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담 고틀로브 몰트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담 고틀로브 몰트케는 1710년에 태어난 덴마크-노르웨이 군주국에서 활동한 독일계 귀족이다. 그는 프레데리크 5세의 시종장으로 임명되어 추밀 고문관, 백작 등의 지위를 얻었으며, 국왕의 측근으로서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 몰트케는 농노 해방에는 소극적이었지만 농업 발전에 기여했고, 덴마크 동인도 회사의 이사로서 프레데리크 5세의 기마상 제작을 주도했다. 또한 아말리엔보르 궁전 건설을 주도하고, 카리세 교회에 기념 예배당을 짓는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다. 크리스티안 7세의 즉위 후 몰트케는 해임되었으나, 그의 유산은 미술품 컬렉션, 회고록, 건축물 등을 통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덴마크의 회고록 작가 - 카렌 블릭센
카렌 블릭센은 1885년 덴마크에서 태어나 아프리카에서의 삶을 다룬 《아프리카에서》와 《바베트의 만찬》 등의 작품으로 유명하며, 1930년대부터 작가 활동을 시작하여 1959년 미국 학술원 평생 공로상을 받았으나 1962년 영양실조로 사망했다. - 덴마크의 회고록 작가 - 게르다 크리스토페르센
게르다 크리스토페르센은 덴마크의 배우, 오페라 가수, 연출가로, 1894년 오페라 콘서트 투어로 가창 경력을 시작하여 알베르트 헬셍그린 극단 순회 공연에서 주역을 맡았으며, 1911년부터 1939년까지 영화 출연과 오덴세 극장 및 스코브바켄 여름 극장에서 연출가로도 활동했다. - 1710년 출생 - 아돌프 프레드리크
아돌프 프레드리크는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이자 1751년부터 1771년까지 스웨덴 국왕으로, 하타르나당과 뫼소르나당의 당파 싸움 속에서 왕권이 약화된 시기를 통치했으며, 정치적 무능력으로 평가받지만 과학과 예술에 관심을 가졌다. - 1710년 출생 -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
조반니 바티스타 페르골레시는 18세기 이탈리아의 작곡가로, 오페라 부파 《마님이 된 하녀》와 종교 음악 《스타바트 마테르》 등을 작곡했으며, 26세의 젊은 나이에 결핵으로 사망했으나 사후에 더 큰 명성을 얻었다. - 1792년 사망 - 조슈아 레이놀즈
18세기 잉글랜드의 초상화가이자 미술 이론가인 조슈아 레이놀즈는 왕립예술아카데미 초대 회장을 역임하고 기사 작위를 받았으며, '고상한 양식'을 추구하며 다양한 장르에서 활동했고, 당대 지식인들과 교류하며 영국 화가의 직업적 지위 확립에 기여했다. - 1792년 사망 - 리처드 아크라이트
리처드 아크라이트는 수력 방적기 발명과 공장 시스템 구축으로 영국 섬유 산업 발전에 기여한 산업혁명 시대의 발명가이자 기업가, 경영자이다.
