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글즈 (뮤지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뮤지컬 싱글즈는 2007년 초연된 대한민국의 창작 뮤지컬이다. 2007년부터 2013년까지 서울을 비롯한 여러 지역에서 공연되었으며, 2008년에는 더뮤지컬어워즈에서 최우수 창작 뮤지컬상을 수상했다. 2011년부터는 W 워커힐 호텔 WOOBAR에서 파티 형식의 공연을 선보이는 등 다양한 시도를 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2008년 뮤지컬 - 미녀는 괴로워 (뮤지컬)
외모 콤플렉스를 가진 주인공이 성형수술로 미녀 가수가 되면서 겪는 이야기를 그린 뮤지컬 미녀는 괴로워는 2008년 초연 이후 여러 배우들이 출연하며 공연되었다. - 2008년 뮤지컬 - 플래시댄스 (뮤지컬)
플래시댄스 (뮤지컬)는 1983년 영화를 원작으로, 댄스 아카데미 진학을 꿈꾸는 알렉스의 성장과 사랑을 그리며, 영국, 미국, 한국 등에서 공연되었다. - 대한민국의 뮤지컬 - 남한산성 (뮤지컬)
뮤지컬 남한산성은 김훈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오달제의 사랑 이야기를 중심으로 각색되었으며, 소설과 달리 최명길과 김상헌의 역할이 축소되고 새로운 여성 캐릭터가 등장하는 차이점을 보인다. - 대한민국의 뮤지컬 - 지하철 1호선 (대한민국의 뮤지컬)
《지하철 1호선》은 1996년 초연 이후 20세기 말 한국 사회상을 배경으로 IMF 외환위기 당시 서울을 배경으로 재구성되어 혁신적인 시도와 시대적 상황을 반영한 각색으로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꾸준히 사랑받는 대한민국 대표 뮤지컬이다.
싱글즈 (뮤지컬) | |
---|---|
공연 정보 | |
제목 | 싱글즈 |
원작 | 장진의 영화 《싱글즈》 |
극본 | 이희준 |
작사 | 민경아, 이희준 |
작곡 | 김혜성 |
연출 | 김달중 |
음악감독 | 김혜성 |
안무 | 홍유선 |
제작 | CJ엔터테인먼트, 쇼팩 |
공연 기간 | 2007년 7월 6일 ~ 2007년 9월 9일 |
공연 장소 | 동숭아트센터 동숭홀 |
등장인물 | |
나난 | 김아중, 유나영, 최성희 |
동미 | 김지우, 전예지 |
수헌 | 김도현, 윤계상 |
정준 | 김종욱, 조강현 |
파티쉐 | 이석준 |
멀티녀 | 최정화 |
멀티남 | 정상훈 |
2. 공연
뮤지컬 《싱글즈》는 2007년 초연된 이후 전국 각지에서 꾸준히 공연되며 관객들의 사랑을 받아왔다.[1] 2010년부터 2013년까지의 공연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장소 | 주요 출연진 |
---|---|---|
2010년 | 서산문화회관 대공연장 | (자료 없음) |
2011년 | W 워커힐 호텔 WOOBAR | (자료 없음) |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 서지유, 박영필, 김민주, 이규형, 이호경 | |
용인시 여성회관 큰어울마당 | 서지유, 박영필, 김민주, 이규형, 이호경 | |
2012년 | W 워커힐 호텔 WOOBAR | (자료 없음) |
하남문화예술회관 대극장(검단홀) | (자료 없음) | |
2013년 | W 워커힐 호텔 WOOBAR | 부메노클리닉 |
대학로 SM아트홀 | 이동하, 엄태형, 장지우, 우금지, 유별라, 홍광선, 최호승, 임태현 | |
2. 1. 2007년 초연
2007년 6월 9일부터 9월 9일까지 서울시 동숭아트센터 아트홀에서 초연되었다.[1] 오나라, 구원영, 이현우, 서현수, 백민정, 김도현 등 실력파 배우들이 출연하여 작품의 완성도를 높였다.[1]
2. 2. 2008년 공연
2008년에는 뮤지컬 《싱글즈》가 여러 장소에서 공연되었다. 먼저 서울시 호암아트홀에서 2008년 1월 15일부터 2월 24일까지 공연되었으며, 김지우, 박혜나, 이종혁, 손호영, 이건영, 민영기, 정현주 등이 출연하였다.[1] 이후 의정부시 예술의 전당에서 2008년 5월 20일과 21일 양일간 '2008 의정부국제음악극축제'의 일환으로 공연되었고, 한선화, 윤미연, 박상협, 홍희원, 민정기, 변희경, 박범정이 출연하였다.[1]6월 27일부터 3일간은 청주시 예술의 전당 대공연장에서 공연되었으며, 의정부 공연과 동일한 캐스트로 진행되었다.[1] 8월 2일부터 10일까지는 MBC 롯데아트홀에서 '2008 제2회 부산썸머뮤지컬페스티벌'의 일환으로 공연되었다.[1] 10월 25일부터 2009년 1월 18일까지는 백암아트홀에서 오나라, 앤디, 이성진, 김세우, 박혜나, 유나영, 조진아가 출연하여 공연을 이어갔다.[1]
