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위로가기

아시안 게임 럭비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게임 럭비는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으며, 15인제와 7인제 경기가 진행되었다. 2006년 도하 아시안 게임부터 7인제로 단일화되었고,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부터 여자 7인제 럭비가 추가되었다. 대한민국은 2002년까지 15인제와 7인제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며 강세를 보였으나, 이후 일본, 홍콩 등과의 경쟁 구도가 형성되었다.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7인제 럭비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아시안 게임 럭비의 위상도 높아졌다. 일본이 남자 7인제에서, 중국이 여자 7인제에서 강세를 보이며, 홍콩이 최근 남자 7인제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게임 럭비 - 2002년 아시안 게임 럭비
    2002년 아시안 게임 럭비는 부산에서 남자 유니온과 세븐스 두 종목으로 진행되었으며, 두 종목 모두 대한민국이 금메달을 획득하고 유니온에서는 일본, 중화 타이베이가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 세븐스에서는 중화 타이베이와 태국이 각각 은메달과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럭비 - 2014년 아시안 게임 럭비
    2014년 인천 아시안 게임 럭비는 남동 아시아드 럭비 경기장에서 진행되었으며, 여자부에서는 일본, 중국, 카자흐스탄이 각각 금, 은, 동메달을, 남자부에서는 홍콩, 일본, 대한민국이 각각 금, 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크리켓
    아시안 게임 크리켓은 2010년 광저우 아시안 게임에서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후 2022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개최되었으며, 2022년 대회에서는 인도 남녀 대표팀이 모두 우승하여 아시아 크리켓 판도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국가들의 발전 저해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있다.
  • 아시안 게임 경기 종목 - 아시안 게임 유도
    아시안 게임 유도는 1986년 서울 아시안 게임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어 남자 경기부터 시작, 이후 여자 유도 도입과 단체전 및 혼성 단체전 도입을 거쳐 2023년 항저우 아시안 게임까지 이어져 왔으며 일본이 최우수 국가로 자리매김했다.
아시안 게임 럭비
아시안 게임 럭비
주최아시아 올림픽 평의회
종목럭비
영어 종목명Rugby union
픽토그램Rugby union pictogram.svg
경기 단체 약자OCA
세부 종목2
남자 종목1
여자 종목1
메달 집계
최종 업데이트2021년 1월 3일
1위일본
참조Asian Games All-time summary by Country

2. 역사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럭비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초기에는 15인제와 7인제 경기가 모두 열렸으나, 2006년부터는 7인제 경기로 단일화되었다.[1] 2002년까지는 한국이 금메달을 독점하였으나,[1] 2006년부터는 일본이 금메달을 획득하고 있다.[1]

2016년 하계 올림픽부터 7인제 럭비가 남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2010년 아시안 게임부터는 여자부 대회도 열리고 있다.[2]

다음은 여자부 경기 결과이다.

연도개최지결승전3위 결정전
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2010 광저우17–1417–12 연장
2014 인천14–1212–0
2018 자카르타팔렘방7–529–7
2022 항저우22–217–5



다음은 1998년, 2002년 남자부 경기 결과이다.

1998 2002참가 횟수
align=left|3위3위2
align=left|2위2위2
align=left|5위1
align=left|1위1위2
align=left|4위4위2
align=left|5위1
참가 팀 수64


3. 대회 결과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럭비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었다. 초기에는 15인제와 7인제 경기가 모두 열렸지만, 2006년 아시안 게임부터는 7인제 경기로 단일화되었다. 2002년 아시안 게임까지는 한국이 금메달을 독점하였으나, 이후에는 일본이 금메달을 주로 획득하였다.

2016년 하계 올림픽부터 7인제 럭비가 남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됨에 따라, 2010년 아시안 게임부터 여자부 경기도 열리고 있다.

여자부 경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도개최지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2010 광저우17–1417–12 (연장)
2014 인천14–1212–0
2018 자카르타팔렘방7–529–7
2022 항저우22–217–5


3. 1. 15인제 (남자)

15인제 럭비 (남자) 경기는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과 2002년 부산 아시안 게임에서 개최되었다. 대한민국이 두 대회 모두 금메달을 획득했다. 일본은 두 대회 모두 은메달을 획득했다. 중화 타이베이(대만)는 두 대회 모두 동메달을 획득했다.[2]


3. 2. 7인제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럭비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될 당시 15인제와 7인제 경기가 모두 열렸으나, 2006년 아시안 게임부터 7인제 경기로 단일화되었다.[1] 2002년 아시안 게임까지는 한국이 금메달을 독점하였으나, 2006년부터는 일본이 금메달을 획득하고 있다.[1]

2016년 하계 올림픽부터 7인제 럭비가 남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2010년 아시안 게임부터 여자부 대회도 열리고 있다.[1]

