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서산시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산시는 충청남도 서북부에 위치한 도시로, 선사 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해 온 유적들이 발견되었다. 백제 시대에는 해상 요충지였으며, 신라 시대에는 부성군으로 불렸다. 고려 시대에는 서주목으로 승격되었고, 조선 시대에는 서산군으로 홍주목에 속했다. 1989년 서산읍 일원을 관할로 서산시가 설치되었고, 1995년 도농복합형태의 서산시로 개편되었다.

서산시는 1읍 9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요 산업은 석유화학, 자동차 산업이며, 농업과 축산업도 발달했다. 특히 마늘, 한우, 굴 등이 특산물로 유명하다. 서산 9경을 비롯하여 해미읍성,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등 다양한 문화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철새 도래지인 천수만도 유명하다. 교통은 서해안고속도로를 비롯한 여러 도로가 잘 정비되어 있으며, 시외버스와 고속버스를 이용할 수 있다. 교육 기관으로는 한서대학교 등이 있으며, 일본, 중국, 캐나다, 미국, 프랑스 등 여러 도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산시의 행정 구역 - 성연면
    성연면은 충청남도 서산시 중앙에 위치한 분지 지형의 면으로, 교통 요충지이자 자동차산업 집적화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으며, 일람리, 고남리, 오사리 등 여러 리로 구성되어 각기 다른 역사와 지리적 특징을 갖는다.
  • 서산시의 행정 구역 - 대산읍
    대산읍은 충청남도 서산시에 속하며 큰 산에서 유래된 지명으로, 1991년 읍으로 승격되었고 다양한 지질 구조와 관광 자원을 갖춘 곳이다.
  • 충청남도의 도시 - 당진시
    당진시는 충청남도에 위치하며, 현대제철을 포함한 여러 산업 시설이 있어 물류가 활발하며, 1914년 면천군과 통합되어 당진군이 되었다가 2012년 시로 승격되었으며, 다양한 관광 자원을 보유하고 있다.
  • 충청남도의 도시 - 공주시
    공주시는 충청남도 중앙 동쪽에 위치하며 백제의 수도 웅진으로서 번영을 누렸고, 충청 지역의 중심지, 충청도 감영 위치 등 행정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했으며, 현재는 도농복합시로서 백제 유적과 자연경관, 교육기관, 편리한 교통망을 갖춘 역사와 문화 관광 도시이다.
  • 서산시 - 해미면
    충청남도 서산시에 위치한 해미면은 선사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했으며 백제시대 우견현, 고려시대 정해현과 여미현을 거쳐 조선시대 해미현으로 통합되었고, 해미읍성과 이순신 장군 근무지, 한서대학교, 공군 제20전투비행단 등이 위치한 22개의 리로 구성된 지역이다.
  • 서산시 - 서산해미도서관
    서산해미도서관은 1993년 충청남도 서산시 해미면에 개관하여 평생학습관으로 지정되었고, 멀티미디어 자료실을 운영하며, 2019년 충청남도서산교육지원청해미도서관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서산시 - [지명]에 관한 문서
지도 정보
서산시 전경
왼쪽: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해미순교성지, 해미읍성, 보원사지, 오른쪽: 삼길포항, 간월암, 황금산과 코끼리바위, 개심사 (위에서 아래 순서)
대한민국 충청남도 서산시 지도
대한민국 내 위치
기본 정보
공식 명칭서산시
한글 표기서산시
한자 표기瑞山市
로마자 표기Seosan-si
맥큔-라이샤워 표기Sŏsan-si
위치대한민국 충청남도
하위 행정 구역1읍, 9면, 5동
면적742.28 km²
인구175,144 명 (2024년 9월)
방언충청 방언
시조가창오리와 장다리물떼새
시목소나무
시화국화
정치
시장이완섭 (국민의힘)
국회의원성일종 (국민의힘, 서산시·태안군)
웹사이트
공식 웹사이트서산시
기타 정보
도시 새쇠오리와 검은날개물떼새
시청 주소충청남도 서산시 관아문길 1

2. 역사

서산시는 선사 시대부터 해미 휴암리, 대산읍 대로리 등에서 사람들이 살았던 유적들이 발견되고 있다.[12] 이후 신석기, 청동기 시대에도 사람들이 많이 살았으며, 청동기 시대에는 마한의 속국 중 하나로 치리국국(致利鞠國)이라 불렸다.[12] 삼국시대에는 백제에 속해 중국, 일본, 동남아와의 해상 요충지 역할을 했다.[13] 특히 행정상으로는 기군(基郡)이었으며, 마애삼존불상, 보원사지 등 불교문화가 발달했다.[12]

신라 때에는 부성군(富城郡)으로 고치고 고려 인종 21년(1143)에는 현령(縣令)을 두었다. 충렬왕 10년(1284) 서산군으로 승격, 지군사(知郡事)를 두었고, 충렬왕 34년(1308) 서주목(瑞州牧)로 승격하였다. 충선왕 2년(1310) 서령부(瑞寧部)로, 후에 지서주사(知瑞州事)로 격하했고, 조선 태종 13년(1413) 서산군이 되어 홍주목에 속했다.

서산시청 전경. 시청 앞에는 서산 관아문 및 외동헌이 남아 있다.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홍주부 서산군, 태안군, 해미군[14]
  • 1896년 8월 4일: 충청남도 서산군, 태안군, 해미군[15]
  • 1914년 4월 1일: 서산군, 태안군, 해미군을 서산군으로 통폐합[16]
  • 1917년 10월 1일: 서령면을 서산면으로, 지성면을 해미면으로 개칭[17]
  • 1942년 10월 1일: 서산면을 서산읍으로 승격[18] (1읍 19면)
  • 1957년 11월 6일: 대호지면, 정미면을 당진시에 편입[19] (1읍 17면)
  • 1973년 7월 1일: 태안면을 태안읍으로 승격[20]
  • 1980년 12월 1일: 안면면을 안면읍으로 승격[21] (3읍 15면)
  • 1983년 2월 15일: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리 중 내파수도·외파수도·외도를 안면읍에 편입, 서산군 고북면 대사리를 홍성군 갈산면에 편입[22]
  • 1986년: 고남출장소를 고남면으로 승격 (3읍 16면)
  • 1987년 1월 1일: 이북면을 이원면으로 개칭
  • 1989년 1월 1일: 서산읍 일원을 관할로 서산시를, 태안읍·안면읍·고남면·남면·근흥면·소원면·원북면·이원면 일원을 관할로 태안군을 각각 분리 설치[23] (10면)
  • 1991년 12월 1일: 대산면을 대산읍으로 승격[25] (1읍 9면)
  • 1995년 1월 1일: 서산시와 서산군을 통합하여 도농복합형태의 서산시 설치[24]
  • 2011년 7월 4일: 대산읍 독곳리를 독곶리로 개칭[25]

