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흡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호흡근은 호흡을 담당하는 근육으로, 가로막과 갈비사이근이 주요 호흡근에 해당한다. 가로막은 얇고 돔 모양의 근육으로, 수축과 이완을 통해 흉강을 확장시키고 폐로 공기를 유입시킨다. 갈비사이근은 갈비뼈 사이에 위치하며, 흉곽의 움직임을 조절하여 호흡을 돕는다. 호흡보조근육은 호흡을 보조하며, 흉쇄유돌근과 사각근 등이 이에 해당한다. 호흡근은 근섬유의 구성, 수면 시 호흡, 질병 및 손상, 수술 후 기능 이상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호흡재활을 통해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다른 동물에서도 호흡근의 기능이 확인되며, 미시시피악어의 경우 엉덩갈비근이 호기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근육 - 근육계
근육계는 골격근, 심장근, 평활근으로 구성되어 힘을 내고 몸의 균형, 자세 유지, 움직임, 체온 유지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인체의 조직 시스템이며, 액틴과 마이오신 필라멘트의 상호 작용을 통해 수축하고, 근육영양증과 같은 질병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 근육 - 체간근
체간근은 신체의 직립, 보행, 자세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근육군으로, 횡격막근, 복근, 골반기저근, 척추기립근 등이 있으며, 코어 근육 강화를 통해 신체 안정성 증진, 자세 교정, 허리 통증 예방 등에 기여한다. - 호흡 - 호흡 (생리학)
호흡은 생물이 에너지를 얻기 위해 산소를 섭취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생리적 과정으로, 수중 환경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산소를 얻으며, 호흡계통은 동물에 따라 다른 형태로 진화했고, 여러 메커니즘과 실험 및 치료법이 존재한다. - 호흡 - 숨
숨은 호흡 작용을 의미하며, 생물학, 의학에서 호흡으로 사용되고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고대 문화에서는 생명, 영혼을 상징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조절되고 활용된다. - 좋은 글 - 쇼와 천황
쇼와 천황은 메이지 천황의 손자로 태어나 124대 일본 천황으로 즉위하여 사망할 때까지 재위하며 만주사변, 중일전쟁, 태평양 전쟁 등 침략 전쟁에 관여했다는 논란이 있으며, 전후에는 상징적인 천황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했고 그의 전쟁 책임 문제는 논쟁의 대상이다. - 좋은 글 - 히바 칸국
히바 칸국은 16세기 초에 건국되어 1920년까지 존속한 중앙아시아의 우즈베크 칸국으로, 초기 혼란과 수도 이전, 러시아 제국의 보호국 시기를 거쳐 소비에트 혁명으로 붕괴되었으며, 농업 기반 경제와 독특한 문화를 발전시켰다.
호흡근 | |
---|---|
개요 | |
이름 | 호흡근 |
라틴어 이름 | (정보 없음) |
그리스어 이름 | (정보 없음) |
세부 정보 | |
전구체 | (정보 없음) |
계통 | 호흡계, 근육계 |
동맥 | (정보 없음) |
정맥 | (정보 없음) |
신경 | (정보 없음) |
림프 | (정보 없음) |
![]() |
2. 주요 호흡근
주요 호흡근에는 가로막과 갈비사이근이 있다. 가로막은 호흡을 담당하는 주요 근육으로, 배안(복강)과 가슴안을 분리하는 얇은 돔 모양의 근육이다. 가로막은 호흡 외에도 배안내압을 높여 구토물, 대변, 소변을 몸 밖으로 내보내고, 식도가 가로막에 있는 식도구멍을 통과할 때 압력을 가하여 위산 역류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갈비사이근은 갈비뼈 사이에 붙어 있으며 갈비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외에도 여러 보조근육들이 호흡을 보조하지만, 주요 역할은 하지 않는다. 목빗근과 목갈비근(앞, 중간, 뒤)은 수축 시 갈비뼈를 들어 올리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보조근육에 들어간다.[11] 보조근육이 호흡에 관여하는 정도는 호흡 노력의 정도에 달려 있다. 조용한 호흡 동안 목갈비근은 지속적으로 활동적인 반면 목빗근은 활동적이지 않다.[12] 호흡량이 증가하면 목빗근도 활성화된다.[13] 최대 유속으로 숨을 들이쉴 때 두 근육이 동시에 활성화된다.[12]
