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의 고속도로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의 고속도로는 싱가포르의 주요 교통망을 형성하며, 1962년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 건설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왔다. 현재 11개의 고속도로가 운영 중이며, 각 고속도로는 고유한 노선 코드를 가지고 있다. 싱가포르 고속도로는 말레이시아와 연결되어 있으며, 아시안 하이웨이 노선도 일부 공유한다. 또한 싱가포르는 고속도로 외에도 5개의 준고속도로를 운영하고 있다.
싱가포르의 고속도로 건설은 1962년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건설 시작과 함께 본격화되었으며, 1966년 첫 구간이 개통되었다. 이후 지속적인 확장과 새로운 노선 건설을 통해 현재의 고속도로망을 갖추게 되었다. 상세한 개발 과정은 아래 하위 섹션에서 다룬다.
2. 역사
2. 1. 초기 개발
싱가포르의 고속도로 개발은 1960년대 초반, 아직 완전한 자치권을 확보하던 시기에 시작되었다. 첫 고속도로인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는 1962년 4월 15일에 건설이 시작되어, 1966년 5월 8일 1단계 구간(휘틀리 로드 ~ 파야 레바 웨이)이 완공되며 싱가포르 고속도로 시대의 막을 열었다. PIE는 이후 지속적으로 확장되어 1981년까지 주요 구간 건설이 완료되었다.
1970년 12월에는 싱가포르 최초의 플라이오버인 토아 파요 플라이오버(길이 1.2km)가 개통되어 교통 흐름 개선에 기여했다.
동부 해안 지역 개발과 함께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건설도 추진되었다. 1971년 간척 사업과 병행하여 시작된 ECP는 1974년 1단계(포트 로드 ~ 마린 퍼레이드) 완공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개통되었으며, 1981년 4월 벤자민 시어스 다리를 포함한 총 길이 20km의 전 구간이 완성되었다. 초기에는 베독 고속도로로 불리기도 했으나, 1980년 3단계 완공과 함께 ECP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1975년에는 북부 지역 연결을 위한 세바왕 고속도로 계획이 시작되었고, 이는 1981년 중앙 고속도로(CTE) 건설로 이어졌다. CTE는 1983년과 1985년에 걸쳐 1단계 구간(앙 모 키오 애비뉴 1 ~ 톰슨 로드)이 개통되었다.
이 외에도 1983년에는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와 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건설이 시작되었으며, BKE는 1986년 1월 총 길이 10km로 개통되었다.
아래는 싱가포르 고속도로 초기 개발과 관련된 주요 사건 연대기이다.
날짜 | 사건 | 비고 |
---|---|---|
1962년 4월 15일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건설 시작. | 싱가포르의 완전 내부 자치 기간 동안 건설 |
1966년 5월 8일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1단계 완공. PIE 2단계 건설 시작. |휘틀리 로드: 마운트 플레젠트 플라이오버 - 톰슨 플라이오버 - 잘란 토아 파요 - 잘란 콜람 에이어 - 파야 레바 웨이 | |
1970년 12월 14일 | 싱가포르 최초의 플라이오버인 토아 파요 플라이오버 개통. | 길이: 1.2km |
1971년 1월 23일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건설 시작. | 이스트 코스트 간척 사업과 함께 시작 |
1974년 12월 12일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1단계 완공. | 포트 로드 – 마린 퍼레이드 이전 명칭: 베독 고속도로 |
1975년 7월 15일 | 세바왕 고속도로 계획 시작. | 앙 모 키오 애비뉴 3 ~ 앙 모 키오 애비뉴 1 |
1976년 2월 22일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2단계 완공. | 마린 퍼레이드 – 베독 사우스 로드 이전 명칭: 베독 고속도로 |
1976년 9월 30일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 | 아담 로드 - 잘란 아낙 부킷 |
1977년 1월 1일 | 세바왕 고속도로 계획 확장. | 이오 추 캉 로드까지 확장 |
1980년 1월 19일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 | 휘틀리 로드 - 아담 로드 |
1980년 1월 22일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3단계 완공. | 베독 사우스 로드 – 창이 공항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로 명칭 변경 |
1980년 3월 15일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3단계 완공. | 잘란 유노스 - 창이 공항 |
1980년 4월 25일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 | 홍 카 드라이브 - 잘란 분 레이 |
1980년 10월 25일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 | 잘란 유노스 - 베독 노스 로드 |
1981년 1월 10일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 | 베독 노스 로드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 |
1981년 1월 29일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개통. | 홍 카 드라이브 - 잘란 아낙 부킷 |
1981년 4월 18일 |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ECP) 4단계 완공 및 벤자민 시어스 다리 개통. | ECP 길이: 20km ECP 4단계: 포트 로드 - 케펠 로드 |
1981년 7월 11일 | 중앙 고속도로(CTE) 건설 시작. | 이전 세바왕 고속도로 계획 |
1981년 12월 20일 | 판 아일랜드 고속도로(PIE) 4단계 완공. | 잘란 아낙 부킷 - 주롱 로드 |
1983년 3월 5일 | 아이어 라자 고속도로(AYE) 건설 시작. | |
1983년 3월 31일 | 중앙 고속도로(CTE) 1단계 개통. | 앙 모 키오 애비뉴 1 - PIE |
1983년 9월 23일 | 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건설 시작. | |
1985년 5월 18일 | 중앙 고속도로(CTE) 1단계 개통. | PIE - 톰슨 로드 |
1986년 1월 22일 | 부킷 티마 고속도로(BKE) 개통. | 길이: 10km |
2. 2. 확장 및 현대화
PIE 2단계 건설 시작.이전 명칭: 베독 고속도로
이전 명칭: 베독 고속도로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로 명칭 변경
ECP 4단계: 포트 로드 - 케펠 로드
개통: 헹 치앙 멩 씨
우드랜드 애비뉴 2 - 어퍼 톰슨 로드
개통: 존 첸 세오 푼 씨, 통신부 장관
PIE - TPE
이스트 코스트 파크웨이는 시어스 애비뉴로 단축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