2. 1. 고대 ~ 조선 시대

서산시는 선사 시대부터 해미 휴암리, 대산읍 대로리 등에서 사람들이 살았던 유적들이 발견되고 있다.[12] 이후 신석기, 청동기 시대에도 사람들이 많이 살았으며, 청동기 시대에는 마한의 속국 중 하나인 치리국국(致利鞠國)이라 불렸다.[12] 삼국시대에는 백제에 속해 중국, 일본, 동남아와의 해상 요충지 역할을 했다.[13] 특히 행정상으로는 기군(基郡)이었으며, 마애삼존불상, 보원사지 등 불교문화가 발달했다.[12]

신라 때에는 부성군(富城郡)으로 고치고 고려 인종 21년(1143)에는 현령(縣令)을 두었다. 충렬왕 10년(1284) 서산군으로 승격, 지군사(知郡事)를 두었고, 충렬왕 34년(1308) 서주목(瑞州牧)로 승격하였다. 충선왕 2년(1310) 서령부(瑞寧部)로, 후에 지서주사(知瑞州事)로 격하했고, 조선 태종 13년(1413) 서산군이 되어 홍주목에 속했다.

해미읍성은 조선시대 성곽 건축의 잘 보존된 사례 중 하나로, 대부분의 조선시대 성곽과 달리 평지에 세워졌다. 1491년(성종 22년)에 완공되어 당시 해미읍 전체를 둘러쌌으며, 충청도 지역 군사 지휘소 및 서해안을 통한 일본 왜구 침입 방어 역할을 수행했다. 20세기 초 도시 개발을 위해 성곽의 많은 부분이 허물어졌지만, 1973년 대대적인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다. 현재 남문을 비롯한 일부 성벽은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다른 문들은 복원되었다. 해미읍성은 1866년 병인박해 당시 충청 지역의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순교한 곳으로, 여수 율포와 함께 한국 천주교 신자들에게 성지로 여겨진다.[3]

해미읍성 정문


해미읍성 내부


삼국 시대(기원전 57년경 ~ 668년)에 서산·해미 지역은 백제의 지배를 받았다. 이 시대의 유적은 매우 적지만,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뛰어난 예외이다. 6세기 후반이나 7세기 초에 조각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조각상은 연꽃잎 위에 서 있는 부처를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 두 분이 협시하는 형태이다.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었지만, 외진 곳에 위치하여 방문객이 적다.[3] 조각상은 아침 해가 삼존상 전체를 비출 때 가장 아름답게 감상할 수 있으며, 서산과 운산리에서 지역 버스를 이용하거나, 서산에서 자동차로 30분 또는 자전거로 90분 정도 이동하면 된다.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2. 2. 근현대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홍주부 서산군, 태안군, 해미군으로 개편되었다.[14]
  • 1896년 8월 4일 충청남도 서산군, 태안군, 해미군으로 개편되었다.[15]
  • 1914년 4월 1일 서산군, 태안군, 해미군이 서산군으로 통폐합되었다.[16]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서산군 군내면, 대사동면, 오산면, 율곡면서녕면
서산군 일도면, 이도면대산면
서산군 인정면, 위지면인지면
서산군 동음암면, 두치면, 동암면음암면
서산군 마산면, 화변면부석면
서산군 문현면, 수풍창면팔봉면
해미군 동면, 남면지성면
해미군 서면대호지면
해미군 상도면, 하도면고북면
해미군 일도면, 염률면정미면
해미군 이도면, 부산면, 운천면운산면
태안군 군내면, 동일면, 동이면태안면
태안군 근서면, 안흥면근흥면
태안군 이원면, 북일면이북면
태안군 원이면, 북이면원북면
태안군 원일면, 소금면소원면
태안군 안상면, 안하면안면
태안군 남면남면


  • 1917년 10월 1일 서령면이 서산면으로, 지성면이 해미면으로 개칭되었다.[17]
  • 1942년 10월 1일 서산면이 서산읍으로 승격되었다.[18] (1읍 19면)
  • 1957년 11월 6일 대호지면, 정미면이 당진시에 편입되었다.[19] (1읍 17면)
  • 1973년 7월 1일 태안면이 태안읍으로 승격되었다.[20]
  • 1980년 12월 1일 안면면이 안면읍으로 승격되었다.[21] (3읍 15면)
  • 1983년 2월 15일 보령시 오천면 삽시도리 중 내파수도·외파수도·외도가 안면읍에 편입되고, 서산군 고북면 대사리가 홍성군 갈산면에 편입되었다.[22]
  • 1986년 고남출장소가 고남면으로 승격되었다. (3읍 16면)
  • 1987년 1월 1일 이북면이 이원면으로 개칭되었다.
  • 1989년 1월 1일 서산읍 일원을 관할로 서산시를, 태안읍·안면읍·고남면·남면·근흥면·소원면·원북면·이원면 일원을 관할로 태안군을 각각 분리, 설치하였다.[23] (10면)
  • 1991년 12월 1일 대산면이 대산읍으로 승격되었다. (1읍 9면)
  • 1995년 1월 1일 서산시 일원과 서산군 일원을 관할로 도농복합형태의 서산시가 설치되었다.[24]
  • 1989년 1월 1일 - 서산군 서산읍이 '''서산시'''로 승격.
  • 1995년 1월 1일 - 서산시와 서산군이 통합하여 현재의 '''서산시'''가 출범. 박상돈(朴商敦)이 시군 통합 후 초대 시장에 취임(1읍 9면).
  • 1995년 6월 27일 - 시장 선거에서 김기흥(金基興)이 당선.
  • 1998년 6월 4일 - 시장 선거에서 김기흥(金基興)이 재선.
  • 2002년 6월 13일 - 시장 선거에서 조규선(曺圭宣)이 당선.
  • 2006년 5월 31일 - 시장 선거에서 조규선(曺圭宣)이 재선.
  • 2007년 2월 22일 - 조규선(曺圭宣)이 시장직을 상실.
  • 2011년 7월 4일 대산읍 독곳리를 독곶리로 개칭하였다.[25]


3. 지리

서산시 전경


충청남도 서북부 태안반도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쪽은 당진시, 예산군, 서쪽은 태안군, 남쪽은 홍성군, 북쪽은 황해와 접한다.