위의 목 근육들 외에도 앞톱니근, 큰가슴근, 작은가슴근, 등세모근, 넓은등근, 엉덩갈비근, 위뒤톱니근, 아래뒤톱니근, 갈비올림근, 가로가슴근 등 여러 근육이 호흡에 기여한다.[16][14]
보조근육은 주된 호흡근인 가로막과 바깥갈비사이근이 작용하여도 부족할 만큼 산소 요구량이 많을 때 작용한다. 산소 요구량이 증가하는 상황에는 격렬한 운동 중이거나, 특정 병적 상황일 때가 있다.[17] 가령 근위축성 측삭경화증(루게릭병, ALS) 환자의 경우 병이 발생한 초기에 보조근육이 작용하여 모자란 산소 요구량을 보상한다.[17]
2. 1. 가로막 (횡격막)

가로막은 호흡을 담당하는 주요 근육으로, 배안(복강)과 가슴안을 분리하는 얇은 돔 모양의 근육이다. 가로막에는 가로막신경(C3-C5)이 분포한다.[7] 숨을 들이쉬는 동안 가로막은 수축하여 중심은 아래쪽으로, 가장자리는 위쪽으로 움직인다. 가로막이 이렇게 움직이면 배안을 압박하고 갈비뼈를 위쪽과 바깥쪽으로 올려 흉강을 확장시킨다. 흉강이 팽창되면 허파로 공기가 들어온다. 반대로 가로막이 이완되면 폐의 탄력 반동이 가슴안을 수축시켜 공기를 폐 밖으로 내보내고 가로막은 도로 돔 모양으로 돌아간다.[8] 가로막은 호흡 이외의 기능에도 관여하는데, 배안내압을 높여 구토물, 대변, 소변을 몸 밖으로 내보내고, 식도가 가로막에 있는 식도구멍을 통과할 때 압력을 가하여 위산 역류를 방지한다.
2. 2. 갈비사이근 (늑간근)
가로막과 함께 갈비사이근은 호흡에 가장 중요한 근육이다.[9] 이 근육들은 갈비뼈 사이에 붙어 있으며 갈비뼈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데 중요하다. 갈비사이근에는 3개의 층이 있다. 그중 바깥갈비사이근이 호흡에 가장 중요하다. 바깥갈비사이근의 섬유는 갈비뼈에서 갈비뼈로 비스듬히 아래쪽과 앞쪽으로 기울어져 있다.[2] 이 섬유들의 수축은 각 갈비뼈를 위쪽 갈비뼈 쪽으로 들어 올리고, 전체적으로 흉곽을 들어 올리는 효과를 내어 흡기를 돕는다. 갈비사이근에는 갈비사이신경이 분포한다.[10]3. 호흡보조근육
호흡보조근육은 호흡을 보조하지만 주된 역할은 하지 않는 근육으로, 격렬한 운동이나 특정 질병 상황에서 호흡을 돕는다. 목빗근(흉쇄유돌근)과 목갈비근(사각근)은 수축 시 갈비뼈를 들어 올려 흡기를 돕는다.[11] 조용한 호흡 동안 목갈비근은 지속적으로 활동하지만, 목빗근은 활동하지 않는다.[12] 호흡량이 증가하면 목빗근도 활성화되며,[13] 최대 유속으로 숨을 들이쉴 때는 두 근육이 동시에 활성화된다.[12]
앞톱니근, 큰가슴근, 작은가슴근, 등세모근, 넓은등근 등도 호흡에 기여하는 근육들이다.[16][14] 특히 어깨와 목, 가슴 위쪽의 큰가슴근, 작은가슴근, 등세모근 등은 가슴우리를 들어 올려 더 많은 공기가 들어올 수 있게 하므로 주로 흡기를 돕는다.[15] 작은가슴근은 셋째, 넷째, 다섯째 갈비뼈를 위로 들어 올려 흡기를 보조한다.[16]
이러한 보조근육은 주된 호흡근인 가로막과 바깥갈비사이근의 작용만으로 산소 요구량을 충족시키기 어려울 때 작용한다. 격렬한 운동 중이거나, 근위축성 측삭경화증(루게릭병) 초기처럼 특정 병적 상황에서 산소 요구량이 증가할 때 보조근육이 사용된다.[17]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환자의 경우 기도가 좁아지거나 폐쇄되어 숨을 내쉬기 어려워 보조근육을 사용할 수 있다.[15] 격렬한 운동 없이 쉬고 있을 때도 이 근육들을 사용하는 것은 호흡곤란이나 호흡부전의 징후일 수 있다.[20][19]
3. 1. 호기 근육
평상시 호흡에서는 호기할 때 근육 수축이 거의, 또는 전혀 없다. 이 과정은 단순히 가로막이 이완되고, 폐의 탄력 반동에 의해 폐 부피가 감소하면서 일어난다.[20] 강제적인 호기가 필요하거나 폐기종과 같이 폐 탄력이 감소한 경우 배벽 근육(배곧은근, 배가로근, 배바깥빗근, 배속빗근)이 수축하여 능동적인 호기가 일어날 수 있다. 이 근육들은 수축하면 배 안의 장기를 가로막 쪽(위쪽)으로 눌러 가슴안의 부피를 줄인다.[8]속갈비사이근은 갈비뼈에서 다른 갈비뼈까지 아래쪽으로 비스듬히 뒤쪽으로 기울어진 섬유로 이루어져 있다.[9] 따라서 이 근육은 바깥갈비사이근과는 반대로 가슴우리를 낮추는 데 도움을 주어 호기를 보조한다.[8]