아담 고틀로브 몰트케 | |
---|---|
기본 정보 | |
![]() | |
출생일 | 1710년 11월 10일 |
출생지 | 신성 로마 제국, 메클렌부르크슈베린, 발켄도르프, 리젠호프 |
사망일 | 1792년 9월 25일 (향년 81세) |
사망지 | 덴마크노르웨이, 셸란섬, 하슬레프, 브레겐트베 |
거주지 | 브레겐트베 |
부모 | 요아힘 폰 몰트케, 막달레네 소피아 폰 코트만 |
배우자 | 크리스티아네 프레데리케 폰 브뤼게만, 소피 헤드비그 폰 라벤 |
자녀 | 요아킴 고스케 몰트케, 울리케 아우구스타 빌헬미네 몰트케 |
친척 | 아담 빌헬름 몰트케 (손자) |
수상 | 이상적 결혼 훈장, 왕립 학회 회원 |
직위 | |
덴마크 추밀원 의원 | 1747년–1766년 |
덴마크 궁정 장관 | 1743년–1747년 |
덴마크 왕실 관리 | 1730년–1743년 |
이사회 | 덴마크 동인도 회사 |
2. 초기 생애
아담 고틀로브 폰 몰트케는 1710년 11월 10일 (또는 11일) 독일계 귀족 가문인 요아힘 폰 몰트케와 마그달레네 소피아 폰 코트만 사이에서 태어났다.[1][18] 몰트케 가문은 독일 출신이었지만, 당시 많은 몰트케 가문 사람들이 덴마크-노르웨이 군주국에서 복무하고 있었는데, 이는 젊은 북독일 귀족들에게 자국 군주국에서 복무하는 것보다 더 중요하고 유망한 기회로 여겨졌다.[1][18] 1722년, 몰트케는 삼촌 중 한 명의 도움으로 덴마크 궁정에서 시동이 되었고, 이 과정에서 훗날 덴마크 국왕 프레데리크 5세가 되는 왕세자 프레데리크와 평생의 우정을 맺었다.[1][17]
1730년, 프레데리크 5세는 즉위 직후 몰트케를 시종장으로 임명하고 그에게 많은 영예를 안겼다.[1] 몰트케는 추밀 고문관이 되었고, 1747년에는 브레겐트베드 영지를 하사받았으며, 1750년에는 백작으로 봉해졌다.[17]
프레데리크 5세가 1766년 1월 14일 몰트케의 품에서 사망하자 몰트케의 영향력은 막을 내렸다.[3] 프레데리크 5세의 아들인 새 국왕 크리스티안 7세는 그를 견딜 수 없어, 그의 마른 체형을 두고 "그는 아래는 황새, 위는 여우"라고 외쳤다. 당시 몰트케는 또한 부당하게도 공금을 횡령했다는 의혹을 받아 인기가 없었다.[18] 따라서 1766년 7월, 몰트케는 모든 직위에서 해임되어 브레겐트베드에 있는 그의 영지로 은퇴했다.
몰트케는 크리스티아네 프레데리케 폰 브뤼게만(1712–1760)과 결혼했다.[9] 그녀가 사망한 후, 1737년부터 1763년까지 롤란-팔스터 교구의 지사이자 주교였던 크리스티안 프레데리크 폰 라벤의 딸인 소피 헤데비 폰 라벤(1732–1802)과 결혼했다.[9] 몰트케는 두 부인 사이에서 22명의 아들을 두었는데, 그중 5명은 내각 장관, 4명은 대사, 2명은 장군이 되었으며, 모두 공직에 종사했다는 말이 전해진다.[10] 몰트케는 또한 대서양 노예 무역에도 관여했다.[11]
몰트케는 궁전에 전시된 대규모 미술품 컬렉션을 소유했으며, 이는 나중에 대중에게 공개되었다.[15] 1885년에는 주로 네덜란드 황금 시대 회화 작품으로 구성된 컬렉션의 카탈로그가 출판되었다.[28] 그는 1764년 왕립 학회의 회원으로 선출되었다.[16][29] 1870년에 독일어로 쓰여 출판된 그의 회고록은 상당한 역사적 중요성을 지닌다.[18]
3. 프레데리크 5세 치세
국왕의 측근이었던 몰트케의 영향력은 점점 커져서, 외교관들은 그가 마음대로 장관을 임명하고 해임할 수 있다고 말할 정도였다.[17] 특히 몰트케가 프레데리크 5세 통치 기간 동안 중요한 역할을 했던 두 명의 저명한 정치가인 요한 시기스문트 슐린과 베른스토르프에 대해 보인 태도는 주목할 만하다. 몰트케는 슐린을 존경했지만, 베른스토르프의 우월한 태도에 짜증을 냈다. 그러나 몰트케가 베른스토르프를 대신하기 위한 프로이센의 책략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베른스토르프가 적임자라고 확신한 몰트케는 변함없는 충성심으로 그를 지지했다.[18]
몰트케 백작이 임명된 시종장 직은 이전에는 단순한 궁정 직책이었지만, 이제는 국왕의 측근으로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그와 함께하며 국왕이 무슨 생각을 하는지 대화할 수 있는 중요한 위치가 되었고, 몰트케는 자신이 원하는 모든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었다.[19] 그의 주요 임무 중 하나는 방탕한 국왕이 끊임없는 향락으로 왕실의 명성을 훼손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었다.[2]