3. 1. 지형 및 지질

충청남도 서북부 태안반도의 동쪽에 위치하며 동쪽은 당진시, 예산군, 서쪽은 태안군, 남쪽은 홍성군, 북쪽은 황해와 접한다. 지질은 대개 결정편암계 지질로 되어 있다. 광주산맥이 일단 침강하였다가 다시 융기하여 생긴 가야산, 팔봉산 등 낮은 구릉성 산지가 남북으로 배열된 나뭇가지 모양의 반도로서, 동쪽 가야산맥(주봉 678m)이 예산, 홍성과 경계를 이룸으로써 반도는 거의 완전히 내륙부와 차단되어 있다. 해안은 모식적인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고 있다.

서산시는 동경 126°4′- 126°7′, 북위 36.5°- 37°에 걸쳐 있으며 서울로부터 남쪽으로 164.5km, 대전으로부터 서북쪽으로 142.4km 떨어져 위치하여 있다.[26] 동쪽으로 예산, 홍성, 서산 일대의 최고봉인 가야산(678m)이 자리잡고 있고 서쪽으로는 태안반도를 거쳐 황해로 이어지는 낮은 구릉지대가 펼쳐져 있다.[27] 해발 100m 이상의 평야와 구릉이 전체 면적의 60%를 차지한다. 북쪽으로는 가로림만이 자리하고 있으며,[28] 남쪽으로는 간월호부남호가 접해있다.

서산시의 지질은 경기육괴의 옥천대에 속하며 선캄브리아기에 형성된 오랜 기반암 위로 고생대, 중생대 등의 다양한 지질 시대 암반이 놓여 있다. 선캄브리아기의 변성암류는 시생대 서산층군과 고원생대의 경기변성복합체로 구분되며 최근 서산층군 일부는 고생대에 형성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산층군의 지질시대는 이 층군 중에서 편암류를 관입한 화강편마암의 절대연령치가 약 2,300만년으로 추정되어 그 보다 오랜 시기인 상부 시생대에서 최하부 원생대로 유추할 수 있다.[29] 서산시의 지형은 대표적인 노령기 지형으로 매우 오래된 지층이 오랫 동안 풍화를 거듭하여 형성된 것이다.[26]

완만한 구릉으로 이루어진 노령기 지형으로 하천은 S자형 자유 유계를 보인다. 하천의 느린 유속으로 하상이 발달하여 넓은 충적평야를 이루었다.[27] 뚜렷이 발달한 독립 수계로는 삽교천이 유일하며, 수자원 이용을 위해 삽교천의 물을 막아 만든 삽교호간월호, 부남호 등의 인공 호수가 이용되고 있다.

3. 2. 기후

서산시는 해안에 위치하여 바다의 영향을 받는 해양성 기후를 보인다. 연평균 기온은 12.1°C로 내륙인 대전보다 조금 낮고, 가장 높은 기온을 보이는 8월의 월평균 기온은 25.3°C, 가장 낮은 기온을 보이는 1월의 월평균 기온은 -1.6°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1,253.9mm로 중부지방 연평균 강수량과 비슷하지만 내륙지방인 대전보다는 적고 여름철 강수량은 707.7mm로 연평균 강수량의 55%이다. 연평균 풍속은 2.4m/s로 내륙지방보다 다소 강한 편이다.[30]

서산의 상대습도, 일조수, 증발량 등은 해안지방이 내륙지방보다 높기 때문에 염전이 발달하였다. 하지만 겨울철에는 북서계절풍이 탁월하며, 이는 해안가의 사빈과 사구를 형성하고 눈을 몰아오기도 한다.[31]

1월2월3월4월5월6월7월8월9월10월11월12월
평균 최고 기온 (℃)3.3°C5.6°C10.8°C17.3°C22.5°C26.4°C28.5°C29.7°C26.1°C20.5°C13°C5.7°C17.5°C
평균 기온 (℃)-1.6°C0.1°C4.9°C10.9°C16.6°C21.3°C24.5°C25.3°C20.7°C14.1°C7.4°C0.8°C12.1°C
평균 최저 기온 (℃)-6.2°C-4.9°C-0.7°C5°C11.4°C17°C21.5°C21.7°C16.1°C8.6°C2.2°C-3.7°C7.3°C
최고 기온 기록 (℃)17.7°C19.3°C23.4°C29.8°C31.4°C33.7°C37.3°C37.1°C32.9°C30.7°C25.4°C18.9°C37.3°C
최저 기온 기록 (℃)-19.7°C-17.1°C-9.8°C-4.7°C2.1°C8°C13.7°C13.7°C4.1°C-1.9°C-8.2°C-15.9°C-19.7°C
평균 강수량 (mm)23.531.141.574.7101.1138.2274.6283.5144.453.054.134.21253.9
평균 강수일수 (0.1 mm 이상)8.66.66.67.88.09.314.813.88.16.39.711.5-
평균 상대 습도 (%)70.768.267.567.471.576.584.282.478.174.173.472.073.8
평균 일조 시간157.2173.5208.1219.5238.8195.4146.7183.1190.8208.1155.7147.92224.8



서산시는 한국의 대부분 지역과 마찬가지로 온난 습윤 기후/습윤 대륙성 기후(Cfa/Dfa)를 보인다. 봄에는 온화한 기온과 함께 중국 본토에서 날아오는 강한 황사가 동반된다. 이러한 황사는 서산 시민들이 걷거나 자전거를 탈 때 마스크를 착용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그러나 서산과 그 주변 지역은 특히 산과 서산호수공원이 봄에 매우 아름답다. 여름에는 장마철이 6월이나 7월에 약 3주 동안 지속되며 매우 강한 바람과 폭우가 특징이지만, 최근 몇 년 동안 이러한 현상의 강도는 감소하고 있다. 서산은 여름철에 약한 태풍의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2010년 태풍 콤파스로 인해 서산이 피해를 입은 것이 그 예이다. 가을은 일반적으로 9월 중순에 시작되며 11월까지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기 시작한다. 눈은 일반적으로 11월 말이나 12월 초에 내리기 시작하여 2월 말이나 3월 초까지 계속된다. 간헐적인 폭설을 제외하고는 강설량이 일반적으로 매우 적어 지역 교통에 불편을 주는 경우는 드물다.

