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아시아 축구 연맹(AFC)이 주관했던 클럽 대항전으로, 1967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로 시작하여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으로 명칭을 변경한 후, 2002년에 AFC 챔피언스리그로 통합되었다. 이스라엘 클럽의 불참, 대회 중단 등의 우여곡절을 겪었으며, 대한민국, 일본, 이란, 이스라엘 등이 우승을 차지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AFC 챔피언스리그 우승 기록 문서는 아시아 클럽 축구 대회의 역대 우승 기록을 다루며, 알힐랄이 최다 우승 구단이고 대한민국이 국가별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한다. - AFC 챔피언스리그 -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
AFC 챔피언스리그 엘리트는 아시아 축구 연맹 주관으로 아시아 최상위 클럽들이 참가하는 연례 축구 대회이며,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 컵위너스컵의 통합으로 시작되어 UEFA 챔피언스리그를 벤치마킹하여 아시아 축구 발전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 폐지된 AFC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아시안 슈퍼컵
아시안 슈퍼컵은 아시아축구연맹이 1995년부터 2002년까지 개최한 클럽 대항전으로,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우승팀과 아시안컵 위너스컵 우승팀이 맞붙어 합계 점수로 우승팀을 가렸으며, AFC 챔피언스리그 출범으로 폐지되었고 사우디아라비아와 대한민국이 최다 우승 국가이며 수원 삼성 블루윙즈는 연속 우승 기록을 남겼다. - 폐지된 AFC 주관 국제 클럽 축구 대회 -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아프로-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1967년부터 1998년까지 아프리카와 아시아 클럽들이 참가한 국제 축구 대회로, 단판 승부에서 홈 앤 어웨이 방식으로 변경되었으며 1998년 중단 후 재개 논의가 있었으나 현재까지 재개되지 않고 있다.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
---|---|
대회 정보 | |
이름 |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
다른 이름 | Asian Club Championship |
설립 연도 | 1967년 |
개편 연도 | 2002년 (AFC 챔피언스리그로 명칭 변경) |
지역 | [[파일:AFC orthographic projection Mapa AFC.png|프레임없음|25x25픽셀|link=아시아 축구 연맹]] 아시아 (AFC) |
2. 역사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은 1967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라는 명칭으로 처음 시작되었으며, 8개 팀이 참가하였다. 그러나 1972년 대회에는 4개 팀만이 참가 의사를 밝혀 대회가 취소되었고, 이후 한동안 중단되었다. 이 시기부터 이스라엘은 아랍 세계 국가들과의 정치적 분쟁으로 인해 아시아 축구 연맹에서 제명되어 이스라엘 프리미어리그 팀들이 대회에 참가하지 못하게 되었다.[2]
1985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는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으로 부활하였다. 각국 국내 리그 우승 클럽이 참가하였다. 아시아 축구 연맹(AFC)은 결승전을 4개 팀 로빈 라운드 형식이나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르는 등 많은 시도를 했지만, 이 방식들은 모두 다음 해에 단판전으로 회귀하였다. 얼마 뒤, 각국 FA컵 우승 클럽은 아시안 컵위너스컵에 참가하게 되었고, AFC는 이 두 대회의 우승 클럽을 아시안 슈퍼컵에서 대결하게 하였다.
2002년, 아시안 슈퍼컵이 생긴 지 얼마 되지 않아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 컵위너스컵은 '''AFC 챔피언스리그'''로 통합되었고, 아시안 슈퍼컵은 자연스레 폐지되었다.
2. 1. 1967 시즌~1971 시즌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라는 명칭으로 처음 개최되었고 8개 팀이 참가하였다. 하지만 1972년 대회에 4개 팀만이 참가하겠다는 의사를 밝히면서 대회가 취소되고, 이후 한동안 중단되었다. 또한 이스라엘은 아랍 세계 국가들과의 정치적 분쟁으로 인하여 아시아 축구 연맹에서 제명되어 이 때부터 이스라엘 프리미어리그 팀들이 불참하게 되었다.[2]2. 2. 1985-86 시즌~2001-02 시즌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1985년, 아시안 챔피언 클럽 토너먼트가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으로 부활하였다. 각국 국내 리그 우승 클럽이 참가하였다. 이후 AFC은 결승전을 4개 팀 로빈 라운드 형식, 홈 앤드 어웨이 방식으로 치르는 등 많은 시도를 했다. 하지만 두 방식 모두 다음 해에 단판전으로 회귀하였다. 얼마 뒤, 각국 FA컵 우승 클럽은 아시안 컵위너스컵에 참가하게 되었고, AFC는 이 두 대회의 우승 클럽을 아시안 슈퍼컵에서 대결하게 하였다.2002년, 아시안 슈퍼컵이 생긴 지 10년도 안 되어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과 아시안 컵위너스컵은 '''AFC 챔피언스리그'''로 통합되었고, 아시안 슈퍼컵은 자연스레 폐지되었다.
