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가포르의 선임장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싱가포르의 선임장관은 싱가포르의 내각에서 임명되는 직위로, S. 라자라트남이 1985년 신설된 이 직책의 초대 선임장관을 맡았다. 리콴유는 총리직에서 물러난 후 선임장관을 역임했으며, 고촉통, S. 자야쿠마르, 타르만 샨무가라트남, 테오치히엔이 이 직책을 거쳤다. 2011년 총선 이후 한동안 공석이었으며, 2024년 5월 15일 리셴룽이 임명되어 현재 선임장관직을 수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85년 설립 - 사직실내체육관
사직실내체육관은 농구 경기장으로 사용되며, 과거에는 부산 기아 엔터프라이즈가, 현재는 부산 BNK 썸과 부산 KCC 이지스가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다양한 스포츠, 문화 행사 및 e스포츠 경기가 개최되었다. - 1985년 설립 -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부산사상터미널)은 부산광역시 사상구 괘법동에 위치한 시외버스터미널로, 1985년 이전하여 본관 A, B동 및 별관 A, B동으로 구성된 육각형 외벽과 기둥이 특징이며, 수도권, 호남권, 영남권 방면의 다양한 노선을 운행하고 애플아울렛, 롯데시네마 등 상업 시설과 함께 있다.
싱가포르의 선임장관 | |
---|---|
직책 개요 | |
직책 명칭 | 싱가포르 선임장관 |
소속 | 싱가포르 총리실 |
약칭 | SM |
직책 스타일 | 선임장관 (구어체) 존경하는 분 (격식체) 각하 (외교) |
임명 및 임기 | |
임명권자 | 싱가포르의 총리 |
임기 | 총리의 재량 |
설치일 | 1985년 1월 2일 |
현재 재임자 | |
재임자 | 테오 치 힌 |
취임일 | 2019년 5월 1일 |
재임자 | 리셴룽 |
취임일 | 2024년 5월 15일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http://www.pmo.gov.sg/ 싱가포르 총리실 |
2. 역사
S. 라자라트남은 1985년에 신설된 선임장관을 맡았다가 1988년 은퇴했다.[11] 그 이전 1980년부터 1985년까지는 싱가포르의 부총리를 역임했다.
리콴유는 1990년 총리직에서 물러나면서 선임장관직에 올랐고, 총리직에는 고촉통이 취임했다. 리콴유는 당시 현직 부총리였던 리셴룽과 옹텡청을 넘어 사실상 의전서열 2위였다.[12]
고촉통은 2004년 리셴룽에게 총리직을 물려주고 자신은 싱가포르의 선임장관에 올라섰다. 당시 고촉통은 의전서열 2위였고, 내각자정에 올라선 리콴유는 의전서열 3위에 올랐다.[13]
S. 자야쿠마르는 2009년 부총리직을 내려놓고 선임장관이 되었으며 2011년에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14]
2011년 싱가포르 총선 이후 리콴유 내각자정과 고촉통 선임장관은 내각직에서 전부 물러났지만 국회의원직은 유지했다. 고촉통은 명예 선임장관(ESM)이라는 직함을 수락했고, 리콴유도 비슷한 직함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하고 2015년 3월 23일 사망할 때까지 국회의원직을 유지했다.[15]
2011년 5월 21일부터[6] 2019년 5월 1일까지 싱가포르의 선임장관직은 공석이었다.[16] 이 8년간의 공백 후 테오치히엔과 타르만 샨무가라트남이 싱가포르의 부총리직을 포기한 후 선임장관직에 올라왔다.[16]
2023년 싱가포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타르만 샨무가라트남은, 싱가포르의 대통령은 초당파적 직책이므로 2023년 7월 7일 내각 내 모든 직책과 인민행동당에서 탈당하겠다고 밝히면서 선임장관직에서 사퇴했다.
리센룽은 로렌스 웡에게 총리직을 넘겨준 후 2024년 5월 15일 선임 장관으로 임명되었다.[7]
2. 1. 초대 선임장관: S. 라자라트남
S. 라자라트남은 1985년에 신설된 선임장관직을 맡은 첫 인물이다.[11] 그는 싱가포르의 초대 외무장관을 역임했으며, 1980년부터 1985년까지는 싱가포르의 부총리를 역임했다.[11] 이후 1988년에 정계에서 은퇴했다.[11]2. 2. 리콴유의 선임장관 재직
싱가포르의 초대 총리인 리콴유는 1990년 총리직에서 물러나면서 선임장관직에 올랐다. 총리직은 고촉통이 승계했다. 리콴유는 당시 현직 부총리였던 리셴룽과 옹텡청을 넘어 사실상 의전서열 2위였다.[12]2011년 싱가포르 총선 이후, 리콴유는 내각자정 직에서 물러났지만 국회의원직은 유지했다. 그는 명예 선임장관(ESM) 직함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하고 2015년 3월 23일 사망할 때까지 국회의원직을 유지했다.[15]