3. 3. 생태계

서산시는 중부 이남에 자리 잡은 해안에 면한 평야 지대로 식물구 분류로는 한반도 중부아구에 속하며 군계 분류로는 냉온대 중부에 해당한다. 대나무, 감탕나무, 굴거리나무 등의 북방 한계선이다. 오랜 시기에 걸쳐 경작과 땔감 채취 등이 이루어져 자연림이 남아 있는 경우는 별로 없다. 전체 숲 면적 가운데 28%는 조림지이고 솎아베기나 화재 등으로 훼손된 뒤 자연적으로 재생된 숲인 2차림은 7% 정도로 팔봉산 지역이 그나마 양호하다. 우점종은 곰솔소나무속의 침엽수인데 해풍의 영향으로 활엽수의 생장이 어렵기 때문이다. 곰솔 군락은 다른 나무들에 비해 생장이 양호하고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굴피나무 등의 활엽수와 함께 숲을 이룬다. 마을 인근에는 리기다소나무와 같은 소나무 숲이 조림되어 있다. 마을에서 관리하고 있는 조림지에는 이 외에도 물오리나무, 일본잎갈나무, 아까시나무, 은사시나무와 같은 군락이 있다.[34]

서산시는 100여 그루의 나무를 보호수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35]

4. 행정 구역

서산시의 행정 구역은 1읍 9면 5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741.28km2이며, 2020년 8월 31일 기준으로 인구는 78,448세대, 179,448명이다. 시내 동 지역에는 95,586명, 읍면 지역에는 83,852명이 거주하고 있다.[42] 서산시는 단독으로 국회의원 선거구를 구성할 수 있지만, 이웃 태안군이 단독 선거구를 구성할 수 없어 태안군과 선거구를 공유한다.

서산시 행정지도


읍면동한자면적세대인구
대산읍大山邑105.67km26,97513,865
인지면仁旨面35.47km23,3417,402
부석면浮石面123.94km22,8025,384
팔봉면八峰面51.34km21,7973,363
지곡면地谷面57.9km23,9248,125
성연면聖淵面43.93km25,95214,875
음암면音岩面43.94km24,3899,531
운산면雲山面82.65km22,6975,155
해미면海美面68.24km23,9317,457
고북면高北面71.75km22,9456,437
부춘동富春洞9.43km28,78119,565
동문1동東門一洞7.39km27,78519,187
동문2동東門二洞1.37km24,3969,024
수석동壽石洞6.04km27,19016,333
석남동石南洞37.82km211,70529,569
서산시瑞山市741.21km278,448175,275


5. 산업

서산시의 주요 산업은 전통적으로 간척지의 논농사와 어업이었다. 그러나 현대에는 석유화학(에너지 산업)이 주를 이루며, HD현대오일뱅크, SK온, 롯데케미칼, 한화토탈에너지스, LG화학, HD현대코스모, E1 등의 기업이 있다.[7]

2012년 서산시의 지역내 총생산은 51조 5,396억원으로 충청남도 전체의 17.6%를 차지했다. 이 중 농림어업(1차산업)은 615800000KRW으로 1.2%,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45조 2,012억원으로 87.7%를 차지했다. 상업 및 서비스업(3차산업)은 5조 7,226억원으로 11.1%를 차지했는데, 이 중에서는 건설업(3.17%), 운수업(1.92%),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0.88%), 도소매업(0.82%)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43]

2014년 서산시 산업 종사자는 총 59,675명으로 충청남도 전체의 7.3%였다. 농림어업(1차 산업) 260명(0.4%), 광업 및 제조업(2차 산업) 17,977명(30.1%), 상업 및 서비스업(3차 산업) 41,365명(69.3%)이었다. 2차 산업 비중은 충청남도 전체보다 낮았고, 3차 산업 비중은 높았다. 3차 산업 중에서는 문화 및 기타서비스업(6.7%), 도소매업(13%), 숙박 및 음식업(11.1%), 교육서비스업(7%),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6.3%)이 큰 비중을 차지했다.[44]

대산읍 독곶리, 대죽리 일원에는 대산 석유화학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여기에는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LG화학, 롯데케미칼, KCC, 코오롱인더스트리 등 50여개 원유 정제 관련 업체가 입주해 있으며, 이들 주요 6대 기업의 연간 매출액은 2019년 기준 약 81조에 달한다.

석유화학산업 외에도 현대트랜시스, 현대파텍스, 삼기오토모티브, 현대위아, SK온 등 자동차 관련 기업들이 산업단지에 입주하면서 자동차 산업 집적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대산항


대산항(大山港)은 대산읍 대죽리에 있는 무역항이다. 1991년 무역항으로 지정된 후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등 석유화학기업 항만시설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2006년 12월 충청권 최초의 공용부두(2만DWT급 1선석)가 준공되고 2011년 8월 국가부두 3선석(잡화 2선석, 컨테이너 1선석)이 추가 준공되었다.[45]

2017년 7월 현재 서산시에는 358개 공장이 등록되어 18,493명이 근무하고 있다. 주요 산업단지로는 국가산업단지인 대죽자원비축산업단지가 있으며, 11개소의 지방산업단지와 4개소의 농공단지가 있다.
대산일반산업단지

5. 1. 농업 및 축산업

, , 참깨, 감자, 생강 등이 주로 논농사를 통해 재배되며, 특히 마늘 생산량이 많다. 축산 분야에서는 한우, 돼지, 육계, 산란계가 많이 사육된다.

서산 한우 목장


서산의 한우


서산시의 축산업은 소규모 복합 영농 형태에서 규모화 및 전업화되는 추세이다. 서산시는 한우개량사업소, 현대서산농장, 가축경매시장, 도축장, 도계장, 집유장, 그리고 간척지(조사료 생산지) 등 축산 관련 인프라가 잘 갖춰져 있다.