3. 역대 대회 결과
아시안 클럽 챔피언십 역대 대회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즌 | 우승 | 점수 | 준우승 | 결승전 경기장 |
---|---|---|---|---|
1967 | הפועל תל אביב|하포엘 텔아비브he | 2 - 1 | 슬랑오르 FA | 태국 방콕 |
1968 | 대회 미개최 | |||
1969 | מכבי תל אביב|마카비 텔아비브he | 1 - 0 | 양지 축구단 | 태국 방콕 |
1970 | 타지 | 2 - 1 | הפועל תל אביב|하포엘 텔아비브he | 이란 테헤란 암자디예 경기장 |
1971 | מכבי תל אביב|마카비 텔아비브he | 결승 기권[1] | 알쇼르타 SC | 기권으로 인한 결승전 미개최 |
1972 | 대회 취소 | |||
1973 ~ 1984 | 대회 미개최 | |||
1985-86 | 대우 로얄즈 | 3 - 1 | 알아흘리 | 사우디아라비아 지다 |
1986 | 후루가와 전기공업 | 결승 리그[2] | 알힐랄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
1987 | 요미우리 | 결승 기권 | 알힐랄 | 기권으로 인한 결승전 미개최 |
1988-89 | 알사드 | 2 - 3 1 - 0 | 알카르흐 | 이라크 바그다드 카타르 도하 셰이크 알사니 경기장 |
1989-90 | 랴오닝 | 2 - 1 1 - 1 | 닛산 자동차 | 일본 요코하마시 미쓰자와 스타디움 중국 선양시 |
1990-91 | 에스테글랄 | 2 - 1 | 랴오닝 | 방글라데시 다카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
1991 | 알힐랄 | 1 - 1 (PSO 4 - 3) | 에스테글랄 | 카타르 도하 칼리파 국제경기장 |
1992-93 | 파스 | 1 - 0 | 알샤바브 | 바레인 알 아흘리 스타디움 |
1993-94 | 태국 농민은행 | 2 - 1 | 오만 클럽 | 태국 방콕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1994-95 | 태국 농민은행 | 1 - 0 | 알아라비 | 태국 방콕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1995 | 일화 천마 | 1 - 0 | 알나스르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킹 파드 국립 경기장 |
1996-97 | 포항 스틸러스 | 2 - 1 | 천안 일화 천마 |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1997-98 | 포항 스틸러스 | 0 - 0 (PSO 6 - 5) | 다롄 완다 | 홍콩 홍콩 대구장 |
1998-99 | 주빌로 이와타 | 2 - 1 | 에스테글랄 | 이란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
1999-00 | 알힐랄 | 3 - 2 | 주빌로 이와타 |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 킹 파드 국립 경기장 |
2000-0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 - 0 | 주빌로 이와타 | 대한민국 수원시 수원종합운동장 |
2001-0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0 - 0 (PSO 4 - 2) | 안양 LG 치타스 | 이란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
3. 1. 시즌별 우승 구단
시즌 | 우승 | 점수 | 준우승 | 결승전 경기장 |
---|---|---|---|---|
1967 | הפועל תל אביב|하포엘 텔아비브he | 2 - 1 | 슬랑오르 FA | 방콕 |
1968 | 대회 미개최 | |||
1969 | מכבי תל אביב|마카비 텔아비브he | 1 - 0 | 양지 축구단 | 방콕 |
1970 | 타지 | 2 - 1 | הפועל תל אביב|하포엘 텔아비브he | 테헤란 암자디예 경기장 |
1971 | מכבי תל אביב|마카비 텔아비브he | 결승 기권[1] | 알쇼르타 SC | 기권으로 인한 결승전 미개최 |
1972 | 대회 취소 | |||
1973 ~ 1984 | 대회 미개최 | |||
1985-86 | 대우 로얄즈 | 3 - 1 | 알아흘리 | 지다 |
1986 | 후루가와 전기공업 | 결승 리그[2] | 알힐랄 | 리야드 |