2. 3. 고촉통의 선임장관 재직
고촉통은 2004년 리셴룽에게 총리직을 물려주고 선임장관에 취임했다. 고촉통은 의전서열 2위였고, 내각자정에 취임한 리콴유는 의전서열 3위였다.[13]2011년 싱가포르 총선 이후, 고촉통 선임장관은 리콴유 내각자정과 함께 내각직에서 물러났지만 국회의원직은 유지했다. 고촉통은 명예 선임장관(ESM)이라는 직함을 수락했다.[15]
2. 4. S. 자야쿠마르의 선임장관 재직
S. 자야쿠마르는 2009년 싱가포르의 부총리직을 내려놓고 선임장관이 되었으며[14] 2011년에 정계에서 은퇴했다.[14]2. 5. 2011년 총선 이후의 변화
2011년 싱가포르 총선 이후, 리콴유 내각자정과 고촉통 선임장관은 내각직에서 전부 물러났지만 국회의원직은 유지했다.[15] 고촉통은 명예 선임장관(ESM)이라는 직함을 수락했고, 리콴유도 비슷한 직함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하고 2015년 3월 23일 사망할 때까지 국회의원직을 유지했다.[15]2011년 5월 23일부터 2019년 5월 1일까지 싱가포르의 선임장관직은 공석이었다.[16] 이 8년간의 공백 후 테오치히엔과 타르만 샨무가라트남이 싱가포르의 부총리직을 포기한 후 선임장관직에 올라왔다.[16]
2023년 싱가포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겠다는 의사를 밝힌 타르만 샨무가라트남은, 싱가포르의 대통령은 초당파적 직책이므로 2023년 7월 7일 내각 내 모든 직책과 인민행동당에서 탈당하겠다고 밝히면서 선임장관직에서 사퇴했다.
2. 6. 공석 기간과 이후 임명
S. 라자라트남은 1985년에 신설된 선임장관을 맡았다가 1988년 은퇴했다.[11] 그 이전에는 1980년부터 1985년까지 싱가포르의 부총리를 역임했다. 리콴유는 1990년 선임장관직에 올라섰고, 총리직에는 고촉통이 취임했다.[12] 리콴유는 당시 현직 부총리였던 리셴룽과 옹텡청을 넘어 사실상 의전서열 2위였다.[12]2004년에는 고촉통이 리셴룽에게 싱가포르의 총리직을 물려주고 자신이 싱가포르의 선임장관에 올라섰다. 당시 고촉통은 의전서열 2위였고, 싱가포르의 내각자정에 올라선 리콴유는 의전서열 3위에 올랐다.[13] S. 자야쿠마르는 2009년 부총리직을 내려놓고 선임장관이 되었으며 2011년에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14]
2011년 싱가포르 총선 이후 리콴유 내각자정과 고촉통 선임장관은 내각직에서 전부 물러났지만 국회의원직은 유지했다. 고촉통은 명예 선임장관(ESM)이라는 직함을 수락했고, 리콴유도 비슷한 직함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하고 2015년 3월 23일 사망할 때까지 국회의원직을 유지했다.[15]
2011년 5월 21일부터[6] 2019년 5월 1일까지 싱가포르의 선임장관직은 공석이었다.[16] 이 8년간의 공백 후 테오치히엔과 타르만 샨무가라트남이 싱가포르의 부총리직을 포기한 후 선임장관직에 올라왔다.[16]
2023년 6월 8일, 타르만 샨무가라트남이 2023년 싱가포르 대통령 선거에 출마하겠다는 의사를 표했고, 싱가포르의 대통령은 초당파적 직책이므로 2023년 7월 7일 내각 내 모든 직책과 인민행동당에서 탈당하겠다고 밝히면서 선임장관직에서 사퇴했다.
리센룽은 로렌스 웡에게 총리직을 넘겨준 후 2024년 5월 15일 선임 장관으로 임명되었다.[7]
2. 7. 리셴룽의 선임장관 임명
2004년, 고촉통이 리셴룽에게 싱가포르의 총리직을 물려주고 자신은 싱가포르의 선임장관에 올라섰다. 선임장관 시절 고촉통은 의전서열 2위였고, 싱가포르의 내각자정에 올라선 리콴유는 의전서열 3위에 올랐다.[13][3]2011년 싱가포르 총선 이후 리콴유 내각자정과 고촉통 선임장관은 내각직에서 전부 물러났지만 국회의원직은 유지했다. 고촉통은 명예 선임장관(ESM)이라는 직함을 수락했고, 리콴유도 비슷한 직함을 제안받았지만 거절하고 2015년 3월 23일 사망할 때까지 국회의원직을 유지했다.[15][5]
S. 자야쿠마르는 2009년 부총리직을 내려놓고 선임장관이 되었으며 2011년에 정계 은퇴를 선언했다.[14][4]
2011년 5월 21일부터[5] 2019년 5월 1일까지 싱가포르의 선임장관직은 공석[16]이었다.
리센룽은 로렌스 웡에게 총리직을 넘겨준 후 2024년 5월 15일 선임 장관으로 임명되었다.[7]
3. 역대 선임장관 목록


고촉통 제2내각
고촉통 제3내각
고촉통 제4내각

리셴룽 제2내각

리셴룽 제4내각

리셴룽 제5내각

리셴룽 제5내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