서산시의 축산물 브랜드로는 서산우리한우, 서산뜨레한돈, 자미원서산벌꿀 등이 있다.

  • 한우개량사업소

: 서산은 낮은 구릉지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해안과 접해 있어, 여름은 서늘하고 겨울은 온난한 기후를 보인다. 이러한 지리적, 기후적 조건은 목축업 발달에 유리하게 작용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나라에서 관리하는 목장이 있었는데, 대산, 흥주, 면천, 태안에 위치한 목장 중 대산목장이 가장 규모가 컸다.

: 대표적인 목장으로는 1969년 거대한 산지를 개발하여 산악 축산의 요람으로 성장한 ‘농협경제지주 개량사업본부 한우개량부’가 있다. 이곳은 원래 이름인 ‘삼화목장’으로 더 잘 알려져 있다. 충청남도 서산시 운산면 원벌리에 위치한 농협경제지주 한우개량사업소에서는 7km2의 초지에 3,000여 두의 한우가 방목되고 있다.

  • 가축경매시장

: 서산시 음암면 상홍리에 위치한 전자경매시장으로, 2015년 9월 개장하였다. 매월 1회 둘째 주 목요일에 경매가 진행되며, 평균 100두가 경매에 참여한다. 가축경매시장은 대지 6944m2(2100평), 건물 1736m2(525평) 규모로 계류대(282두), 경매석(48석), 응찰기(45개), 우형기(2대)로 구성되어 있다.

  • 서산우리한우

: 2009년 4월 서산우리한우 명품 추진 협의회 개최를 시작으로, 10월에는 서산우리한우 브랜드 개발 사업 설명회가 열렸다. 이 설명회에서 452호 농가가 브랜드 사업 참여 의사를 밝혔다. 2010년 1월 서산시와 한우개량사업소 간 업무 협약식이 체결되었고, 3월에 서산우리한우사업단이 출범하였다. 같은 해 5월에는 서산우리한우 브랜드 개발이 완료되었으며, 12월에는 서산우리한우프라자 1호점이 개설되었다.

  • 서산뜨레한돈

: 2015년 7월 서산뜨레한돈사업단 출범식을 시작으로 서산뜨레한돈 브랜드가 개발되었다. 서산뜨레한돈은 관내 도축장 및 가공장을 이용하여 지역 농·축협에 납품하는 시스템으로, 1등급 이상 고급육만을 브랜드육으로 판매하며 연간 8,000두가 판매된다.

  • 자미원 서산벌꿀

: 2015년 8월에 ‹자미원 서산벌꿀› 브랜드 개발 특허청 상표등록을 하였다. 서산시 양봉 사육농가는 153여 농가로, 연간 생산량은 128ton 정도이다. 자미원의 어원은 '하나밖에 없다는 최고의 명당'을 뜻한다.

5. 2. 수산업

서산시는 북측 및 남측 경계 일부가 바다에 접하고 있으며, 해안선의 길이가 148.99km에 달하고 북쪽 해안선은 리아스식이다. 갯벌 면적이 67.2km2에 달하여 간척 자원이 매우 풍부하고, 조수 간만의 차가 크다. 연안에는 굴, 바지락, 가무락 등의 양식이 성행하고 있으며, 소형 어선을 이용한 조피볼락, 낙지, 넙치, 꽃게 등의 어획이 많다. 4개 읍•면이 연안을 접하고 있고, 1개의 지구별 수산업협동조합과 20개 어촌계가 있다.[1]

2017년 기준으로 서산시에 등록된 어선은 502척이며, 톤수로는 1,211톤이다. 주로 10톤 미만의 소형어선으로 주꾸미, 붕장어 등을 어획하는 연안복합 어업허가가 211건, 조피볼락, 노래미, 꽃게 등을 어획하는 연안자망 어업허가 188건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총 474건의 어선어업 허가가 있다. 신고어업은 4,959건으로 낙지, 바지락 등을 어획하는 맨손어업 신고가 주를 이루고 있다.[1]

서산시는 북쪽의 가로림만, 남쪽의 천수만에 67.2km2의 갯벌과 조수간만의 차를 활용하여 간이수하식 양식시설을 주로 하는 굴과 바지락 등의 패류양식어업이 발달했다. 그 밖에 가시파래, 조피볼락, 숭어 등 해면 어업면허 164건이 있으며, 축제식 양식장에 흰다리새우를 주 품종으로 하는 육상해수양식어업과 종자생산어업이 주를 이룬다.[1]

2017년 기준으로 서산시의 염전은 10개소이며, 면적은 81.94ha로 이중 대산읍에 9개소가 있고, 지곡면에 1개소가 있다. 연간 생산량은 2016년 기준 2,005톤이다.[1]

서산시에는 해양수산부장관이 지정하는 국가어항인 삼길포항 1개소, 충청남도지사가 지정하는 지방어항인 간월도항, 구도항, 창리항 3개소, 서산시장이 지정하는 어촌정주어항인 웅도항, 호리항, 도성항, 고파도항, 우도항 5개소, 총 9개소의 지정어항이 있다. 그 밖에 벌말항, 중왕항, 고창개항, 개목항, 분점도항, 왕산항 6개소의 비지정어항이 있다.[1]

합계지정어항비지정어항
소계국가어항지방어항어촌정주어항
15개소9개소1(삼길포)3(간월도, 구도, 창리)5(우도, 호리, 고파도, 도성, 웅도)6(벌말,중왕,고창개,개목,분점도,왕산)


5. 3. 공업

서산시의 2012년 지역내 총생산은 51조 5,396억원으로 충청남도 지역내 총생산의 17.6%를 차지한다. 이 중 광업 및 제조업(2차산업)은 45조 2,012억원으로 87.7%의 비중을 차지한다.[43]

대산항(大山港)은 대산읍 대죽리에 있는 무역항이다. 1991년 10월 14일 무역항으로 지정된 이래 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등 석유화학기업의 항만시설을 중심으로 운영되었으며, 2006년 12월 충청권 최초의 공용부두(2만DWT급 1선석)가 준공되고 이후 2011년 8월 국가부두 3선석(잡화 2선석, 컨테이너 1선석)이 추가 준공되었다.[45]

서산시는 2017년 7월 현재 358개의 공장이 등록되어 있으며, 이들 공장에는 18,493명의 근로자가 근무하고 있다. 주요 산업단지로는 국가산업단지인 대죽자원비축산업단지가 있으며, 11개소의 지방산업단지와 4개소의 농공단지가 있다.

