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무네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무네트는 '숨겨진 자'를 의미하는 고대 이집트 신으로, 아문과 짝을 이루는 여성 신이다. 헤르모폴리스 창조 신화에서 아문과 함께 대기와 풍요를 관장하는 오그도아드의 일원이며, 원시의 물에서 최초의 언덕을 만들고 해돋이와 나일강의 물을 유지하는 역할을 했다.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는 아문의 배우자로 숭배받았으며, 테베에서 지역적으로 중요한 신으로 숭배되었다. 아무네트는 데슈레트 왕관을 쓰고 파피루스 지팡이를 든 여성의 모습으로 묘사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문 (신화) - 아몬 (악마)
아몬은 지옥의 제국을 다스리는 후작 악마로, 늑대 얼굴과 뱀 꼬리 형상에 과거와 미래를 꿰뚫어보는 능력, 분쟁을 화해시키는 힘을 지녔으며, 고대 이집트 신 아문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있고 여러 문헌과 작품에 등장한다. - 이집트 여신 - 하토르
하토르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하늘, 태양, 사랑, 아름다움, 풍요, 음악 등 다양한 영역을 관장하는 여신으로, 암소 또는 암소 머리를 가진 여성으로 묘사되며 이집트 전역과 해외에서도 숭배되었다. - 이집트 여신 - 무트
무트는 고대 이집트 신화에서 '어머니'를 뜻하며 테베 삼주신 중 아몬의 아내로 숭배받던 여신으로, 독수리 날개를 가진 여성이나 다양한 동물로 표현되며 '이집트의 여주인' 등으로 불렸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광주고등법원
광주고등법원은 1952년에 설치되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북특별자치도, 제주특별자치도를 관할하며, 제주와 전주에 원외재판부를 두고 있다. - 빈 문단이 포함된 문서 - 1502년
1502년은 율리우스력으로 수요일에 시작하는 평년으로, 이사벨 1세의 이슬람교 금지 칙령 발표, 콜럼버스의 중앙아메리카 해안 탐험, 바스쿠 다 가마의 인도 상관 설립, 크리미아 칸국의 킵차크 칸국 멸망, 비텐베르크 대학교 설립, 최초의 아프리카 노예들의 신대륙 도착 등의 주요 사건이 있었다.
아무네트 | |
---|---|
기본 정보 | |
![]() | |
유형 | 이집트 신 |
숭배 중심지 | 테베 헤르모폴리스 (오그도아드의 일원으로서) |
배우자 | 아문 |
고대 이집트 종교 | |
신앙 | 사후세계 우주론 두아트 마'아트 신화 목록 수비학 철학 영혼 |
관행 | |
관행 | 장례 공물: 공물 공식 신전 피라미드 |
신 | |
신 | 신 (목록) |
오그도아드 | |
오그도아드 | 아문 아무네트 하우헤트 헤 카우케트 케크 나우네트 누 |
에네아드 | |
에네아드 | 아툼 게브 이시스 네프티스 누트 오시리스 세트 슈 테프누트 |
다른 신 | |