1987 | 요미우리 | 결승 기권 | 알힐랄 | 기권으로 인한 결승전 미개최 |
1988-89 | 알사드 | 2 - 3 1 - 0 | 알카르흐 | 바그다드 도하 셰이크 알사니 경기장 |
1989-90 | 랴오닝 | 2 - 1 1 - 1 | 닛산 자동차 | 요코하마시 미쓰자와 스타디움 선양시 |
1990-91 | 에스테글랄 | 2 - 1 | 랴오닝 | 다카 방가반두 국립경기장 |
1991 | 알힐랄 | 1 - 1 (PSO 4 - 3) | 에스테글랄 | 도하 칼리파 국제경기장 |
1992-93 | 파스 | 1 - 0 | 알샤바브 | 바레인 알 아흘리 스타디움 |
1993-94 | 태국 농민은행 | 2 - 1 | 오만 클럽 | 방콕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1994-95 | 태국 농민은행 | 1 - 0 | 알아라비 | 방콕 수파찰라사이 경기장 |
1995 | 일화 천마 | 1 - 0 | 알나스르 | 리야드 킹 파드 국립 경기장 |
1996-97 | 포항 스틸러스 | 2 - 1 | 천안 일화 천마 | 쿠알라룸푸르 부킷잘릴 국립경기장 |
1997-98 | 포항 스틸러스 | 0 - 0 (PSO 6 - 5) | 다롄 완다 | 홍콩 홍콩 대구장 |
1998-99 | 주빌로 이와타 | 2 - 1 | 에스테글랄 |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
1999-00 | 알힐랄 | 3 - 2 | 주빌로 이와타 | 리야드 킹 파드 국립 경기장 |
2000-01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1 - 0 | 주빌로 이와타 | 수원시 수원종합운동장 |
2001-02 | 수원 삼성 블루윙즈 | 0 - 0 (PSO 4 - 2) | 안양 LG 치타스 | 테헤란 아자디 스타디움 |
3. 2. 구단별 우승 횟수
구단 | 우승 | 준우승 |
---|---|---|
استقلال|에스테글랄fa (이란) | 2회 (1970, 1990-91) | 2회 (1991, 1998-99) |
الهلال|알힐랄ar (사우디아라비아) | 2회 (1991, 1999-2000) | 2회 (1986, 1987) |
마카비 텔아비브 (이스라엘) | 2회 (1969, 1971) | |
태국 농민은행 (태국) | 2회 (1993-94, 1994-95) | |
포항 스틸러스 (대한민국) | 2회 (1996-97, 1997-98) | |
수원 삼성 블루윙즈 (대한민국) | 2회 (2000-01, 2001-02) | |
주빌로 이와타 (일본) | 1회 (1998-99) | 2회 (1999-2000, 2000-01) |
하포엘 텔아비브 (이스라엘) | 1회 (1967) | 1회 (1970) |
辽宁宏运|랴오닝 훙윈중국어 (중국) | 1회 (1989-90) | 1회 (1990-91) |
성남 FC (대한민국) | 1회 (1995) | 1회 (1996-97) |
부산 아이파크 (대한민국) | 1회 (1985-86) | |
제프 유나이티드 이치하라 지바 (일본) | 1회 (1986) | |
도쿄 베르디 (일본) | 1회 (1987) | |
السد|알사드ar (카타르) | 1회 (1988-89) | |
파스 테헤란 (이란) | 1회 (1992-93) | |
슬랑오르 (말레이시아) | 1회 (1967) | |
양지 축구단 (대한민국) | 1회 (1969) | |
الشرطة|알쇼르타ar (이라크) | 1회 (1971) | |
الأهلي|알아흘리ar (사우디아라비아) | 1회 (1985-86) | |
الكرخ|알카르흐ar (이라크) | 1회 (1988-89) | |
요코하마 F. 마리노스 (일본) | 1회 (1989-90) | |
الشباب|알샤바브ar (사우디아라비아) | 1회 (1992-93) | |
오만 클럽 (오만) | 1회 (1993-94) | |
العربي|알아라비ar (카타르) | 1회 (1994-95) | |
النصر|알나스르ar (사우디아라비아) | 1회 (1995) | |
大连实德|다롄 스더중국어 (중국) | 1회 (1997-98) | |
FC 서울 (대한민국) | 1회 (2001-02) | |
3. 3. 국가별 우승 횟수
참조
[1]
뉴스
K리그 30년특집-7 아시아를 정복한 30년을 돌아보다
https://sports.v.dau[...]
스포탈코리아
2013-05-08
[2]
뉴스
[뉴스 클립] Special Knowledge <323> 6개 대륙컵 축구대회의 모든 것
https://www.joongang[...]
중앙일보
2011-07-11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