서산시의 공업적 특징으로는 대산읍 독곶리, 대죽리 일원에 조성된 대산 석유화학단지를 들 수 있다. 대산 석유화학단지HD현대오일뱅크, 한화토탈에너지스, LG화학, 롯데케미칼, KCC, 코오롱인더스트리 등 50여개의 원유 정제 관련 업체가 입주하여 조성된 약 6408000m2의 개별입지공장지역으로 이곳에 입주한 주요 6대 기업의 연간 매출액이 2019년 기준 약 81조에 달한다.

석유화학산업 외에도 현대트랜시스, 현대파텍스, 삼기오토모티브, 현대위아, SK온 등 자동차 관련 업종 기업이 다수 산업단지로 입주하면서 자동차 산업의 집적화를 이루고 있다.

  • 국가산업단지

:대죽자원비축산업단지

  • 지방산업단지

:서산오토밸리, 서산인더스밸리, 서산테크노밸리, 대산컴플렉스 일반산업단지, 대죽일반산업단지, 대산일반산업단지, 대산2 일반산업단지, 대산3 일반산업단지, 현대 대죽일반산업단지, 남부일반산업단지, 서산MPC대산전력

  • 농공단지

:서산고북농공단지, 서산성연농공단지, 서산수석농공단지, 서산명천농공단지

  • 기타

:서산바이오웰빙연구특구, 안산공원(상생산업단지)

현대에 들어 서산의 주요 산업은 석유화학(에너지 산업)이다. 대표적인 기업은 다음과 같다.[7]

6. 문화·관광

해미읍성. 매년 서산해미읍성축제, 해미읍성 전통문화공연이 개최된다.


해미순교성지


서산시가 선정한 서산 9경은 제1경 해미읍성, 제2경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제3경 간월암, 제4경 개심사, 제5경 팔봉산, 제6경 가야산, 제7경 황금산, 제8경 서산한우목장, 제9경 삼길포항이다.

천수만철새 도래지로서, 체계적인 보전, 관리 및 생태 관광 활성화를 위하여 서산버드랜드가 조성되어 있다. 또한 서산시의 주요 관광지를 잇는 아라메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요 관광지를 순회하는 시티투어버스도 운영되고 있다.

서산은 비교적 조용하고 관광객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서산 외곽의 시골 지역에는 여러 개의 작은 관광 명소가 있다. 이들 대부분은 자동차로 20분, 자전거로 1시간 이내에 갈 수 있다. 이러한 역사 유적지 중 많은 곳은 현지 주민들에게만 알려져 있으며, 방문객이 적어 한국 주요 도시의 붐비는 궁궐과 사찰을 피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다. 서산·해미 지역의 관광 명소에 대한 자세한 목록은 서산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영어로 된 상세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6. 1. 역사 유적

서산시는 선사 시대부터 중요한 곳에 위치하여 해미 휴암리, 대산읍 대로리 등에서 사람들이 살았던 유적들이 발견되고 있다.[12] 이후 신석기, 청동기 시대에도 사람들이 많이 살았으며, 청동기 시대에는 마한의 속국 중 하나로 치리국국(致利鞠國)이라 불렸다.[12] 삼국시대에는 백제에 속해 중국과 일본, 동남아와의 해상요충지였으며, 행정상으로는 기군(基郡)이었다. 마애삼존불상, 보원사지 등 불교문화가 발달하였다.[12]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에는 서산 해미읍성(사적 제116호)이 남아 있으며, 서산시는 해미읍성을 이용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용현리에는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쉰길바위’라 하는 거암(巨岩)에 조각되어 있고, 운산면 용현리에는 고려 초기에 창건된 보원사지가 있으며, 이 사지에는 당간지주(보물 제103호)·석조(보물 제102호)·오층석탑(보물 제104호)·법인국사탑(보물 제105호·제106호) 등 많은 지정 문화재가 있다. 신창리에는 개심사(창건 연대 미상)가 있는데 특히 대웅전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밖에도 일락사·성산성·견성산성·문수사·정충신(鄭忠信) 유적 등이 있다.

서산시에 있는 천수만철새 도래지로서, 서산버드랜드가 조성되어 있다. 또한 서산시의 주요 관광지를 잇는 아라메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요 관광지를 순회하는 시티투어버스도 운영되고 있다.

'''서산시의 주요 역사 유적'''

서산 자체는 비교적 조용하고 관광객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서산 외곽의 시골 지역에는 여러 개의 작은 관광 명소가 있으며, 대부분 자동차로 20분, 자전거로 1시간 이내에 갈 수 있다. 서산·해미 지역의 관광 명소에 대한 자세한 목록은 서산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영어로 된 상세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서산시에서 약 12km 떨어진 해미읍에 위치한 해미읍성은 조선시대 성곽 건축의 가장 잘 보존된 사례 중 하나이다. 1491년(성종 22년)에 완공된 해미읍성은 당시 해미읍 전체를 둘러싸고 있었다. 충청도 지역을 관할하는 군사 지휘소 역할을 하였으며, 서해안을 따라 침입하는 일본왜구로부터 방어하는 역할도 수행했다. 20세기 초 해미읍이 확장되면서 도시 개발을 위해 성곽의 많은 부분이 허물어졌지만, 1973년 대대적인 복원 작업이 이루어졌다. 현재 남문을 비롯한 일부 성벽은 원형을 유지하고 있으며, 다른 문들은 복원된 것이다. 해미읍성은 1866년 병인박해 당시 충청 지역의 많은 천주교 신자들이 순교한 곳으로 여수 율포와 함께 한국 천주교 신자들에게 성지로 여겨지고 있다.[3]

해미읍성에서 약 200m 떨어진 곳에는 병인박해 당시 한국 천주교 신자들이 생매장되고, 물에 빠져 죽고, 집단 학살당했던 해미순교성지가 있다. 대부분의 유적은 홍수로 유실되었지만, 일부는 1935년에 재발견되었다. 이곳에는 현재 순교자들을 기리는 대규모 기념관이 있으며, 주요 천주교 순례지가 되었다.[3]

삼국 시대(기원전 57년경 ~ 668년)에 서산·해미 지역은 백제의 지배를 받았다.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6세기 후반이나 7세기 초에 조각된 것으로 추정되는 이 조각상은 연꽃잎 위에 서 있는 부처를 중심으로, 좌우에 보살 두 분이 협시하는 형태이다. 이 조각상은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었다.[3]

통일신라 시대(668~935년)에 건립된 보원사지에는 백제 양식의 탑과 고려 시대(918~1392년) 사찰 확장 당시 추가된 여러 기념물들이 있으며, 한국의 국보로 여겨진다.