3. 2. 1. 남자

1998년 방콕 아시안 게임에서 럭비가 처음 정식 종목으로 채택된 이후, 남자 럭비 종목은 지속적으로 개최되고 있다. 초기에는 15인제와 7인제 경기가 모두 열렸으나, 2006년 아시안 게임부터는 7인제 경기로 단일화되었다.[1] 대한민국은 1998년[1]2002년[1]에 금메달을 획득하며 초반 강세를 보였으나, 이후 일본과 홍콩에 밀려 금메달 획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본은 2006년, 2010년, 2014년에 금메달을 획득하며 아시안 게임 남자 7인제 럭비의 새로운 강자로 떠올랐다. 홍콩은 2018년 금메달을 차지하며 아시아 럭비 강국임을 입증했다.

연도개최지결승3위 결정전
우승결과준우승3위결과4위
1998
자세히
방콕 대한민국29–14 일본 태국19–5 중화 타이베이
2002
자세히
부산 대한민국33–21 중화 타이베이 태국17–14 일본
2006
자세히
도하 일본27–26 대한민국 중국19–12 중화 타이베이
2010
자세히
광저우 일본28–21 홍콩 대한민국21–14 중국
2014
자세히
인천 일본24–12 홍콩 대한민국17–14 스리랑카
2018
자세히
자카르타팔렘방 홍콩14–0 일본 대한민국36–14 스리랑카


3. 2. 2. 여자

2016년 하계 올림픽부터 7인제 럭비가 남녀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면서, 2010년 아시안 게임부터 여자부 대회도 열리고 있다.[1]

연도개최지결승3위 결정전
우승결과준우승3위결과4위
2010
상세 정보
광저우 카자흐스탄17–14 중국 태국17–12 홍콩
2014
상세 정보
인천 중국14–12 일본 카자흐스탄12–0 홍콩
2018
상세 정보
자카르타팔렘방 일본7–5 중국 카자흐스탄29–7 태국



중국은 2014년에 금메달을 획득하며 여자 7인제 럭비에서 강세를 보이고 있다.[1] 일본은 2018년에 금메달을 획득했다.[1] 카자흐스탄은 꾸준히 3위 안에 들며 메달을 획득하고 있다.[1]

4. 메달 집계

순위국가금메달은메달동메달총 메달 수
1align=left|4509
2align=left|4138
3align=left|1214
4align=left|1023
5align=left|1203
6align=left|0123
7align=left|0033



요약에 따르면, 대한민국은 아시안 게임 럭비에서 총 8개(금메달 4개, 은메달 2개, 동메달 2개)의 메달을 획득하여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많은 메달을 획득한 국가이다. 일본은 총 10개(금 4, 은 6, 동 1)의 메달을 획득해 최다 메달 획득국이다. 그러나 원본 소스에 따르면, 대한민국의 은메달 수는 1개, 일본의 은메달 수는 5개, 동메달 수는 1개이다. 따라서 표와 같이 수정하였다.

5. 참가국

2010
2014
2018
2022참가 횟수align=left|2위1위2위1위4align=left|4위4위5위3위4align=left|7위7위2align=left|8위1align=left|5위2위1위2위4align=left|1위3위3위5위4align=left|10위1align=left|8위1align=left|6위6위6위6위4align=left|8위9위7위3align=left|3위5위4위4위4align=left|7위1참가팀 수81087



대한민국, 일본, 홍콩을 비롯한 아시아의 여러 국가들이 참가한다.

5. 1. 남자 15인제

연도개최지우승점수준우승3위점수4위
1998 방콕 대한민국21-17 일본 중화 타이베이38-20 스리랑카
2002 부산 대한민국 일본 중화 타이베이 스리랑카

[2]

5. 2. 남자 7인제

자세히 방콕 대한민국29–14 일본 태국19–5 중화 타이베이2002
자세히 부산 대한민국33–21 중화 타이베이 태국17–14 일본2006
자세히 도하 일본27–26 대한민국 중국19–12 중화 타이베이2010
자세히 광저우 일본28–21 홍콩 대한민국21–14 중국2014
자세히 인천 일본24–12 홍콩 대한민국17–14 스리랑카2018
자세히 자카르타팔렘방 홍콩14–0 일본 대한민국36–14 스리랑카


5. 3. 여자 7인제

연도개최지결승3위 결정전
우승결과준우승3위결과4위
2010 광저우 카자흐스탄17–14 중국 태국17–12 홍콩
2014 인천 중국14–12 일본 카자흐스탄12–0 홍콩
2018 자카르타·팔렘방 일본7–5 중국 카자흐스탄29–7 태국


참조

[1] 뉴스 Asian Games All-time summary by Country http://www.rugby7.co[...] 2021-01-03
[2] 문서 リーグ戦の結果による。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