다른 신 | 아티 아케르 아크티 하푸의 아들 아멘호테프 아메세미 암미트 암-헤흐 아무-아 아나트 안제티 안후르 안푸트 아누비스 아누케트 아페데막 아펩 아피스 아프트 아켄 아렌스누피스 아쉬 심판관 아스타르테 아텐 바비 바네브제데트 바스테트 바트 바타 바-페프 벤누 베스 부키스 동굴 신 데둔 두아우 (신) 호루스의 네 아들 지하세계의 문 신 하 하피 하우론 하토르 하트메히트 헤데테트 헤드호테프 헤카 헤멘 헴수트 헤네트 헤케트 헤르마누비스 헤사트 호루스 하르포크라테스 헤리샤프 후 이아베트 이아흐 이아트 이그아이 이히 이크헤무-세크 이멘테트 임호테프 이피 이우니트 이우사세트 케베체트 켄시트 켄티-아멘티우 켄티-케티 케프리 케르티 크눔 콘수 콜란테스 코타르-와-카시스 마아헤스 마'아트 만둘리스 메제드 마프데트 메헨 메헤트-웨레트 메히트 멘히트 메레트 메르세게르 메스케네트 민 므네비스 몬투 무트 네베테테페트 네브투위 네페르템 네헤브카우 네흐메타위 네이트 넴티 네크베트 네페르 파케트 페리트 페트베 프타 케부이 케드-헤르 케테쉬 라 라에트-타위 레키트 렘 레네누테트 렌페트 렌페트네페레트 레피트 레셰프 사흐 사티스 세비움케르 세크메트 세케르 세라피스 세르케트 세샤트 샤이 셰드 셰스메테트 셰즈무 시아 소베크 소프데트 소프두 페와 네켄의 영혼 타테넨 타웨레트 타이트 타-비제트 토트 헤르메스 트리스메기스토스 트제네니에트 투투 우누트 와제트 와드즈-웨르 웨네그 웹세트 웨프와웨트 웨레테카우 워스레트 |
위치 | |
위치 | 아아루 벤벤 두아트 마누의 땅 파괴 불가능한 것들 |
상징 및 물건 | |
상징 및 물건 | 아아니 압투 앙크 아테프 아테트 토트의 서 카르투슈 옥수수 미라 지팡이와 도리깨 데슈레트 제드 이집트 오벨리스크 이집트 연못 호루스의 눈 라의 눈 그리핀 헤드제트 헴헴 왕관 헨누 히에라코스핑크스 히포세팔루스 이미우트 페티쉬 케프레쉬 크네프 마테트 보트 메제드 메나트 네부 네메스 네쉬메트 오우로보로스 프셴트 쇠똥구리 세크테트 보트 세레크 세르포파드 세트 동물 셴 링 스핑크스 티예트 우라에우스 와스-홀 날개 달린 태양 |
텍스트 | |
텍스트 | 장례 텍스트 (암두아트 • 호흡의 서 • 동굴의 서 • 사자의 서 • 대지의 서 • 문서) |
관련 종교 | |
관련 종교 | 아테니즘 헤르메스주의 텔레마 케메트주의 (케메트 정교회 • 가장 높은 여신 교회) |
언어 | |
그리스어 (고대 코이네) | 아마우니 |
로마자 표기 | Amaunet |
2. 이름
아무네트의 이름은 "숨겨진 자"를 뜻하는 여성형 명사로, 남성 신인 아문의 이름에 여성형 어미(t)를 붙여 만들어졌다. 이는 아무네트가 독립적인 신격이라기보다는 아문에 대응하는 여성 신으로서 창조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28]
헤르모폴리스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오그도아드(여덟 신) 중 한 명으로, 남편 아문과 함께 대기와 풍요의 신이었다.
이름의 의미처럼 아문과 아무네트는 모습을 숨긴 채 아무도 본 사람이 없는 가장 오래된 신들로 여겨졌다.
3. 신화
오그도아드는 원시의 물 눈에서 최초의 언덕을 만들고, 해돋이가 매일 반복되도록 했으며, 나일강의 물이 마르지 않도록 했다.[29] 또한 라가 태어나는 Nymphaea caerulea|수련영어을 만들어냈다.[30] 이들이 세계를 통치했던 기간은 황금 시대로 여겨졌지만, 역할을 마치자 모습을 감추고 명계로 갔다고 한다.[29]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아문 신이 "신들의 왕"이라고 불릴 정도로 숭배를 받게 되자, 신화 속 아문은 암소의 모습을 한 아마우네트를 타고 각지를 돌아다녔다고 한다.[31] 눈은 어둡게 펼쳐진 물이었지만, 아문은 그 물을 휘저어 창조로 이끄는 힘의 상징이었다.[32] 아마우네트가 등에 태운 아문은 물을 건너간 곳마다 지역 신이 되었고, 마침내 전 국토의 창조신이 되었다.[31]
이집트 제18왕조 시대에 무트가 아문의 배우자로 여겨지면서 아마우네트는 무트와 동일시되었다.[33]
3. 1. 원시적 존재
아무네트는 헤르모폴리스 창조 신화에 등장하는 오그도아드(여덟 신) 중 하나로, 남편 아문과 함께 대기와 풍요를 관장했다.
