을 오가며, 불행을 극복하고 행복을 추구하는 한국인의 정서를 반영한다. 송광록, 전도성 등 명창들이 《심청가》를 불렀으며, 현재까지 정응민 바디, 박동실 바디 등 여러 유파로 전승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판소리 - 수궁가
수궁가는 용왕을 위해 토끼 간을 구하러 가는 자라 이야기를 다룬 판소리 우화 소설로, 권력 풍자와 지략 대결을 보여주며 다양한 창본과 공연으로 재해석되고 있다. - 판소리 - 춘향가
춘향가》는 전라도 남원을 배경으로 성춘향과 이몽룡의 사랑, 이별, 재회 이야기를 담은 판소리 작품으로, 사회상 반영, 저항 정신, 한국인의 '한'을 상징하며 다양한 매체로 재해석되어 전승된다. - 한국의 전통 음악 - 아리랑
아리랑은 19세기 이후 등장한 한국의 민요로, 슬픔과 희망을 담은 멜로디가 특징이며, 다양한 종류와 어원 해석이 존재하고, 일제강점기 저항의 노래, 남북 분단 이후 통일 염원의 노래로 불렸으며, 유네스코 무형유산으로 등재되어 대중문화에 널리 활용된다. - 한국의 전통 음악 - 춘향가
춘향가》는 전라도 남원을 배경으로 성춘향과 이몽룡의 사랑, 이별, 재회 이야기를 담은 판소리 작품으로, 사회상 반영, 저항 정신, 한국인의 '한'을 상징하며 다양한 매체로 재해석되어 전승된다.
| 심청가 | |
|---|---|
| 심청가 | |
![]() | |
| 유형 | 무형문화재 |
| 전승 국가 | 대한민국 |
| 전승자 | 김영자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정회석 (국가무형문화재 제5호) |
| 내용 | |
| 줄거리 | 심청은 눈먼 아버지 심학규를 봉양하며 어렵게 살아간다. 심청은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공양미 삼백 석에 팔려 인당수에 몸을 던진다. 심청은 용궁에서 극진한 대접을 받고 연꽃 속에서 환생하여 황후가 된다. 심청은 맹인 잔치를 열어 아버지를 찾고, 아버지 심학규는 심청을 만나 기쁨에 눈을 뜬다. |
| 특징 | 효(孝) 사상을 주제로 한다. 슬픔과 기쁨을 극적으로 표현한다. 다양한 장단과 창법을 사용한다. |
| 관련 용어 | 판소리 |
| 참고 자료 | |
| 관련 문서 | 춘향가 적벽가 흥보가 수궁가 배비장타령 옹고집타령 강릉매화타령 무숙이타령 장끼타령 가짜신선타령 가루지기타령 |
| 문화재 정보 | 문화재청 웹사이트 참조 |
| 관련 백과사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
2. 역사
《심청가》는 심청의 탄생부터 심 봉사가 눈을 뜨는 장면까지, 크게 다음과 같은 대목들로 구성된다.[7]
판소리 심청가가 언제부터 전래되었는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송만재가 순조 때 저술한 『관우희』와 1900년대 정노식이 저술한 『조선창극사』에서 심청가를 찾아볼 수 있다.[2][4]
심청가는 판소리 명창들의 '덧붙임(더늠)'을 통해 예술적으로 완성된 작품으로 여겨진다.[5][2]
3. 구성
3. 1. 심청 탄생과 성장
심청은 심학규(심봉사)의 딸로 태어났다. 심청은 눈먼 아버지를 돌봐야 했다.[2]
3. 2. 인당수 희생과 환생
심청은 장 승상 부인을 만나고, 심 봉사는 화주승과 남경 선인을 만난다.[7] 심청은 인당수에 몸을 던지고, 이후 환생한다.[7]
3. 3. 황성에서의 재회와 맹인 잔치
뺑파 과장은 황성으로 올라가고, 맹인 잔치가 벌어진다. 잔치 뒤풀이에서 심 봉사가 눈을 뜨는 대목은 이 판소리의 하이라이트이다. 심 봉사가 눈을 뜨자 다른 맹인들도 시력을 회복하고, 《심청가》는 축제 분위기 속에서 끝을 맺는다.[6]
4. 음악적 특징
《심청가》는 판소리 다섯 바탕 가운데 가장 애절한 정서를 바탕에 두고 있는 작품이다. 비록 대목에 따라 소소한 웃음을 주기도 하지만,[8] 기본적으로는 비장미가 넘치는 작품이다. 따라서 화평한 평조보다는 유장한 우조, 우렁찬 우조보다는 슬픈 계면조를 사용한다. 옛 판소리(고제, 古制)일수록 우조의 비중이 다소 높으며, 새로운 판소리(신제, 新制)일수록 계면조와 평조의 비율이 높아진다.