보원사


1484년(성종 15년)에 건립된 개심사는 17세기 이후의 한국 목조 건축물 중 몇 안 되는 건물 중 하나이다. 이 사찰에는 14세기에 조각된 아미타불상과 15세기에 그려진 후불탱화가 있는데, 이 두 작품 덕분에 개심사는 대한민국의 국보로 지정되었다.[3]

서산 시골 풍경


서산시가 선정한 서산 9경은 다음과 같다.

순위이름설명
제1경해미읍성매년 서산해미읍성축제, 해미읍성 전통문화공연이 개최된다.
제2경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국보 제84호
제3경간월암
제4경개심사
제5경팔봉산
제6경가야산
제7경황금산
제8경서산한우목장
제9경삼길포항


6. 2. 자연 관광

팔봉산


간월암


서산시가 선정한 서산 9경은 해미읍성(제1경),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제2경), 간월암(제3경), 개심사(제4경), 팔봉산(제5경), 가야산(제6경), 황금산(제7경), 서산한우목장(제8경), 삼길포항(제9경)이다.

서산 해미읍성(사적 제116호)은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에 있으며, 서산시는 해미읍성을 이용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은 용현리의 ‘쉰길바위’라 하는 거암(巨岩)에 조각되어 있다. 운산면 용현리에는 고려 초기에 창건된 보원사지가 있으며, 당간지주(보물 제103호), 석조(보물 제102호), 오층석탑(보물 제104호), 법인국사탑(보물 제105호·제106호) 등 많은 지정 문화재가 있다. 개심사(창건 연대 미상)는 신창리에 있으며, 대웅전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그 밖에도 일락사, 성산성, 견성산성, 문수사, 정충신 유적 등이 있다.

천수만철새 도래지로서,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하고 생태 관광 활성화를 위하여 서산버드랜드가 조성되어 있다. 서산시의 주요 관광지를 잇는 아라메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요 관광지를 순회하는 시티투어버스도 운영되고 있다.

서산은 비교적 조용하고 관광객이 적지만, 서산 외곽의 시골 지역에는 여러 개의 작은 관광 명소가 있으며, 대부분 자동차로 20분, 자전거로 1시간 이내에 갈 수 있다. 이러한 역사 유적지 중 많은 곳은 현지 주민들에게만 알려져 있으며, 방문객이 적어 한국 주요 도시의 붐비는 궁궐과 사찰을 피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다. 서산·해미 지역의 관광 명소에 대한 자세한 목록은 서산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영어로 된 상세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6. 3. 축제


팔봉산 감자축제 감자탑

6. 4. 기타



서산시가 선정한 서산 9경은 제1경 해미읍성, 제2경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제3경 간월암, 제4경 개심사, 제5경 팔봉산, 제6경 가야산, 제7경 황금산, 제8경 서산한우목장, 제9경 삼길포항이다.

서산시 해미면 읍내리에는 서산 해미읍성(사적 제116호)이 남아 있으며, 서산시는 해미읍성을 이용한 관광 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용현리에는 국보 제84호인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이 ‘쉰길바위’라 하는 거암(巨岩)에 조각되어 있다. 운산면 용현리에는 고려 초기에 창건된 보원사지가 있으며, 당간지주(보물 제103호), 석조(보물 제102호), 오층석탑(보물 제104호), 법인국사탑(보물 제105호·제106호) 등 많은 지정 문화재가 있다. 신창리에는 개심사(창건 연대 미상)가 있는데, 특히 대웅전이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그 밖에도 일락사, 성산성, 견성산성, 문수사, 정충신 유적 등이 있다.

천수만철새 도래지로서,  천수만을 체계적으로 보전, 관리하고 생태 관광 활성화를 위하여 서산버드랜드가 조성되어 있다.

또한 서산시의 주요 관광지를 잇는 아라메길이 조성되어 있으며, 주요 관광지를 순회하는 시티투어버스도 운영되고 있다.

서산 자체는 비교적 조용하고 관광객이 상대적으로 적지만, 서산 외곽의 시골 지역에는 여러 개의 작은 관광 명소가 있다. 대부분 자동차로 20분, 자전거로 1시간 이내에 갈 수 있다. 이러한 역사 유적지 중 많은 곳은 현지 주민들에게만 알려져 있으며, 방문객이 적어 한국 주요 도시의 붐비는 궁궐과 사찰을 피하고 싶은 사람들에게 매력적일 수 있다. 서산·해미 지역의 관광 명소에 대한 자세한 목록은 서산 시외버스터미널에서 영어로 된 상세 지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7. 교통

서산시는 철도 교통은 없지만, 도로 교통이 발달되어 있다. 국도가 예산군에서 뻗어 태안군까지 이어지며, 서해안고속도로 건설로 수도권 및 충남 내륙과의 접근성이 좋다. 서산공용버스터미널에서 고속버스와 시외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서울 강남까지는 교통 상황에 따라 90분에서 2시간 30분 정도 소요된다. 시내버스는 서산·해미 지역에서 운행되며, 요금은 960KRW에서 1450KRW 사이이다. 가장 가까운 기차역은 홍성역으로, 서산에서 남쪽으로 약 40km 떨어져 있다.

7. 1. 도로

철도는 없으나 국도가 반도 중앙으로 예산에서 뻗어 태안까지 이르고, 이를 중심으로 기타 도로망이 비교적 잘 정비되어 안면도의 최남단까지도 통할 수 있다. 서해안고속도로가 건설되어 수도권과 충남 내륙권과의 연계가 더욱 편리해졌다.