운동 중이거나 강제 호기 중일 때는 이런 호기 근육들이 작용한다. 기침을 할 때[20], 노래를 부를 때[16]와 같은 일부 일상적인 동작을 할 때도 호기 근육이 필수적이다.

4. 근섬유 구성
제1형 근섬유는 수축이 느린 대신 피로에 저항성이 강하고, 제2형 근섬유는 정반대로 수축이 빠르지만 쉽게 피로해진다. 사람의 가로막은 제1형 근섬유와 제2형 근섬유 양이 비슷하여 쉽게 피로해지지 않고 지속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런 근섬유 비율은 훈련, 노화, 약물, 병리적 상황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21] 예를 들어 수술 이후 나타나는 폐 관련 합병증과 호흡부전은 영양 부족으로 인한 호흡근 소실 때문이라고 여겨진다.[22] 속갈비사이근, 바깥갈비사이근, 넓은등근 근섬유의 직경을 조사한 연구에서는 넓은등근보다 두 갈비사이근에서 제1형 근섬유가 더 많이 나타났고, 제2형 근섬유의 직경은 바깥갈비사이근이 가장 작았다는 결론을 냈다. 또한 남성이 여성보다 더 큰 근섬유 직경을 가졌다.[23]
선천성 근병증의 일종인 네말린 근병증이 호흡근의 제2형 근섬유가 결핍되어 나타났다는 연구가 있다. 연구에서는 호흡근의 손상이 호흡부전의 원인이 되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24] 네말린 근병증이 있는 환자는 ''ACTA1'' 유전자 이상으로 인해 알파 골격근 액틴이 제대로 생산되지 못하고, 그 결과 팔다리 근육과 호흡근의 위축이 발생하게 된다.[25]
5. 수면 시 호흡근
잠을 자는 동안에는 일반적으로 상기도를 확장시키는 근육의 근긴장도가 낮아져 상기도의 저항이 증가한다.[26] 상기도 저항이 증가하면 기도는 좁아지며, 이산화탄소가 폐에서 잘 빠져나가지 못하고 잔류하게 된다. 숨을 들이쉴 때 걸리는 부하(load)의 증가, 기도 수축, 수축된 기도로 인해 발생하는 난류, 잔류한 이산화탄소로 인한 고이산화탄소혈증으로 인해 들숨과 날숨에 관여하는 근육 모두가 깨어 있을 때보다 더 활성화된다.[27][28] 이산화탄소에 대해 가장 민감한 호흡근은 복근이며, 덜 민감한 호흡근은 가로막이다.[28]
수면 무호흡증, 그 중에서도 중추성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 정상적으로는 호흡근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뇌에서 보내는 신호가 어떤 이유로 호흡근을 활성화시키지 못했을 때 발생한다.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의 경우 호흡근은 정상이지만 기도가 폐쇄되어 숨이 쉬어지지 않는다.[29]
6. 질병 및 손상
호흡근은 여러 기전을 통해 손상될 수 있다. 요구 산소량 증가로 인한 호흡일 증가, 호흡근 근력 감소, 호흡수 증가 등이 이에 해당한다. 저산소혈증, 고이산화탄소혈증, 노화, 영양실조 등은 호흡근 손상의 잠재적 원인이다.[30] 신경 손상, 자가 면역 질환 등으로 인해 신경근 질환이 발생하여 호흡근이 위축되면 제2형 호흡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 제2형 호흡부전은 일회호흡량 감소, 기체 교환 감소를 유발하고, 동맥혈의 산소 분압을 감소시키며 이산화탄소 분압을 증가시킨다.[31] 호흡근 위축으로 인한 이산화탄소 분압 증가는 호흡성 산증의 원인이 된다.[32]
근위축성 측삭경화증(루게릭병), 길랭-바레 증후군, 근디스트로피, 중증 근무력증, 근병증 등이 호흡근 위축을 유발한다.[31] 길랭-바레 증후군은 호흡근 신경 손상, 근병증은 호흡근 자체의 문제로 호흡부전을 일으킨다.[33] 원위근디스트로피, 얼굴어깨위팔근디스트로피,[34] 뒤센근디스트로피 등에서 호흡근 위축이 나타난다.[35] 호흡근 위축은 기침을 어렵게 하여 호흡기 감염 위험을 높이고, 감기가 폐렴으로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35] 호흡근 피로 누적도 제2형 호흡부전의 원인이 될 수 있다.[33]
