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드리아노플 조약 (1829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드리아노플 조약 (1829년)은 1828-1829년의 러시아-튀르크 전쟁의 결과로 오스만 제국과 러시아 제국 간에 체결된 조약이다. 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은 조지아의 아칼치헤와 아할칼라키 요새, 다뉴브강 어귀에 대한 러시아의 접근을 허용하고, 조지아, 에리반 및 나히체반 칸국의 러시아 소유를 인정했다. 또한, 다르다넬스 해협을 모든 상선에 개방하여 무역을 자유화했으며, 세르비아의 자치를 재확인하고 그리스의 자치를 승인했다. 러시아는 코카서스의 아나파와 포티 마을을 장악했다. 조약 체결 후 튀르크인과 쿠르드족은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으며, 오스만 아르메니아인들이 러시아 영토로 이주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왈라키아 공국 - 파나리오테스
    파나리오테스는 오스만 제국 시대 콘스탄티노폴리스 파나르 지구의 그리스계 엘리트 계층으로, 총대주교청과 관계를 맺고 정치, 경제, 문화적 영향력을 행사했으나, 그리스 독립 전쟁 후 몰락하여 그 유산이 루마니아와 그리스 역사에 남아있다.
아드리아노플 조약 (1829년)
조약 정보
조약명아드리아노플 조약
별칭에디르네 조약
유형평화 조약
관련 전쟁그리스 독립 전쟁 (1828년-1829년)
조약 체결
서명일1829년 9월 14일
서명 장소에디르네
당사국러시아 제국, 오스만 제국
언어러시아어, 튀르크어
조약 내용
주요 내용그리스 독립 승인
몰다비아 및 왈라키아에서 튀르키예의 종주권 인정
아나페 및 포티를 러시아에 할양
오스만 제국 내 러시아 교역자들은 러시아 대사관의 법적 보호를 받음
관련 조약
관련 조약런던 조약 (1827년)
투르크만차이 조약
휜카르 이스케레시 조약
기타 정보
추가 정보모스크바 개선문은 러시아의 승리를 기념하기 위해 1836년부터 1838년 사이에 상트페테르부르크에 건설되었다.
아드리아노플 조약과 투르크만차이 조약에 따른 영토 변경
아드리아노플 조약과 투르크만차이 조약에 따른 영토 변경

2. 주요 내용

아드리아노플 조약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에 다뉴브강 어귀와 조지아의 아할치헤, 아할칼라키 요새에 대한 접근을 허용했다. 또한 투르크멘차이 조약으로 러시아에 귀속된 이메레티, 메그렐리아, 구리아 등 조지아 지역과 에리반, 나히체반 칸국에 대한 러시아의 소유권을 인정했다.[3]
  • 다르다넬스 해협을 모든 상업 선박에 개방하여 곡물, 가축, 목재 무역을 자유롭게 했다. 다만, 해협 문제는 1833년 훔카르 이스켈레시 조약에서 최종적으로 해결되었다.
  • 오스만 제국은 세르비아의 자치를 재확인하고, 그리스의 자치를 약속했으며, 러시아에 상당한 배상금을 지불할 때까지 러시아의 몰다비아왈라키아 점령을 허용했다. 그러나 이 배상금은 이후 훔카르 이스켈레시 조약에 의해 대폭 축소되었다.[4]
  • 오스만 제국과 왈라키아 사이의 국경을 다뉴브강 수로로 확정하고, 투르누 머구렐레, 주르주, 브러일라의 라야를 왈라키아에 할양했다.[5][6]
  • 튀르키예 내 러시아 상인들은 러시아 대사의 법적 관할권 하에 놓이게 되었다.

2. 1. 영토 변화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에게 다뉴브강 어귀와 조지아의 아할치헤, 아할칼라키 요새에 대한 접근을 허용했다. 오스만 제국은 러시아의 조지아(이메레티, Samegrelo|사메그렐로영어, 구리아 포함), Erivan Khanate|예레반 칸국영어, Nakhichevan Khanate|나히체반 칸국영어) 영유를 인정했다. 이 영토들은 1828년 투르크멘차이 조약으로 카자르 왕조 페르시아로부터 러시아에 할양된 곳이었다.[10] 러시아는 코카서스의 아나파와 포티 마을을 장악했다.

