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뒤톱니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래뒤톱니근은 등뼈와 허리뼈 부위의 접합부에 위치하는 근육으로, 위뒤톱니근보다 폭이 넓고 간격이 넓다. 아래쪽 2개의 등뼈와 위쪽 2~3개의 허리뼈 가시돌기에서 시작하여 아래쪽 갈비뼈 4개에 닿으며, 몸통 회전과 신전을 돕고 호흡 보조 근육으로서 호흡 작용에도 기여한다. 늑간신경의 지배를 받으며, 흉곽을 좁혀 호기를 돕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몸통 근육 - 마름근
마름근은 등 상부에 위치한 큰마름근과 작은마름근으로 나뉘는 근육으로, 등뼈와 목뼈에서 시작하여 어깨뼈를 척추 방향으로 당기고 회전시켜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과 목의 움직임 및 자세 유지에 관여하며 등쪽어깨신경의 지배를 받아 승모근과 함께 어깨뼈를 안정적으로 지탱한다. - 몸통 근육 - 갈비사이근
갈비사이근은 갈비뼈 사이에 위치하여 호흡 운동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으로, 바깥갈비사이근, 속갈비사이근, 가장 안쪽 갈비사이근의 세 층으로 구성되어 흡기와 날숨을 돕고 늑간신경과 늑간 동맥의 지배 및 공급을 받으며 사각근 또한 일부로 분류되어 흡기에 관여한다.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목동맥고랑
- 그레이 해부학 20판 (1918)의 본문을 포함한 위키백과 문서 - 의학 용어집
의학 용어집은 의학 분야의 다양한 용어와 정의를 모아놓은 목록으로, 인체 해부학적 용어인 '복부'와 희귀 유전 질환인 '아르스코그-스콧 증후군' 등이 포함된다.
| 아래뒤톱니근 | |
|---|---|
| 개요 | |
![]() | |
![]() | |
| 세부 정보 | |
| 라틴어 이름 | musculus serratus posterior inferior |
| 이는 곳 | 척추: T11 - L2 가시돌기 |
| 닿는 곳 | 9번째부터 12번째 갈비뼈 아래쪽 경계 |
| 작용 | 9-12번째 아래쪽 갈비뼈를 내려 숨을 내쉬는 것을 도움 |
| 혈액 공급 | 갈비사이동맥 |
| 신경 분포 | 갈비사이신경 T9부터 T12 |
2. 구조
근육은 등뼈 부위와 허리뼈 부위의 접합부에 위치한다.[3] 불규칙한 사각형 모양으로 위뒤톱니근보다 폭이 넓고 간격이 넓다.
이는곳은 아래쪽 2개의 등뼈(제11, 12번 흉추)와 위쪽 2개, 또는 3개의 허리뼈 가시돌기로, 이곳에서 얇은 널힘줄로 일어난다.[3][1]
비스듬히 위가쪽으로 주행하면서 아래뒤톱니근은 두께가 두꺼워지며 4개의 납작한 가락돌기(digitation)로 갈라진다. 각각의 가락돌기는 아래쪽 갈비뼈 4개(제9~12 늑골)의 아래쪽 경계에 닿는다.[3][1]
이는곳의 얇은 널힘줄은 등허리근막과 넓은등근의 널힘줄과 밀접하게 섞여 있다.[3][1]
2. 1. 이는곳
아래뒤톱니근은 아래쪽 2개의 등뼈와 위쪽 2개, 또는 3개의 허리뼈 가시돌기에서 얇은 널힘줄로 일어난다.[3][1] 이는 등뼈와 허리뼈 부위의 접합부에 위치하며, 불규칙한 사각형 모양으로 위뒤톱니근보다 폭이 넓고 간격이 넓다.[3]비스듬히 위가쪽으로 주행하면서 두꺼워지며 4개의 납작한 가락돌기(digitation)로 갈라진다.[3][1] 각각의 가락돌기는 아래쪽 갈비뼈 4개의 아래쪽 경계에 닿는다.[3]
이는곳의 얇은 널힘줄은 등허리근막과 넓은등근의 널힘줄과 밀접하게 섞여 있다.[3][1]
2. 2. 닿는곳
아래뒤톱니근은 등뼈 부위와 허리뼈 부위의 접합부에 위치하며, 불규칙한 사각형 모양으로 위뒤톱니근보다 폭이 넓고 간격이 넓다.[3][1] 이는곳은 아래쪽 2개의 등뼈(제11, 12번 흉추)와 위쪽 2~3개의 허리뼈 가시돌기이며, 얇은 널힘줄로 일어난다.[3][1] 이 얇은 널힘줄은 등허리근막과 넓은등근의 널힘줄과 밀접하게 섞여 있다.비스듬히 위가쪽으로 주행하면서 두꺼워지며 4개의 납작한 가락돌기(digitation)로 갈라진다.[3][1] 각각의 가락돌기는 아래쪽 갈비뼈 4개(제9~12 늑골)의 아래쪽 경계에 닿는다.[3][1]
3. 기능
아래뒤톱니근은 몸통을 회전시키고 뻗는 작용을 돕기 위해 아래쪽 갈비뼈를 뒤아래쪽으로 당긴다.[3] 또한 이렇게 갈비뼈를 움직이면서 폐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강제로 내뿜는 데 기여하는 호흡 보조근육 역할을 할 수 있다.[4] 아래뒤톱니근은 아래쪽 갈비뼈를 뒤쪽과 아래쪽으로 당겨 몸통의 회전과 신전을 돕는다.[1] 갈비뼈의 이러한 움직임은 흡기와 강제적인 호기에 기여할 수 있다.[2]
3. 1. 신경 지배
아래뒤톱니근은 늑간신경(T9~T12)의 지배를 받는다.4. 일상생활 및 스포츠 동작
아래뒤톱니근은 아래쪽 갈비뼈를 뒤쪽과 아래쪽으로 당겨 몸통의 회전과 신전을 돕는다.[1] 또한 이렇게 갈비뼈를 움직이면서 폐에서 공기를 흡입하고 강제로 내뿜는 데 기여하는 호흡 보조근육 역할을 할 수 있다.[4] 숨을 내쉴 때 흉곽을 좁혀 호기를 돕는다.
모든 스포츠 동작에 관여하며, 호기를 보조하여 호흡을 돕는다.
5. 추가 이미지

참조
[1]
서적
RESPIRATORY MUSCLES, CHEST WALL, DIAPHRAGM, AND OTHER
http://www.sciencedi[...]
Academic Press
2006-01-01
[2]
서적
Chapter 10 - The lumbar spine
http://www.sciencedi[...]
Churchill Livingstone
2011-01-01
[3]
서적
Encyclopedia of Respiratory Medicine
https://www.scienced[...]
Academic Press
2006-01-01
[4]
서적
Clinical Application of Neuromuscular Techniques, Volume 2 (Second Edition)
https://www.scienced[...]
Churchill Livingstone
2011-01-0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