폼페병과 같은 특정 물질 축적도 호흡근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폼페병은 리소좀 내 비정상적 글리코겐 축적으로 근육을 위축시키는 유전 질환으로, 가로막에 글리코겐이 축적되면 호흡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36][37] 기계환기 중인 환자는 기계환기로 인한 가로막 기능 장애(VIDD)가 발생할 수 있다. 이는 미토콘드리아 산화 스트레스로 인한 가로막 위축을 유발하여 인공호흡기 제거를 어렵게 하고 예후와 사망률에 영향을 미친다.[38] 가로막에 지질이 축적되는 것이 VIDD 발생의 중요한 기전으로 여겨진다.[39][40]
쇼크로 인해 몸이 혈압을 유지하지 못하고 혈액 공급이 감소하면(hypoperfusion), 호흡근이 과도한 산소를 사용하여 호흡부전(제4형 호흡부전)이 발생할 수 있다.[41][42] 기계환기를 통해 호흡근 부담을 줄일 수 있다.[43]
6. 1. 수술 후 호흡근 기능 이상
수술은 절개, 마취제, 가로막신경의 반사 소실, 수술 후 통증 등 다양한 원인으로 호흡근 기능 이상을 유발할 수 있다.[44][45] 이러한 기능 이상은 폐활량(VC), 일회호흡량(VT), 총폐용량(TLC) 감소, 기침 감소로 이어져 무기폐를 유발하고, 이는 기능잔기용량(FRC) 감소와 환기 관류 불균형 증가를 초래한다. 호흡근 통증, 진정, 부하 증가 등으로 인한 저환기 상태가 더해지면 환기 관류 불균형으로 저산소증이 발생하여 환자 상태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44]상복부 수술, 특히 가로막 관련 기능 이상은 무기폐, 폐렴 등 수술 후 폐 합병증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45] 무기폐는 폐 감염의 위험 인자이며,[44] 수술 후 호흡근 손상은 환자의 입원 기간 연장,[46] 호흡부전, 심하면 사망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44] 호흡근 기능 이상은 가슴벽, 배벽 근육 절개 수술, 개복술, 복강경 수술 후에도 관찰된다.[46] 수술 전 호흡근 훈련은 수술 후 폐 합병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47][48][49]
7. 재활
호흡근 훈련은 호흡근의 근력과 근지구력을 증가시켜 COPD과 같은 질병을 앓는 환자에게 호흡곤란 감소, 삶의 질 개선, 운동 능력 증가 등 여러 이득이 있다.[50] 호흡근 재활은 집중치료실에서 오랫동안 기계환기로 숨을 쉬어와 호흡근이 위축된 환자들에게 중요하다. 또한, 인공호흡기로 호흡하던 환자가 인공호흡기를 제거하는 데 걸리는 시간도 줄일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51] 그러나 재활을 위해서는 집중치료실의 환자가 깨어 있어야 하며, 훈련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문제도 있다.[51]
8. 다른 동물
사람이 아닌 동물의 호흡근에는 빠르게 수축하는 대신 피로에 저항성이 작은 제2형 근섬유가 사람에 비해 적다. 이 경우 제2형 근섬유는 재채기나 기침을 할 때와 같이 추가적으로 강하게 호흡근이 작용해야 할 때만 사용하고, 평상시의 정상적인 호흡을 할 때는 그보다 수축 속도는 느리지만 피로 저항성이 큰 제1형 근섬유만 사용한다.[52]
한 연구에서는 미시시피악어(''Alligator mississippiensis'')에서 엉덩갈비근이 온도가 올라갔을 때와 같은 특정 조건에서 호기 시 호흡을 보조하는 기능을 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엉덩갈비근은 가슴우리를 뒤안쪽으로 움직여, 온도가 증가하여 미시시피악어의 호흡수가 증가했을 때의 호기에 기여했다.[53]
참조
[1]
저널
Mechanics of respiratory muscles
2008
[2]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23rd Edition
https://books.google[...]
McGraw-Hill Companies,Incorporated
2009-07-24
[3]
웹사이트
Signs of Respiratory Distress in Children