장소 | 기간 | 주요 출연진 |
---|---|---|
서울시 호암아트홀 | 2008/01/15 ~ 2008/02/24 | 김지우, 박혜나, 이종혁, 손호영, 이건영, 민영기, 정현주 |
의정부시 예술의 전당 | 2008/05/20 ~ 2008/05/21 | 한선화, 윤미연, 박상협, 홍희원, 민정기, 변희경, 박범정 |
청주시 예술의 전당 대공연장 | 2008/06/27 ~ 2008/06/29 | 한선화, 박상협, 윤미연, 홍희원, 민정기, 변희경, 박범정 |
MBC 롯데아트홀 | 2008/08/02 ~ 2008/08/10 | (자료 없음) |
백암아트홀 | 2008/10/25 ~ 2009/01/18 | 오나라, 앤디, 이성진, 김세우, 박혜나, 유나영, 조진아 |
2. 3. 2009년 공연
シングルズ일본어는 2009년에 대구, 부산, 대전 등 지방 공연과 함께 대학로 자유극장에서 장기 공연을 진행하며 더 많은 관객들과 만났다.[1] 오나라, 백민정, 김도현, 구원영, 서현수, 임진아, 이준혁 등 초연 배우들과 윤석현, 안유진, 서승원, 김민, 이병권, 정경진 등 새로운 배우들의 조화가 돋보였다.[1]2009년 공연 일정 및 출연진은 다음과 같다.[1]
장소 | 기간 | 주요 출연진 |
---|---|---|
대구 봉산문화회관 | 2009/05/01 ~ 2009/05/31 | 윤석현, 안유진, 서승원, 김민, 이병권, 정경진 |
해운대문화회관 해운홀(대공연장) | 2009/06/27 ~ 2009/06/28 | 안유진, 서승원, 신의정, 윤석현, 김민, 서대경, 이주훈 |
충남대학교 정심화국제문화회관 정심화홀 | 2009/07/03 ~ 2009/07/05 | (자료 없음) |
대학로 자유극장(구 PMC 자유극장) | 2009/06/30 ~ 2009/08/16 | 오나라, 백민정, 김도현, 구원영, 서현수, 임진아, 이준혁 |
대학로 자유극장(구 PMC 자유극장) | 2009/08/21 ~ 2010/03/28 | 서지유, 우금지, 전혜빈, 이주광, 강동호, 이지송, 신의정 |
2. 4. 2010년 공연
2010년에는 예술마당3관에서 장기 공연을 진행하는 한편, 서산, 광주 등 지방에서도 관객들을 찾아갔다. 서지유, 유정은, 이태린, 김민주, 소정화, 이현, 김정산 등 새로운 배우들이 합류하여 극에 활력을 불어넣었다.[1]장소 | 기간 | 주요 출연진 |
---|---|---|
서산문화회관 대공연장 | 2010/05/27 ~ 2010/05/28 | |
예술마당3관 | 2010/04/06 ~ 2010/10/03 | 서지유, 유정은, 이태린, 김민주, 소정화, 이현, 김정산 |
꿈의숲 아트센터 퍼포먼스홀 | 2010/12/18 ~ 2010/12/19 | 유정은, 김민주, 이지송, 김정산, 김태향, 서대경 |
광주 5.18문화센터 민주홀 | 2010/12/24 ~ 2010/12/26 |
2. 5. 2011년 이후 공연
연도 | 장소 | 주요 출연진 |
---|---|---|
2011년 | W 워커힐 호텔 WOOBAR | |
2011년 | 김해문화의전당 누리홀 | 서지유, 박영필, 김민주, 이규형, 이호경 |
2011년 | 용인시 여성회관 큰어울마당 | 서지유, 박영필, 김민주, 이규형, 이호경 |
2012년 | W 워커힐 호텔 WOOBAR | |
2012년 | 하남문화예술회관 대극장(검단홀) | |
2013년 | W 워커힐 호텔 WOOBAR | 부메노클리닉 |
2013년 | 대학로 SM아트홀 | 이동하, 엄태형, 장지우, 우금지, 유별라, 홍광선, 최호승, 임태현 |
2013년 | 부평아트센터 해누리 극장 |
2011년부터는 W 워커힐 호텔 WOOBAR에서 파티 형식의 공연을 선보이며 새로운 시도를 했다. 또한, 김해, 용인, 하남, 부평 등 다양한 지역에서 공연을 이어가며 꾸준한 인기를 입증했다.
3. 수상 내역
연도 시상식 부문 배우 결과 2008 더뮤지컬어워즈 최우수 창작 뮤지컬상 수상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