오그도아드는 원시의 물 눈에서 최초의 언덕을 만들고, 해돋이가 매일 반복되도록 했으며, 나일강의 물이 마르지 않도록 했다.[29] 이들은 또한 태양신 라 (라)가 태어나는 Nymphaea caerulea|수련영어을 만들어냈다.[30] 아무네트와 아문이 세계를 통치했던 기간은 황금 시대로 여겨졌으나, 이들은 역할을 마치자 모습을 감추고 명계로 갔다고 한다.[29]
3. 2. 아문의 배우자
이집트 신왕국 시대에 아문 신앙이 융성해지면서, 신화 속 아문은 암소의 모습을 한 아무네트를 타고 각지를 돌아다녔다고 한다.[31] 눈은 어둡게 펼쳐진 물이었지만, 아문은 그 물을 휘저어 창조로 이끄는 힘의 상징이었다.[32] 아무네트가 등에 태운 아문은 물을 건너간 곳마다 지역 신이 되었고, 마침내 전 국토의 창조신이 되었다.[31]
이집트 제18왕조 시대가 되자 무트가 아문의 배우자로 여겨지게 되었고, 아무네트는 무트와 동일시되었다.[33] 이는 멘투호테프 2세가 상 이집트와 하 이집트를 이집트 재통일한 이후에 숭배가 발전하거나 다른 지역의 유사한 숭배가 병합되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아문은 아문을 숭배하는 테베에서 지역적으로 중요한 존재로 남았다.[4]
3. 3. 테베에서의 숭배
적어도 이집트 제12왕조(기원전 1991–1803년경)부터 아문은 종종 아문의 배우자로서 무트에 의해 대체되었지만, 아문을 숭배하는 테베(이집트)에서는 지역적으로 중요한 존재로 남았다.[4] 통일된 국가의 수도에서 아무네트는 왕의 보호자로 여겨졌으며, 파라오 즉위식 및 세드 축제와 관련된 의식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5] 사제들은 아문의 숭배 중심지인 카르나크에서 아문의 섬김에 헌신했다.[13] 무트와는 대조적으로, 아무네트는 원래 속했던 오그도아드의 다른 남녀 쌍과 평행을 이루는 아문의 단지 여성적인 추상화로 묘사되어 왔다.[14]
3. 4. 후기 신화
그리스-로마 시대 텍스트는 오그도아드 우주론을 강조하는데, 여기서 아문(황소)과 아문(암소)은 원초적 창조신이며, 네 마리의 황소(몬투)와 네 마리의 암소(라에트-타위)로 구성된 오그도아드에 앞서 존재하고 형성한다. 아문과 아문의 결합은 태양의 창조를 상징하며, 이는 핵심적인 우주론적 사건이다.[1] 신왕국 시대(제26왕조 이후) 동안 아문과 아마우넷은 테베 외부에서 오그도아드의 구성원으로만 나타나는 반면, 테베 전통은 그들을 오그도아드보다 한 세대 위에 놓고 쌍둥이 쌍 니아우와 니아우트와 대체한다.[1] 프톨레마이오스 왕국 시대까지 뚜렷한 신으로 남아 있었지만, 카르나크의 몇몇 후기 텍스트에서 아문은 네이트와 융합되기도 했다.[1]
4. 묘사
아무네트는 주로 데슈레트(하 이집트의 붉은 왕관)를 쓰고 파피루스 지팡이를 든 여성으로 묘사되었다. 투탕카멘 통치 기간 동안 카르나크에 설치된 아무네트의 거대한 조각상에서 이러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참조
[1]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https://books.google[...]
Taylor & Francis
[2]
서적
Two Greek Magical Papyri in the National Museum of Antiquities in Leiden: A Photographic Edition of J 384 and 395 (=PGM XII and XIII)
https://books.google[...]
Springer-Verlag
[3]
서적
Papyri Graecae magicae / Die griechischen Zauberpapyri
https://books.google[...]
Walter de Gruyter
[4]
문서
2003
[5]
문서
1986
[6]
서적
Conceptions of God in ancient Egypt '': the one and the many''
Cornell University Press
1982
[7]
웹사이트
The Gods of the Egyptians: Or, Studies in Egyptian Mythology
https://archive.org/[...]
1904
[8]
문서
1986
[9]
웹사이트
ANCIENT EGYPT : Amun and the One, Great & Hidden
http://www.maat.sofi[...]
2018-04-25
[10]
서적
Amun und die acht Urgötter von Hermopolis eine Untersuchung über Ursprung und Wesen des aegyptischen Götterkönigs
Verlag der Akademie und Wissenschaft
1929
[11]
문서
1982
[12]
문서
1929
[13]
문서
2003
[14]
서적
Kneph: The Religion of Roman Thebes
ProQuest LLC, Ann Arbor
2008
[15]
문서
2008
[16]
문서
2008
[17]
문서
1929
[18]
문서
2008
[19]
문서
1929
[20]
문서
2008
[21]
문서
1929
[22]
문서
1929
[23]
문서
1929
[24]
문서
1929
[25]
문서
2008
[26]
문서
2008
[27]
서적
The Routledge dictionary of Egyptian gods and goddesses
https://books.google[...]
Psychology Press
2005
[28]
서적
The Complete Gods and Goddesses of Ancient Egypt
Thames & Hudson
2003
[29]
서적
『エジプト神話』
[30]
서적
『エジプト神話』
[31]
서적
『エジプト神話』
[32]
서적
『エジプト神話』
[33]
서적
『エジプト神話』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