http://www.urmc.roch[...]
2015-05-11
[4]
서적
Atlas of Human Anatomy 3rd ed.
Icon Learning Systems
2003
[5]
저널
Scalene and sternomastoid muscle function
1966
[6]
저널
The role of the scalene and sternomastoid muscles in breathing in normal subjects. An electromyographic study.
1955
[7]
저널
Respiratory Motor Control Disrupted by Spinal Cord Injury: Mechanisms, Evaluation, and Restoration
https://www.ncbi.nlm[...]
2011-12-01
[8]
저널
Mechanics of respiratory muscles
2008
[9]
서적
Ganong's Review of Medical Physiology, 23rd Edition
https://books.google[...]
McGraw-Hill Companies,Incorporated
2009-07-24
[10]
서적
Anatomy, Thorax, Intercostal Nerve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
[11]
서적
Atlas of Human Anatomy 3rd ed.
Icon Learning Systems
2003
[12]
저널
Scalene and sternomastoid muscle function
1966
[13]
저널
The role of the scalene and sternomastoid muscles in breathing in normal subjects. An electromyographic study.
1955
[14]
웹인용
Secondary (accessory) muscles of respiration
https://ouhsc.edu/bs[...]
2022-04-06
[15]
웹인용
The Use of Accessory Muscles With Breathing
https://www.livestro[...]
2022-04-06
[16]
서적
Anatomy, Thorax, Muscles
http://www.ncbi.nlm.[...]
StatPearls Publishing
2022
[17]
저널
Accessory respiratory muscles enhance ventilation in ALS model mice and are activated by excitatory V2a neurons
https://pubmed.ncbi.[...]
2017-01
[18]
저널
18F‐FDG uptake in accessory respiratory muscles shows the respiratory effort of patients with pleuroparenchymal fibroelastosis
https://onlinelibrar[...]
2022-01-20
[19]
웹인용
Signs of Respiratory Distress in Children
http://www.urmc.roch[...]
2015-05-11
[20]
웹인용
Caring for patients in respiratory failure
https://www.myameric[...]
2022-04-06
[21]
저널
Respiratory muscle fibres: specialisation and plasticity
https://thorax.bmj.c[...]
2004-09-01
[22]
저널
Histochemical analysis of respiratory muscles of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reoperative nutritional state
https://pubmed.ncbi.[...]
1990-09
[23]
저널
Respiratory muscle fiber morphometry. Correlation with pulmonary function and nutrition
https://pubmed.ncbi.[...]
1990-05
[24]
저널
Respiratory muscle involvement in nemaline myopathy
https://www.scienced[...]