몰트케는 동시대의 많은 사람보다 덜 진보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었다. 그는 농노 해방을 위한 모든 계획을 의심스러운 눈으로 바라봤지만, 덴마크-노르웨이의 대지주 중 한 명으로서 그는 농민들의 부담을 덜어주고 기술적, 과학적 개선을 도입하여 농업에 기여했으며, 이는 생산량 증가로 이어졌다.[18]
루이세 여왕이 사망하자, 국왕은 몰트케의 딸 중 한 명과 결혼하려 했으나, 몰트케가 단호히 거절했다.[18] 몰트케는 그 후 국왕의 새로운 결혼을 브라운슈바이크-볼펜뷔텔의 율리아나 마리아 여공작과 주선했는데, 그녀는 브라운슈바이크-뤼네부르크의 페르디난트 알베르트 2세 공작의 딸이자 프로이센의 프리드리히 대왕의 매형이었다. 결혼식은 1752년 7월 8일 프레데릭스보르 성에서 거행되었다.[18]
4. 크리스티안 7세 치세
1768년 2월 8일, 그에게 항상 호의적이었던 러시아의 관심 덕분에 그는 의회에 복귀했지만, 그의 새로운 영향력은 오래가지 못했다. 크리스티안 7세의 치세는 정신 질환으로 특징지어졌으며,[4][5] 그는 개인 주치의 요한 프리드리히 스트루엔제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스트루엔제는 권력을 꾸준히 얻었고 1770년부터 1772년까지 사실상 국가의 섭정이었다.[8]
1770년 12월 10일, 몰트케는 자유주의적인 스트루엔제와 아무런 관련을 맺기를 거부하여 연금 없이 다시 해임되었다.[18]
5. 개인 생활
6. 유산
1753년 몰트케는 덴마크 아시아 회사의 이사로서 프랑스 조각가 자크 프랑수아 조셉 살리에게 국왕 프레데리크 5세의 기마상을 의뢰했다. 1760년, 덴마크 정치적 절대주의 100주년 기념 행사에서 기마상의 초석이 놓였다. 조각상은 1766년 프레데리크 5세가 사망한 지 5년 만인 1771년에 최종 공개되었다.
6. 1. 아말리엔보르 궁전 건설
1748년부터 1749년까지, 프레데릭스타덴 지구는 덴마크 왕좌에 오른 올덴부르크 왕가 3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해 국왕 프레데릭 5세에 의해 설립되었다.[13][26] 덴마크 주 파리 전권 대사인 요한 하르트비히 에른스트 폰 베른스토르프 백작의 아이디어로, 몰트케는 왕실 건축가 니콜라이 에이그트베드와 함께 건설을 주도했다.[13] 이 프로젝트는 4개의 동일한 저택으로 구성되었으며, 왕실 인사들의 4개의 저명한 귀족 가문을 수용하기 위해 팔각형 광장 주변에 배치되었다.
몰트케의 저택은 1750년부터 1754년까지 건설되었으며, 건설 당시 4개의 궁전 중 가장 비쌌고, 가장 화려한 내부를 갖추고 있었다.[13] 그레이트 홀(''Riddersalen'')은 루이 오귀스트 르 클레르의 목각(''부아즈리''), 프랑수아 부셰의 그림, 조반니 바티스타 포사티의 회반죽으로 장식되었으며, 덴마크 로코코 양식의 최고 인테리어로 널리 인정받고 있다. 이 저택은 1754년 3월 30일, 국왕의 서른 번째 생일에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1794년 2월 26일, 크리스티안보르 궁전 화재로 인해 왕가는 집을 잃게 되었다.[13][26] 몰트케 가문과 샤크 가문이 승진과 돈을 위해 저택을 기꺼이 내놓았기 때문에,[13] 국왕 크리스티안 7세를 수장으로 하는 왕가는 며칠 만에 4개의 궁전 중 첫 번째를 인수했으며, 카스파르 프레데릭 하르스도르프에게 이를 왕실 거주지로 개조하도록 위임했다. 왕가는 1794년 12월에 새로운 거주지로 이주했다.[13][26] 이 저택들(현재 궁전이라고 불림)은 현대의 아말리엔보르 궁전을 형성한다.[13]
6. 2. 카리세 교회 기념 예배당
1766년부터 1769년까지 몰트케는 카스파르 프레데릭 하르스도르프에게 파게의 카리세 교회에 자신을 위한 기념 예배당을 짓도록 의뢰했는데, 이는 하르스도르프의 이전 스승인 건축가 니콜라스-앙리 자르댕이 시작한 것이었다.[14]
참조
[1]
백과사전
Adam Gottlob, Greve Moltke: Danish government official
https://www.britanni[...]