4. 1. 주요 눈대목
다음은 심청가의 주요 눈대목(판소리에서, 창의 내용 가운데에서 가장 극적인 대목)들이다.5. 구조적 특징
심청전의 배경은 "비현실 공간 → 현실 공간 → 비현실 공간 → 현실 공간"으로 순환하는 구조를 보인다. 심청은 천상에서 내려온 존재로, 현실 세계에서 아버지 심 봉사의 보살핌을 받으며 성장한다. 이후 심청은 인당수에 몸을 던져 바다 신의 궁궐로 가게 되는데, 이는 비현실적인 공간으로의 이동을 의미한다. 심청은 바닷속 세상에서 왕비가 되고, 아버지와 재회하여 행복하게 사는 것으로 이야기가 마무리되는데, 이는 다시 현실 공간으로 돌아온 것으로 볼 수 있다.[2]
심 봉사의 삶 또한 순환 구조를 보인다. 심 봉사는 아내와 딸 심청과 함께 행복하게 살았으나, 아내와 딸을 잃고 슬픔과 고통 속에 살게 된다. 하지만 딸이 왕비가 되고 자신의 시력을 되찾으면서 다시 행복을 찾게 된다. 이처럼 심청전은 행복과 불행이 영원히 지속되지 않고 순환하는 구조를 보여주며, 이는 불행을 극복하고 행복을 추구하는 한국인의 의지를 반영한다.[6]
6. 명창과 전승 현황
《심청가》는 여러 명창들에 의해 전승되어 왔으며, 다양한 유파가 존재한다. 송만재가 순조 때 저술한 『관허희』와 1900년대 정노식이 저술한 『조선창극사』에서 심청가를 찾아볼 수 있다.[2][4] 판소리 명창들의 '덧붙임(deoneum)'을 통해 예술적으로 완성된 작품으로 여겨진다.[5][2] 비극과 슬픔을 주요 주제로 다루는 경우가 많다.[2]
6. 1. 주요 명창
송광록(宋光綠), 전도성(全道成), 김채만(金采萬), 박기홍(朴基洪), 정창업(丁昌業), 김창룡(金昌龍) 등이 《심청가》를 잘했고, 더늠을 남긴 명창으로 꼽힌다.[12] 송광록과 전도성의 더늠은 범피중류, 김채만의 더늠은 초앞, 박기홍과 김창룡의 더늠은 화초타령, 정창업의 더늠은 중타령 대목이다. 이 외에도 김창룡의 동생 김창진(金昌鎭)과 송만갑(宋萬甲), 이날치(李捺治), 박유전(朴裕全)도 심청가를 잘했다. 여류명창 이화중선(李花仲仙)은 《심청가》 가운데 추월만정 대목으로 큰 인기를 얻었다. 박유전의 지도를 받은 정재근과 그 조카 정응민(鄭應珉), 김채만의 지도를 받은 박동실(朴東實)도 심청가를 잘했다.《심청가》의 유파는 다음과 같이 5개 정도가 전승된다.
6. 2. 현존 유파
- 정응민 바디: 박유전 → 정재근 → 정응민 → 정권진 → 성우향, 조상현, 성창순 → 김영자, 정회석 (김영자, 정회석 국가무형유산 지정)[12]
- 박동실 바디: 이날치 → 김채만 → 박동실 → 한애순, 장월중선, 한승호 → 정순임 (장월중선의 딸 정순임은 국가무형유산 ‘흥보가’ 예능보유자)[13] : 박동실의 월북 이후 현재 예능보유자는 지정되지 않음.[12]
- 김연수 바디: 송만갑, 정응민 → 김연수 → 오정숙 → 이일주 → 송재영, 장문희 (전라북도 무형유산 심청가 지정)[12]
- 김소희 바디: 송만갑, 박동실, 정응민 → 김소희 → 신영희, 안향련, 안숙선[12]
- 박동진 바디: 김정근 → 김창진 → 박동진 → 김양숙 (현재 연창되지 않음)[12]
7. 현대적 의의
심청가는 단순한 고전 판소리를 넘어, 현대 사회에도 여전히 유효한 가치를 지닌다. 효(孝)와 희생, 그리고 역경 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는 정신은 오늘날 우리 사회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진보적 관점에서는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연대, 불평등 극복을 위한 노력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작품으로 해석할 수 있다.
심청은 눈먼 아버지 심학규를 돌봐야 하는 상황에서도 희생하는 모습을 보여준다.[2] 판소리의 하이라이트는 심봉사가 눈을 뜨는 장면인데, 이때 다른 맹인들도 시력을 회복하며 이야기는 축제 분위기 속에서 마무리된다.[6]
참조
[1]
웹사이트
판소리 다섯마당
https://www.gugak.go[...]
2014-11-16
[2]
백과사전
심청가 (沈淸歌)
https://encykorea.ak[...]
Academy of Korean Studies
2024-07-02
[3]
웹사이트
심청가
https://folkency.nfm[...]
[4]
웹사이트
관우희
https://folkency.nfm[...]
[5]
논문
<심청가> 더늠의 통시적 연구
https://docviewer.na[...]
판소리학회
1998-12
[6]
서적
재미있는 우리국악 이야기
서해문집
[7]
기타
[8]
기타
[9]
기타
[10]
기타
[11]
기타
[12]
기타
[13]
기타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