2. 2. 해상 무역 자유화

이 조약으로 다르다넬스 해협은 모든 상업 선박에 개방되어 곡물, 가축, 목재 무역이 자유로워졌다.[3] 그러나 해협 문제는 1833년 훔카르 이스켈레시 조약에서 최종적으로 다루어졌다.[3]

2. 3. 발칸 반도 국가들의 지위 변화

아드리아노플 조약에 따라 오스만 제국은 이전에 약속한 세르비아의 자치를 재확인하고,[4] 그리스의 자치를 승인했다. 또한 오스만 제국이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할 때까지 러시아가 몰다비아왈라키아를 점령하는 것을 허용했다. 그러나 이후 훔카르 이스켈레시 조약의 수정에 따라 이러한 배상금은 대폭 축소되었다.[4] 이 조약으로 오스만 제국과 왈라키아 사이의 국경은 다뉴브강수로로 고정되었고, 투르누 머구렐레, 주르주, 브러일라의 라야 통치는 왈라키아로 이전되었다.[5][6]

2. 4. 기타

이 조약으로 튀르키예에 있는 러시아 상인들은 러시아 대사의 법적 관할권 아래 놓이게 되었다.[3]

3. 인구 변화

조약으로 러시아에 합병된 영토에는 조지아인이 다수였으며, 아제르바이잔인(당시 용어로는 "타타르인"), 튀르크인, 아르메니아인, 쿠르드족 등이 거주하고 있었다.[7] 전쟁 직후 튀르크인과 쿠르드족은 오스만 제국으로 이주했고, 에르주룸카르스 파샬리크에서 온 약 3만 명의 오스만 아르메니아인들이 아칼치헤와 아할칼라키 지역뿐만 아니라 트빌리시, 예레반, 나흐치반에도 정착했다.[7]

4. 대중 문화

아드리아노플 조약은 1960년대 영국 TV 시리즈 더 프리즈너의 에피소드 더 제너럴에서 여러 번 언급된다.

5. 같이 보기

(이전 출력에서 원본 소스가 비어있어 작성할 내용이 없었으므로, 수정할 내용도 없음)

5. 1. 관련 조약


  • 투르크멘차이 조약: 러시아 제국페르시아로부터 이메레티, 메그렐리아, 구리아를 포함한 조지아와 에리반, 나히체반 칸국을 양도받은 조약이다.[3]
  • 훔카르 이스켈레시 조약: 다르다넬스 해협 문제를 최종적으로 해결한 조약이다. 아드리아노플 조약에서 오스만 제국이 러시아에 지불해야 할 배상금을 대폭 축소했다.[4]
  • 런던 조약 (1827년): 그리스의 독립 또는 오스만 종주권 하의 자치를 규정한 조약이다.

참조

[1] 서적 Grosser Atlas zur Weltgeschichte Westermann 1984
[2] 서적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Macmillan & Co 1907
[3]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4] 간행물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2 International Publishers: New York 1979
[5] 서적 Istoria Românilor București 1938
[6] 서적 Istoria Românilor București 1934
[7] 문서 Этнические процессы в Закавказье в XIX–XX вв
[8] 서적 Grosser Atlas zur Weltgeschichte Westermann 1984
[9] 서적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Macmillan & Co 1907
[10] 서적 A Global Chronology of Conflict: From the Ancient World to the Modern Middle East ABC-CLIO 2010
[11] 간행물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2 International Publishers: New York 1979
[12] 서적 Istoria Românilor Bucureşti 1938
[13] 서적 Istoria Românilor Bucureşti 1934
[14] 서적 Grosser Atlas zur Weltgeschichte Westermann 1984
[15] 서적 The Cambridge Modern History https://archive.org/[...] Macmillan & Co 1907
[16] 간행물 Collected Works of Karl Marx and Frederick Engels: Volume 12 International Publishers: New York 1979
[17] 서적 Istoria Românilor Bucureşti 1938
[18] 서적 Istoria Românilor Bucureşti 193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