2017-03-22
[2]
서적
Det danske frimureries historie
[3]
문서
Frederik den Femtes Hof, Charlotte Dorothea Biehls Breve og Selvbiografi.
[4]
서적
The A to Z of Norway
[5]
서적
Scandinavia in the age of revolution Nordic political cultures, 1740–1820
Ashgate
[6]
간행물
Luxdorph's Press Freedom Writings: Before the Fall of Struensee in Early 1770s Denmark-Norway
[7]
서적
'"Cramer wird doch noch, wie ich hoffe, ein ordentlicher Mensch werden." Cramer, August von Hennings und die "Plöner Aufklärung"'
[8]
웹사이트
Christian 7
https://nbl.snl.no/C[...]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6-08-15
[9]
웹사이트
Maribo
http://dendigitaleby[...]
Dansk Center for Byhistorie
2012-11-12
[10]
뉴스
BOOKS OF THE TIMES; That Name Keeps Cropping Up in German History
https://www.nytimes.[...]
2017-03-22
[11]
웹사이트
10 Places in Copenhagen Linked to Colonialism
https://www.historyh[...]
[12]
문서
Danmarks Adels Aarbog 1991–93
[13]
웹사이트
The Danish Monarchy & Amalienborg
http://copenhagenet.[...]
Copenhagenet.dk
2012-02-16
[14]
웹사이트
Udgivet af C. F. Bricka.
https://runeberg.org[...]
runeberg.org
2017-03-22
[15]
웹사이트
Catalogue des tableaux de la collection du comte de Moltke
https://archive.org/[...]
Moltkeske malerisamling, Copenhagen
[16]
웹사이트
Library and Archive Catalogue
http://www2.royalsoc[...]
Royal Society
2012-03-05
[17]
웹사이트
Adam Gottlob, Greve (Count) Moltke {{!}} Danish government official
https://www.britanni[...]
2017-03-22
[18]
EB1911
Moltke, Adam Gottlob, Count
[19]
서적
Det danske frimureries historie
[20]
문서
Frederik den Femtes Hof, Charlotte Dorothea Biehls Breve og Selvbiografi.
[21]
서적
The A to Z of Norway
[22]
서적
Scandinavia in the age of revolution Nordic political cultures, 1740–1820
Ashgate
[23]
웹사이트
Christian 7
https://nbl.snl.no/C[...]
Norsk biografisk leksikon
2016-08-15
[24]
웹사이트
Maribo
http://dendigitaleby[...]
Dansk Center for Byhistorie
2012-11-12
[25]
뉴스
BOOKS OF THE TIMES; That Name Keeps Cropping Up in German History
https://www.nytimes.[...]
2017-03-22
[26]
웹사이트
The Danish Monarchy & Amalienborg
http://copenhagenet.[...]
Copenhagenet.dk
2012-02-16
[27]
웹사이트
Udgivet af C. F. Bricka.
http://runeberg.org/[...]
runeberg.org
2017-03-22
[28]
웹사이트
Catalogue des tableaux de la collection du comte de Moltke
https://archive.org/[...]
Moltkeske malerisamling, Copenhagen
[29]
웹사이트
Library and Archive Catalogue
https://collections.[...]
Royal Society
2019-01-29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