7. 2. 버스

서산시의 시내버스서령버스에서 운행한다.[1]

서산공용버스터미널에서는 고속버스와 시외버스가 운행된다. 고속버스는 최적의 조건에서 서울 강남터미널까지 약 90분 만에 도착하지만, 교통 체증이 심할 경우 최대 2시간 30분까지 걸릴 수 있다. 서울 강남터미널로 가는 고속버스는 30분 간격으로, 다른 지역으로 가는 시외버스는 1시간 간격으로 운행된다.[1]

서산에는 기차역이 없다. 가장 가까운 역은 서산에서 남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장항선홍성역이다.[1]

서산·해미 지역에는 여러 대의 시내버스가 운행되며, 요금은 960KRW에서 1450KRW 사이이다.[1]

7. 3. 철도

서산에는 기차역이 없다. 가장 가까운 역은 서산에서 남쪽으로 약 40km 떨어진 장항선홍성역이다.

8. 교육

서산의 공교육 역사는 조선 태종 6년(1406)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서산 향교는 서문 밖에 세워졌다가 선조 7년(1574)에 군수인 최여림이 동문동의 현재 위치로 옮겨 세웠다. 해미향교는 태종 7년에 정해현과 여미현이 합쳐진 해미에 세워져 지금까지 남아있다. 같은 해에 태안읍태안향교도 세워졌다.[47] 현재 충청남도서산교육지원청이 초중등교육을 지원하고 있으며, 대학으로는 유일하게 자체 비행장을 갖추고 있는 한서대학교가 있다.[47]

한서대학교는 1992년 설립된 사립 대학교로, 8,500명의 학생과 50개 학과, 250명의 전임 교수가 있다. 해미읍 남동쪽 약 5km (지역 버스로 15분 거리)에 있다. 이 대학교는 카이로프랙틱, 다양한 인문학, 디자인 및 공학 분야의 강좌를 제공하며, 항공 및 비행 훈련 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9. 자매 도시

국가도시
日本|일본일본어덴리시
中国|중국중국어룽청시
中国|중국중국어허페이시 (우호 도시)[8]


참조

[1] 웹사이트 Population statistics https://jumin.mois.g[...] 2024
[2] 웹사이트 Symbolic Icons – Seosan-si http://www.seosan.go[...]
[3] 서적 Korea Seoul Selection
[4]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1991 ~ 2020)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5]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https://data.kma.go.[...]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2-04-04
[6] 웹사이트 Climatological Normals of Korea http://www.kma.go.kr[...]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16-12-08
[7] 웹사이트 서산시 주요 기업 리스트 https://informative.[...] 2024-12-18
[8] 웹사이트 International Exchange – Seosan-si http://www.seosan.go[...] Seosan.go.kr 2018-09-01
[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 행정안전부 https://jumin.mois.g[...] 2024-01-03
[10]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서산(129)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03-25
[11]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서산(129) https://data.kma.go.[...] 한국기상청 2021-10-02
[12] 웹인용 서산의 역사 https://web.archive.[...] 2011-02-28
[13] 웹인용 서산시의 역사 https://web.archive.[...] 2011-02-28
[14] 법령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05-26
[15] 법령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08-04
[16]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12-29
[17] 법령 충청남도령 제8호 1917-09-25
[18] 법령 조선총독부령 제243호 1942-09-30
[19] 법령 법률 제456호 군행정구역변경에관한법률 1957-11-06
[20] 법령 대통령령 제6543호 읍설치에관한규정 1973-03-12
[21] 법령 대통령령 제10050호 경기도시흥군의왕읍등35개읍설치에관한규정 1980-10-21
[22] 법령 대통령령 제11027호 시·군·구·읍·면의관할구역변경및면설치등에관한규정 1983-01-10
[23] 법령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12-31
[24] 법령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08-03
[25] 법령 서산시 조례 제803호 통·반 설치 조례 2011-07-04
[26] 간행물 서산 (팔봉산 ) 지역의 지형경관 http://webbook.me.go[...] 환경부
[27] 간행물 예산 서산 홍성 지역의 자연경관 http://webbook.me.go[...] 환경부
[28] 웹사이트 가로림만 http://seosan.grandc[...]
[29] 웹사이트 충청권 지질유산 발굴 및 지질유산 가치평가 사업 http://www.koreageop[...] 국립공원 관리공단
[30] 웹사이트 충청남도의 기후 http://www.kma.go.kr[...] 기상청
[31] 서적 서산시지 서산시 1998-00-00
[32] 웹사이트 우리나라 기후평년값(1991~2020) 서산(129)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03-25
[33] 웹사이트 순위값 - 구역별조회 서산(129) https://data.kma.go.[...] 기상청 2021-10-02
[34] 간행물 태안, 서산 지역의 식생 http://webbook.me.go[...] 환경부 2006-00-00
[35] 뉴스 보호수 지정한 나무 100여 그루 - 시, 보호수 정비사업에 나선다 http://www.sstimes.k[...] 서산시대 2017-01-09
[36] 논문 서산의 양서류 파충류 http://webbook.me.go[...] 환경부 2014
[37] 뉴스 서산서 멸종위기 야생동물 '황구렁이' 발견 http://www.yonhapnew[...] 연합뉴스 2012-11-20
[38] 논문 서산 일대의 포유류 http://webbook.me.go[...] 환경부 2014
[39] 논문 서산 일대의 조류 http://webbook.me.go[...] 환경부 2014
[40] 웹사이트 천수만 http://korean.visitk[...]
[41] 논문 서산 일대의 육상 곤충 http://webbook.me.go[...] 환경부 2014
[42] 웹사이트 서산시 인구현황 http://www.seosan.go[...] 2011-08-26
[43] 웹사이트 충청남도 시군단위 지역내총생산(GRDP) http://kosis.kr/stat[...]
[44] 웹사이트 충청남도 사업체조사 http://kosis.kr/stat[...]
[45] 뉴스 한국-중국 최단거리 여객항로 열린다 http://www.hankookil[...] 한국일보
[46] 서적 서산의 문화재 서산시 2017
[47] 뉴스 한서대 항공운항학과 ‘간판보다 학과’…전국 상위권 학생들이 찾는 명품학과 어디? http://news.donga.co[...] 동아일보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