1990-11-01
[25]
저널
Distinct Underlying Mechanisms of Limb and Respiratory Muscle Fiber Weaknesses in Nemaline Myopathy
https://doi.org/10.1[...]
2013-06-01
[26]
서적
Sleep Disorders Medicine (Third Edition)
https://www.scienced[...]
W.B. Saunders
2009-01-01
[27]
저널
Effect of airway impedance on CO2 retention and respiratory muscle activity during NREM sleep
https://pubmed.ncbi.[...]
1988-10
[28]
저널
Effect of sleep-induced increases in upper airway resistance on respiratory muscle activity
https://pubmed.ncbi.[...]
1991-01
[29]
웹인용
Central Sleep Apnea: Causes & Treatments
https://www.sleepfou[...]
2022-04-06
[30]
저널
Respiratory muscle injury in animal models and humans
https://doi.org/10.1[...]
1998-02-01
[31]
웹인용
Respiratory Failure
https://www.unboundm[...]
2022-04-06
[32]
웹인용
호흡성산증
https://terms.naver.[...]
2022-04-06
[33]
저널
Respiratory failure
https://erj.ersjourn[...]
2003-11-16
[34]
웹인용
Muscular Dystrophy: Hope Through Research
https://www.ninds.ni[...]
2020-04-07
[35]
웹인용
Signs and Symptoms of 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 Diseases
https://www.mda.org/[...]
2022-05-18
[36]
웹인용
폼페병(Pompe’s disease)
http://amcmg.amc.seo[...]
2022-04-06
[37]
저널
Correlation Between Respiratory Accessory Muscles and Diaphragm Pillars MRI and Pulmonary Function Test in Late-Onset Pompe Disease Patients
https://www.ncbi.nlm[...]
2021-03-01
[38]
저널
Ventilator-induced diaphragm dysfunction: translational mechanisms lead to therapeutical alternatives in the critically ill
https://doi.org/10.1[...]
2019-07-25
[39]
저널
Mitochondrial dysfunction and lipid accumulation in the human diaphragm during mechanical ventilation
https://pubmed.ncbi.[...]
2012-12-01
[40]
저널
Lipid overload: trigger or consequence of mitochondrial oxidative stress in ventilator-induced diaphragmatic dysfunction?
https://pubmed.ncbi.[...]
2012-12-01
[41]
웹인용
Acute respiratory failure: Causes, symptoms, and prevention
https://www.medicaln[...]
2022-04-07
[42]
웹인용
Acute respiratory failure
https://www.mcgill.c[...]
2022-04-07
[43]
웹인용
Other Types of Respiratory Failure - Critical Care Medicine
https://www.msdmanua[...]
2022-04-06
[44]
저널
Surgery and the respiratory muscles
https://thorax.bmj.c[...]
1999-05-01
[45]
저널
Effects of preoperativ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n obese women undergoing open bariatric surgery: respiratory muscle strength, lung volumes, and diaphragmatic excursion
http://www.scielo.br[...]
2011
[46]
저널
Contribution of Pain to Inspiratory Muscle Dysfunction after Upper Abdominal Surgery
https://www.atsjourn[...]
2000-04-01
[47]
저널
Preoperative respiratory muscle training. Assessment in thoracic surgery patients with special reference to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https://pubmed.ncbi.[...]
1994-06
[48]
저널
The effects of five days of intensive preoperativ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on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outcome in patients having cardiac surgery: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https://pubmed.ncbi.[...]
2019-05
[49]
저널
Preoperative inspiratory muscle training for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in adults undergoing cardiac and major abdominal surgery
https://pubmed.ncbi.[...]
2015-10-05
[50]
저널
Respiratory muscle training in pulmonary rehabilitation
https://pubmed.ncbi.[...]
2013-07
[51]
저널
Respiratory Muscle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Prolonged Mechanical Ventilation: A Targeted Approach
https://doi.org/10.1[...]
2020-03-24
[52]
서적
Nunn's Applied Respiratory Physiology (Eighth Edition)
https://www.scienced[...]
Elsevier
2017-01-01
[53]
저널
A novel accessory respiratory muscle in the American alligator (Alligator mississippiensis)
https://royalsociety[...]
2019-07-2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